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가스트럭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가스트럭처는 만리장성,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과 같이 거대한 규모로 건설된 구조물을 의미하며, 초고층 빌딩, 거대 강입자 충돌기와 같은 현대 기술로 구현되거나 아틀란트로파, 범세계 고속도로 등과 같이 제안된 형태도 포함한다. 비숍 링, 다이슨 구와 같은 행성 규모, 항성 규모의 구조물도 메가스트럭처의 범주에 속하며, SF 작품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사공학 - 우주 엘리베이터
    우주 엘리베이터는 지구 표면과 정지 궤도를 연결하여 화물을 수송하는 혁신적인 구조물로, 기술적 과제와 경제성, 환경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탐사공학 - 총몽 (만화)
    키시로 유키토의 만화 《총몽》은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배경으로 기억을 잃은 사이보그 소녀 갈리(알리타)가 기갑술을 익히며 헌터 워리어, 모터볼 선수 등으로 활약하며 정체성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OVA, 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가공의 건축물 - SKY 캐슬
    《SKY 캐슬》은 대한민국 상위 0.1%가 사는 SKY 캐슬에서 자녀의 명문대 진학을 위한 부유한 의사, 교수 부인들의 경쟁과 암투를 코믹하고 풍자적으로 그린 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 세련된 연출, 사회 비판적인 스토리로 큰 인기를 얻어 JTBC 드라마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고 여러 국가에서 리메이크되었다.
  • 가공의 건축물 - 베이커가 221B
    베이커가 221B는 셜록 홈즈 시리즈에 나오는 가상의 주소로, 셜록 홈즈 박물관 개관으로 현실에서도 의미를 가지며 관광 명소가 되었다.
  • 메가스트럭처 - 우주 엘리베이터
    우주 엘리베이터는 지구 표면과 정지 궤도를 연결하여 화물을 수송하는 혁신적인 구조물로, 기술적 과제와 경제성, 환경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메가스트럭처 - 아틀란트로파
    아틀란트로파는 20세기 초 헤르만 죄르겔이 제안한 지브롤터 해협 댐 건설을 통해 지중해 수위를 낮추고 유럽과 아프리카를 통합하려 했던 대규모 토목 공사 계획이었으나, 환경 파괴 및 정치적 문제로 실현되지 못하고 제국주의 시대의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메가스트럭처

2. 기존의 메가스트럭처

다음과 같은 구조물은 메가스트럭처로 간주될 수 있다.


  • 만리장성: 중국의 고대 성벽 유적으로, 길이는 약 6259km에 달한다.[19]
  • 필리핀 코르디예라의 계단식 논: 약 6,000년에서 2,000년 전에 이푸가오 주 산지에 만들어진 광대한 농업 경관으로, 면적은 10360km2에 이른다.[20]
  • 초고층 빌딩: 현대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대규모 구조 공학의 산물이다(면적순 건물 목록 참조).
  • 거대 강입자 충돌기 (LHC): 둘레가 27km인 입자 가속기 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망이나 철도망, 또는 도시와 그 교외 지역 같은 건물의 집합체는 그 크기에도 불구하고 메가스트럭처로 분류되지 않는다. 하지만 행성 전체가 하나의 도시를 이루는 가상적 개념인 에큐메노폴리스는 메가스트럭처로 간주된다.

3. 이론 및 제안된 메가스트럭처

메가스트럭처로 간주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구조물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제안들은 지구 기반의 대규모 프로젝트부터 행성, 항성 규모의 거대한 구조물, 그리고 우주 공간을 연결하는 시스템까지 다양하다.

지구 또는 행성 규모의 주요 제안들은 다음과 같다.


  • '''아틀란트로파''': 지브롤터 해협수력 발전 댐을 건설하여 지중해의 수위를 최대 200m까지 낮추고, 이를 통해 아프리카유럽을 연결하는 인공 대륙 건설을 목표로 한 계획이다.
  • '''범세계 고속도로''' (Trans-Global Highway): 지구상의 6개 유인 대륙을 모두 연결하는 고속도로 시스템 구상이다. 기존 및 신규 교량터널을 활용하여 지상 교통망을 개선하고, 파이프라인 등 기반 시설 통로를 제공할 가능성도 있다.
  • '''클라우드 나인''' (Cloud Nine): 버크민스터 풀러가 제안한 텐세그리티 구조의 구체이다. 반경 약 1.61km 크기로, 주변보다 약간의 온도 차이만으로도 하늘에 떠 있을 수 있어 수천 명이 거주하는 공중 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풀러는 또한 바다 위에 띄우는 유사한 구조물로, 1마일 길이의 모서리를 가진 속이 빈 사면체 형태의 부유 구조물을 제안했다. 이 구조물은 외부에 주거 모듈을 배치하여 최대 100만 명을 수용하고, 내부에 필수 기반 시설을 갖추도록 구상되었다.
  • '''더 라인''' (The Line):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건설 중인 길이 170km의 선형 도시이자 스마트 시티이다.


이 외에도 우주 공간에 건설되는 다양한 규모의 메가스트럭처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크게 항성 규모, 궤도 구조물, 궤도 간 구조물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항성 규모 구조물: 별의 에너지를 활용하거나 거대한 거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로, 앨더슨 디스크, 다이슨 구, 링월드 등이 대표적이다.
  • 궤도 구조물: 행성이나 별 주위를 공전하는 거주지 또는 시설로, 오닐 실린더, 스탠포드 토러스, 궤도 링 등이 있다.
  • 궤도 간 구조물: 행성 표면과 우주 공간, 또는 서로 다른 궤도 사이를 연결하여 물자나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우주 엘리베이터, 스카이훅, 발사 루프 등이 제안되었다.

3. 1. 행성 규모


  • '''비숍 링''', '''헤일로''' 또는 '''궤도''': 니븐 링과 유사하지만 훨씬 작은 우주 서식지이다. 별을 중심으로 하지 않고 행성 주위를 공전하며, 지름은 일반적으로 행성 차수 정도이다. 고리를 궤도에 대해 기울이면 내부 표면에서 거의 일반적인 낮과 밤의 주기를 경험할 수 있다. 거대한 규모 덕분에 스탠포드 토러스처럼 완전히 밀폐될 필요는 없으며, 대기는 원심력과 측벽에 의해 유지되어 열린 하늘을 가질 수 있다.
  • '''글로부스 카수스''': 지구를 내부 표면에 생태권이 있는 훨씬 더 크고 속이 빈 인공 세계로 변환하려는 가설적인 프로젝트이다. 이 모델은 세계의 실제 작동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 역할을 한다.
  • '''셸월드''' 또는 '''패러테라포밍''': 공기가 없는 행성 주위에 팽창된 껍질(shell)을 씌우고 내부에 고압의 공기를 넣어 호흡 가능한 대기를 만드는 개념이다.[6][21] 포함된 공기의 압력이 껍질의 무게를 지탱한다.
  • 완전히 속이 빈 셸월드는 '중력 풍선'이라고도 불리며, 내부 가스의 압력과 구조물 전체의 중력 수축이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크기는 내부 가스의 질량에 의해서만 제한되며, 행성 규모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 수 있고 일반적인 재료로 건설 가능하다. 껍질 바깥쪽에 추가적인 대기를 가질 수도 있다.[7][8][22][23]
  • 셸월드는 테라포밍된 행성이나 여러 개의 동심원 층으로 이루어진 인공 행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3. 2. 항성 규모

이상적인 다이슨 쉘의 단면도 (반지름 1 천문 단위)


대부분의 항성 규모 메가스트럭처 제안은 태양과 같은 별의 에너지를 활용하는 동시에, 진보된 문명이 필요로 하는 중력이나 기타 유용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거대 구조물이다.

주요 항성 규모 메가스트럭처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명칭설명특징
앨더슨 디스크 (올더슨 원반)거대한 원반 형태로, 외경이 화성 또는 목성 궤도에 해당하고 두께는 수천 km에 달한다.원반 양면 거주 가능, 중앙 별의 움직임으로 낮/밤 발생, 자체 중력으로 대기 등 환경 유지.
다이슨 구 (다이슨 쉘)별을 완전히 둘러싸는 구체 형태의 구조물 또는 궤도 객체들의 집합이다.별의 에너지 대부분을 포획하여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트료시카 뇌여러 개의 동심원 형태 다이슨 구를 겹겹이 쌓아 만든 거대한 컴퓨터이다.별의 에너지와 폐열을 이용하여 막대한 규모의 연산을 수행한다.
항성 엔진별과 성간 공간 사이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추출하거나 별 자체를 추진시키는 시스템이다.쉬카도프 추진기가 대표적이다.
쉬카도프 추진기별의 한쪽 면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흡수하여 별 전체를 특정 방향으로 가속시키는 추진 장치이다.항성 엔진의 한 종류이다.
토포폴리스 (우주 스파게티)토러스 형태의 거대한 튜브 구조물로, 회전을 통해 인공 중력을 생성한다.오닐 실린더를 길게 늘여 연결한 형태로, 별 주위를 매듭처럼 감쌀 수 있다.
링월드 (니븐 링)별 주위를 도는 거대한 인공 고리 구조물이다.빠른 회전으로 인공중력 생성, 높은 벽으로 대기 유지. 래리 니븐의 소설로 유명하다.



단일 구조물이 아닌, 개별 요소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항성 규모 구조물 개념도 있다. 이들은 엄밀히 말해 단일 메가스트럭처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다.


  • '''다이슨 스웜''': 단일한 껍질(쉘)이 아니라, 별 주위를 독립적으로 공전하는 수많은 요소(거주지, 발전 위성 등)들로 구성된 다이슨 구 형태이다. 프리먼 다이슨이 처음 제안한 개념에 더 가깝다.
  • '''다이슨 버블''': 각 요소가 공전하지 않고 항성풍 압력(태양압)을 이용하여 스타테이트처럼 정지 상태로 떠 있는 다이슨 구 형태이다.


=== 대중문화 속 항성 규모 메가스트럭처 ===

항성 규모 메가스트럭처는 다양한 SF 작품에서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 다이슨 구는 ''스타 트렉'' 시리즈를 비롯한 많은 작품에 등장한다.
  • 래리 니븐의 소설 시리즈는 ''링월드''를 중심으로 다루며, 이 구조물의 불안정성과 해결책 등을 포함한다.
  • 만화 ''블레임!''에서는 지구를 넘어 목성 궤도까지 확장되는 거대하고 혼란스러운 메가스트럭처가 묘사된다.
  • 윌리엄 바톤과 마이클 카포비안코의 소설 ''화이트 라이트''에서는 우주 전체를 장악하는 토포폴리스가 등장한다.
  • 프레데릭 폴의 히치 사가 시리즈에서는 에너지 생명체 '포'(The Foe)가 물질이 아닌 에너지로 만들어진 블랙홀의 일종인 쿠겔블리츠를 건설한다.
  • 스티븐 백스터의 식실 시리즈에서는 외계 종족 식실(Xeelee)이 우주 끈으로 만든 거대한 링을 건설했다.
  • 비디오 게임 ''프리랜서''에는 돔카보쉬 종족이 만든 다이슨 쉘이 등장하며, 하이퍼 게이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사가의 뻐꾸기 시리즈 소설 ''별 주위의 벽''에서는 은하 중심을 완전히 둘러싸는 초대형 다이슨 구 건설 제안이 언급된다.
  • 에릭 브라운의 소설 ''헬릭스''는 별 규모의 나선형 메가스트럭처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구조 내 다양한 환경과 서식지를 묘사한다.
  • 컴퓨터 게임 ''다이슨 스피어 프로그램''은 다이슨 구 건설을 주요 목표로 삼으며, 이를 위한 행성 규모 공장 건설에 초점을 맞춘다.
  • 게임 ''엔들리스 스카이''의 쿼그 종족은 자신들의 별 주위에 거대한 링(직경 약 1 천문 단위)을 건설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엠파이어스 IV''와 ''스페이스 엠파이어스 V''에서는 플레이어가 별 주위에 스피어월드와 링월드를 건설할 수 있다.
  • 데니스 E. 테일러의 2020년 소설 ''헤븐스 리버''는 외계 행성계를 중심으로 건설된 토포폴리스를 특징으로 하며, 구조의 다른 부분에 인공 기후와 날씨가 구현되어 있다.

3. 3. 궤도 구조물


  • 궤도 링: 지구 주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해당 고도에서의 정상적인 궤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회전한다. 이 빠른 회전으로 발생하는 초과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정지된 플랫폼을 지지할 수 있으며, 지상과는 테더(tether)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발사 루프와 유사한 원리이다.
  • 버날 구: 최대 지름이 16km에 달하는 구형 우주 식민지 설계안이다. 적도 지역에서는 회전을 통해 인공 중력을 만들고, 극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이 점차 약해져 무중력 상태(0G)가 된다.
  • 회전 휠 우주 정거장: 스탠포드 토러스와 같이 바퀴 모양으로 회전하여 인공 중력을 만들어내는 우주 정거장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에는 도킹 시설이나 무중력 연구 공간으로 사용되는 허브가 있으며, 바퀴 부분과는 스포크(spoke)로 연결된다.
  • 오닐 실린더 및 맥켄드리 실린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거대한 원통형 구조물이다. 원통 내부 표면에 거주 공간을 마련하고,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해 지구와 유사한 1g의 인공 중력을 만들어낸다. 각 설계의 크기는 당시 기술로 제작 가능한 최대 크기를 기준으로 정해졌는데, 오닐 실린더는 강철을, 맥켄드리 실린더는 탄소 섬유를 재료로 가정했다.[9][10][24][25]
  • 속이 빈 소행성: 소행성의 내부를 파내거나, 녹인 암석을 부풀려 만든 인공 거주 공간이다. 버블 월드 또는 테라리아라고도 불린다.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인공 중력을 만들고, 내부는 공기로 채워 사람이 살 수 있도록 설계된다.[11][12][26][27]
  • 스텔라저(Stellaser): 항성의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강력한 레이저 또는 메이저이다.


'''허구 작품 속 예시'''

  • ''헤일로'' 세계관:
  • * ''헤일로'' 링: 처음에는 지름 30000km의 링 12개가 있었으나(''헤일로: 크립텀''), 이후 지름 10000km의 링 6개로 이루어진 배열이 별도로 만들어졌다. 초기 링 중 하나는 나중에 이 크기로 축소되었다(''헤일로: 프리모르디움'').
  • * 아크(Ark): 헤일로 배열을 원격에서 가동하고 새로운 헤일로 링을 건설하는 시설이다. 레서 아크(Lesser Ark)는 지름 127530km이며 10000km 헤일로를, 그레이터 아크(Greater Ark)는 30000km 헤일로를 생산할 수 있다.
  • * 오닉스(Onyx): 선조의 센티넬 로봇들로 구성된 인공 행성이다. 중심부에는 슬립스페이스 안에 약 1 천문 단위(AU) 지름의 보호막 세계(Shield World)가 숨겨져 있다. ''헤일로 워즈''에는 지름 약 1400km의 실드 월드 0459가, ''헤일로 4''에는 인공 행성 레퀴엠(Requiem)이 등장하며, 이는 다이슨 구와 유사한 구조물에 둘러싸여 있다. ''헤일로 5: 가디언즈''에는 제네시스(Genesis)라는 네 번째 실드 월드가 등장한다.
  • * 하이 채리티(High Charity): 코버넌트의 이동식 행성형 기지이다.
  • ''닥터 후'': 달렉이 건설한 행성 크기의 우주 정거장 '크루시블(Crucible)'이 등장한다. 이곳에는 다중 우주 전체를 파괴할 수 있는 무기 '현실 폭탄(Reality Bomb)'이 탑재되어 있었다. 닥터는 설령 폭탄이 없더라도 크루시블 내부의 달렉 병력만으로도 우주를 위협하기에 충분하다고 언급한다. (''빼앗긴 지구'', ''여행의 끝'')
  • ''소닉 어드벤처 2'' 및 ''섀도우 더 헤지혹'': 우주 콜로니 아크(Space Colony ARK) 내부에 건설된 행성 파괴 무기 '이클립스 캐논(Eclipse Cannon)'이 등장한다.
  • ''건버스터'': 버스터 머신 III가 등장한다.
  • ''더 컬처'' 시리즈: 컬처 오비탈이라는 거대한 링 형태의 인공 거주지가 등장한다.
  • ''우주 해적 캡틴 하록'' (2013년 영화): 고대 대량 살상 무기인 '조비안 액셀러레이터(Jovian Accelerator)'가 등장한다. 목성의 대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행성 전체를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빔을 발사한다.
  • ''시도니아의 기사'': 지구가 파괴된 후 인류가 이주하여 살아가는 거대한 파종선(Seed ship) '시도니아(Sidonia)'가 주요 배경이다. 수백만 명이 거주하며, 다른 이름 없는 파종선들과 함께 우주를 항해한다.
  • ''파운데이션 시리즈'':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에 등장하는 은하 제국의 수도 트랜터는 행성 전체가 금속 구조물로 뒤덮인 에큐메노폴리스이다. 유일한 녹지는 황궁이 위치한 작은 구역뿐이다.
  • ''스타게이트 SG-1'': 오리가 사용하는 슈퍼게이트는 그 거대한 크기로 인해 메가스트럭처로 분류될 수 있다.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지구를 포함한 여러 행성들이 사실은 거대한 인공 구조물이었다는 설정이 등장한다. 지구는 우주적 질문의 답을 계산하기 위한 거대한 컴퓨터로 설계되었으며, 행성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종족에 의해 만들어졌다.
  • ''바이오니클'': 마타 누이는 행성 크기의 거대한 로봇으로, 그의 몸 안에서 마토란, 토아 등 바이오니클 세계의 주민들이 살아가고 있다는 설정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거대한 존재의 일부라는 사실을 모른 채 우주를 여행한다.
  • ''로보테크'' 센티넬 소설: 하이든 IV(Haydon IV)는 인공적으로 건설된 사이버 행성이며 안드로이드들이 거주한다.
  • ''침략자 짐'': "플래닛 재커스" 에피소드에서 외계인 두 명이 지구를 가짜 하늘로 둘러싼 뒤 자신들의 태양으로 던지려 한다.
  • ''데스티니 2'': 카발 제국의 지도자 도미누스 가울(Dominus Ghaul)의 함대에는 '얼마이티(Almighty)'라는 거대한 항성 파괴 무기가 등장한다. 날개 길이가 수성의 폭과 맞먹는다고 묘사되며, 에너지 빔으로 항성과 양자적으로 연결되어 연료로 분해한다.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기 전에 다른 항성계로 이동한다.
  • ''별의 커비 Wii'': 나이트메어의 요새는 작은 행성 크기로, 메가스트럭처로 볼 수 있다.
  • 아서 C. 클라크의 작품: ''라마와의 만남''(1973)을 비롯한 여러 소설에서 다양한 외계 종족이 거주하는 거대한 원통형 우주선 '라마(Rama)'가 등장한다.
  • ''매스 이펙트'' 시리즈: 시타델은 고대 기계 종족 리퍼가 건설한 거대한 우주 정거장이다. ''매스 이펙트 2'' 시점에서는 약 1,32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에어포스 델타 스트라이크'': 카이론 리프트(Chiron Lift)라는 거대한 우주 엘리베이터를 통해 물자를 우주로 운송한다.
  • ''하프라이프 2'': 외계 제국 컴바인이 지구를 침공한 후, 높이가 약 4.02km에 달하는 거대한 탑 '컴바인 시타델(Combine Citadel)'을 건설한다.
  • ''워해머 40,000'': 인류 제국의 황궁(Imperial Palace)은 테라(지구)의 대륙 하나를 거의 뒤덮는 거대한 복합 구조물이다. 황제가 앉아 있는 황금 옥좌(Golden Throne)는 히말라야 산맥 전체에 걸쳐 있는 지역에 위치한다.
  • ''엘리시움'' (2013년 영화): 부유층 인류가 거주하는 비숍 링 형태의 고급 우주 정거장 '엘리시움(Elysium)'이 등장한다.
  • 기타 회전식 우주 정거장: 아서 C. 클라크의 소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엔더의 게임''의 배틀 스쿨(Battle School), ''바빌론 5'' 등이 SF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 기타 속이 빈 소행성: 킴 스탠리 로빈슨의 소설 ''2312'', 래리 니븐의 ''알려진 우주'' 시리즈, 아서 C. 클라크나 아이작 아시모프와 같은 SF 황금 시대 작가들의 작품 등에서 등장한다.
  • ''문폴'' (2022년 영화): 지구의 이 사실은 다이슨 구 형태의 메가스트럭처라는 설정이 등장한다.

3. 4. 궤도 간 구조물

우주 엘리베이터의 개념 중 하나. 이동식 해상 플랫폼에 연결되어 있다.

  • '''스카이훅''': 궤도에서 아래쪽으로 매우 긴 테더(밧줄)를 늘어뜨린 구조물이다.
  • '''우주 엘리베이터''': 지상 혹은 해상 플랫폼에 기반을 두고 정지 궤도 고도 너머까지 확장되는 매우 긴 테더 구조물이다. 원심력이 중력보다 커서 테더가 항상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설계된다.
  • '''우주 분수''': 지상 기지에서 발사된 입자들의 운동량으로 구조물을 지탱하는 방식이다. 발사된 입자들은 구조물 상단에서 방향을 바꿔 다시 지상 기지로 돌아온다.
  • '''발사 루프''' (또는 로프스트롬 루프): 길이 약 2000km, 고도 약 80km의 거대한 회전 케이블 구조물이다. 로터라고 불리는 회전 케이블이 원심력으로 구조물을 지탱하며, 이 위를 자기 부상 열차와 같은 이동체가 궤도 속도까지 가속하여 우주로 나아간다.
  • '''스타트램''': 지상에서 대기 질량의 96% 이상을 넘어서는 고도까지 이어지는 진공 터널 안에서 자기 부상 열차 기술로 물체를 가속하여 발사하는 시스템이다. 2세대 스타트램 개념이 이에 해당한다.
  • '''로토베이터''': 궤도를 도는 거대한 회전 테더이다. 테더의 아래쪽 끝은 궤도 속도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지표면과의 상대 속도를 줄여 물체와의 접근(랑데부)을 용이하게 한다. 반대로 위쪽 끝은 궤도 속도보다 빠르게 움직여 추진체 없이 다른 궤도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과 같이 대기가 없는 천체에서는 아래쪽 끝이 지표면에 거의 정지한 상태로 접촉할 수도 있다.[28] 다른 운동량 교환 테더처럼, 화물을 옮길 때마다 궤도 에너지가 변한다.

4. SF 작품 속 메가스트럭처

허구의 작품 속에는 메가스트럭처로 여겨지는 여러 구조물이 등장한다.


  • 다이슨 구: 항성 전체를 둘러싸 에너지를 얻는 구조물이다. 『스타 트렉』 시리즈를 포함한 많은 SF 작품에 등장하며,[1][2] 프레데릭 폴의 소설 "Wall Around a Star"에서는 은하핵을 완전히 둘러싸는 초대형 다이슨 구 건설 제안이 언급된다.[3] 게임 『다이슨 스피어 프로그램』에서는 다이슨 구 건설이 주요 목표이며,[4] 『프리랜서』에서는 돔카보쉬 종족이 거주하는 다이슨 쉘이 등장한다.[8] 영화 『문폴』(2022)에서는 지구의 달이 사실은 다이슨 구라는 설정이 등장한다.[7] 여러 게임(『스페이스 엠파이어스 IV』, 『스페이스 엠파이어스 V』,[5] 『Stellaris』[6])에서도 플레이어가 건설할 수 있다.
  • 링월드: 래리 니븐이 자신의 소설 시리즈 『링월드』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지구 궤도 반지름(약 1 AU)과 비슷한 거대한 인공 고리이다. 중심에 별이 있으며, 고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인공 중력을 만들고 내부 벽으로 대기를 유지한다. 초기 설정의 구조적 불안정성 문제는 후속 소설에서 보완되었다.[9][10] 게임 『Endless Sky』에서는 쿼그 종족이 별 주위에 거대한 링을 건설하는 모습이 나타나며,[11] 여러 게임(『스페이스 엠파이어스 IV』, 『스페이스 엠파이어스 V』,[5] 『Stellaris』[6])에서도 플레이어가 건설할 수 있다. 『스타워즈』 시리즈의 글라비스 링월드[12]나 코어 월드 쿠앗을 둘러싼 궤도 링[13] 역시 유사한 개념이다.
  • 토포폴리스: 거대한 토러스(도넛) 형태의 구조물이다. 윌리엄 바톤과 마이클 카포비안코의 소설 『화이트 라이트』에서는 우주 전체를 지배하는 규모로 묘사되며,[14] 데니스 E. 테일러의 2020년 소설 『헤븐스 리버』에서는 외계 행성계를 중심으로 건설된 토포폴리스가 등장한다.[15]
  • 에큐메노폴리스 (행성 도시): 행성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도시로 뒤덮인 형태이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에 등장하는 은하 제국의 수도 트랜터[16]와 『스타워즈』 시리즈의 코루스칸트[17]가 대표적이다.
  • 기타 거대 구조물:
  • 니헤이 츠토무의 만화 『BLAME!』: 지구와 달을 흡수하고 목성 궤도 너머까지 확장된, 금속과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거대하고 혼란스러운 복합 구조물.[18]
  • 스티븐 백스터의 『칠리』 시리즈: 우주 끈으로 만들어진 지름 1,000만 광년의 거대 구조물 《링》.[19]
  • 에릭 브라운의 소설 『헬릭스』: 항성 규모의 나선형 구조물로, 중심 별과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환경과 서식지가 분포한다.[20]
  • 헤일로』 시리즈:
  • 헤일로 배열: 지름 30000km 또는 10000km의 거대한 링 형태 구조물.[21]
  • 아크: 헤일로 배열을 제어하고 건설하는 시설. 레서 아크는 지름 127530km이다.[21]
  • 오닉스: 센티넬 로봇으로 만들어진 인공 행성. 중심부에는 슬립스트림 공간에 실드 월드가 있다. 레퀴엠과 같은 다른 실드 월드도 등장한다.[21]
  • 하이 채리티: 코버넌트 종족의 이동식 행성 기지.[21]
  • 닥터 후』: 달렉 종족이 건설한 행성 크기의 우주 정거장 '크루시블'. 다중 우주를 파괴할 수 있는 무기 '현실 폭탄'을 탑재했다.[22]
  • 소닉 어드벤처 2』, 『섀도우 더 헤지혹』: 우주 식민지 아크 내부에 건설된 행성 파괴 무기 '이클립스 캐논'.[23]
  • 『건버스터』: 버스터 머신 III.[24]
  • 『더 컬처』: 컬처 오비탈.[25]
  • 『우주 해적 캡틴 하록』(2013): 고대 대량 살상 무기인 '조비안 액셀러레이터'. 목성의 에너지를 이용해 행성을 파괴할 수 있는 광선을 발사한다.[26]
  • 『시도니아』: 지구가 파괴된 후 인류가 거주하는 거대한 종자 함선 '시도니아'.[27]
  • 스타게이트 SG1』: 오리 종족이 사용하는 슈퍼게이트.[28]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지구를 포함한 여러 행성들이 사실은 거대한 컴퓨터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 인공 메가스트럭처였다.
  • 바이오니클』: 마타 누이는 행성 크기의 로봇으로, 그 몸 안에 토아 등 바이오니클 세계의 주민들이 살고 있다.
  • 『로보테크』 센티넬 소설: 안드로이드 시민이 거주하는 인공 사이버 행성 '하이든 IV'.
  • 『침략자 짐』 에피소드 "플래닛 재커스": 외계인이 지구를 가짜 하늘로 둘러싸 태양으로 던지려 한다.
  • 『데스티니 2』(2017): 카발 제국의 슈퍼 무기 '얼마이티'. 날개 길이가 수성만큼 넓으며, 항성에 연결되어 에너지를 흡수한다.
  • 별의 커비 Wii』: 작은 행성 크기의 나이트메어 요새.
  • 아서 C. 클라크 작품 (예: 『라마와의 만남』(1973)): 다양한 종족이 거주하는 거대한 속이 빈 원통형 구조물.
  • 매스 이펙트』 시리즈: 고대 기계 종족 리퍼가 건설한 거대 우주 정거장 '시타델'. 『매스 이펙트 2』 시점에서는 1,320만 명이 거주한다.
  • 『에어포스 델타 스트라이크』: 물자를 우주로 보내는 데 사용되는 대형 우주 엘리베이터 '카이론 리프트'.
  • 하프라이프 2』: 외계 제국 컴바인이 지구 침공 후 건설한 높이 약 4.02km의 거대한 탑 '컴바인 시타델'.
  • 워해머 40,000』: 인류 황제의 황금 옥좌가 있는 '임페리얼 팰리스'. 대륙 전체에 걸쳐 있는 거대한 구조물 단지이다.
  • 『엘리시움』(2013): 부유한 인류가 거주하는 고급 우주 정거장 '엘리시움' (비숍 링).
  • 대형 회전식 우주 정거장: 아서 C. 클라크의 소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엔더의 게임』의 배틀 스쿨, 『바빌론 5』 등 여러 작품에서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 속이 빈 소행성: 킴 스탠리 로빈슨의 소설 『2312』, 래리 니븐의 『알려진 우주』 세계관, 아서 C. 클라크, 아이작 아시모프 등 고전 SF 작가들의 작품 및 『스타워즈』(해머 스테이션, 팔파틴의 눈 등)에 등장한다.
  • 스타워즈』 시리즈:
  • 데스 스타: 행성을 파괴할 수 있는 거대 전투 우주 정거장. 1호기는 지름 160km, 2호기는 지름 200km이다.
  • 스타킬러 기지: 왜소 행성 일룸을 개조하여 만든 슈퍼 무기. 지름은 660km에서 830km에 달한다.
  • 센터포인트 스테이션: 코렐리아 행성계의 라그랑주 점에 위치한 지름 350km의 구형 우주 정거장. 고대 종족 셀레스티얼스가 행성을 이동시키는 데 사용한 거대한 하이퍼스페이스 견인 빔을 갖추고 있으며,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내부에는 다이슨 구와 유사한 거주 공간 '할로우타운'이 있다.
  • 싱크홀 스테이션: 센터포인트 스테이션 건설 직후 만들어진 유사한 구조물. 블랙홀 클러스터 '모(The Maw)'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갤럭시 건: 행성 파괴용으로 설계된 길이 7km 이상의 대형 우주 정거장.
  • 스타 포지: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에 등장하는 거대 구조물.
  • 『Stellaris』: 플레이어가 건설하거나 발견하여 수리할 수 있는 다양한 메가스트럭처가 등장한다.[6]
  • 항성 규모: 다이슨 스피어, 링 월드, 물질 감압기(블랙홀에서 자원 채취), 메가 조선소(함선 생산 속도 증가), 에테르파직 엔진(은하 파괴 가능), 양자 투석기(함대 순간 이동).
  • 궤도/행성 규모: 과학 넥서스(과학 생산량 증대), 센트리 어레이(은하 전체 시야 확보), 거주지(인공 행성), 메가 미술 설치(행복도 증가), 전략적 조정 센터(해군력 강화), 성간 의회(외교력 증대), 게이트웨이(성간 이동 통로, L-게이트 포함), 궤도 링(행성 방어 및 생산량 증가), 하이퍼 릴레이(인접 항성계 즉시 이동).
  • 기타 개념:
  • 프레데릭 폴의 『히키』 시리즈: 에너지 생명체 '더 포(The Foe)'가 물질이 아닌 에너지로 만든 블랙홀인 쿠겔블리츠를 건설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Megastructure" https://web.archive.[...] 2008-09-16
[2] 서적 "The Modern Urban Landscape" https://archive.org/[...]
[3] 웹사이트 Mega structure https://indexarticle[...] 2021
[4] 서적 "Future Forms and Design for Sustainable Cities" https://books.google[...] 2005
[5] 웹사이트 "Megastructure reloaded: megastructure" http://www.megastruc[...]
[6] 간행물 "Shell Worlds – An Approach To Terraforming Moons, Small Planets and Plutoids" http://www.jbis.org.[...] JBIS 2009
[7] 문서 Dani Eder http://yarchive.net/[...]
[8] 웹사이트 Ederworld Analyzed (Concentric Gravity Balloons to Maximize Volume) http://gravitational[...] Gravitational Space Balloons 2013-12-11
[9] 서적 The High Frontier: Human Colonies in Space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77
[10] 학회자료 Implications of Molecular Nanotechnology Technical Performance Parameters on Previously Defined Space System Architectures http://www.zyvex.com[...] 1995-11-09
[11] 서적 Islands in Space: The Challenge of the Planetoids. Chilton Book Co 1964
[12] 서적 A Hole in Space Ballantine Books 1974
[13] 간행물 "Tether Transport From LEO To The Lunar Surface" http://www.tethers.c[...] 1991
[14] 웹사이트 "about the Megastructure" http://www.megastruc[...] 2008-10-07
[15] 서적 "The Modern Urban Landscape" https://books.google[...]
[16] 뉴스 "Mega structure" http://findarticles.[...] Architectural Review, The 2008-09-15
[17] 서적 "Future Forms and Design for Sustainable Cities" https://books.google[...] 2005
[18] 웹사이트 "Megastructure reloaded: megastructure" http://www.megastruc[...]
[19] 문서 ICE Case Studies: The Great Wall of China http://www.american.[...] 1997-12
[20] 웹사이트 nscb.gov.ph, FACTS & FIGURES, Ifugao province http://www.nscb.gov.[...] 2012-11-13
[21] 간행물 "Shell Worlds - An Approach To Terraforming Moons, Small Planets and Plutoids" http://www.jbis.org.[...] JBIS 2009
[22] 문서 Dani Eder
[23] 웹사이트 "Ederworld Analyzed (Concentric Gravity Balloons to Maximize Volume)" http://gravitational[...]
[24] 서적 The High Frontier: Human Colonies in Space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77
[25] 학회자료 Implications of Molecular Nanotechnology Technical Performance Parameters on Previously Defined Space System Architectures http://www.zyvex.com[...] 1995-11-09
[26] 서적 Islands in Space: The Challenge of the Planetoids. Chilton Book Co 1964
[27] 서적 A Hole in Space Ballantine Books 1974
[28] 간행물 "Tether Transport From LEO To The Lunar Surface" http://www.tethers.c[...]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