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환승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승역은 둘 이상의 철도 노선 또는 대중교통 노선이 교차하여 승객이 한 노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을 의미한다. 세계 최초의 환승역은 1873년 잉글랜드 버켄헤드의 버켄헤드 독 철도역으로 추정된다. 환승역은 X자형, T자형, L자형, V자형, 二자형, 一자형, 선로공용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도시 철도 건설과 함께 환승 시스템이 발전해 왔다. 환승역은 상업 시설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며, 대규모 환승역에서는 여러 노선 간의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역 - 민자역사
    민자역사는 철도역 부지를 활용하여 민간 자본으로 건설 및 운영되는 복합시설로, 초기에는 상업시설 위주 운영으로 비판을 받았으나 현재 전국 주요 역에서 운영 중이며, 사업 재입찰 과정에서 경쟁 심화 및 사업 추진의 어려움이 있어 투명성, 공공성 강화, 주민 의견 반영 등 개선이 요구된다.
  • 철도역 - 조차장
    조차장은 행선지가 다른 화차나 객차를 모아 행선지별로 연결하여 새로운 열차를 만들고, 입환 작업을 통해 차량을 분류하며, 험프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철도 시설이다.
환승역
개요
유형철도 시설
기능노선 간 연결
승객 환승
위치철도 노선 교차점 또는 인접 지역
주요 특징승객 편의 시설
정보 제공 시스템
다양한 교통 수단 연계 (선택 사항)
상세 정보
정의여러 노선 또는 교통 수단 간의 승객 환승을 용이하게 하는 철도역
목적네트워크 효율성 향상
승객 이동 편의 증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설계 고려 사항승객 흐름 최적화
접근성 확보
안전성 강화
정보 접근성 향상
환승 방법동일 플랫폼 환승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이용
지하 통로 또는 지상 통로 이용
편의 시설
일반 시설대합실
매표소
자동 발매기
화장실
휴식 공간
정보 제공노선 안내
시간표
플랫폼 정보
비상 연락망
추가 시설 (선택 사항)상업 시설 (상점, 식당)
수유실
물품 보관소
충전 시설
기타
관련 용어환승 센터
복합 환승 센터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대중교통 중심 개발)
고려 사항도시 계획과의 연계
교통 정책과의 통합
지역 경제 활성화

2. 역사

1873년 잉글랜드 버켄헤드에서 우드사이드와 버켄헤드 독 스트리트 궤도전차가 개통되면서, 버켄헤드 독 철도역은 세계 최초의 노면 전차-열차 환승역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3]

3. 형태

대한민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환승역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형태설명주요 역
X자형두 노선이 승강장 중간에서 맞물리는 형태강남구청역, 군자역, 도곡역
T자형한 노선은 승강장 중간, 다른 노선은 승강장 끝에서 맞물리는 형태가산디지털단지역, 강남역, 덕천역
L자형두 노선이 승강장 끝에서 맞물리는 형태가락시장역, 건대입구역, 공덕역
V자형두 노선이 서로 대칭하는 다른 도로에 위치하여 맞물리는 형태검암역, 도봉산역, 동작역
二자형두 노선이 같은 도로에 있으면서 역사가 서로 붙어있는 형태계양역, 광운대역, 금정역
一자형두 노선이 같은 도로에 있을 때 쓰는 형태로, 계단 한 번만 오르내리면 환승 가능까치산역, 미남역, 복정역
선로공용형두 노선이 한 선로공용하는 구조중앙역, 고잔역, 초지역(수도권 전철 서해선 제외) 등



이외에도 다양한 환승역의 형태가 있다.

3. 1. X자형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환승역의 형태로, 두 노선이 승강장 중간에서 교차한다. 강남구청역, 군자역, 도곡역, 사당역, 석계역, 성신여대입구역, 여의도역, 주안역, 창동역, 청구역 등이 이러한 형태이다.[1]

3. 2. T자형

한 노선은 승강장 중간, 다른 노선은 승강장 끝에서 교차하는 형태이다. 가산디지털단지역, 강남역, 덕천역, 동대문역, 반월당역, 부평구청역, 불광역, 석남역, 선릉역, 수원역, 약수역, 양재역, 연신내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이수역, 종로3가역 등이 이러한 형태에 해당한다.

3. 3. L자형

두 노선이 승강장 끝에서 교차하는 형태이며, 환승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L자형 환승역에는 가락시장역, 건대입구역, 공덕역, 교대역, 노원역, 당산역, 대림역, 동묘앞역, 명덕역, 부평역, 수서역, 시청역, 신당역, 영등포구청역, 오금역, 온수역, 인천시청역, 청라언덕역, 회룡역 등이 있다.

3. 4. V자형

두 노선이 서로 대칭되는 다른 도로에 위치하여 교차하는 형태이다. 검암역, 도봉산역, 동작역, 인천역, 충정로역 등이 V자형 환승역에 해당한다.

3. 5. 二자형

두 노선이 같은 도로에 있고 역사가 서로 붙어있는 형태이다. 계양역, 광운대역, 금정역, 까치산역, 용산역, 회기역 등이 이러한 형태를 띈다.

3. 6. 一자형

두 노선이 같은 도로에 있는 형태이다. 까치산역, 미남역, 복정역, 수영역 등은 계단 한 번만 오르내리면 환승이 가능한 구조이다.

3. 7. 평면 환승

두 노선이 선로를 공용하는 구조이다.[1] 중앙역, 고잔역, 초지역(수도권 전철 서해선 제외), 안산역, 신길온천역, 정왕역, 능곡역, 대곡역, 곡산역, 백마역, 풍산역, 일산역 등이 이러한 형태를 띈다.[1]

4. 환승 시스템

환승 시스템은 대중교통 이용객들이 한 번의 요금 지불로 여러 노선이나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이다.

일부 환승역은 특정 노선의 역과 다른 노선의 역 사이 거리가 멀어 환승이 불편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역사적으로 별도로 역이 생겼지만 실제로 환승하는 사람이 많다는 이용자 동향에 따라 환승역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다.[4] 그 외에도 노선을 새로 건설할 때 기존 노선의 역 근처에 철도역을 설치할 수 없었던 경우나, 신설 노선은 교차 지점에 역을 만들었지만 기존 노선의 역이 교차 지점에서 떨어진 경우 등에도 환승역으로 설정되어 승객을 유도하기도 한다.[4]

역이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공도가 있는 경우에는, 도보 루트에 상점가 등 일정 규모의 상권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4]

4. 1. 환승 불가 사례 (수도권-충청남도)

2006년 이후 기차가 아닌 전철로도 천안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2008년 이후에는 충청남도 아산시신창역까지 전철 종착역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수도권 사람들이 이 지역을 지나갈 때 그전에 버스지하철-전철 등을 타고 환승을 한 후, 충남 버스를 타는 경우에는 환승이 되지 않는다.[5]

서울특별시경기도에 사는 사람들이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와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에 가기 위해 지하철이나 전철, 혹은 경기도 오산시-경기도 평택시까지 가는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6600번 버스를 타면 진위역까지, M5438번 버스를 타면 평택지제역까지 가서 전철로 갈아타 두정역까지 갈 수 있는데, 여기까지는 환승이 가능하다. 하지만 두정역에서 11번 충남 버스를 타면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내부로 진입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환승이 불가능하다.[5]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수도권 전철이나 버스를 이용하다가 전철로 갈아타 두정역에서 내리고 81번 충남 버스를 타면 안서동보안피트라는 정류장까지 간 다음에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까지 걸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수도권 전철에서 81번 충남 버스로 아무리 빨리 갈아타더라도 환승이 되지 않는다.[5]

2022년부터 충남 천안시에서 별도의 환승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했으며, 수도권 전철 회사와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5]

4. 2. 환승역의 위치 관계

일부 환승역은 특정 노선의 역과 다른 노선의 역 사이 거리가 멀어 환승이 불편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역사적으로 별도로 역이 생겼지만 실제로 환승하는 사람이 많다"는 이용자 동향에 따라 환승역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노선을 새로 건설할 때 기존 노선의 역 근처에 철도역을 설치할 수 없었던 경우나, 신설 노선은 교차 지점에 역을 만들었지만 기존 노선의 역이 교차 지점에서 떨어진 경우 등에도 환승역으로 설정되어 승객을 유도하기도 한다.[4]

역이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공도가 있는 경우에는, 도보 루트에 상점가 등 일정 규모의 상권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역전 상점가의 일종). 이러한 위치 관계에서는 환승객의 편의성 측면에서는 마이너스가 되지만, 지역 상점가에게는 중요한 고객이기도 하다. 따라서, 환승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연락 통로 신설이나 역 이전을 계획했을 경우, "사람들의 왕래가 줄어 상점가가 쇠퇴한다"며 지역 상점가로부터 반대받는 경우가 있다(예: 하라마치다역→마치다역 이전 시, 신아키츠역과 아키츠역 등).[4]

5. 상업 시설

환승역은 많은 이용객들이 오가는 곳으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상업 시설이 발달해 있다. 과거에는 매점, 찻집 정도의 점포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철도 회사의 수익 증대 정책의 일환으로 역 구내에 다양한 점포들이 입점하고 있다.

특히 서점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시간을 보내는 환승객들이 많으며, 편의점 외에도 디지털 미디어 샵, 액세서리 샵, 릴랙세이션 공간 등 다양한 종류의 점포들이 늘어나고 있다. JR 동일본의 "에큐트"나 "딜라"처럼, 역 자체를 하나의 "거리"로 만들고 있는 환승역도 있다.

6. 기타

런던파리는 여러 개의 급행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환승역이 발달해 있다. 런던의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는 6개 노선이 교차하며, 파리의 샤틀레는 5개 노선이 교차한다.[4]

전용 지하 통로나 육교가 없는 경우, 승객은 도시 거리를 통해 역의 두 부분을 환승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본 도쿄도에이 지하철 구라마에역과 뉴욕시의 렉싱턴 애비뉴-59번가/렉싱턴 애비뉴–63번가 역이 있다. 많은 경우, 전자 티켓을 사용하면 환승 승객이 역의 요금 통제 구역을 벗어나지 않은 것처럼 요금을 두 번 지불하지 않고 대중교통 시스템에 다시 들어갈 수 있다. (이 과정을 "시스템 외부 무료 환승"이라고 한다).[4]

버스 노선 간 환승 시 추가 요금이 없거나 두 노선의 요금 차이만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홍콩 신계의 타이 람 터널 버스 환승 센터와 싱 문 터널 버스 환승 센터, 인디애나주 라파예트 도심이 있다.[4]

참조

[1] 서적 Geotechnical Aspects of Underground Construction in Soft Ground: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IS-Shanghai 2008)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8-12-03
[2] 서적
[3] 웹사이트 Station Name: Birkenhead Dock http://www.disused-s[...] 2016-03-03
[4] 웹사이트 Disused Stations: Verney Junction Station http://www.disused-s[...] 2018-04-02
[5] 뉴스 천안 수도권전철 환승할인 16년 숙원 푼다 https://news.kbs.co.[...] 2021-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