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야마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야마 내각은 1994년 6월, 하타 내각의 총사퇴 이후 자유민주당, 일본사회당, 신당 사키가케의 연립으로 출범했다. 사회당의 무라야마 도미이치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선출되었으며, 고노 요헤이가 부총리 겸 외무대신을 맡았다. 이 내각은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 등 대형 재난과 사건에 직면했으며,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라야마 도미이치 - 자사사 연립 정권
자사사 연립 정권은 1994년 일본에서 자유민주당, 일본사회당, 신당 사키가케 3당이 이념적 차이를 극복하고 구성한 연립 정권으로, 일본 정치사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나 이념적 차이와 사회당 지지율 하락 등으로 1998년 해소되었다. - 무라야마 도미이치 - 무라야마 내각 (개조)
무라야마 내각 (개조)는 1995년 8월 8일부터 1996년 1월 11일까지 재임했으며, 21명의 각료 중 16명이 교체되는 대규모 개각이 이루어졌다. - 1994년 일본 - 호소카와 내각
호소카와 내각은 1993년 자민당 과반수 붕괴 후 신생당 중심의 비자민당 연립 정부로 출범하여 정치 개혁 4법을 통과시켰으나, 이념 갈등, 스캔들, 정책 실패로 1년 안에 총사퇴하며 다당제 연립 정부 운영의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 1994년 일본 - 하타 내각
하타 내각은 1994년 4월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으로, 소수 여당 내각으로 운영되다가 내부 갈등과 불안정 속에 64일 만에 붕괴되어 전후 일본 역사상 가장 짧은 수명의 내각으로 기록되었다. - 1995년 일본 -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
1995년 3월 20일 도쿄 지하철에서 옴진리교 신도들이 사린 가스를 살포하여 14명이 사망하고 6,000명 이상이 부상당한 테러 사건으로, 옴진리교의 극단적 신념과 권력 야망, 경찰 수사 회피 의도가 작용한 결과이며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생화학 테러의 위험성을 일깨워준 사건이다. - 1995년 일본 - 효고현 남부 지진
효고현 남부 지진은 1995년 1월 17일 효고현 남부에서 발생한 규모 Mj 7.3, Mw 6.9의 지진으로, 최대 진도 7을 기록하며 효고현을 중심으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켜 일본의 지진 대응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무라야마 내각 | |
---|---|
무라야마 내각 정보 | |
기본 정보 | |
내각 이름 | 무라야마 내각 |
내각 번호 | 81대 |
관할 국가 | 일본 |
내각 출범일 | 1994년 6월 30일 |
내각 해산일 | 1995년 8월 8일 |
정부 수반 | 무라야마 도미이치 |
부총리 | 고노 요헤이 (1994-95) 하시모토 류타로 (1995-96) |
국가 원수 | 아키히토 천황 |
정당 | 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신당 사키가케 연립 |
의회 상태 | 연립 과반수 |
반대 정당 | 일본신생당 (1994) 신진당 (1994-96) |
반대 지도자 | 하타 쓰토무 (1994) 가이후 도시키 (1994-95) 오자와 이치로 (1995-96) |
선거 | 1995년 참의원 선거 |
이전 내각 | 하타 내각 |
다음 내각 | 하시모토 내각 (개조) |
![]() | |
추가 정보 | |
일본어 표기 | 村山内閣 |
로마자 표기 | Murayama naikaku |
다른 뜻 | 무라야마 내각 (개조) |
참고자료 | http://old.themoscowtimes.com/sitemap/free/1996/1/article/murayama-resigns-rules-out-new-elections/330165.html(1996년 1월 6일) |
링크 | 내각 명단 |
2. 역사적 배경
1994년(헤이세이 6년) 6월, 하타 쓰토무를 총리로 하는 하타 내각이 소수 여당 내각이 되어 총사직한 후, 정권 복귀를 목표로 한 자유민주당(총재: 고노 요헤이)은 일본사회당(위원장: 무라야마 도미이치)·신당 사키가케(대표: 다케무라 마사요시)와 연립 정권을 구성하는 데 합의했다(자사사 연립정권). 그리하여 사회당의 무라야마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여 성립된 것이 '''무라야마 내각'''이다. 이는 1947년(쇼와 22년) 5월부터 1948년(쇼와 23년) 3월까지 이어진 가타야마 데쓰를 총리로 하는 가타야마 내각 이후 46년 만에 사회당 위원장을 총리로 하는 내각이다.
당시 내각총리대신지명선거에서는 자사사 연립정권 수립에 반발한 전 총리 가이후 도시키가 탈당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마찬가지로 반(反) 자사사 연립파였던 쓰시마 유지의 활약도 있어, 하타의 후계자로 신생당·공명당·민사당·일본신당 등 구(舊) 연립여당의 총리 후보로 추대되었다. 구 연립여당 측은 자민당 내 보수파와 사회당 내 분열을 꾀하며 승산을 찾으려 했지만, 자민당에서는 전 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우노 소스케 및 니카이도 스스무·야마나카 사다노리·와타나베 미치오 등 원로를 포함한 보수파 의원의 반란(기권 포함)이 있었고, 사회당 내에서는 유력한 지지 단체인 자치노가 무라야마 총리 추대를 지지하는 등 구 연립여당 측이 기대했던 중도·우파 그룹인 "데모크라츠" 등의 반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대부분이 무라야마에게 투표했다.
2. 1. 자사사 연립정권의 탄생
1994년 6월, 하타 내각이 연립 여당들의 이탈로 소수 여당 내각이 되어 총사퇴한 후, 자유민주당(총재: 고노 요헤이)은 정권 복귀를 위해 일본사회당(위원장: 무라야마 도미이치) 및 신당 사키가케(대표: 다케무라 마사요시)와 연립 정권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자사사 연립정권) 그 결과, 사회당의 무라야마 도미이치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는 '''무라야마 내각'''이 성립되었다. 이는 1947년 5월부터 1948년 3월까지 존속했던 가타야마 내각 이후 46년 만에 사회당 위원장을 총리로 하는 내각이었다.내각총리대신지명선거에서는 자사사 연립정권 수립에 반발한 전 총리 가이후 도시키가 탈당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마찬가지로 반(反) 자사사 연립파였던 쓰시마 유지의 활약도 있어, 하타의 후계자로 신생당·공명당·민사당·일본신당 등 구(舊) 연립여당의 총리 후보로 추대되었다. 구 연립여당 측은 자민당 내 보수파와 사회당 내 분열을 꾀하며 승산을 찾으려 했지만, 자민당에서는 전 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우노 소스케 및 니카이도 스스무·야마나카 사다노리·와타나베 미치오 등 원로를 포함한 보수파 의원의 반란(기권 포함)이 있었지만, 사회당 내에서는 유력한 지지 단체인 자치노가 무라야마 총리 추대를 지지한 것 등도 있어, 구 연립여당 측이 기대했던 중도·우파 그룹인 "데모크라츠" 등의 반란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대부분이 무라야마에게 투표했다.[2] 최종적으로 중의원에서는 무라야마와 가이후의 결선 투표가 되었지만, 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신당 사키가케의 대부분 의원이 무라야마에게 투표함으로써, 무라야마 도미이치 261표 대 가이후 도시키 214표로 무라야마가 구 연립여당 측이 추천한 가이후를 누르고 중의원에서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었다. 참의원에서도 반란자는 있었지만, 제1회 투표에서 결착이 나 무라야마가 참의원에서도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었다.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중의원)
내각총리대신지명선거:중의원 | ||||
---|---|---|---|---|
성명 | 소속정당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
무라야마 도미이치 | 일본사회당 | 241 | 261 | |
가이후 도시키 | 무소속 | 220 | 214 | |
후와 데쓰조 | 일본공산당 | 15 | ||
고노 요헤이 | 자유민주당 | 5 | ||
무효표 | 23 | 29 |
자유민주당 투표 결과 | |||||||||
---|---|---|---|---|---|---|---|---|---|
제1회 투표 | 결선 투표 | ||||||||
가이후 도시키 | 고노 요헤이 | 무효표 | 기권 | 비고 | 가이후 도시키 | 무효표 | 기권 | 비고 | |
아카기 도리히코 | 이나바 야마토※ | 우노 소스케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아카기 도리히코 | 이부키 후미오 | 니카이도 스스무 | ※ 결선투표: 무라야마 | ||
이부키 후미오 | 니카이도 스스무 | 오하라 이치조 | 이마즈 히로시▲ | 이시바시 가즈야 | ▲ 직후 자민당 탈당 | ||||
이시바시 가즈야 | 하스미 스스무※ | 시오야 타쓰 | 가이후 도시키▲ | 우노 소스케 | colspan="2"| | ||||
이나가키 사네오※ | 마쓰나가 히카루※ | 나카가와 쇼이치 | 가와무라 겐토 | 사토 고오 | colspan="2"| | ||||
이마즈 히로시 | 야마나카 사다노리 | 후루야 케이지 | 스즈키 무네오 | 시오야 타쓰 | colspan="2"| | ||||
가이후 도시키 | 다베 시게루 | 다노세 료타로 | colspan="2"| | ||||||
가타오카 다케시※ | 쓰시마 유지▲ | 나카가와 쇼이치 | colspan="2"| | ||||||
가와무라 겐토 | 나카오 에이이치 | 나카지마 요지로 | colspan="2"| | ||||||
사토 고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후루야 케이지 | colspan="2"| | ||||||
스즈키 무네오 | 나카야마 마사테루 | 호리우치 히사오 | colspan="2"| | ||||||
다노세 료타로 | 노다 세이코 | 야마나카 사다노리 | colspan="2"| | ||||||
다베 시게루 | 노다 다케시▲ | colspan="2"| | |||||||
쓰시마 유지 | 노로 아키히코▲ | colspan="2"| | |||||||
나카오 에이이치 | 하마다 야스카즈 | colspan="2"| | |||||||
나카지마 요지로 | 오노데가와 후미후미 | colspan="2"| | |||||||
나카야마 마사테루 | 야스오카 고지▲ | colspan="2"| | |||||||
노다 세이코 | 야마구치 슌이치 | colspan="2"| | |||||||
노다 다케시 | 야마모토 유지 | colspan="2"| | |||||||
노로 아키히코 | 와타나베 미치오 | colspan="2"| | |||||||
하마다 야스카즈 | colspan="2"| | ||||||||
호리우치 히사오 | colspan="2"| | ||||||||
오노데가와 후미후미 | colspan="2"| | ||||||||
야스오카 고지 | colspan="2"| | ||||||||
야마구치 슌이치 | colspan="2"| | ||||||||
야마모토 유지 | colspan="2"| | ||||||||
와타나베 미치오 | colspan="2"| |
일본사회당 투표 결과 | ||||||||
---|---|---|---|---|---|---|---|---|
제1회 투표 | 결선 투표 | 비고 | ||||||
가이후 도시키 | 무효표 | 기권 | 비고 | 가이후 도시키 | 무효표 | 기권 | 비고 | |
오키 마사고 | 아미오카 유타카※ | 나라사키 야스노스케 | ※ 결선투표: 무라야마 | 오하타 아키히로 | 세키야마 노부유키 | ■ 사회당 제명 | ||
오하타 아키히로 | 이시바시 다이키치※ | 가와시마 미노루■ | 다나카 쇼이치 | |||||
가와시마 미노루 | 고토 시게루※ | 사콘 마사오 | 다나베 마코토 | |||||
사콘 마사오 | 고시이시 아키히토※ | 도이 류이치 | ||||||
도이 류이치 | 사토 미키※ | 나카무라 마사오 | ||||||
나카무라 마사오 | 사토 다이스케※ | 나라사키 야스노스케 | ||||||
호리코미 마사오 | 시마자키 유즈루※ | 호리코미 마사오■ | ||||||
요시오카 겐지 | 세키야마 노부유키 | 요시오카 겐지 | ||||||
다구치 겐지※ | ||||||||
다나카 쇼이치 | ||||||||
다나베 마코토 | ||||||||
나가이 다카노부※ | ||||||||
히노 이치로※ | ||||||||
호소카와 릿푸※ | ||||||||
야마모토 쓰토무※ | ||||||||
와다 사다오※ |
출전:[https://kokkai.ndl.go.jp/minutes/api/v1/detailPDF/img/112905254X03219940629 제129회 중의원 본회의 제32호 헤이세이 6년 6월 29일] - 국회회의록 검색 시스템
참고: 나라사키 야스노스케는 사회당 계열의 무소속 의원.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참의원)
내각총리대신지명선거:참의원 | |||
---|---|---|---|
성명 | 소속정당 | 득표수 | |
무라야마 도미이치 | 일본사회당 | 148 | |
가이후 도시키 | 무소속 | 63 | |
후와 데쓰조 | 일본공산당 | 10 | |
고노 요헤이 | 자유민주당 | 2 | |
도이 다카코 | 일본사회당 | 1 | |
무효 | 1 | ||
기권 | 19 |
자유민주당 투표 결과 | ||||
---|---|---|---|---|
고노 요헤이 | 무효표 | 기권 | 비고 | |
시미즈 가요코 | 스즈키 사다토시 | 이시와타리 기요모토 | colspan="2"| | |
오노 기요코 | colspan="2"| | |||
고마 게이 | colspan="2"| | |||
가사하라 준이치 | colspan="2"| | |||
기미야 가즈히코 | colspan="2"| | |||
사이토 후미오 | colspan="2"| | |||
나카소네 히로후미 | colspan="2"| | |||
노마 다케시 | colspan="2"| | |||
노무라 고조 | colspan="2"| | |||
미야자키 히데키 | colspan="2"| | |||
무라카미 마사쿠니 | colspan="2"| | |||
요시무라 고타로 | colspan="2"| |
출전:[https://kokkai.ndl.go.jp/minutes/api/v1/detailPDF/img/112915254X02619940629 제129회 참의원 본회의 제26호 헤이세이 6년 6월 29일] - 국회회의록 검색 시스템
이 "자사사" 연립 정권은 제2차 하시모토 개조내각이 종료되는 1998년 중반까지 이어진다.
2. 2. 무라야마 내각의 과제
무라야마 내각은 일본사회당, 자유민주당, 신당 사키가케의 연립 정권(자유-사회-사키가케 연립정권)으로, 서로 다른 이념을 가진 정당들이 연합하여 정책 결정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6] 1995년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과 옴진리교에 의한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 등은 무라야마 내각의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3. 주요 정책 및 사건
1994년 일본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실시된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에서 일본사회당 무라야마 도미이치 위원장이 자유민주당과 신당 사키가케의 지지를 받아 총리로 지명되었다. 중의원 결선 투표와 참의원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6]
;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중의원)
;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참의원)
무라야마 내각은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옴진리교의 지하철 사린 사건, 전일본공수 857편 하이재킹 사건 등 여러 사건·사고를 겪었다. 또한, 1995년 8월 15일에는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하여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했다.
3. 1. 한신·아와지 대지진
1995년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은 6,400명 이상의 사망자와 막대한 재산 피해를 야기했다.[6] 무라야마 내각은 초기 대응에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6] 이후 재해 복구 및 지원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오사토 사다토시 국무대신이 지진 재해 대책 담당 장관으로 임명되었다.3. 2. 옴진리교 사건
1995년 3월 20일, 옴진리교가 도쿄 지하철에 사린 가스를 살포하여 13명이 사망하고 6,300여 명이 부상당하는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6] 이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옴진리교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와 관련자 처벌이 이루어졌다.3. 3. 전일본공수 857편 하이재킹 사건
1995년 6월 21일, 전일본공수 857편이 하이재킹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강행 돌입이 실시되어, 범인이 체포되고 인질이 구출되었다.[6]3. 4. 무라야마 담화
1995년 8월 15일,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는 과거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해 반성과 사죄를 표명하는 담화를 발표했다. 이 담화는 일본의 과거사 문제 해결에 대한 진전된 입장으로 평가받았으며, 이후 한일 관계 개선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3. 5. 기타
1994년 일본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실시된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에서 일본사회당 무라야마 도미이치 위원장이 자유민주당과 신당 사키가케의 지지를 받아 총리로 지명되었다. 중의원 결선 투표에서는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 신당 사키가케 의원 대부분이 무라야마에게 투표하여 261표를 얻었고, 카이베 슈키는 214표를 얻었다.[6] 참의원에서는 1차 투표에서 무라야마가 과반수를 얻어 총리로 지명되었다.;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중의원)
;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참의원)
무라야마 정권은 일본 역사에 남는 사건과 재해를 겪었다.
4. 내각 구성
무라야마 내각은 일본 사회당, 자유민주당, 신당 사키가케 3당의 연립 내각이었다.
- R: 중의원 의원
- C: 참의원 의원
4. 1. 국무대신 (1994년 6월 30일 임명)
일본사회당(우파)
외무대신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부총리)
자유민주당
(오부치파)
신당 사키가케
자유민주당
(와타나베파)
신당 사키가케
자유민주당
(와타나베파)
자유민주당
(오부치파)
자유민주당
(미쓰즈카파)
일본사회당
(우파)
일본사회당
(우파)
일본사회당
(중간파)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자유민주당
(오부치파)
일본사회당
(중간파)
일본사회당
(우파)
오키나와 개발청장관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자유민주당
(미쓰즈카파)
자유민주당
(구 가와모토파)
자유민주당
(무파벌)
자유민주당
(미쓰즈카파)
자유민주당
(미쓰즈카파)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