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빗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빗근은 머리를 회전시키고 목을 굽히는 역할을 하는 목의 근육이다. 복장뼈와 빗장뼈에서 시작하여 관자뼈의 꼭지돌기에 닿으며, 복장갈래와 빗장갈래로 구성된다. 더부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기운목과 같은 질환과 관련이 있다. 뇌신경 검사 및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시 해부학적 지표로 활용되며, 격투기 선수들의 부상 방지를 위한 훈련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목빗근
개요
목 근육, 밝은 빨간색으로 표시된 흉쇄유돌근
목 근육, 밝은 빨간색으로 표시된 흉쇄유돌근
왼쪽을 보는 흰색 상의를 입은 여성
머리를 회전할 때 흉쇄유돌근(오른쪽 근육 표시)이 명확하게 관찰될 수 있음.
라틴어 이름musculus sternocleidomastoideus
영어 이름Sternocleidomastoid muscle
한국어 이름목빗근
기원
기시복장뼈자루(복장갈래)와 빗장뼈 안쪽 부분(빗장갈래)
정지
종지관자뼈의 꼭지돌기, 위목덜미선
혈액 공급
동맥뒤통수동맥, 위갑상샘동맥의 가지인 흉쇄유돌근가지
신경 분포
운동 신경더부신경
감각 신경목신경얼기
고유수용성 감각C2-C3의 앞가지
작용
단독 수축반대쪽 목 회전, 같은 쪽 목 굽힘
양쪽 수축목 굽힘, 복장뼈 올림, 강제 흡기 보조
추가 작용이 근육의 좌우 양쪽이 수축하면 턱을 가볍게 위로 올리면서 뒤통수를 앞으로 당김. 머리를 고정하고 있을 때에는, 호기근으로서 작용함.

2. 구조

목빗근은 복장뼈의 자루와 빗장뼈 두 곳에서 일어난다.[10] 이후 목의 측면을 가로지르며 비스듬히 이동하고 얇은 널힘줄에 의해 관자뼈의 꼭지돌기에 닿는다.[10][11] 모양은 중앙이 두껍고 좁으며 양쪽 끝이 넓고 가늘다.

복장갈래(sternal head)는 둥근 근육 다발로, 앞쪽은 힘줄이 있고 뒤쪽은 힘살이 많으며, 복장뼈자루 앞면의 위쪽 부분에서 일어난다. 복장갈래는 위쪽, 가쪽, 뒤쪽으로 주행한다.

빗장갈래(clavicular head)는 힘살이 많은 널힘줄 성분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빗장뼈 안쪽 1/3의 위쪽 앞면에서 일어나 거의 수직으로 위쪽을 향해 주행한다.

복장갈래와 빗장갈래는 삼각형 모양의 간격(작은빗장위오목, lesser supraclavicular fossa)에 의해 시작점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목 중간 아래부터는 점차 서로 섞여서 두껍고 둥근 근육을 형성하며 강한 힘줄과 얇은 널힘줄에 의해 닿는 곳에 붙는다. 강한 힘줄이 닿는 곳은 꼭지돌기 가쪽면의 꼭대기에서 위쪽 경계까지이며, 얇은 널힘줄이 닿는 곳은 뒤통수뼈위목덜미선 중 가쪽 절반이다.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labelled)


2. 1. 기시부

목빗근은 복장뼈의 자루와 빗장뼈 두 곳에서 일어난다.[10] 이후 목의 측면을 가로지르며 비스듬히 이동하고 얇은 널힘줄에 의해 관자뼈의 꼭지돌기에 닿는다.[10][11] 모양은 중앙이 두껍고 좁으며 양쪽 끝이 넓고 가늘다.

복장갈래(sternal head)는 둥근 근육 다발로, 앞쪽은 힘줄이 있고 뒤쪽은 힘살이 많으며, 복장뼈자루 앞면의 위쪽 부분에서 일어난다. 복장갈래는 위쪽, 가쪽, 뒤쪽으로 주행한다. 빗장갈래(clavicular head)는 힘살이 많은 널힘줄 성분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빗장뼈 안쪽 1/3의 위쪽 앞면에서 일어나 거의 수직으로 위쪽을 향해 주행한다.

복장갈래와 빗장갈래는 삼각형 모양의 간격(작은빗장위오목, lesser supraclavicular fossa)에 의해 시작점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목 중간 아래부터는 점차 서로 섞여서 두껍고 둥근 근육을 형성하며 강한 힘줄과 얇은 널힘줄에 의해 닿는 곳에 붙는다. 강한 힘줄이 닿는 곳은 꼭지돌기 가쪽면의 꼭대기에서 위쪽 경계까지이며, 얇은 널힘줄이 닿는 곳은 뒤통수뼈위목덜미선 중 가쪽 절반이다.

2. 2. 종지부

목빗근은 복장뼈의 자루와 빗장뼈 두 곳에서 일어난다.[10] 이후 목의 측면을 가로지르며 비스듬히 이동하고 얇은 널힘줄에 의해 관자뼈의 꼭지돌기에 닿는다.[10][11] 모양은 중앙이 두껍고 좁으며 양쪽 끝이 넓고 가늘다.

복장갈래(sternal head)는 둥근 근육 다발로, 앞쪽은 힘줄이 있고 뒤쪽은 힘살이 많으며, 복장뼈자루 앞면의 위쪽 부분에서 일어난다. 복장갈래는 위쪽, 가쪽, 뒤쪽으로 주행한다. 빗장갈래(clavicular head)는 힘살이 많은 널힘줄 성분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빗장뼈 안쪽 1/3의 위쪽 앞면에서 일어나 거의 수직으로 위쪽을 향해 주행한다.

복장갈래와 빗장갈래는 삼각형 모양의 간격(작은빗장위오목, lesser supraclavicular fossa)에 의해 시작점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목 중간 아래부터는 점차 서로 섞여서 두껍고 둥근 근육을 형성하며 강한 힘줄과 얇은 널힘줄에 의해 닿는 곳에 붙는다. 강한 힘줄이 닿는 곳은 꼭지돌기 가쪽면의 꼭대기에서 위쪽 경계까지이며, 얇은 널힘줄이 닿는 곳은 뒤통수뼈위목덜미선 중 가쪽 절반이다.

2. 3. 신경 분포

목빗근은 같은 쪽의 더부신경의 지배를 받으며[12][13][4][5] 더부신경은 운동신경 섬유로만 분포한다. 목신경얼기는 둘째목신경과 셋째목신경의 일차 앞가지에서 고유감각을 포함한 감각을 수용한다.[12][4]

2. 4. 변이

목빗근의 빗장갈래는 변이가 다양하다. 빗장갈래가 복장갈래만큼 좁을 수도 있고, 폭이 7.5mm까지 넓어질 수도 있다.[14]

빗장갈래가 넓을 때는 때때로 좁은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작은 섬유들로 더 나눠져 있을 수 있다. 더 드물게는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인접한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아 뒤목삼각이 없을 수 있다.[14]

빗장위근(supraclavius muscle)이라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근육은 목빗근 뒤의 복장뼈자루에서 일어나 목빗근 뒤를 지나 빗장뼈 윗면으로 주행하는데, 이는 빗장밑근과 대칭적이다.[14]

3. 기능

목빗근의 기능은 머리를 반대쪽으로, 또는 비스듬히 회전시키는 것이다.[10][15][2] 또한 목을 굽힌다.[10][2] 근육의 양쪽이 함께 작용하면 목을 굽히면서 머리를 젖힌다. 한쪽만 혼자 작용하면 머리가 작용한 목빗근과 반대쪽으로 회전하고 같은 쪽에선 옆으로 굽는다.

또한 목갈비근과 함께 호흡을 보조하는 근육으로 작용한다. 목의 사각근과 함께 호흡 보조근 역할을 한다.[2][10][15]

3. 1. 머리와 목의 움직임

목빗근의 기능은 머리를 반대쪽으로, 또는 비스듬히 회전시키는 것이다.[10][15] 또한 목을 굽힌다.[10] 근육의 양쪽이 함께 작용하면 목을 굽히면서 머리를 젖힌다. 한쪽만 혼자 작용하면 머리가 작용한 목빗근과 반대쪽으로 회전하고 같은 쪽에선 옆으로 굽는다.

또한 목갈비근과 함께 호흡을 보조하는 근육으로 작용한다.[2]

3. 2. 호흡 보조

목빗근은 목의 사각근과 함께 호흡을 보조하는 근육으로 작용한다.[10][15][2]

3. 3. 수축 기전

목빗근의 수축 또는 이완 신호는 더부신경(뇌신경 XI)에서 시작된다.[16][6] 더부신경핵은 C1-C3 주변의 척수 앞뿔에 존재하며 여기에서 아래운동신경세포 섬유가 시작한다.[16] 더부신경핵에서 시작한 신경 섬유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큰구멍을 통해 머리뼈 안으로 들어간다.[16][6] 신호가 척수 앞뿔의 더부신경핵에 도달하면 빗장뼈 근처 근육 섬유들의 운동 종말판으로 운동 신호가 전달된다.[16] 아세틸콜린은 시냅스 이전 신경세포의 소포에서 유리되어 시냅스틈을 넘어가 시냅스 이후 신경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한다. 아세틸콜린은 휴지전위 상태이던 막전위를 -55mV 이상으로 증가시켜 활동전위를 발생시키고, 활동전위는 근육섬유를 따라 계속 전달된다.[16] 근육섬유를 따라서는 근육섬유 내부로 활동전위를 전파시키기 쉽게 만드는 T세관의 입구가 존재한다. T세관은 근소포체와 만나며 T세관을 통해 전달된 활동전위에 의해 근소포체에서는 칼슘 이온을 방출한다. 이 결과 가는 필라멘트에서 트로포닌과 트로포마이오신이 움직이고, 마이오신 머리가 가는 필라멘트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마이오신 머리가 움직이면 목빗근 수축이 일어난다.[16][6]

4. 해부학적 기준선

목빗근은 더부신경이 분포하는 등세모근과 함께 목의 깊은근막 내에 있으며, 목의 중요한 기준선 역할을 한다.[17] 목을 크게 앞목삼각(목빗근 앞)과 뒤목삼각(목빗근 뒤)으로 나누어 림프절과 같은 구조물들의 위치를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된다.[17][7]

목빗근과 주변 구조, 예를 들어 목의 삼각.


온목동맥, 더부신경, 팔신경얼기와 같은 많은 중요한 구조물들이 목빗근과 연관되어 있다.[17]

5. 임상적 중요성

목빗근 검사는 뇌신경 검사의 일부를 구성한다. 목빗근은 사람이 머리를 반대쪽으로 움직일 때 목의 양쪽에서 촉진할 수 있다.[17][7]

빗장뼈와 목빗근의 흉골 및 빗장 머리 부분이 이루는 삼각형은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18][19][8]

목빗근의 수축은 기운목(사경, torticollis)이라고 하는 상태를 유발하며, 이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기운목은 관련 부위의 머리가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게 한다. 치료에는 관련된 근육을 스트레칭하고 목 반대쪽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물리 치료 운동이 포함된다. 선천성 사경은 원인을 알 수 없거나, 근육 내에서 촉진될 수 있는 덩어리나 종양을 유발하는 출산 외상의 결과일 수 있다.

5. 1. 뇌신경 검사

목빗근 검사는 뇌신경검사의 일종이다. 사람이 머리를 움직이면 그 반대쪽의 목에서 목빗근의 작용을 느낄 수 있다.[17]

빗장뼈와 목빗근의 복장갈래와 빗장갈래가 이루는 삼각형은 중심 정맥 도관술에서 정맥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는 데 지표로 사용된다.[18][19]

목빗근의 수축은 기운목(사경, torticollis)이라고 하는 질환을 유발하며, 기운목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기운목은 수축한 목빗근 쪽으로 머리가 기울어지는 질환이다. 치료에는 수축한 목빗근을 늘리고 반대쪽 근육을 강화하는 물리치료가 있다. 선천성 기운목은 원인불명이거나 출산 시 외상에 의한 덩어리나 종괴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런 덩어리는 근육을 따라 촉진될 수 있다.[7][8]

5. 2. 중심 정맥 도관술

뇌신경검사의 일종인 목빗근 검사는 사람이 머리를 움직이면 그 반대쪽 목에서 목빗근의 작용을 느낄 수 있게 한다.[17] 중심 정맥 도관술에서 빗장뼈와 목빗근의 복장갈래와 빗장갈래가 이루는 삼각형은 정맥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는 데 지표로 사용된다.[18][19]

5. 3. 기운목(사경, torticollis)

뇌신경검사의 일종인 목빗근 검사는 사람이 머리를 반대쪽으로 움직일 때 목의 양쪽에서 근육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7][7] 빗장뼈와 목빗근의 복장갈래 및 빗장갈래가 이루는 삼각형은 중심 정맥 도관술에서 정맥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거나,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18][19][8]

목빗근의 수축은 기운목(사경, torticollis)을 유발할 수 있다.[17] 기운목은 머리가 수축한 목빗근 쪽으로 기울어지는 질환으로,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수축한 목빗근을 늘리고 반대쪽 근육을 강화하는 물리치료를 시행한다.[17] 선천성 기운목은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출산 시 외상으로 인한 덩어리나 종괴가 원인일 수 있으며, 이 덩어리는 근육을 따라 촉진될 수 있다.[17]

6. 목빗근 강화 훈련 (한국)

목빗근은 부상 방지라는 관점에서 단련되는 경우가 많다. 머리에 펀치를 맞는 복싱, 목을 감싸는 자세가 많은 레슬링 등 격투기 계열 종목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그 외의 경기(특히 럭비, 미식축구)에서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단련해 두는 것이 좋다. 트레이닝 종목으로는 리버스 레슬러 브리지나 넥 플렉션 등이 있다.

목빗근은 흉골두, 쇄골두에서 기시하여 측두골의 유양돌기, 후두골의 위항선에 정지한다. 신경 지배는 부신경, 경신경총 기능을 따른다.

이 근육이 양측성으로 작용할 때는 턱을 약간 위로 올리면서 후두부를 앞으로 당긴다. 일측성으로 작용할 때는 머리를 반대쪽으로 돌리고 기울인다. 머리를 고정하고 있을 때는 호기근으로 작용한다.

7. 역사

7. 1. 어원

목빗근(sternocleidomastoid)은 복장뼈의 자루뼈(''sterno-'')와 빗장뼈(''cleido-'')에서 시작하여 머리뼈관자뼈에 있는 꼭지돌기(mastoid process)에 닿는다는 뜻에서 이름 붙여졌다.[2] 'Sternocleidomastoid'라는 이름은 복장뼈(''sterno-'')자루와 빗장뼈(''cleido-'')에서 시작하여 관자뼈의 꼭지돌기에 닿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참조

[1] 논문 Anatomy of the neck https://pubmed.ncbi.[...] 2014
[2] 서적 1. Skin Structure and Surgical Anatomy http://www.sciencedi[...] Mosby 2020-11-06
[3] 서적 5. Interrelationship of the Spine, Rib Cage, and Shoulder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20-11-20
[4] 서적 28. Peripheral Nerve Surgical Procedures for Cervical Dystonia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1-06
[5] 서적 9. Neurological Emergencies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06
[6] book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https://www.ncbi.nlm[...] Butterworths
[7] book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https://books.google[...] Elsevier
[8] 논문 Anatomical variations of internal jugular vein location: impact on central venous access https://pubmed.ncbi.[...] 1991-12
[9] 문서 北杜夫『[[どくとるマンボウ青春記]]』に「解剖学で一番長いラテン語名」として登場する。
[10] 인용 Chapter 1 - Skin Structure and Surgical Anatomy http://www.sciencedi[...] Mosby
[11] 인용 CHAPTER 5 - Interrelationship of the Spine, Rib Cage, and Shoulder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12] 인용 Chapter 28 - Peripheral Nerve Surgical Procedures for Cervical Dystonia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13] 인용 Chapter 9 - Neurological Emergencies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14] 저널 인용 The supraclavius muscle is a novel muscular anomaly observed in two cases of thoracic outlet syndrome https://www.scienced[...]
[15] 서적 인용 Chapter 1 - Skin Structure and Surgical Anatomy https://www.scienced[...]
[16] 서적 인용 Cranial Nerve XI: The Spinal Accessory Nerve http://www.ncbi.nlm.[...]
[17] 서적 인용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https://books.google[...]
[18] 저널 인용 A New Landmark Using the Clavicular Head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for Infraclavicular Subclavian Vein Catheterization. http://ekja.org/jour[...]
[19] 저널 인용 Right Internal Jugular Vein Cannulation: Carotid Artery-directed versus Sternocleidomastoid-directed Methods https://pubmed.nc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