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웨더 루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웨더 루이스는 1774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나, 군 복무를 거쳐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비서로 일했다. 제퍼슨의 지시로 윌리엄 클라크와 함께 루이스 앤드 클라크 탐험대를 이끌고 미국 서부를 탐험하며 태평양에 도달했다. 루이지애나 준주 총독을 역임했으나, 1809년 사망하며 자살 여부를 두고 논란이 있다. 그의 업적을 기려 여러 지명과 기념물이 있으며, 루이스 앤드 클라크 탐험은 미국의 영토 확장과 서부 개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스 클라크 탐험 - 새커거위아
새커거위아는 1788년 렘히 쇼쇼니족 출신으로, 루이스 앤드 클라크 탐험대에 통역 및 길 안내 역할을 수행하며 탐험대의 태평양 도달에 기여하고 미국의 1달러 동전 모델로 선정되었다. - 루이스 클라크 탐험 - 윌리엄 클라크 (탐험가)
윌리엄 클라크는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를 이끌어 미국 서부 탐험에 공헌하고 루이지애나 준주와 미주리 준주에서 인디언 사무관으로 활동했으나,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 참여와 노예 소유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지닌 인물이다. - 버지니아주의 정치인 - 존 타일러
존 타일러는 미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 사망 후 부통령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텍사스 합병을 추진했다. - 버지니아주의 정치인 - 윌리엄 헨리 해리슨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윌리엄 헨리 해리슨은 미영 전쟁 영웅으로, 하원의원, 상원의원, 인디애나 준주 지사를 역임한 후 제9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취임 한 달 만에 폐렴으로 사망하여 최단 기간 재임 대통령으로 기록되었고, 그의 죽음은 미국 대통령직 승계에 대한 헌법적 논쟁을 야기했다. - 1809년 사망 - 토머스 페인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계 미국인 혁명가, 작가, 정치 사상가로서, 그의 팸플릿 『상식』은 미국 독립 여론 형성에 기여했고, 『미국의 위기』 시리즈는 미국인들의 사기를 진작시켰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인간의 권리』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옹호하고 『이성의 시대』를 통해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했으나, 그의 급진적 사상으로 인해 말년은 고독하게 보냈다. - 1809년 사망 - 라마 1세
라마 1세는 차크리 왕조의 창시자이자 초대 국왕으로, 탁신 왕 휘하의 맹장에서 왕위에 올라 방콕 천도, 버마의 침입 격퇴, 관료 제도 정비, 문학 작품 복원, 왓 프라깨오 건립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메리웨더 루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774년 8월 18일 |
출생지 | 버지니아 식민지, 아이비 |
사망일 | 1809년 10월 11일 (향년 35세) |
사망지 | 테네시주 호헨왈드 근처 |
사망 원인 | 총상 |
직업 | 탐험가, 군인, 정치인 |
![]() | |
경력 | |
소속 | 보병 |
복무 기간 | 1795년–1807년 |
계급 | 대위 |
부대 | 미국 군단 제1 미국 보병 연대 |
지휘 | 발견대 |
전투 | 해당사항 없음 |
정치 경력 | |
직책 | 제2대 루이지애나 준주지사 |
임기 시작 | 1807년 3월 3일 |
임기 종료 | 1809년 10월 11일 |
임명권자 | 토머스 제퍼슨 |
이전 | 제임스 윌킨슨 |
이후 | 벤자민 하워드 |
다른 직책 | 발견대 지휘관 대통령 개인 비서 |
대통령 비서 임기 시작 | 1801년 |
대통령 비서 임기 종료 | 1803년 |
대통령 | 토머스 제퍼슨 |
이전 비서 | 윌리엄 스미스 쇼 |
이후 비서 | 루이스 하비 |
2. 생애와 업적
메리웨더 루이스(1774년 8월 18일[5] ~ 1809년 10월 11일)는 미국의 탐험가, 군인, 정치인으로, 루이스 앤 클라크 탐험대를 이끈 인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버지니아주의 유력 가문에서 태어나 초기 교육을 받았으며,[6][8][9] 군 복무 중 윌리엄 클라크를 만났다.
1801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개인 비서로 발탁되어[12] 루이지애나 매입 이후 서부 탐험 계획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 제퍼슨의 신임 아래 탐험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루이스는 클라크와 함께 탐험대의 공동 지휘를 맡아[15] 1804년부터 1806년까지 미주리 강을 거슬러 올라가 태평양 연안에 도달하는 역사적인 여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19] 이 탐험은 미국의 서부 영토 확장과 지리, 동식물, 원주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20][21]
탐험에서 돌아온 후 1807년 루이지애나 준주의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13] 행정 및 재정 문제, 정치적 갈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프리메이슨 회원이기도 했다.[25] 1809년 워싱턴 D.C.로 향하던 중 테네시주내슈빌에서 약 110km 떨어진 그리너스 스탠드라는 여관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머리와 가슴에 총상을 입은 그의 죽음이 자살인지 타살인지에 대해서는 결정적인 판단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사망 직전 극도로 의기소침해 있었고 자살 시도 보고도 있어 자살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그는 마지막을 맞이한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묻혔으며, 현재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내체스 트레이스 파크웨이를 따라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메리웨더 루이스는 1774년 8월 18일[5] 버지니아 식민지의 앨버말 카운티(현재 아이비 지역) 로커스트 힐 농장에서 태어났다.[6] 아버지는 웨일스계인 윌리엄 루이스[7], 어머니는 잉글랜드계인 루시 메리웨더였다.[8]
1779년 11월 아버지가 폐렴으로 사망하자, 루이스는 어머니와 계부 존 마크스 대위와 함께 조지아주로 이주했다.[9] 가족은 브로드 강 유역 윌크스 카운티(현 오글소프 카운티)의 거스폰드 커뮤니티에 정착했다. 루이스는 조지아에서 사냥과 야외 활동 기술을 익혔으며, 어린 시절부터 평생의 열정이 된 자연사에 관심을 보였다. 어머니에게 약초 채집법을 배우기도 했다.[9] 이 시기 체로키 족 등 미국 원주민과 처음 접촉했으며, 그들의 입장을 옹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세가 되던 해, 정식 교육을 받기 위해 버지니아로 돌아왔다. 아버지의 형제인 니콜라스 루이스가 그의 후견인이 되었고,[9] 매튜 폰테인 모리의 삼촌인 매튜 모리 목사 등 개인 교사들에게 교육을 받았다. 이후 1790년대 버지니아주 렉싱턴의 리버티 홀 아카데미(현 워싱턴 앤 리 대학교)를 졸업했다.
2. 2. 군 경력과 제퍼슨과의 만남
1794년 버지니아 국민군에 입대하여 위스키 반란 진압 파견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795년에는 정규군에 입대하여 1801년까지 복무했으며, 이 기간 동안 훗날 탐험 동반자가 되는 윌리엄 클라크를 만났다. 군 복무 중 대위로 진급했다.1801년에는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토머스 제퍼슨의 개인 비서로 발탁되었다. 그는 제퍼슨에게 미국 제2대 대통령 존 애덤스가 단행한 "자정의 임명(Midnight Appointments)"으로 인해 연방당 성향 장교들이 군대에 유입된 상황 등 군 내부 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루이스는 제퍼슨이 구상하던 서부 탐험대 계획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 제퍼슨은 탐험에 필요한 지도 제작법과 그 외 생존 기술(바구니 짜기, 편물 등)을 배우도록 루이스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로 보냈다.
2. 3. 루이스 앤드 클라크 탐험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 이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새로 얻은 영토와 자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했다. 또한 "아시아와의 상업을 위한 대륙 횡단의 직접적이고 실용적인 수로"를 찾기를 희망했다.[16] 제퍼슨은 특히 미주리 강 유역에 사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에게 미국의 주권을 선포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2][17][18] 루이스는 정규군 복무 시절 탐험을 함께하게 될 윌리엄 클라크를 만났으며, 제퍼슨의 개인 비서로 일하던 1801년부터 탐험대 계획에 깊이 관여했다. 제퍼슨은 루이스가 탐험에 필요한 지도 제작법 등 기술을 익히도록 필라델피아로 보냈다.
루이스는 루이스 앤 클라크 탐험대의 대장으로 임명되었다. 루이스와 클라크가 이끈 2년간의 탐험은 미국이 태평양 연안까지 도달한 최초의 대륙 횡단 탐험이었다. 이는 알렉산더 맥켄지 경이 캐나다에서 육로로 태평양에 도달한 지 12년 만의 일이었다.[16]
1805년 4월 포트 맨단을 출발할 때, 탐험대는 16세의 쇼쇼니 족 여성 사카가위아와 그녀의 남편인 프랑스계 캐나다인 모피 상인 투생 샤르보노와 동행했다. 탐험대는 미시시피 강 서쪽 지역의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과 접촉했으며, 이들이 이미 유럽 상인들과 교류하며 세계 시장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로키 산맥을 넘은 탐험대는 1805년 11월, 당시 루이지애나 매입 지역 외의 분쟁 지역이었던 오리건 컨트리와 태평양에 도착했다.
탐험대는 1806년에 귀환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방대한 정보와 수많은 동식물 표본을 가져왔다.[19] 이들은 태평양 연안까지 육로 이동이 가능함을 증명했다. 탐험의 성공은 미국이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북아메리카 대륙을 가로질러 뻗어 나가야 한다는 명백한 운명 사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20][21]
탐험 임무가 거의 끝나가던 1806년8월 11일, 루이스는 탐험대의 일원이자 시력이 좋지 않았던 사냥꾼 피에르 크루자트가 쏜 총에 허벅지를 맞는 사고를 당했다. 이 부상으로 남은 여정 동안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다.
2. 4. 탐험 이후의 활동과 루이지애나 준주 총독
탐험에서 돌아온 후, 루이스는 1600acre의 토지를 보상으로 받았다.[13] 그는 또한 초기에 탐험대 일지의 출판을 준비했지만, 글을 완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807년, 제퍼슨은 그를 루이지애나 준주의 총독으로 임명했고, 그는 세인트루이스에 정착했다.루이스의 행정가로서의 평가는 엇갈린다. 그는 어퍼 루이지애나 준주에서 최초의 법을 공포했고, 도로를 건설했으며, 모피 무역의 강력한 옹호자로서 제퍼슨의 임무를 수행했다. 그는 여러 분쟁 중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간의 평화를 중재했다. 아메리카 원주민 조약을 시행해야 하는 그의 의무는 서부 아메리카 원주민 토지를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었으며,[13] 이는 정착을 위해 새로운 토지를 개척하려는 정착민들의 쇄도에 반대되었다. 그러나 지역 정치 지도자들과의 다툼, 무역 면허 승인에 대한 논란, 토지 할당 정치, 아메리카 원주민의 약탈 행위 등으로 인해 일부 역사가들은 루이스가 유능하지 못한 행정가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은 최근의 전기에 의해 재검토되고 있다. 루이스의 주요 갈등 상대는 준주 비서 프레데릭 베이츠였다. 베이츠는 루이스를 비방하고 총독직에서 해임시키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느린 우편 시스템 때문에, 전 대통령 제퍼슨과 워싱턴 D.C.의 루이스 상사들은 루이스가 자신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되었다.[22]
베이츠는 루이스의 상사에게 루이스가 만단 족 추장을 부족에게 돌려보내는 임무에서 사적인 이득을 취했다고 비난하는 편지를 보냈다. 베이츠의 비난 때문에, 전쟁부는 루이스가 임무 수행을 위해 개인적으로 선지급한 상당한 금액의 변제를 거부했다. 루이스의 채권자들은 그가 경비를 변제받지 못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루이스의 어음을 회수하려 했고, 이로 인해 그는 루이스 앤드 클라크 탐험으로 받은 토지를 포함한 자산을 매각해야 했다. 루이스가 마지막 여정으로 워싱턴 D.C.로 향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베이츠가 제기한 의혹을 해명하고, 준주 정부를 위해 선지급한 비용을 변제받기 위해서였다.
미국 정부는 결국 루이스가 사망한 지 2년 후에 그의 유산에 해당 경비를 변제했다. 베이츠는 이후 미주리 주지사가 되었다. 한편, 일부 역사가들은 루이스가 마지막 여정 중 포트 피커링에서 길버트 C. 러셀이 기록한 내용을 근거로 알코올이나 아편류를 남용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23]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베이츠가 루이스의 약물 중독 문제를 주장한 적이 없으며, 만약 루이스가 실제로 그러한 상태였다면 베이츠가 이를 루이스에게 불리하게 이용했을 것이라고 반박한다.
또한 그는 프리메이슨 회원이었다. 1808년8월 2일, 루이스와 몇몇 지인들은 펜실베이니아주에 있는 프리메이슨 그랜드 로지에 세인트루이스 지부 설립을 청원했다. 이 청원은 수리되었고, 루이스는 1808년 9월 16일에 설립 인가를 받은 세인트루이스 로지 제111호의 초대 마스터(관리자)로 추천 및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무렵부터 루이스는 과도한 음주에 의존하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2. 5. 프리메이슨 활동
루이스는 프리메이슨이었으며, 1796년과 1797년 사이에 버지니아주 앨버말에 있는 "Door to Virtue Lodge No. 44|도어 투 버츄 로지 No. 44eng"에서 입문, 통과 및 승급했다.[24] 1808년 8월 2일, 루이스는 그의 지인 여러 명과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그랜드 로지에 세인트루이스에 로지를 설립하기 위한 특별 허가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루이스는 제안된 로지의 초대 마스터(Master)로 지명 및 추천되었으며, 이 로지는 1808년 9월 16일에 로지 No. 111로 인가받았다.[25]2. 6. 노예제에 대한 루이스의 태도
메리웨더 루이스는 서부 탐험 이전에 어머니의 농장에서 노예들을 관리하려 했으나, 이내 그만두었다. 그는 탐험을 떠날 때 개인 시중을 두지 않았다. 이는 자신의 노예였던 요크를 탐험에 동행시킨 윌리엄 클라크와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루이스는 요크에게 임무를 주기도 했지만, 그의 감독은 클라크가 담당하도록 했다. 주목할 점은 루이스가 탐험 중 열린 회의에서 요크와 사카가위아에게 투표권을 행사하도록 허락했다는 사실이다.탐험 이후, 루이스는 자유 흑인 남성인 존 페르니아를 개인 시중으로 고용했다. 페르니아는 루이스의 마지막 여정에도 함께했지만, 상당한 액수의 임금이 밀린 상태였다. 루이스가 사망하자 페르니아는 토머스 제퍼슨이 머물던 몬티첼로를 찾아가 밀린 임금 240USD를 지급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제퍼슨은 이를 거절했다. 페르니아는 이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3. 죽음
1809년 9월 3일, 메리웨더 루이스는 워싱턴 D.C.로 길을 떠났다. 어퍼 루이지애나 영토 지사 재직 시절 발생한 부채 문제를 해결하고, 출판사에 전달할 탐험 일지를 가지고 가는 것이 목적이었다. 처음에는 뉴올리언스에서 배를 타고 갈 계획이었으나, 미시시피강을 따라 세인트루이스에서 내려오던 중 계획을 변경했다. 그는 배에서 내려 미시시피주 내치즈와 테네시주 내슈빌을 잇는 옛 개척자 길인 내치즈 트레이스를 통해 육로로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이 길은 강도들이 여행자들을 노리는 위험한 곳이었다.[27] 루이스는 여행을 떠나기 전 유언장을 작성했으며, 이 여행 중에 자살을 시도했으나 주변 사람들에게 제지당하기도 했다.[28]
1809년 10월 10일, 루이스는 내슈빌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112.65km 떨어진 내치즈 트레이스의 여관인 그런더의 숙소(Grinder's Stand)에 머물렀다. 저녁 식사 후 자신의 오두막으로 돌아갔는데, 다음 날인 10월 11일 새벽, 여관 주인의 아내 프리실라 그런더(Priscilla Griner)가 총성을 들었다. 하인들이 확인했을 때 루이스는 머리와 배에 총상을 입고 중태에 빠져 있었으며, 해가 뜬 직후 과다 출혈로 사망했다.[29]
루이스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두고 자살인지 타살인지에 대한 논란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그의 친구인 토머스 제퍼슨과 윌리엄 클라크는 루이스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생각했지만, 루이스의 친척들은 그가 살해당했다고 주장했다.[30]
루이스는 사망 장소에서 멀지 않은 곳에 묻혔으며, 현재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내치즈 트레이스 파크웨이를 따라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3. 1. 자살 vs 타살 논란
1809년 10월 19일 토머스 제퍼슨에게 보낸 분실된 편지에 따르면, 루이스는 10월 10일 내슈빌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112.65km 떨어진 내체즈 트레이스의 여관인 그런더의 숙소(Grinder's Stand)에 머물렀다. 저녁 식사 후 자신의 오두막으로 돌아갔는데, 10월 11일 새벽 여관 주인의 아내 프리실라 그런더(Priscilla Griner)가 총성을 들었다. 하인들은 루이스가 머리와 배에 총상을 입고 중태에 빠진 것을 발견했으며, 그는 과다 출혈로 해가 뜬 직후 사망했다. 이 소식은 내슈빌의 "민주 클라리온(Democratic Clarion)"을 통해 보도되었고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일부 보도에서는 그의 목이 잘렸다는 내용도 있었다.[29] 또한, 루이스가 포트 피커링에서 길버트 러셀 소령에게 빌린 돈이 사라졌다는 점도 의혹을 더했다.루이스의 죽음은 그의 친구 토머스 제퍼슨을 비롯한 일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자살로 받아들여졌으나, 현재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루이스가 스스로 총을 쏘는 것을 직접 목격한 사람은 없었으며, 유일한 증언자인 프리실라 그런더의 진술은 세 가지 버전이 존재하며 일관성이 부족하다. 그녀는 기록이나 공식 증언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그녀의 증언이 조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이를 자살의 정황 증거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런더 부인은 루이스가 죽기 전날 밤 이상하게 행동했다고 주장했다. 저녁 식사 중에 서서 서성거리고 마치 변호사에게 말하듯이 혼잣말을 했으며 얼굴이 발작이 온 것처럼 붉어졌다. 그녀는 그가 물러간 후에도 계속 혼잣말하는 소리를 들었고, 밤중에 여러 발의 총성, 몸싸움, 누군가가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를 들었다.
그녀는 문틈으로 루이스가 방으로 기어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왜 그때 조사를 중단했는지, 다음 날 하인들에게 그의 하인을 찾으라고 결정했는지 설명하지 않았다. 또 다른 설명에 따르면, 하인들은 그의 두개골 일부가 사라진 채 오두막에서 부상을 입고 피를 흘리며 여러 시간 동안 살아있는 그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녀의 마지막 설명에 따르면, 세 남자가 그를 내체즈 트레이스까지 따라갔고, 그곳에서 그는 권총을 꺼내 그들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그녀는 새벽 1시경에 그의 오두막에서 목소리와 총소리를 들었다. 그런 다음 그녀는 바닥에 많은 양의 화약이 있는 빈 오두막을 발견했다.
루이스의 친척들은 살인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죽음 직후 현지 법률에 따라 열린 검시관의 심리는 누구에게도 어떤 범죄도 적용하지 않았다.[30] 배심원장은 심리 절차에 대한 수첩을 보관했으나, 이는 1900년대 초에 사라졌다. 윌리엄 클라크와 토머스 제퍼슨이 루이스의 죽음에 대해 통보받았을 때, 두 사람은 자살이라는 결론을 받아들였다. 그들의 지위와 1809년 9월 중순의 분실된 루이스의 편지에 근거하여 역사학자 스티븐 앰브로스는 살인 이론을 "설득력이 없다"고 일축했다.[13]
1848년, 루이스의 시신을 검사한 유일한 의사는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후에야 검사를 했다. 루이스의 무덤을 찾아 기념비를 세우는 임무를 맡은 새뮤얼 B. 무어를 포함한 테네시 주 위원회는 루이스의 무덤을 열었다. 위원회는 공식 보고서에서 루이스가 자살했다는 인식이 오랫동안 지배적이었지만, "그가 암살자의 손에 죽었을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적었다. 1893년에 처음 출판된 책,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 역사''에서 편집자 엘리엇 쿠에스는 전 대통령의 ''메리웨더 루이스의 회고록''을 자신의 책에 포함했음에도 불구하고 루이스가 자살했다는 토머스 제퍼슨의 결론에 의문을 제기했다.[31]
1993년부터 2010년까지, 루이스의 친척 약 200명(자녀가 없었기에 여동생 제인을 통해)은 그의 죽음이 자살인지 살인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신을 법의학적 분석을 위해 발굴하려 했다. 1996년 테네시 검시 배심원단은 발굴을 권고했다. 그의 묘지가 국립 기념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국립공원관리청의 승인이 필요하다. 이 기관은 인근에 매장된 100명 이상의 개척자들의 시신이 훼손될 수 있다는 이유로 1998년 요청을 거부했다. 2008년, 내무부는 발굴을 승인했지만, 2010년에 이 결정을 철회하고, 그 결정이 최종적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묘지와 방문객 시설을 개선하고 있다.[32]
역사학자 폴 러셀 커트라이트는 살인/강도 이론에 대한 상세한 반박문을 써서, 그 이론이 "근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는 루이스의 부채, 과도한 음주, 가능한 모르핀과 아편 사용, 탐험대 일지를 출판 준비 실패, 반복적인 결혼 실패, 그리고 토머스 제퍼슨과의 우정 악화를 강조했다.[13] 이 반박에 대해 의사 앨던 G. 추이나드는 루이스가 보고된 상처가 그가 총격 후 두 시간 동안 생존했다는 보고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살인 가설을 주장했다. 이 특정한 의학 이론뿐만 아니라 수많은 루이스 저자들이 인용한 다른 의학/심리학 이론(매독, 말라리아, 알코올 남용, 수은 중독,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등)은 데이비드 J. 펙 박사(의사)와 마티 펙, Ph.D.(심리학자)가 저서 ''죽기 너무 어려워''에서 탐구했다. 주요 루이스 학자 도널드 잭슨, 제이 H. 버클리, 클레이 S. 젠킨슨 등은, 그들의 경향이나 믿음과 관계없이, 그의 죽음에 대한 사실은 알려져 있지 않고, 목격자도 없으며, 그 장소 또는 주변에 있었던 사람들의 보고서의 신뢰성을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작가 피터 스타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수개월 동안 적대적인 인디언 영토를 횡단한 후 메리웨더 루이스의 상태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믿으며, 특히 그 이후에 여행하는 사람들이 동일한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작가 토머스 다니시의 연구에 따르면, 루이스가 스스로 가한 총상은 살인이나 자살 시도가 아니라 심각한 말라리아 공격, 정신 착란 상태, 그리고 극심한 고통의 조합의 결과였다.[33]
3. 2. 사후 분석과 논란
1848년, 루이스의 시신을 검사했던 유일한 의사는 사망 후 40년이 지나서야 검사를 했다. 루이스의 무덤을 찾아 기념비를 세우는 임무를 맡았던 테네시주 위원회(새뮤얼 B. 무어 포함)는 그의 무덤을 열었다. 위원회는 공식 보고서에서 오랫동안 루이스가 자살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나, "그가 암살자의 손에 죽었을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1893년 처음 출판된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 역사''의 편집자 엘리엇 쿠에스는 제퍼슨 전 대통령의 ''메리웨더 루이스의 회고록''을 자신의 책에 포함했음에도 불구하고, 루이스가 자살했다는 제퍼슨의 결론에 의문을 제기했다.[31]1993년부터 2010년까지 루이스의 친척 약 200명(루이스는 자녀가 없었으므로 여동생 제인의 후손들)은 그의 사인이 자살인지 타살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신 발굴 및 법의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1996년 테네시 검시 배심원단은 발굴을 권고했지만, 그의 묘지가 국립 기념물 내에 위치해 있어 국립공원관리청의 승인이 필요했다. 국립공원관리청은 1998년 인근에 매장된 100명 이상의 다른 개척자들의 시신이 훼손될 수 있다는 이유로 발굴 요청을 거부했다. 2008년 내무부가 발굴을 승인했으나, 2010년 이 결정을 번복하며 최종 결정임을 밝혔다. 다만 묘지와 방문객 시설 개선 작업은 진행되고 있다.[32]
역사학자 폴 러셀 커트라이트는 살인 또는 강도 이론에 대해 상세히 반박하며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루이스의 부채, 과도한 음주, 모르핀과 아편 사용 가능성, 탐험대 일지 출판 준비 실패, 반복된 결혼 실패, 그리고 토머스 제퍼슨과의 관계 악화 등을 자살의 근거로 제시했다.[13] 반면, 의사 앨던 G. 추이나드는 루이스가 총격 후 두 시간 동안 생존했다는 보고와 알려진 상처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다며 살인 가설을 지지했다. 데이비드 J. 펙 박사(의사)와 마티 펙 박사(심리학자)는 저서 ''죽기 너무 어려워''에서 매독, 말라리아, 알코올 남용, 수은 중독,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증 등 루이스의 상태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다양한 의학적, 심리학적 이론들을 탐구했다. 주요 루이스 연구가들인 도널드 잭슨, 제이 H. 버클리, 클레이 S. 젠킨슨 등은 각자의 견해와 무관하게 그의 죽음에 대한 명확한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목격자가 없고 현장 주변 인물들의 보고 또한 신뢰성을 확신할 수 없다는 점에 동의한다. 작가 피터 스타크는 루이스가 적대적인 원주민 영토를 수개월간 횡단한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했을 수 있으며, 이는 이후 유사한 여정을 겪은 다른 이들에게서도 나타난 증상이라고 주장했다. 작가 토머스 다니시는 루이스가 스스로 입힌 총상이 자살 시도가 아니라, 심각한 말라리아 발작과 그로 인한 정신 착란 상태 및 극심한 고통의 복합적인 결과였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33]
루이스는 1809년 테네시주내슈빌에서 약 110km 떨어진 그리너스 스탠드(Grinder's Stand) 여관에서 총상으로 사망했다. 그는 워싱턴 D.C.로 가던 중 내체스 트레이스(Natchez Trace)에 위치한 이 여관에 머물렀으며, 머리와 가슴에 총상을 입은 채 발견되었다. 그의 사인이 자살인지 타살인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사망 직전 극도로 의기소침했으며 미주리 강에 뛰어들어 자살하려 했다는 보고도 있었기 때문에 자살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져 왔다.
4. 유산과 기념
루이스는 현재 호헨발트 근처, 그가 사망한 장소인 그라인더의 숙소에서 약 약 182.88m 떨어진 내체즈 트레이스 옆에 묻혔다. 이곳은 루이스의 멘토였던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지시로 미 육군이 1801년에 건설한 내체즈 트레이스 구간 옆이었다.
초기에는 무덤에 별다른 표식이 없었다. 루이스의 친구이자 조류학자인 알렉산더 윌슨은 1810년 5월, 뉴올리언스로 가는 길에 루이스의 무덤을 방문하여 여관 주인 로버트 그라이너에게 돈을 주고 무덤 주위에 동물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울타리를 세우게 했다.[34]
테네시주는 1848년에 루이스의 무덤 위에 기념비를 세웠다. 컬럼비아 출신의 석공 레뮤엘 커비는 당시 요절한 삶을 상징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던 부러진 기둥 모양으로 기념비를 디자인했다.[35] 기념비 주변의 철제 울타리는 남북 전쟁 중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 휘하의 남군 병사들이 말굽을 만들기 위해 일부를 가져가기도 했다.[36]
1905년 9월, ''에브리바디스 매거진''에 실린 기사를 통해 방치되고 잡초가 무성했던 루이스의 무덤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었다.[37] 이후 지역 주민 틴 코트란이 묘지로 가는 길을 정비하기 시작했고, 곧 '테네시 메리웨더 루이스 기념비 위원회'가 결성되어 묘역 복원을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1925년 캘빈 쿨리지 대통령은 루이스의 무덤을 미국의 다섯 번째 국립 기념물로 지정했다.
2009년 10월 3일부터 7일까지 루이스와 클라크 트레일 헤리티지 재단은 제41회 연례 회의와 함께 루이스 사망 200주년 기념행사를 주관했다.[38] 이 행사의 일환으로 그의 묘지에서 최초의 국가 추모식이 열렸다. 2009년 10월 7일, 루이스 사망 200주년 당일에는 25개 이상의 주에서 온 약 2,500명(국립공원 관리청 추산)이 그의 무덤에 모여 루이스의 삶과 업적을 기렸다. 연사로는 윌리엄 클라크의 후손 페이튼 "버드" 클라크, 루이스의 방계 후손 하웰 보웬과 톰 맥스웨인, 그리고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에 관한 저서 ''겁 없는 용기''로 유명한 스테판 E. 암브로스의 딸 스테파니 암브로스 텁스 등이 참여했다. 또한, 묘역에 건립될 방문자 센터를 위해 루이스의 청동 흉상이 내체즈 트레이스 파크웨이에 헌정되었다.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 경로상의 컬럼비아 특별구와 20개 주에서는 주지사들이 주의사당에 게양했던 깃발을 주민 대표를 통해 루이스의 무덤으로 보내, 루이스가 해당 지역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기렸다.[39]
2009년 루이스의 무덤에서 열린 기념식은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을 기리는 마지막 200주년 기념 행사였다. 루이스와 클라크 200주년 재연자들이 참여했으며, 제퍼슨의 몬티첼로 대표, 루이스와 클라크의 후손 및 가족, 세인트루이스 로지 #1 대표, 루이스와 클라크 트레일 헤리티지 재단의 전직 회장, 미국 독립 혁명 기념 사업회 회원들이 화환을 들고 루이스의 무덤까지 공식 행진을 했다. 탐험 중 루이스가 발견했던 식물 표본들이 트레일 경로상의 주들에서 가져와 그의 무덤에 놓였다. 미국 육군을 대표하여 제101공수사단 보병 밴드와 군목이 참석했으며, 국립공원 관리청은 현장을 재건할 계획을 발표했다.[39]
4. 1. 명예
오랫동안 루이스의 유산은 간과되었고, 부정확하게 평가되었으며, 그의 죽음을 둘러싼 자살 혐의로 인해 다소 훼손되기도 했다.[13] 그러나 과학에 대한 그의 기여, 미국 서부 탐험, 그리고 위대한 세계 탐험가로서의 그의 위치는 오늘날 높이 평가받고 있다.[13]루이스가 사망한 지 4년 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루이스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용감무쌍하고, 불가능한 것 외에는 어떤 것도 그 방향에서 벗어나게 할 수 없는 확고함과 끈기를 지녔으며, 맡겨진 사람들을 아버지처럼 보살피면서도 질서와 규율 유지에 굳건하고, 인디언의 성격, 관습 및 원리에 정통하며, 사냥 생활에 익숙하고, 이미 소유한 대상의 묘사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자국의 동식물에 대한 정확한 관찰을 통해 보호받았으며, 정직하고, 사심 없고, 관대하며, 건전한 이해력과 진실에 대한 성실함이 너무나 꼼꼼하여 그가 보고한 것은 우리 자신이 본 것만큼 확실할 것이니, 이 모든 자질을 마치 자연이 이 목적을 위해 하나에 선택하고 심어놓은 것처럼, 나는 그에게 이 사업을 맡기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40]
제퍼슨은 또한 루이스가 "빛나고 분별력 있는 지성"을 지녔다고 덧붙였다.
윌리엄 클라크의 장남 메리웨더 루이스 클라크는 루이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그는 다시 자신의 아들 메리웨더 루이스 클라크 주니어에게 그 이름을 물려주었다.

메리웨더 루이스 대위와 윌리엄 클라크 중위(탐험 당시 사실상 공동 대위였으며, 사후 200주년을 기념하여 공식적으로 대위로 진급)는 탐험대를 이끌고 미주리 강의 발원지에서 컬럼비아 강 어귀까지 태평양 북서부의 육로와 수로를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했다. 그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4년 7월 24일, 탐험 150주년을 맞아 3센트짜리 기념 우표가 발행되었다. 이 탐험은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두 배가 된 미국 영토를 탐사하고, 그 과정에서 만난 식물, 동물, 원주민들을 기록하고 스케치하여 1806년 세인트루이스로 돌아왔다.[41]

루이스와 클라크는 루이스 앤드 클라크 백주년 박람회를 기념하여 주조된 루이스 앤드 클라크 박람회 달러 금화에도 등장한다. 이 주화는 1904년과 1905년에 제작된 초기 미국의 기념 주화 중 하나로, 발행량이 적어 희소성이 있다.
2004년 5월 14일, 탐험 시작 200주년을 기념하여 USPS은 메리웨더 루이스와 윌리엄 클라크가 언덕 꼭대기에서 조망하는 모습을 담은 우표와 함께, 두 사람의 초상화가 각각 담긴 37센트짜리 우표 두 종을 발행했다. 이 우표 발행을 기념하여 탐험대가 지나간 경로를 따라 11개 도시에서 32쪽짜리 특별 소책자가 배포되었다.
여러 식물과 동물이 루이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루이시아'(Lewisia) 속 식물 (과 쇠비름과): 록 가든에서 인기 있는 식물들을 포함하며, 몬태나 주의 주화(state flower)인 비터루트('루이시아 레디비바')가 대표적이다.
- ''Lewisiopsis tweedyi'': 1999년에 명명된 꽃 피는 식물로, 'Lewisiopsis' 속의 유일한 종이다 (과 둥근잎꿩의비름과).[43][44]
- 루이스딱따구리 ('Melanerpes lewis')
- 웨스트슬로프 컷스로트 송어 ('Oncorhynchus clarkii lewisi'): 컷스로트 송어의 아종이다.
- ''Ulmus americana'' '루이스 & 클라크' (판매명 Prairie Expedition): 2004년 루이스 앤드 클라크 탐험 200주년을 기념하여 노스다코타 주립 대학교 연구 재단에서 출시한 아메리카 느릅나무 품종으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45]
루이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여러 지명과 시설은 다음과 같다.
분류 | 명칭 | 위치 |
---|---|---|
군 (County) | 루이스 군 | 켄터키주 |
루이스 군 | 테네시주 | |
루이스 군 | 미주리주 | |
루이스 군 | 아이다호주 | |
루이스 군 | 워싱턴주 | |
루이스 앤드 클라크 군 | 몬태나주 (주도: 헬레나) | |
도시 및 지역 | 루이스버그 | 테네시주 |
루이스턴 | 아이다호주 | |
루이스타운 | 몬태나주 | |
루이스 애비뉴 | 빌링스, 몬태나주 | |
군사 기지 | 포트 루이스 | 워싱턴주 (미국 육군 제1군단 본부) |
자연 지형 및 공원 | 루이스 앤드 클라크 패스 | 몬태나주 |
루이스 앤드 클라크 국유림 | 몬태나주 | |
루이스 산맥 | 몬태나주 글레이셔 국립공원 | |
메리웨더 피크닉 사이트 | 몬태나주 게이츠 오브 더 마운틴스 황야 | |
루이스 앤드 클라크 동굴 | 몬태나주 | |
루이스 앤드 클라크 주립공원 | 노스다코타주 윌리엄스 군 | |
미국 해군 함선 | SS 메리웨더 루이스 (자유선), USS 루이스 앤드 클라크 (핵잠수함), USNS 루이스 앤드 클라크 (보급선) | |
교육 기관 | 루이스 앤드 클라크 대학교 | 오리건주 포틀랜드 |
루이스-클라크 주립 대학교 | 아이다호주 루이스턴 | |
루이스 앤드 클라크 커뮤니티 칼리지 | 일리노이주 고드프리 | |
루이스 앤드 클라크 고등학교 | 워싱턴주 스포캔 | |
메리웨더 루이스 초등학교 | 버지니아주 앨버말 카운티 (2023년 교명 변경 결정) | |
메리웨더 루이스 초등학교 | 오리건주 포틀랜드 | |
루이스 앤드 클라크 초등학교 | 몬태나주 미줄라 |
시사이드, 오리건주는 탐험가들을 기리는 수많은 랜드마크, 박물관, "루이스 앤드 클라크 애비뉴"를 가지고 있으며, 이 도시는 그들의 태평양 연안 여정의 종착점으로 알려져 있다. 포트 클랫솝은 1805-1806년 겨울 동안 컬럼비아 강 어귀 근처 오리건 컨트리에 있던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의 야영지로, 애스토리아에서 남서쪽으로 약 8km 떨어진 루이스 앤드 클라크 강을 따라 위치했다.
루이스는 여러 문학 및 미디어 작품에서도 다루어졌다.
- 제임스 롤린스의 일곱 번째 시그마 포스 소설 ''악마의 식민지''(The Devil Colony)에서는 토머스 제퍼슨과의 관계, 탐험, 일지, 발견, 그리고 그의 죽음을 둘러싼 세부 사항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루이스의 죽음에 얽힌 미스터리는 작가 마크 프로스트의 2016년 저서 ''트윈 픽스 비밀의 역사(The Secret History of Twin Peaks)''와 1998년 말콤 슈만의 소설 ''메리웨더 살인 사건''(The Meriwether Murder)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 2013년 코미디 센트럴 시리즈 ''드렁크 히스토리''(Drunk History)의 "내슈빌" 에피소드에서는 토니 헤일이 루이스 역을, 태런 킬램이 클라크 역을 맡아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 및 루이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재현했다.[48]
- 2015년 웹 시리즈 ''에픽 랩 배틀 오브 히스토리''(Epic Rap Battles of History) 시즌 4 에피소드 "루이스와 클라크 vs 빌과 테드"에서 링크 니얼이 루이스 역을 연기했다.
1965년, 루이스는 국립 카우보이 & 서부 유산 박물관의 위대한 서부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9]
루이스는 마지막을 맞이한 테네시주의 내체스 트레이스 파크웨이 근처에 매장되었으며,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807년 미주리 주지사 선거 | 미주리 주지사 | 2대 | 민주공화당 | 100.00% | 1표 | 1위 |
참조
[1]
서적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4
[2]
간행물
Voyage of Domination, "Purchase" as Conquest, Sakakawea for Savagery: Distorted Icons from Misrepresentations of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https://www.jstor.or[...]
2023-08-24
[3]
서적
Native America, Discovered and Conquered: Thomas Jefferson, Lewis and Clark, and Manifest Destiny
Bison Books
[4]
웹사이트
American Heraldry Society - Arms of Famous Americans
https://www.american[...]
[5]
웹사이트
Meriwether Lewis
https://www.britanni[...]
2022-04-04
[6]
웹사이트
Lt. William Lewis
http://www.hmdb.org/[...]
The Historical Marker Database. J.J. Prats
2009-09-15
[7]
웹사이트
Lt. William Lewis
http://www.monticell[...]
Monticello. org. Thomas Jefferson Foundation, Inc
2009-04
[8]
웹사이트
Lucy Meriwether Lewis Marks (1752–1837): Her Life and Her World
https://www.monticel[...]
Thomas Jefferson Foundation
2009-04
[9]
웹사이트
Lt. William Lewis
http://www.monticell[...]
[10]
서적
Records of Lewis, Meriwether and kindred families; genealogical records of Minor, Davis, Wells, Gilmer, and Clark families
http://archive.org/d[...]
Columbia, Mo., Artcraft Press
1951
[11]
웹사이트
Anchored in the East: Genealogy: Meriwethers
http://www2.vcdh.vir[...]
[12]
웹사이트
Corps of Discovery > The Leaders > Meriwether Lewis
https://web.archive.[...]
National Park Service
[13]
서적
Undaunted Courage: Meriwether Lewis, Thomas Jefferson, and the Opening of the American West
Simon & Schuster
1996
[1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15]
서적
Undaunted courage : Meriwether Lewis, Thomas Jefferson, and the opening of the American West
1996
[16]
서적
Encyclopedia of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4
[17]
서적
Native America, Discovered and Conquered: Thomas Jefferson, Lewis and Clark, and Manifest Destiny
Bison Books
[18]
서적
The Way to the Western Se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
서적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Greenwood Press
[20]
서적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
서적
Lewis and Clark among the Indians, James Ronda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02-01-01
[22]
웹사이트
The West > People > Meriwether Lewis
https://www.pbs.org/[...]
PBS
[23]
문서
Statement of Gilbert C. Russell
[24]
웹사이트
10,000 Famous Freemasons
http://www.phoenixma[...]
Macoy Publishing & Masonic Supply Co., Inc.
1957
[25]
웹사이트
Pa Freemason May 03 – Treasures of the Temple: Brothers Lewis and Clark
http://www.pagrandlo[...]
PaGrandLodge.org. The Masonic Library and Museum of Pennsylvania
2003-05-03
[26]
웹사이트
Meriwether Lewis as Slaveowner
https://franceshunte[...]
Franceshunter.wordpress.com
2011-12-13
[27]
서적
Messages of the Governors of Tennessee, 1796–1821
[28]
간행물
I Wish You to See & Know All: The Recently Discovered Letters of William Clark to Jonathon Clark
http://www.lewisandc[...]
Lewis and Clark Trail Heritage Foundation
[29]
뉴스
The Democratic Clarion
Tennessee State Library and Archives
1809-10-20
[30]
문서
Maury County, Tennessee County Court Minutes, Minute Book Q
[31]
서적
History of the Expedition Under the Command of Lewis and Clark
Bradford and Inskeep
1814
[32]
뉴스
Meriwether Lewis's Final Journey Remains a Mystery
http://online.wsj.co[...]
2010-09-25
[33]
웹사이트
A New Perspective on the Death of Meriwether Lewis transcript
https://www.sos.mo.g[...]
[34]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Alexander Wilson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5]
문서
Report of the Lewis Monumental Commission
[36]
서적
Resources of Tennessee
1874
[37]
간행물
Everybody's Magazine, John Swain
1905-09
[38]
웹사이트
First National Memorial Service for Meriwether Lewis – Commemorates 200th Anniversary of Lewis's Death
http://news.tennesse[...]
Tennessee News and Information
2009-08-20
[39]
간행물
"We Proceeded On", Journal of the Lewis and Clark Trail Heritage Foundation
2010-02
[40]
편지
Letters
[41]
웹사이트
Lewis & Clark Expedition Issue
2014-03-22
[42]
웹사이트
Bicentennial Lewis & Clark Expedition Issue
http://arago.si.edu/[...]
2014-04-28
[43]
웹사이트
Lewisiopsis tweedyi (A. Gray) Govaerts GRIN-Global
https://npgsweb.ars-[...]
2022-06-21
[44]
논문
Variations on a theme: repeated evolution of succulent life forms in the Portulacineae
http://www.brown.edu[...]
[45]
웹사이트
Ulmus americana 'Lewis & Clark' PRAIRIE EXPEDITION
https://www.missouri[...]
2021-08-15
[46]
웹사이트
Meriwether Lewis Elementary Renamed
https://dailyprogres[...]
2023-01-14
[47]
웹사이트
History of Lewis and Clark Elementary School
https://www.mcpsmt.o[...]
2023-01-07
[48]
웹사이트
Comedy Central: Drunk History: Clip
http://www.comedycen[...]
[49]
웹사이트
Hall of Great Westerners
https://nationalcowb[...]
2019-11-22
[50]
뉴스
Lewis Arquette Obituary
https://www.latimes.[...]
1986-07-10
[51]
웹사이트
'Medium' Cool
https://web.archive.[...]
2012-06-11
[52]
웹사이트
Descendants of Meriwether Lewis Launch 'Solve the Mystery' Web Site
https://historynewsn[...]
2009-06-04
[53]
웹사이트
Families trace Lewis and Clark links
https://www.nbcnews.[...]
2003-05-12
[54]
웹사이트
Genealogist tracks down Lewis and Clark descendants
https://products.k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