맨위로가기

만프레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프레디는 베노사에서 태어났으며, 프리드리히 2세의 사생아로, 그의 유언에 따라 타란토 공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시칠리아 섭정으로 활동하며 교황 인노첸시오 4세와 대립했고, 1258년 시칠리아 왕으로 즉위했다. 기벨린파의 지도자가 되어 교황권에 대항하며 세력을 확장했지만, 앙주의 샤를 1세에게 패배하여 베네벤토 전투에서 사망했다. 만프레디는 단테의 신곡에 등장하며, 현대 문학, 음악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현대 도시 만프레도니아를 건설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성 로마 제국 사람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신성 로마 제국 사람 - 페터 빈스펠트
    페터 빈스펠트는 16세기 후반 트리어 마녀 재판에서 활동한 독일의 가톨릭 신학자이자 마녀사냥꾼으로, 고문을 통해 얻은 자백을 옹호하고 마녀 고발을 장려했으며, 칠죄종과 관련된 악마 목록을 발표했다.
만프레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대 묘사 만프레디,
시대 묘사 만프레디, "De arte venandi cum avibus" - 바티칸 도서관 ms. pal. lat. 1071, fol. 1v (13세기)
이름만프레트 란차 (Manfred Lancia)
출생1232년
출생지시칠리아 왕국 베노사
사망1266년 2월 26일 (34세)
사망지시칠리아 왕국 베네벤토
왕조호엔슈타우펜 가문
통치
시칠리아 왕1258년 - 1266년 2월 26일
즉위1258년 8월 10일
이전 통치자콘라딘
다음 통치자카를 1세
가족 관계
아버지프리드리히 2세
어머니비앙카 란차
배우자사보이아의 베아트리체 (1247년 결혼, 1259년 사망)
헬레나 안젤리나 두카이나 (1259년 결혼)
자녀시칠리아 여왕 콘스탄체 2세
살루초 후작 부인 베아트리체
시칠리아의 엔리케
시칠리아의 안셀모
시칠리아의 페데리코
도노라티코 백작 부인 플로르델리스 (사생아)

2. 생애

만프레디는 베노사에서 태어났다. 프리드리히 2세는 그를 적자로 여겼으며, 유언을 통해 타란토 공으로 임명했다.[1] 프리드리히 2세는 만프레디의 이복 형제인 콘라트 4세를 독일,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왕으로 임명했지만, 콘라트 4세가 독일에 있는 동안 만프레디는 시칠리아의 섭정을 맡았다. 만프레디는 파리볼로냐에서 공부했으며, 아버지처럼 시와 과학을 사랑했다.

1250년 프리드리히 2세가 사망했을 당시 만프레디는 18세 정도였으나, 신탁을 충실히 수행했다. 왕국은 교황 인노첸시오 4세가 촉발한 반란으로 혼란스러웠고, 만프레디는 나폴리를 제외한 여러 반란 도시들을 진압했다. 1251년 전쟁 가능성을 막기 위해 교황에게 양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1252년 만프레디의 이복형 콘라트 4세가 남부 이탈리아에 나타나자 그의 권위가 빠르게 인정받았다. 콘라트 4세는 만프레디의 권한을 타란토 공국으로 제한했다. 1253년 10월, 나폴리가 콘라트 4세의 손에 넘어갔다. 콘라트 4세는 교황을 어린 아들 콘라디노의 후견인으로 삼고, 호엔베르크의 베르톨트를 콘라디노의 섭정으로 임명했다.

1254년 5월, 콘라트 4세는 26세의 나이에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만프레디는 시칠리아를 인노첸시오 4세에게 넘기는 것을 거부하고 콘라디노를 대신해 섭정을 수락했다. 그러나 교황은 콘라디노의 후견인으로 지명되었고, 1254년 7월 만프레디를 파문했다. 만프레디는 인노첸시오 4세와 협상을 시작, 1254년 9월 조약에 따라 복종하고 남부 이탈리아에 대한 교황 대리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만프레디는 교황 수행원의 행동에 의심을 품고 교황 군대가 캄파니아를 점령한 것에 불만을 느껴 루체라의 사라센에게 도망쳤다. 사라센 동맹군의 도움으로 1254년 12월 2일 포지아에서 교황군을 격파하고 시칠리아와 본토 시칠리아 영토에 대한 권위를 확립했다. 만프레디는 기벨린 코뮌, 특히 시에나를 지원하여 몬타페르티 전투에서 피렌체를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독일 기사단을 제공, 기벨린 동맹의 후원자 지위에 올랐다. 인노첸시오 4세가 사망하고 알렉산데르 4세가 교황이 되자, 그는 즉시 만프레디를 파문했다. 1257년 만프레디는 교황군을 격파하고 모든 반란을 진압, 남부 이탈리아 통치를 확고히 하고 콘라디노에게서 대리인 칭호를 받았다.

1258년 콘라디노가 죽었다는 오보가 퍼지자 만프레디는 시칠리아 왕위를 계승했으나, 곧 오보임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왕위를 양보하지 않고 북부 이탈리아 지배를 놓고 로마 교황과 대립했다.

1266년 로마 교황 클레멘스 4세의 요청으로 프랑스 왕국루이 9세의 동생 샤를 1세가 이탈리아를 침공, 만프레디는 베네벤토 전투에서 전사했다. 샤를 1세는 시칠리아 왕위에 올랐지만, 시칠리아 만종 사건 이후 만프레디의 사위인 아라곤 왕 페드로 3세에게 패배, 시칠리아를 잃고 나폴리 왕국과 시칠리아 왕국이 분립되었다.

만프레디의 가족, 즉 두 번째 부인 엘레나 안젤리나 두카이나(에피루스 전제 공국 미카엘 2세의 딸)와 그 사이의 아이들은 카스텔 델 몬테 (세계 유산)에 유폐되었다.

2. 1. 권력 장악

프리드리히 2세와 그의 연인 비앙카 란치아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지만, 프리드리히 2세는 만프레디를 적자처럼 대우했고 유언장에서 만프레디를 타란토 공작으로 봉했다. 만프레디는 파리와 볼로냐에서 공부했고 아버지를 닮아 문학과 과학을 좋아했다.

아버지 프리드리히 2세가 죽었을 때 만프레디는 18살이었는데, 교황 인노첸시오 4세가 주도한 권력투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그는 반란군에 맞서 싸웠고 1252년 그의 형 콘라트 4세가 이탈리아로 진군해 이듬해 나폴리를 점령하였을 때 만프레디의 위상은 높아졌는데, 형 콘라트는 만프레디를 돕지 않고 오히려 힘을 약화시켰다.

1254년 콘라트가 말라리아로 죽었고, 만프레디는 교황 인노첸시오 4세가 시칠리아를 바치라는 요구를 거절하고 어린 조카 콘라딘의 섭정이 되었다. 그러자 교황은 만프레디를 파문시켜 버렸다. 만프레디는 교황 측과 협상을 시작해 아풀리아를 교황에게 넘겼으나 결국 협상이 결렬되고 만프레디는 사라센에게로 피신하였다. 사라센 연합군과 함께 교황군을 물리쳐 1254년 12월에는 시칠리아를 수복하고 이탈리아 본토에도 시칠리아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또한 만프레디는 기벨린파 도시와 연합하고 기벨린파의 수장이 되어 교황권에 맞섰다. 같은 해 인노첸시오 4세가 죽고 새로 교황에 오른 알렉산데르 4세는 만프레디를 즉각 파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프레디는 1257년 모든 반란을 진압하고 교황군을 격파하여 남부 이탈리아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1254년 이복형 콘라트가 사망했을 때, 뒤를 이은 조카 콘라디노는 아직 어렸고(2세) 독일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칠리아 섭정으로서 시칠리아 왕국을 실질적으로 지배했다. 1258년에 콘라디노가 죽었다는 오보를 듣고 시칠리아 왕위를 계승했으나, 곧 오보임이 판명되었지만 왕위를 양보하지 않았다.

2. 2. 시칠리아 왕 즉위

1258년 8월 10일, 조카 콘라딘이 죽었다는 소문이 퍼진 가운데, 만프레디는 팔레르모에서 시칠리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니었지만, 만프레디는 민중의 지지를 받으며 왕위를 내놓지 않고 계속 시칠리아를 다스렸다. 교황은 그의 왕위를 인정하지 않았고, 만프레디는 퇴위를 거부하며 콘라딘의 사절에게 강력한 토착 통치자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사라센과의 동맹이 심각한 위협이라고 여긴 교황은 만프레드의 대관을 무효라고 선언했다.[1]

만프레디의 대관식 장면.


1258년 팔레르모에서 만프레드의 대관식, ''누오바 크로니카''


만프레디는 영향력을 북 이탈리아로 확장하여 토스카나, 스폴레토, 로마냐, 롬바르디아의 맹주가 되었다. 그는 토스카나, 스폴레토, 마르케, 로마냐 및 롬바르디아에 총독을 임명했다. 몬타페르티 전투 이후, 그는 피렌체 시민들에 의해 토스카나의 보호자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대리인에게 경의를 표했으며, 도시의 한 파벌에 의해 "로마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262년에는 딸 콘스탄체를 아라곤 왕국의 페드로 3세와 약혼시켜 자신의 지위를 더욱 강화했다.

이러한 행동에 놀란 새로운 교황 우르바노 4세는 그를 파문하고 시칠리아 왕국을 콘월의 리차드에게 팔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263년에는 프랑스 왕 루이 9세의 동생, 샤를이 시칠리아에 대한 야심을 드러내었다. 샤를은 그의 손으로 시칠리아 왕국의 서임을 받아들였다. 이에 만프레디는 자신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샤를의 접근 소식을 들은 만프레드는 로마인들에게 선언문을 발표하여 이탈리아에 대한 그의 통치를 옹호했을 뿐만 아니라 황제의 왕관까지 요구했다.

1265년 샤를은 약 3만 명의 정예 앙주군을 이끌고 콜 데 텐데를 통해 이탈리아로 진격하여 북 이탈리아의 기벨린(황제파) 도시들을 격파하고 이듬해 1월 로마에서 왕위를 칭했다.

2. 3. 베네벤토 전투와 죽음

1266년 2월 26일, 만프레디와 샤를의 군대가 베네벤토 전투에서 맞붙었는데, 이때 만프레디의 기벨린파는 참패하였다. 만프레디는 도망치는 것을 거부하고 전투의 한가운데로 뛰어들어 죽었다.[1] 그의 시체는 전장에 묻혔는데, 나중에 교황령과 시칠리아의 국경인 가릴리아노 강에 다시 뿌려졌다.[1]

3. 유산

13세기 저서인 ''De arte venandi cum avibus''에서 매를 들고 있는 만프레디


만프레디는 중세 시대에는 고귀하고 웅대한 인품, 빼어난 외모와 지적 능력으로 칭송받았다.[2] 단테 알리기에리는 자신의 저서 신곡 연옥 편에서 만프레디를 연옥 문 밖에서 만나는 장면을 묘사했다.

현대에 이르러 만프레디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E.B.S. 라우파흐, O. 마르바흐, F.W. 로게는 만프레디를 주제로 희곡을 썼고, 만프레디가 쓴 세 통의 편지는 J. B. 카루시우스에 의해 ''시칠리아 왕국 역사 도서관'' (팔레르모, 1732)에 출판되었다.

호레이스 월폴의 단편 소설 ''오트란토 성''(1764)과 바이런 경의 극시 ''만프레드''(1817)는 만프레디의 이름에서 영감을 받았다.[7][8] 로베르트 슈만의 ''만프레드: 3부작 음악극''(1852)과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만프레드 교향곡 (1885)은 바이런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되었다.[9] 카를 라이네케는 프리드리히 로버의 대본에 맞춰 5막짜리 낭만 오페라 ''만프레드 왕''(König Manfred, 작품번호 93)을 작곡했는데, 1866년에 작곡되어 1867년에 초연되었다.[10][11]

3. 1. 중세의 평가

동시대 사람들은 만프레디의 고귀하고 웅대한 인품을 칭찬했으며, 그는 빼어난 외모와 지적인 능력으로 명성을 떨쳤다.[2]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신곡 연옥 편에서 연옥 문 밖에서 만프레디를 만난다. 만프레디는 임종 시 죄를 뉘우쳤지만, 파문된 자로 살았던 해마다 30년씩 기다려야 하는 속죄를 거쳐야 비로소 연옥에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단테에게 콘스탄스에게 그가 연옥에 있다는 것을 알려달라고 부탁한다. 이 진술을 통해 만프레디는 살아있는 사람이 자신을 위해 기도하면 연옥에서의 시간이 줄어들 수 있음을 밝히며, 이는 연옥에서 반복되는 주제 중 하나를 예고한다.[2] 혈연관계든 혼인관계든 가족관계는 신곡의 이 부분에서 매우 중요하게 언급된다. 단테는 이러한 관계를 통해 지상의 관계가 연옥에 있는 영혼들이 천국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설명한다.[3]

단테가 만프레디를 연옥에 둔 것은 여러 교황에 의해 파문된 점을 고려할 때 놀라운 일이다.[4] 이는 단테가 교황들이 정치적, 정책적 도구로 파문을 사용하는 것을 싫어했음을 보여준다.[4] 단테에 따르면, 만프레디가 파문된 것이 그가 연옥을 거쳐 결국 천국에 가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지 않는다. 단테는 만프레디와 교회를 묘사하면서 교회가 그의 묘소가 숭배의 대상이 될 것을 두려워하여 그가 죽은 후 그의 유해를 파내어 왕국 밖 강에 던지라고 명령했다고 덧붙인다.[4][5]

만프레디가 연옥에 등장하는 것은 더 일반적인 상징적 가치를 지닌다. 로버트 홀랜더는 만프레디가 연옥에 있는 시간은 희망의 상징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연옥 제3곡에서 만프레디의 마지막 말은 "희망은 푸르름의 실을 유지한다" (''speranza ha fior del verde'') (''연옥'' III.135)인데, 이는 죽음이 조금이라도 희망이 남아 있는 한 희망을 없애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이다.[6]

3. 2. 현대의 평가

만프레드는 E.B.S. 라우파흐, O. 마르바흐, F.W. 로게의 희곡 소재가 되었다. 만프레드가 쓴 세 통의 편지가 J. B. 카루시우스에 의해 ''시칠리아 왕국 역사 도서관'' (팔레르모, 1732)에 출판되었다.

만프레드의 이름은 영국 작가 호레이스 월폴이 단편 소설 ''오트란토 성''(1764)의 주인공에게서 따왔다. 몽태규 서머스는 1924년 이 작품의 판본에서 시칠리아의 만프레드의 실제 역사에 대한 몇 가지 세부 사항이 소설가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 이 이름은 바이런 경이 그의 극시 ''만프레드''(1817)를 위해 다시 빌려왔다.[8]

바이런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만프레드''는 1852년 로베르트 슈만에 의해 ''만프레드: 3부작 음악극''이라는 제목의 곡으로, 그리고 나중에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에 의해 만프레드 교향곡 (1885)으로 음악화되었다.[9]

''만프레드 왕'' (König Manfred), 작품번호 93은 카를 라이네케가 프리드리히 로버의 대본에 맞춰 작곡한 5막짜리 대규모 낭만 오페라이다. 1866년에 작곡되어 1867년에 초연되었다.[10][11]

3. 3. 현대 도시 만프레도니아

만프레드는 E.B.S. 라우파흐, O. 마르바흐, F.W. 로게의 희곡 소재가 되었다. 만프레드가 쓴 세 통의 편지는 J. B. 카루시우스에 의해 ''시칠리아 왕국 역사 도서관'' (팔레르모, 1732)에 출판되었다.

만프레드의 이름은 영국 작가 호레이스 월폴의 단편 소설 ''오트란토 성''(1764)의 주인공에게서 따왔다. 몽태규 서머스는 1924년 이 작품의 판본에서 시칠리아의 만프레드의 실제 역사에 대한 몇 가지 세부 사항이 소설가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 이 이름은 바이런 경의 극시 ''만프레드''(1817)에서 다시 사용되었다.[8]

바이런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1852년 로베르트 슈만은 ''만프레드: 3부작 음악극''이라는 제목의 곡을 작곡했고,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만프레드 교향곡 (1885)을 작곡했다.[9]

''만프레드 왕''(König Manfred, 작품번호 93)은 카를 라이네케가 프리드리히 로버의 대본에 맞춰 작곡한 5막짜리 대규모 낭만 오페라이다. 1866년에 작곡되어 1867년에 초연되었다.[10][11]

4. 가족 관계

만프레디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4세의 딸인 베아트리체였다.[10] 그녀와의 사이에서 딸 콘스탄스를 두었는데, 콘스탄스는 1262년 6월 13일 아라곤 왕위 계승자인 미래의 페드로 3세와 결혼했다.[11]

두 번째 부인은 헬레나 안젤리나 두카이나였으며,[10] 테살로니키에서 만프레디에게 공격을 받은 후 그와 동맹을 맺기 위해 이 결혼을 한 에피루스 전제공국의 통치자 미하일 2세의 딸이었다. 헬레나와 만프레디 사이에는 베아트리체, 헨리 [엔리코], 안젤름 [아촐리노], 프리드리히, 이렇게 네 자녀가 있었다. 1266년 만프레디 사후 헬레나와 그녀의 모든 자녀는 앙주의 샤를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12] 헬레나는 1271년 노체라의 감옥에서 사망했다. 만프레디와의 세 아들, 당시 맏이가 겨우 네 살이었는데, 1299년 샤를 2세가 그들의 족쇄를 풀고 카스텔 델 오보로 옮길 때까지 카스텔 델 몬테에 갇혀 있었다. 그들의 생활 환경은 귀족 포로의 기준에 비해 매우 비참했다. 어둠 속에 갇혀, 무거운 족쇄에 묶여, 생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음식을 겨우 먹으며 그들은 "눈이 멀고 반 미치광이"가 되었다. 이동의 스트레스는 아촐리노에게 너무 컸고,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1301년) 사망했다. 헨리는 18년을 더 살아 1318년 10월 31일 5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반쯤 굶주리고, 반쯤 미쳤으며, 아마도 눈이 멀었다". 반대로 베아트리체는 1284년 나폴리 해전 후 아라곤 사령관 로제 드 라우리아의 명령으로 석방되었다. 그녀는 살루초 후작 만프레디 4세와 결혼했다. 장남 프리드리히는 감옥에서 탈출하여 독일로 도망쳤다. 그는 1312년 이집트에서 사망하기 전 여러 유럽 궁정에서 시간을 보냈다.[12]

만프레디는 적어도 한 명의 사생아, 플로르델리스(1297년 2월 27일 사망)라는 딸을 두었고, 그녀는 도노라티코와 볼게리의 백작 라니에리 델라 게라르데스카와 결혼했다.[12]

참조

[1] 서적 Practising diplomacy in the Mamluk Sultanate: gifts and material culture in the medieval islamic world I. B. Tauris
[2] 서적 Purgatorio Anchor
[3] 웹사이트 Regeneration and Degeneration https://www.dantesoc[...] 2020-08-12
[4] 서적 Lectura Dantis : Purgatorio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웹사이트 Manfred http://danteworlds.l[...] 2021-11-08
[6] 서적 Purgatorio Anchor
[7] 간행물 Bloody Records: Manuscripts and Politics in ''The Castle of Otrant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05
[8] 간행물 In the Shadow of Manfred: Byron, Schumann, Tchaikovsky https://www.academia[...]
[9] 간행물 Schumann's ''Manfred'' in the mental theatre 2003-07
[10] 웹사이트 Preface by Christoph Schlüren, 2003 – Final paragraph by Bradford Robinson, 2007 https://repertoire-e[...]
[11] 웹사이트 Booklet notes to Marco Polo 8.223117 / Naxos 8.555397 https://www.naxos.co[...]
[12] 서적 Mittelalterliche Herrscher in Lebensbildern. Von den Karolingern zu den Staufern. Styria Prem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