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덕역은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다.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8개월간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재개되었다.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명덕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의 전철역 - 서문시장역
서문시장역은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으로, 서문시장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 대구 중구의 전철역 - 청라언덕역
청라언덕역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으로, 2005년 서문시장역으로 개통했으나 3호선 서문시장역 개통으로 2019년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2호선은 월배차량사업소 연결 선로가 존재한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서문시장역
서문시장역은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으로, 서문시장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문시장역
서문시장역은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으로, 서문시장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명덕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명덕 (2·28 민주 운동 기념 회관) |
모국어 표기 | 명덕역 |
로마자 표기 | Myeongdeok |
부역명 | 2·28 민주 운동 기념 회관 |
위치 정보 | |
주소 (1호선)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지하 185 (남산동) |
주소 (3호선) |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 186 (대명동) |
좌표 | coord|35.857909|128.591087|format=dms|display=inline|type:railwaystation_region:KR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각 노선별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1호선) | 1997년 11월 26일 |
개업일 (3호선) | 2015년 4월 23일 |
역 번호 (1호선) | 129 |
역 번호 (3호선) | 331 |
노선 정보 (1호선) | |
영업 거리 | 설화명곡 기점 12.3 km |
이전 역 | 128 교대 |
역간 거리 | 0.7 km |
다음 역 | 130 반월당 |
역간 거리 | 0.8 km |
노선 정보 (3호선) | |
영업 거리 | 칠곡경대병원 기점 14.8 km |
이전 역 | 330 남산 |
역간 거리 | 0.6 km |
다음 역 | 332 건들바위 |
역간 거리 | 0.9 km |
승차 인원 | |
2014년 | 5,579 명 |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날짜 | 내용 |
---|---|
1997년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발생으로 영업 중단 |
2003년 10월 21일 | 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영업 재개 |
2009년 3월 13일 | 당시 2번 출구 앞에 엘리베이터 신설[1][4]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
2016년 8월 5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및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7] 설치 |
2. 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이 중앙대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역명은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다.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여파로 중앙로역을 포함한 일부 구간의 영업이 중단되면서 명덕역도 2003년 10월 20일까지 약 8개월 동안 영업을 중단해야 했다. 이후 운행이 재개되었고, 2009년 3월 13일에는 당시 2번 출구 앞에 엘리베이터가 새로 설치되었다.[4]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3호선 환승 통로는 대명2동 방면에 있으며, 3호선 개통에 따라 기존 1호선 측 출구였던 2번, 3번, 4번 출구가 각각 5번, 6번, 7번 출구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명덕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 중 유일하게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끼리 환승이 이루어지는 역이며, 청라언덕역, 반월당역 등 다른 환승역과 달리 두 노선의 역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6]
1호선 명덕역과 반월당역 사이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연결되는 선로[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선로는 2호선 전동차가 월배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위해 이동할 때 사용된다.
승강장에서 열차 진입 시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은 설화명곡 방면 승강장에서만 송출된다. (안심 방면은 승강장에서는 방송되지만, 열차 내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날짜 | 내용 |
---|---|
1997년 11월 26일 | 1호선 명덕역 개업 |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발생으로 전 노선 운행 중단 |
2003년 10월 21일 | 운행 재개 |
2009년 3월 13일 | 당시 2번 출구에 엘리베이터 신설[1]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및 환승역 전환, 출구 번호 변경 (2~4번 → 5~7번) |
2. 2. 대구 도시철도 3호선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하면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부역명은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다. 3호선 승강장은 명덕로 위에 있으며, 1호선과의 환승 통로는 대명2동 방면에 있다. 3호선 개통으로 기존 1호선 측 출구였던 2번, 3번, 4번 출구가 각각 5번, 6번, 7번 출구로 변경되었다.명덕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청라언덕역, 명덕역, 반월당역) 중 유일하게 1호선과 3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끼리 환승이 이루어지는 역이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의 다른 환승역들과는 달리 1호선과 3호선의 역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6]
3. 역명의 유래
역이 위치한 사거리인 명덕 네거리와 역 인근 도로인 명덕로에서 유래되었다.
4. 역 구조
부역명은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다. 1호선과 3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1호선은 중앙대로 아래에, 3호선은 명덕로 위에 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8]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은 지하역이고, 3호선은 고가역이다. 1호선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는 통로는 대명2동 방면에 있으며, 반월당역처럼 열차의 앞칸과 끝칸에서 연결된다.[9] 두 노선 모두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명덕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 중 유일하게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진 역이며, 1호선과 3호선의 역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6] 1호선 승강장은 곡선 구간으로 인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설화명곡 방면 승강장에는 자동 발빠짐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명덕역과 반월당역 사이에는 2호선 청라언덕역으로 이어지는 연결 선로[5]가 있으며, 이 선로는 2호선 전동차가 월배차량사업소로 이동할 때 사용된다.
층 | 구조 | 세부 내용 |
---|---|---|
G | 지상층 | 출구 |
L1 | 1호선/3호선 대합실 | 개찰구, 승차권 자동 발매기, 역무실, 환승통로 |
B1 (1호선 승강장) | ← 1호선 설화명곡 방면 (교대)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 1호선 안심 방면 (반월당)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
L3 (3호선 승강장) | ←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면 (남산)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 3호선 용지 방면 (건들바위)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4. 1. 1호선 승강장
1호선 승강장은 지하에 위치하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 벽면은 파란색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별도의 승강장 번호는 없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과 반월당역 사이에는 2호선 청라언덕역으로 연결되는 선로가 존재한다. 이 연결선로는 2호선 전동차를 월배차량사업소로 회송하는 데 사용된다.
4. 2. 3호선 승강장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승강장에는 별도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1호선과의 환승 통로는 대명2동 방면에 위치한다. 3호선 개통에 따라 기존 1호선 역사의 2~4번 출구가 각각 5~7번 출구로 번호가 변경되었다.명덕역은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 중 유일하게 1호선과 3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노선의 역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6]
방향 | 노선 | 행선지 |
---|---|---|
상행 (남산 방면)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달성공원 · 만평 · 칠곡운암 · 칠곡경대병원 방면 |
하행 (건들바위 방면)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수성시장 · 수성못 · 범물 · 용지 방면 |
5. 역 주변
6. 승차량 변동
3호선 개통 이후 1호선 명덕역의 이용객이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1호선 | 3,007 | 4,726 | 5,104 | 미공개 | 4,743 | 4,910 | 1,337 | 4,534 | 4,624 | 6,115 | 5,976 | 5,971 | 5,919 | 5,953 | 6,080 | 5,874 | 5,849 | 5,579 | |
노선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2031년 | 2032년 | |
1호선 | 5,004 | 4,281 | 4,130 | 4,065 | 4,162 | 2,715 | [10] | ||||||||||||
3호선 | 2,974 | 3,090 | 3,044 | 3,020 | 3,056 | 2,048 | [10] |
7. 인접한 역
(내용 없음)
7. 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7. 2.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대구교통공사: -- 3호선
:: 남산역 (330) ← '''명덕역''' (331) → 건들바위역 (332)
참조
[1]
뉴스
대구도시철도 명덕역, 아양교역 승강기 가동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9-03-13
[2]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3]
문서
[4]
뉴스
대구도시철도 명덕역, 아양교역 승강기 가동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3-13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