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장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남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러시아와 인접해 있으며, 4개의 시할구, 5개의 현급시, 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해의 상경용천부 유적과 청나라 시대 닝구타 장군의 주둔지였으며, 만주국의 동부 개발을 위한 철도 건설로 도시가 발전했다. 현재는 동북 진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며, 관광업과 경공업이 주요 산업이다. 교통의 요충지로서 철도와 무단장 하이랑 국제공항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를 연결하며, 무단장사범대학, 무단장대학 등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무단장시 - 징푸호 징푸호는 약 1만 년 전 화산 폭발로 생성된 중국 최대의 고산 용암 호수이며, 발해 시대에는 호주가 위치했고 일제강점기에는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치치하얼시 치치하얼시는 헤이룽장성 서북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다우르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오랜 역사를 가지며, 군사적 요충지이자 중공업 도시로서 중국 동북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하얼빈시 하얼빈시는 헤이룽장성의 성도로 중국 동북 지역의 중심 도시이며, 만주족과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겨울 축제가 유명한 "얼음 도시"이자 동북 지역의 교통, 경제, 교육 중심지이다.
위키백과 이동보호 중인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위키백과 이동보호 중인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무단장의 도시 역사는 약 70년 정도로 짧다. 이 일대는 무단강 연안 습지대이자 원주민의 삼림 지대로 인가가 없는 황무지였다. 1903년 러시아가 둥칭 철도를 부설하면서 (구)무단장역이 설치되었고, 청나라 붕괴와 함께 많은 중국인과 조선인이 이주하여 농업 등을 시작했다. 1920년대까지 무단장은 인근 현청 소재지인 닝안(옛 닝구타)에 비해 작은 마을이었으나, 프랑스, 러시아, 영국, 덴마크 등 여러 나라 상인들이 무단장에 지점을 설립하면서 도시의 무역이 빠르게 성장했다.
만주국 붕괴 후, 무단장은 소련군에 점령되었다가 중국 공산당군이 점령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무단장성은 헤이룽장성 관할로 재편되었다. 무단장시는 둥베이 최고의 공업 도시로 많은 공장과 이민자들이 모여들었다. 역사적인 북산경기장이 이 도시에 있으며, 수용 인원 1만 5천 명의 이 경기장은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된다.
현재 중국 동북부는 연안부와 비교해 경제 격차가 커지고 있으며, 무단장시에서는 노후화된 국영 공장 폐쇄와 함께 많은 주민이 연안부로 유출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동북부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동북 진흥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있다.
2. 1. 고대
수신족은 2300년 전 무단강 유역에 살면서 貊國(貊國|맥국중국어)을 세웠다.[5]당나라 시대에는 발해가 무단장 남쪽 경포호 근처에 상경 용천부(용천부)를 건설했고, 서기 755년경에 이곳을 상경으로 삼았다. 926년 1월 14일, 발해가 거란에 의해 멸망하면서 용천부도 함락되었다.[6][7]
2. 2. 근대
1931년만주사변 이후 만주 전체가 일본에 점령되면서, 무단장은 1930년대 일본 점령기 동안 크게 성장했다. 특히 1933년 두만강에서 자무쓰까지 철도가 건설된 후 보탄구(牡丹江)라는 이름으로 군사 및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경공업, 벌목, 식품 가공 등 여러 경공업이 도시에 설립되었다.[9]1937년12월 1일, 만주국 정부는 5개의 현을 관할하는 보탄구 시를 설립했고, 1938년10월 15일 일본 정부는 보탄구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만주국 정부 직할시로 승격시켰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성립되자, 만주 동부의 광업 자원·임업 자원 개발과 연해주 소련 적군(소련군)에 대한 군사 작전을 위해 많은 철도가 부설되었다. 그중 조선에 접하는 도문에서 러시아에 가까운 거점 도시 자무쓰를 향하는 남북의 계획 노선(도녕선)과, 기존의 동청철도를 개칭한 북만철도와의 교차점에 신역을 만들고, 임업·광공업·군사 거점을 설치하는 것이 구상되어, 닝구타(현재의 닝안시) 북쪽에 신역·녕북역(현재의 무단강역)이 만들어졌다.
1934년 도녕선이 개통되자 녕북역 부근에는 수천 명의 일본인·조선인 등이 이주했고, 역 주변에 격자 모양의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다. 1937년 12월 무단강성이 분리되면서, 녕북역 부근의 시가지는 그 성도인 '''무단강시'''가 되었다. 무단강시에는 동부 만주의 거점으로 관동군이 기지를 두었고, 일본 국내의 여러 회사가 목재 가공·화학 공업·식품 등의 공장을 진출시켜 일대 공업 도시로 인구가 급증했다. 또한 무단강 연안에도 일본인 개척단이 많이 이주했다. 한편, 산악 지대에는 중국인과 조선인에 의한 항일 부대의 거점이 설치되었고, 주보중 등의 제2로군이 활동하고 있었다.
1945년 8월 소련 참전으로 연해주에서 소련군 대병력이 밀려와 무단강성은 최전선이 되었다. 관동군 부대는 각지에서 궤멸되었고, 무단강성 내에 있던 개척지의 일본인 농민들은 길에서 죽거나, 소련군이나 중국 주민들에게 습격·학살당했으며(무단강 사건), 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조선 북부 방면으로 철수하여, 많은 중국잔류일본인 고아가 발생했다.[9]
2. 3. 일제강점기
1931년만주사변 이후 만주 전체가 일본에 점령되었다. 무단장은 1930년대 일본 점령기 동안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다. 특히 1933년두만강에서 자무쓰까지의 철도가 건설된 후 보탄구(牡丹江)라는 이름으로 군사 및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경공업, 벌목, 식품 가공 등 여러 경공업이 도시에 설립되었다. 1937년12월 1일, 만주국 정부는 5개의 현을 관할하는 보탄구 시를 설립했다. 1938년10월 15일, 일본 정부는 보탄구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보탄구를 만주국 정부 직할 시로 승격시켰다. 1945년8월 16일 만주국이 붕괴되면서 무단장은 소련군에 의해 함락되었다.[9]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성립되자, 만주 동부의 광업 자원·임업 자원 개발을 위해, 또한 연해주 소련 적군(소련군)에 대한 군사 작전을 위해 많은 철도가 부설되었다. 그중 중요한 노선인, 조선에 접하는 도문에서 러시아에 가까운 거점 도시 자무쓰를 향하는 남북의 계획 노선(도녕선)과, 기존의 동청철도를 개칭한 북만철도와의 교차점에 신역을 만들고, 임업·광공업·군사 거점을 설치하는 것이 구상되어, 닝구타(현재의 닝안시) 북쪽에 신역·녕북역(현재의 무단강역)이 만들어졌다.
1934년 도녕선이 전통하자 녕북역 부근에는 수천 명의 일본인·조선인 등이 이주했고, 역 주변에 격자 모양의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다. 1937년 12월 무단강성이 분리되면서 녕북역 부근의 시가지는 그 성도·'''무단강시'''가 되었다. 무단강시에는 동부 만주의 거점으로 관동군이 기지를 두었고, 일본 국내의 여러 회사가 목재 가공·화학 공업·식품 등의 공장을 진출시켰기 때문에 일대 공업 도시로 인구가 급증했다. 또한 무단강 연안에도 일본인 개척단이 많이 이주했다. 한편, 산악 지대에는 중국인과 조선인에 의한 항일 부대의 거점이 설치되었고, 주보중 등의 제2로군이 활동하고 있었다.
1945년 8월 소련 참전으로 연해주에서 소련군 대병력이 밀려와 무단강성은 최전선이 되었다. 관동군 부대는 각지에서 궤멸되었고, 무단강성 내에 있던 개척지의 일본인 농민들은 길에서 죽거나, 소련군이나 중국 주민들에게 습격·학살당했으며(무단강 사건), 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조선 북부 방면으로 철수하여, 많은 중국잔류일본인 고아가 발생했다.
2. 4. 광복 이후 ~ 현대
1931년만주사변 이후 만주 전체가 일본에 점령되면서, 무단장은 1930년대 일본 점령기 동안 크게 성장했다. 특히 1933년 두만강에서 자무쓰까지 철도가 건설된 후 군사 및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 경공업, 벌목, 식품 가공 등 여러 경공업이 도시에 설립되었다. 1937년 12월 1일, 만주국 정부는 5개의 현을 관할하는 무단장 시를 설립했고, 1938년 10월 15일에는 일본 정부가 무단장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만주국 정부 직할 시로 승격시켰다.
1934년 도녕선이 개통되자 녕북역 부근에는 수천 명의 일본인·조선인 등이 이주했고, 역 주변에 격자 모양의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다. 1937년 12월 무단강성이 분리되면서 녕북역 부근의 시가지는 그 성도인 '''무단강시'''가 되었다. 무단강시에는 동부 만주의 거점으로 관동군이 기지를 두었고, 일본 국내의 여러 회사가 목재 가공·화학 공업·식품 등의 공장을 진출시켰기 때문에 일대 공업 도시로 인구가 급증했다. 또한 무단강 연안에도 일본인 개척단이 많이 이주했다. 한편, 산악 지대에는 중국인과 조선인에 의한 항일 부대의 거점이 설치되었고, 주보중 등의 제2로군이 활동하고 있었다.
1945년 8월 소련 참전으로 연해주에서 소련군 대병력이 밀려와 무단강성은 최전선이 되었다. 관동군 부대는 각지에서 궤멸되었고, 무단강성 내에 있던 개척지의 일본인 농민들은 길에서 죽거나, 소련군이나 중국 주민들에게 습격·학살당했으며(무단강 사건), 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조선 북부 방면으로 철수하여, 많은 중국잔류일본인 고아가 발생했다.
만주국 붕괴 후, 무단장은 1945년 8월 16일 소련군에 의해 함락되었고,[9] 공산당 세력의 지배를 받으며 1948년 송강성의 성도가 되었다. 1954년 6월 19일 송강성이 흑룡강성에 병합되면서 무단장은 지급시로 강등되었다.
신중국 성립 후 무단강성은 몇 차례의 재편을 거쳐 흑룡강성의 일부가 되었고, 무단강시는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공업 도시로 많은 공장과 이주민을 모으게 되었다.
현재, 중국 동북부는 연안부와 비교하여 경제 격차가 확대되고 있으며, 무단강시에서는 노후화된 국영 공장의 폐쇄와 함께 많은 주민이 연안부로 유출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최근, 동북부의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동북 진흥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있다.
3. 지리
북산에서 본 무단장 시가지
무단장시는 헤이룽장성 동남부의 지린성 경계 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은 러시아 연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연해주)과 접하고, 남쪽은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북쪽은 헤이룽장성지시시(鶏西市), 서쪽은 성도인 하얼빈시와 접한다.[1]
쑹화강(松花江)의 가장 큰 지류인 무단강(牡丹江)이 시가지를 가로질러 흐르며, 시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시역 동부는 일본해로 흘러드는 쑤이펀허강(綏芬河)이 흐르고, 시가지 남쪽에는 경박호가 있다.
하얼빈과 블라디보스토크를 동서로 잇는 철도(빈쑤이선)와,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투먼시(図們市)에서 자무쓰시(ジャムス市)까지 남북으로 잇는 투가선이 교차하며, 최근에는 하얼빈~쑤이펀허시(綏芬河市) 고속도로도 지나간다.
무단장시는 동경 128° 02' ~ 131° 18', 북위 43° 24' ~ 45° 59'에 위치하며, 헤이룽장성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지방급 행정구역이다. 평균 고도는 230m이며, 지형은 주로 산악 및 구릉 지대이다. 동쪽은 장백산맥으로 이어지며, 중앙부는 흑구 분지(Hegu Basin)에 속한다. 가장 낮은 곳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쑤이펀허시로 최저 고도는 86.5m이며, 가장 높은 지점은 장광재 산으로 1686.9m이다.
3. 1. 기후
무단장시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로 겨울은 매우 춥고 최저 기온이 영하 30도에 이르는 날도 적지 않다. 연평균 기온은 3.9°C이다.[21][22][23] 무단장은 무덥고 습한 여름과 매우 춥고 건조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 지역이다. 봄과 가을은 짧다. 그러나 이곳의 겨울 기온은 헤이룽장성의 다른 지역 대부분보다 훨씬 따뜻하며, 분지 지형 덕분에 매서운 바람으로부터 보호된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16.7°C에서 7월 22.3°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4.78°C이다. 연간 강수량의 약 3/5는 6월부터 8월까지 내린다. 7월의 월별 가능 일조율은 46%에서 2월과 3월에는 62%에 이르며, 연간 2,368시간의 맑은 일조시간을 기록한다. 극값 기온은 -35.1°C에서 38.4°C까지 기록되었다.
무단장시 기후 (1991년~2020년 평균, 1951년~2010년 극값)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평균 최고 기온 (°C)
-10°C
-4.3°C
3.7°C
14°C
21.2°C
26.1°C
28.3°C
27°C
22°C
13.4°C
1.4°C
-8°C
일 평균 기온 (°C)
-16.3°C
-11.3°C
-2.4°C
7.3°C
14.5°C
19.8°C
22.7°C
21.3°C
15.1°C
6.5°C
-4.2°C
-13.6°C
평균 최저 기온 (°C)
-21.4°C
-17.2°C
-8.1°C
1.1°C
8.3°C
14.3°C
18°C
16.9°C
9.5°C
0.8°C
-8.8°C
-18.1°C
역대 최고 기온 (°C)
3.5°C
11.5°C
19.5°C
30.3°C
33.4°C
37.9°C
38.4°C
36°C
31°C
27.3°C
19.5°C
8.9°C
역대 최저 기온 (°C)
-35.3°C
-35.3°C
-23.5°C
-9.7°C
-2.5°C
5.8°C
11.2°C
7.1°C
-2.1°C
-13.4°C
-25.2°C
-32°C
평균 강수량 (mm)
6.7mm
5.5mm
14.8mm
28mm
64.5mm
83.5mm
130.8mm
122.8mm
58.7mm
33.6mm
20.5mm
7.7mm
평균 상대 습도 (%)
67
61
56
52
58
67
74
77
73
65
65
67
평균 강수일수 (≥ 0.1mm)
4.7
4.2
7.1
8.3
13.7
15.3
13.9
14.1
10.3
8.0
6.6
5.9
평균 일조 시간
157.9
182.4
211.3
203.0
221.1
220.4
207.8
193.8
211.1
188.5
148.5
142.5
월별 일조율 (%)
55
62
57
50
48
48
45
45
57
56
52
52
[10][11][12]
4. 행정 구역
무단장시는 헤이룽장성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헤이룽장성 동부의 정치, 문화, 교통, 과학기술, 경제의 중심지이다. 총면적은 40600km2, 인구는 280만 명이며, 시가지역 인구는 82만 명이다. 시 인민정부는 강남신구에 있다.
무단장시의 총인구는 280만 명(2006년)인데, 대부분은 193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촹관둥 시기에 산둥성과 허베이성에서 온 사람들과 그 후손들이다.[24] 1930년대 이전의 원주민은 거의 만주족이었다. 현재 도시에는 38개의 소수민족이 있으며, 그 인구는 24만 명으로 시 전체 인구의 8.7%를 차지한다. 그중 조선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대부분 시안구에 분포해 있다. 또한 “조선 민족 풍정가” 등 한민족의 색채가 강한 시설도 건설되었다.
6. 경제
무단장시는 헤이룽장성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헤이룽장성 동부 최대의 도시로 정치, 문화, 교통, 과학기술, 경제의 중심지이다. 무단장시의 경제는 주로 관광업과 경공업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에는 국경 무역 분야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이 되고 있으며, 러시아와의 무역 비중이 커 헤이룽장성 전체 대외 무역의 75% 이상을 차지한다.[13]
6. 1. 개발구
2010년 무단장시의 GDP는 18.5% 성장하여 781억 위안(781억위안)에 달했으며, 헤이룽장성 내에서는 하얼빈, 다칭, 치치하얼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13] 무단장시 경제의 주요 산업은 관광업과 경공업이다. 무단장시의 주력 산업으로는 자동차 부품 산업, 제지업, 임업, 석유화학, 신소재, 제약 및 에너지 산업이 있다.[14] 2010년 무단장시의 외국 무역액은 71.8% 증가하여 90억 달러(90억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헤이룽장성 총액의 4분의 3을 차지했다.
무단장시의 주요 경제 구역은 다음과 같다.
명칭
무단장-러시아 경제기술개발구
중러 정보산업단지
무단장 강남 경제기술개발구
무단장 바이오산업개발구
흑룡강 북부 제약기술개발구
7. 교통
무단장시는 헤이룽장성 동부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다. 하얼빈과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일본니가타에 이르는 국제 교통로의 중간에 위치하며, 여러 개의 개항지가 있어 동아시아 지역 경제 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쑤이펀허 철로·공로, 훙닝 공로 등 4개의 개항지를 통해 연간 화물 7억ton, 승객 200만 명을 수송하며, 이는 동아시아 지역 경제 협력에서 중요한 인사, 물류, 정보 전달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1]
무단장시는 블라디보스토크와 직선거리로 248km, 나홋카와는 331km 떨어져 있다. 가장 가까운 헤이룽장성 항구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태평양 연안까지는 340km에 이른다.[1]
7. 1. 도시 철도
무단장 경궤(牡丹江輕軌) 1차 구간은 2008년 국가발개위와 철도부, 헤이룽장성 정부의 투자 승인 개시 계획을 거쳐 시작되었고[25], 2010년 7월에 착공하였다[26][27]. 무단장시에서 시작되어 쑤이펀허시까지 이르는 이 노선은 총연장 138km로 건설되었으며, 108억위안(약 1.8조원)이 투자되었다. 노선을 따라 총 20개의 역과 40개의 승강장이 설치되었으며, 여기에는 무단장 시내에 위치한 무단장역, 양밍구의 톄링역(鐵嶺站), 모다오스역(磨刀石站), 우린역(五林站) 등이 포함된다.
2010년 7월부터 2차 구간 건설 계획이 시작되어, 무단장역에서 개발 중인 징포호(鏡泊湖)의 징포진(鏡泊鎮)까지 총길이 120km에 이른다. 2차 구간에는 무단장역, 시안구의 웬춘역(溫春站), 닝안역(寧安站), 둥징청역(東京城站), 징포후역(鏡泊湖站) 등 5개의 역이 설치되었다[28].
7. 2. 공항
무단장 하이랑 국제공항은 헤이룽장성에서 두 번째로 큰 국제공항이다. 베이징, 다롄 및 중국의 여러 주요 도시로 매일 운항하는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서울 및 인천 간 정기 국제선 항공편도 있다.[1]
-중국국가철로집단(中国国家鉄路集団) 중국철로하얼빈국집단공사(中国鉄路ハルビン局集団公司) 소속 노선은 다음과 같다.
하얼빈-무단장 여객 전용선(哈牡旅客専用線)
함수이선(浜綏線)
도가선(図佳線)
성계선(城鶏線)
림밀선(林密線)
8. 교육
무단장사범대학(Mudanjiang Normal University)은 헤이룽장성에 있는 지방립 고등교육기관이다. 1958년 9월 동북농업대학 넌장 분교로 설립되었으나 1964년 폐교되었다. 이후 베이안사범학원(Bei'an Teachers' College)이 설립되었고, 1965년 1월 국무원의 승인을 받았다. 1964년 베이안사범학원은 닝안현 종축장으로 이전하여 흑룡강성 닝안사범학원으로 개명했다. 1970년 12월 흑룡강성혁명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무단장사범학원으로 확대되었다. 현재는 2만 2천 명이 넘는 학생을 보유한 종합 사범대학으로 발전했다. 캠퍼스 면적은 105ha이며, 건물 면적은 약 39ha이다. 2015년 무단장사범학원은 사범대학으로 개명했다. 2023년 2월 26일, 소프트사이언스 2023 "중국 최고 대학 순위"에서 459위를 기록했다.[15]
무단장대학은 1983년에 설립되었으며, 전국 최초의 100개 지방 대학 중 하나이다. 본교, 해림 캠퍼스, 산업단지 연수 기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50ha, 건물 면적은 18.6ha이다. 고정자산 총액은 4.5억위안, 교육 장비 총액은 9000만위안이며, 도서관에는 64만 4,800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1만 명이 넘는 학생과 10개의 2차 단과대학, 43개의 전공이 있다. 이 중 중앙 정부 지원 주요 건설 전공 2개, 성 재정 지원 주요 건설 전공 6개가 있다. 메카트로닉스, 애니메이션 디자인 및 제작, 컴퓨터 정보 보안 저장 전공은 교육부로부터 국가 중추 교사 양성 기지로 선정되었다.[16]
무단장 제1고등학교는 흑룡강성 제1 시범 고등학교이다. 1945년 9월에 설립되었으며, 원래 이름은 무단장시 고등학교였다. 2001년 무단장 제1고등학교로 개명되었고, 2007년 9월 새로운 캠퍼스로 이전했다. 새로운 캠퍼스는 면적 21.8ha, 건축 면적 9.3ha, 녹지 면적 7.3ha, 운동장 면적 7ha이다. 2009년 국가 100개 고등학교 건설 프로젝트 시범학교로 선정되었고, 2011년 성 과학 프로젝트 시범학교로 선정되었다. 2015년 2월 기준 교직원 359명, 석사 학위 교사 123명, 특수 교사 8명, 정교사 144명, 국가·성·시급 학술 지도자 및 중추 교사 107명, 학생 5,200명 이상이 있다.[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