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어는 불교에서 사용되는 타악기로, 나무로 만들어진 물고기 모양의 악기이다. 실물 크기의 목어 외에 작은 크기의 목탁도 있으며, 불교 의식에서 독경, 염불, 좌선 시 리듬을 맞추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기원은 물고기가 승려를 돕는 설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용과 물고기가 혼합된 형태에서 둥근 형태로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큰 목어를 종루에 매달고, 작은 목탁은 손에 들고 사용하며, 불교 외에도 유교 의식, 재즈, 클래식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2. 명칭


  • 한국어: 목어(木魚, 실물 크기), 목탁(木鐸, 작은 크기)
  • 표준 중국어: 무위(木鱼중국어)
  • 일본어: 모쿠교(もくぎょ일본어)
  • 베트남어: 모(mõvi)
  • 만주어: 토크시투(toksitu; ᡨᠣᡴᠰᡳᡨᡠmnc)

3. 기원과 역사

목어는 독경을 할 때 두드려 리듬을 맞추고, 졸음을 쫓는 데 사용된다. 물고기 모양을 본뜬 것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가 잠들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9]

작은 방석 모양 받침대 위에 목어를 놓고, 끝을 천으로 감싼 채로 치면 "톡톡"하는 소리가 난다. 크기는 지름 6cm에서 1m 이상까지 다양하다. 자신의 꼬리를 삼키는 물고기나, 두 마리의 물고기구슬을 다투는 모습 등을 도안화한 방울과 같은 형태이며, 표면에 물고기 비늘이 조각되어 있다.

불교선종, 천태종, 정토종 등에서 사용된다. 정토종에서는 목어 사용이 금지된 시기도 있었지만, 이후 염불을 외울 때 사용하게 되었고, 염불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뒷받침(백 비트)으로 목어를 치는 관습이 있다.

3. 1. 기원 설화

목어의 기원에 관한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 불교 전설에 따르면, 어떤 승려가 경전을 구하러 인도로 가던 중 넓은 강을 만나 길이 막혔다. 이때, 인간이었을 때 지은 죄를 씻고 싶어하던 물고기 한 마리가 나타나 승려에게 강을 건너는 것을 돕겠다고 제안했다. 물고기는 승려에게 부처에게 자신이 보살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물어봐 달라고 부탁했고, 승려는 이를 수락했다.

17년 후, 승려는 경전을 가지고 중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다시 그 강을 마주쳤다. 물고기는 승려에게 부처에게 자신의 소원을 물어봤는지 질문했지만, 승려는 잊어버렸다고 대답했다. 이에 분노한 물고기는 승려를 강물에 빠뜨렸다. 다행히 지나가던 어부가 승려를 구했지만, 승려가 가져온 경전은 모두 물에 휩쓸려 사라지고 말았다.

물고기에게 화가 난 승려는 물고기 머리 모양의 나무 조각상을 만들어 나무 망치로 두드리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나무 물고기를 칠 때마다 한자 소리가 났다. 승려는 기쁜 마음에 나무 물고기를 규칙적으로 두드렸고, 몇 년 후에는 나무 물고기의 입에서 잃어버렸던 경전을 모두 되찾게 되었다.[6]

3. 2. 역사적 발전

목어의 원형은 선사에서 사용되던 "어판"(어고)이다. 황벽종의 본산인 만복사나 동광사, 한국의 사찰 등에서 볼 수 있다. 어판은 물고기 모양의 판으로, 현재는 오전 11시 45분에만 울린다. 물고기 모양을 한 것은, 물고기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눈을 감지 않으므로 잠을 아껴 수행에 정진하라는 의미이다. 입에 문 둥근 것은 번뇌를 나타내며, 물고기 등을 두드림으로써 번뇌를 토해내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9] 대에는 현대의 목어 형태가 확립되었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시대의 목어가 존재하지만,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에도 시대 초기에 중국에서 건너온 은원융기로, 그가 전한 황벽종에서는 목어를 비롯한 모든 악기를 사용하는 "황벽 범패"가 유명하다.

4. 형태와 특징

목어는 독경을 할 때 두드려 리듬을 맞추고, 졸음을 쫓는 의미를 가진다. 물고기 모양을 본뜬 것은 물고기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아, 옛날에는 잠들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9]

작은 방석 모양 받침대 위에 목어를 올려놓고, 끝을 천으로 감싼 채로 치면 "톡톡"하는 소리가 난다. 크기는 지름 6cm 정도에서 1m 이상까지 다양하다. 자신의 꼬리를 삼키는 물고기나, 두 마리의 물고기구슬을 다투는 모습을 도안화한 방울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는 물고기의 비늘이 조각되어 있다.

불교선종, 천태종, 정토종 등에서 사용된다. 정토종에서는 한때 목어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이후 염불을 외울 때 사용하게 되었고, 염불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뒷받침(소위 백 비트)으로 목어를 치는 관습이 있다.

목어의 원형은 선사에서 사용되던 "어판"(어고)이다. 황벽종의 본산인 만복사나 동광사, 한국의 사찰 등에서 볼 수 있다. 어판은 물고기 모양의 판으로, 현재는 오전 11시 45분에만 울린다. 물고기 모양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잠을 아껴 수행에 정진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입에 문 둥근 것은 번뇌를 나타내며, 물고기 등을 두드림으로써 번뇌를 토해내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졸음을 쫓기 위해 일정한 리듬을 새겼다고도 한다. 대에는 현대의 목어 형태가 확립되었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시대의 목어가 존재하지만,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에도 시대 초기에 중국에서 건너온 은원융기가 전한 황벽종에서였다. 황벽종에서는 목어를 비롯한 모든 악기를 사용하는 "황벽 범패"가 유명하다.

목어는 녹나무 등의 나무를 소재로 하며, 내부의 빈 공간이 공명통이 되어 소리가 울린다. 개구부인 "향공"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을 집어넣어, 정성스럽게 깎아내어 내부의 공명부를 정돈한다. 음색이 좋은 제품을 만들려면, 소재인 목재를 3년에서 10년이라는 기간을 거쳐 건조해야 한다. 그 때문에, 저렴한 중국산에 밀려 목어 생산은 일본에서는 아이치현뿐이며, 그중에서도 사찰에서 사용하는 것은 아이사이시의 한 회사에서만 제조하고 있다.[10]

목어를 악기로 본다면 일종의 슬릿 드럼이다. 즉, 속이 빈 나무 조각의 일부에 슬릿을 넣은 것이다.

라이브 하우스에서의 연주회의 목어(2023년)


건륭제 시대의 청나라에서는 민중 음악에 악기로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도 가부키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베트남에서는 '모'라고 불리며 타악기로 사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재즈클래식 음악에도 도입되어, 템플 블록, 차이니즈 블록이라고도 불리며, 2개에서 5개를 한 쌍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고음으로 단단하고 날카로운 음색의 우드 블록에 비하면, 목어는 부드럽고 울림도 풍부하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목어 제작 장인과 디자이너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참신한 디자인의 목어도 있다(후카타 목공소의 '모쿠교'[11] 등).

4. 1. 전통적인 형태

원래 형태의 목어는 용과 물고기가 혼합된 생물의 형태를 하고 있다. 큰 사찰의 종과 북과 함께, 불교 사찰 앞에 매달려 있다. 악기는 상단에 물고기 비늘이 조각되어 있고, 손잡이에는 구슬을 감싸는 두 개의 물고기 머리가 조각되어 있어 통합을 상징한다.[7] 불교에서 잠들지 않는 물고기는 깨어있음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는 경전을 암송해야 하는 승려들에게 집중하도록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며,[7] 그 소리는 깨어있는 주의를 상징한다.[2] 또한 부와 풍요를 상징할 수도 있다.[2]

한국 불교에서 목어는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한국어에서는 서로 다른 유형의 목어를 구별하기 위해 두 개의 별도 단어를 사용한다. '''''목탁'''''(한글: 목탁; 한자: 木鐸)은 소형, 휴대용 변형을 의미하며, '''''목어'''''(한글: 목어; 한자: 木魚)는 물고기나 용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속이 빈 대형 조각을 의미한다. 목탁은 목어의 작은 버전으로, 장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더 길쭉한 모양이다. 휴대용으로 사용할 때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가 있다. 목어는 보통 천장에 매달려 있으며, 속이 빈 바닥에서 두 개의 막대기로 두드려 연주한다.

일본에서는 목어를 '''''목어'''''(가나: 木魚; 히라가나: もくぎょ)라고 부르며, 불교 사찰에서 발견되는 거대한 표본 중 일부는 무게가 300kg이 넘는다.

베트남어로 목어는 '''''mõ''''' (chữ Nôm: 楳)라고 부르며, 만주어로는 '''''toksitu''''' (ᡨᠣᡴᠰᡳᡨᡠ)라고 부른다. 목어는 독경 시에 두드려 리듬을 맞춘다. 또한 졸음을 쫓는 의미도 있으며, 목어가 물고기를 본뜬 것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가 옛날에는 잠들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던 데에서 유래한다[9]

작은 방석 모양의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끝을 천으로 감싼 채로 치면 "톡톡"하는 소리가 난다. 크기는 지름 6cm 정도에서 1m 이상인 것까지 있다. 자신의 꼬리를 삼키는 물고기나, 두 마리의 물고기구슬을 다투는 모습 등을 도안화한 방울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표면에는 물고기의 비늘이 조각되어 있다.

목어의 원형은 선사에서 사용되던 "어판"(어고)이다. 이것은 황벽종의 본산인 만복사나 동광사, 한국의 사찰 등에서 볼 수 있다. 어판은 그 이름처럼 물고기 모양의 판으로, 현재는 오전 11시 45분에만 울린다. 물고기 모양을 한 것은, 물고기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눈을 감지 않으므로 잠을 아껴 수행에 정진하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입에 문 둥근 것은 번뇌를 나타내며, 물고기 등을 두드림으로써 번뇌를 토해내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4. 2. 현대적인 형태

현대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목어는 둥근 모양이며, 나무 외에 복합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9] 모든 목어는 속이 비어 있어 두드리면 공명하는 소리를 낸다. 나무로 된 목어의 음색은 크기, 재료, 내부 빈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9] 목어를 칠 때 사용되는 채는 고무 코팅된 팁이 있어, 먹먹하지만 맑은 소리를 낸다. 단순화된 형태는 템플 블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용도

목어는 독경을 할 때 두드려 리듬을 맞추는 데 사용된다. 또한, 졸음을 쫓는다는 의미도 있다. 목어가 물고기 모양을 본뜬 것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가 옛날에는 잠들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9]

작은 방석 모양의 받침대 위에 목어를 올려놓고, 끝을 천으로 감싼 채로 치면 "톡톡"하는 소리가 난다. 크기는 지름 6cm 정도에서 1m 이상인 것까지 다양하다. 자신의 꼬리를 삼키는 물고기나, 두 마리의 물고기구슬을 다투는 모습 등을 도안화한 방울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는 물고기의 비늘이 조각되어 있다.

불교선종, 천태종, 정토종 등에서 사용된다. 정토종에서는 한때 목어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이후 염불을 외울 때 사용하게 되었고, 염불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뒷받침(백 비트)으로 목어를 치는 관습이 생겼다.

목어의 원형은 선사에서 사용되던 "어판"(어고)이다. 황벽종의 본산인 만복사나 동광사, 한국의 사찰 등에서 어판을 볼 수 있다. 어판은 이름처럼 물고기 모양의 판으로, 현재는 오전 11시 45분에만 울린다. 물고기 모양을 한 이유는 물고기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눈을 감지 않으므로, 수행자들이 잠을 아껴 수행에 정진하라는 의미이다. 입에 문 둥근 것은 번뇌를 나타내며, 물고기 등을 두드림으로써 번뇌를 토해내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졸음을 쫓기 위해 일정한 리듬을 새겼다고도 한다.

대에는 현대의 목어 형태가 확립되었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시대의 목어가 존재하지만,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에도 시대 초기에 중국에서 건너온 은원융기가 전한 황벽종에서였다. 황벽종에서는 목어를 비롯한 모든 악기를 사용하는 "황벽 범패"가 유명하다.

목어는 녹나무 등의 나무를 소재로 한다. 내부의 빈 공간이 공명통이 되어 소리가 울린다. 개구부인 "향공"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을 집어넣어 정성스럽게 깎아내어 내부의 공명부를 정돈한다. 음색이 좋은 제품을 만들려면, 소재인 목재를 3년에서 10년이라는 기간을 거쳐 건조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렴한 중국산에 밀려, 일본에서는 아이치현에서만 목어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사찰에서 사용하는 것은 아이사이시의 한 회사에서만 제조하고 있다.[10]

5. 1. 불교 의식

불교에서 목어는 독경, 염불, 좌선 등 수행 시 리듬을 맞추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7] 물고기는 잠들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목어 소리는 수행자들에게 깨어있음을 상기시키는 의미를 지닌다.[2] 또한, 목어는 부와 풍요를 상징하기도 한다.[2]

정토종에서는 염불을 외울 때 목어를 뒷받침(백 비트)으로 치는 관습이 있다. 한국 불교에서는 목탁을 손에 들고 치면서 독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례식에서 목어를 울리며 행진하는 것은 부와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2] 비를 기원하는 의식에도 사용된다.[2]

5. 2. 불교 외 용도

불교선종, 천태종, 정토종 등에서 사용되는 목어는 건륭제 시대 청나라에서 민중 음악 악기로 사용되었다.[10] 일본 가부키에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10] 베트남에서는 '모'라고 불리며 타악기로 사용된다.[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즈클래식 음악에도 도입되어, 템플 블록 또는 차이니즈 블록이라고도 불리며, 2개에서 5개를 한 쌍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0] 고음의 단단하고 날카로운 우드 블록에 비해 목어는 부드럽고 울림이 풍부하다.[10] 최근에는 전통적인 목어 제작 장인과 디자이너의 협업으로 참신한 디자인의 목어도 등장하고 있다.[11]

목어는 다음과 같은 음악 작품들에서 템플 블록 또는 우드 블록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 벤자민 브리튼: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 윤이상: 바이올린 협주곡, 클라리넷 협주곡, 오보에·하프와 현악을 위한 이중 협주곡 등
  • 존 반스 챈스: 한국 민요 주제에 의한 변주곡, 주문과 춤, 오사카 민요에 의한 환상곡
  • 메이와 덴키의 여러 앨범싱글: 손가락을 튕기는 충격이 손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전달되어, 팔 끝에 부착된 노커(메이와 덴키가 제작한 전자석 응용 전동 말렛)가 움직여 목어를 연주하는 "파치모쿠"라는 악기를 제작하여 사용.
  • 어부 아저씨의 노래 (아노네노네): 가몬 타츠오의 개인기에서도 사용되며, 아노네노네와 마찬가지로 목어가 사용된다.
  • 코오다 마리코의 싱글 『꿈은 혼자 꾸는 것이 아니야』의 인트로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6. 한국의 목어

한국에서 물고기 모양을 한 큰 목어(木魚)는 종루에 매달아 사용하고, 손에 들고 치는 작은 목탁(木鐸)은 목탁이라고 부른다. 목탁은 목어의 작은 버전으로, 장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더 길쭉한 모양이다. 휴대하기 쉽도록 손잡이가 달려 있다. 목어는 보통 천장에 매달려 있으며, 속이 빈 바닥에서 두 개의 막대기로 두드려 연주한다.

목탁(木鐸)


손잡이 부분은 손에 들기 쉽도록 간소하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승려뿐만 아니라 일반 신자들도 자신의 목탁을 치면서 독경하는 모습을 한국의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막대기는 천이 감겨 있지 않고, 야구의 배트를 작게 만든 것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7. 제작

목어는 녹나무 등을 소재로 하여 만든다. 내부의 빈 공간은 공명통이 되어 소리가 울리도록 설계되어 있다. 개구부인 "향공"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을 넣어 정성스럽게 깎아내어 내부의 공명부를 만든다. 좋은 음색을 내기 위해서는 목재를 3년에서 10년 동안 건조해야 한다.[10]

일본에서는 아이치현에서 주로 생산되며, 특히 아이사이시의 한 회사에서 사찰용 목어를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있다.[10]

8. 현대적 변용

최근에는 전통적인 목어 제작 장인과 디자이너의 협업을 통해 참신한 디자인의 목어가 등장하기도 한다.[11] 메이와 덴키는 손가락을 튕기는 충격으로 팔 끝에 부착된 노커(전자석을 응용한 전동 말렛)가 움직여 목어를 연주하는 "파치모쿠"라는 악기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가몬 타츠오의 개인기나 코오다 마리코의 싱글 『꿈은 혼자 꾸는 것이 아니야』의 인트로 등에서도 목어가 사용되었다.

CBC 라디오의 『라디오 아침 시장』에서는 진행자인 신마 마사지가 프로그램의 리듬을 맞추기 위해 목어를 연주했고, STV 라디오의 『쿠도 쥰키의 십인십색』에서는 진행자가 목어를 연주하기도 했다.

9. 갤러리



일본 만푸쿠지의 목어 머리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ercussion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7
[2] 서적 Percussion Instruments and Their History https://archive.org/[...] Bold Strummer
[3] 서적 The Percussionist's Dictionary: Translations, 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Percussion Instruments from Around the World Alfred Music Publishing
[4] 웹사이트 Origins and Developments of the Lingnan School of Painting_Monk and Wooden Fish Drum http://theme.npm.edu[...] 2020-06-08
[5] 서적 Percussion Instruments and Their History https://books.google[...] Bold Strummer 1992
[6] 웹사이트 The Legend of the Wooden Fish http://en.chinacultu[...] 2021-11-20
[7] 웹사이트 Mokugyo: Drumming for a Wakeful Mind with the Wooden Fish Drum's Unique Sound https://buddhaweekly[...] 2021-02-09
[8]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01-11
[9] 서적 "話のネタ」のタネ500" PHP研究所 2005-07-01
[10] 뉴스 国産木魚「守り続ける」愛知・愛西 寺向け唯一の工房/注文減、コスト高も直撃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8-12
[11] 웹사이트 深田木工所のモクギョ https://takumi-no-ic[...] 2023-06-29
[12] 트윗 STVラジオ2020年8月27日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