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타야마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타야마 내각은 1947년 5월 24일부터 1948년 3월 10일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내각으로,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된 일본사회당의 가타야마 데쓰가 총리로 임명되었다. 일본국 헌법 하에서 국회의 지명을 받아 조각된 최초의 내각이자 무산 정당 출신이 수상이 된 첫 사례이다. 자유당과의 연립이 실패하고 민주당, 국민협동당과의 연립으로 출범했지만, 내각 내의 갈등과 정책 추진의 어려움으로 인해 1948년 2월 가타야마 데쓰가 총리직에서 사임하면서 붕괴되었다. 이 기간 동안 국가공무원법 제정, 내무성 해체 및 경찰 제도 개혁, 노동성 설치, 민법 개정 등 다양한 개혁 정책이 추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일본 - 황실전범
    황실전범은 일본 헌법에 따라 황위 계승을 남계 남성 후손으로 제한하고 황실 운영을 규정하는 법률로, 제정 당시 여성 천황 승계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황위 계승, 섭정, 황실 구성원 등을 규정하며 2017년 천황 퇴위 특례법이 제정되었다.
  • 1947년 일본 -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부터 1947년 5월 24일까지 존속한 일본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개혁 등 전후 일본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는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나,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1947년 총선에서 일본사회당에 제1당 지위를 내주면서 총사퇴하였다.
  • 1948년 일본 - 제국은행 사건
    1948년 도쿄에서 발생한 제국은행 사건은 범인이 후생성 직원을 사칭해 은행원들에게 독극물을 먹여 12명을 살해하고 현금을 훔쳐 달아난 사건으로, 용의자로 체포된 히라사와 사다미치는 사형 판결을 받았으나 무죄를 주장하며 옥사했고, 진범과 사건의 미스터리는 아직까지 풀리지 않고 있다.
  • 1948년 일본 - 제2차 요시다 내각
    제2차 요시다 내각은 1948년 10월 15일부터 1949년 2월 16일까지 요시다 시게루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아 야마자키 수상 공작 사건 이후 민주자유당 단독 정권을 발족했다.
  • 전후 쇼와 시대의 내각 -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부터 1947년 5월 24일까지 존속한 일본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개혁 등 전후 일본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는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나,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1947년 총선에서 일본사회당에 제1당 지위를 내주면서 총사퇴하였다.
  • 전후 쇼와 시대의 내각 - 제4차 요시다 내각
    1952년 10월 30일부터 1953년 5월 21일까지 존속한 제4차 요시다 내각은 요시다 시게루 총리 휘하의 자유당 중심 내각으로, 각료 교체와 료쿠후카이 소속 인사 참여, 그리고 바카야로 해산과 같은 정치적 사건이 있었다.
가타야마 내각
기본 정보
1947년 6월 1일 가타야마 내각
1947년 6월 1일 가타야마 내각 국무 대신 임명식 후 기념 촬영
내각 명칭가타야마 내각
일본어 명칭가타야마 나이카쿠 (片山内閣)
대수46대
총리가타야마 데쓰
총리 전 직책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위원장
성립1947년 5월 24일
종료1948년 3월 10일
정당일본사회당, 민주당, 국민협동당, 연풍회회파로서 여당에 참여하지 않음.
선거1947년 참의원 의원 선거
1947년 일본 총선거
총리대신가타야마 데쓰
정부 수반 직함총리
정부 부수반아시다 히토시 (1947년 6월 1일부터)
국가 원수쇼와
관할일본
출범일1947년 5월 24일
해산일1948년 3월 10일
이전 내각제1차 요시다 내각
다음 내각아시다 내각
정치 상황
입법부제2차 국회
입법부 현황다수 (연립)
야당자유당
일본공산당
일본농민당
정치 체제(연합군 점령 하)

2. 성립 배경

일본국 헌법 하에서 처음으로 국회의 지명을 받아 조직된 내각이다.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된 일본사회당을 중심으로,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 내각을 구성하였다. 무산 정당 출신 의원이 수상을 맡은 첫 내각이었다.

당초 가타야마 데쓰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을 포함하여, 일본 공산당을 제외한 '거국 일치 내각'을 구상했다. 그러나 자유당은 입각에 난색을 표했다. 철저한 반공주의자인 요시다와 자유당 간사장 오노 반보쿠는 당수 회담에서 "오늘의 내각회의 기밀을 내일은 모스크바에 누설할 분자(용공의 사회당 좌파)가 있는 사회당 정권에는 참가할 수 없다"며, "아무래도 입각해 주었으면 하면 (사회당) 좌파를 잘라주었으면 좋겠다"라고 요구했다.[22] 결국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는 단독으로 친임식을 거쳐 임시로 각료직을 겸임하는, 이른바 '1인 내각'을 출범시켰다.

요시다는 공식적으로는 '용공' 성향의 사회당 좌파 때문에 연립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는 4당 연립의 불안정한 정국 운영을 우려하여 함께 무너질 것을 걱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자유당은 각료를 내지 않았고, 1947년 6월 1일, 3당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가타야마 내각이 발족되었다. 각료 구성은 사회당 7명, 민주당 7명, 국민협동당 2명, 녹풍회 1명으로 각 당의 균형을 중시했지만, 외무대신, 대장대신 등 주요 각료에 사회당 의원을 배치하지 못해 인재 부족을 드러냈다.

가타야마 내각은 국가공무원법 제정, 내무성 해체 및 경찰 제도의 개혁, 노동성 설치, 실업보험 창설, 봉건적 가족제도 폐지를 위한 민법 개정 등 여러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일본사회당이 주도한 임시 석탄 광업 관리법(탄광 국가관리법)은 산업계와 여당인 민주당 내에서도 반대에 부딪혀 정권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2. 1. 1947년 총선거와 연립 협상

일본국 헌법 하에서 치러진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었지만,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해 연립 내각 구성이 필요했다. 가타야마 데쓰는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을 포함한 거국 일치 내각을 구상했으나, 자유당은 사회당 좌파를 문제 삼아 연립 참여를 거부했다.[22] 요시다 시게루와 자유당 간사장 오노 반보쿠는 "오늘의 내각회의의 기밀을 내일은 모스크바에 누설할 분자(용공의 사회당 좌파)가 있는 사회당 정권에는 참가할 수 없다"며 사회당 좌파를 배제해야만 연립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결국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는 단독으로 친임식을 갖고 대부분의 각료를 임시 대리하는 형태로 내각을 발족시켰다. 이후 민주당, 국민협동당과의 연립 협상을 통해 6월 1일 정식 내각이 출범했다. 각료 구성은 사회당 7명, 민주당 7명, 국민협동당 2명, 녹풍회 1명으로 균형을 맞췄으나, 주요 각료에 사회당 의원이 부족하여 인재난을 드러냈다.

2. 2. 요시다 시게루의 거국일치내각 구상 좌절

요시다 시게루는 일본자유당을 포함한 거국일치내각 구상을 추진했지만, 자유당은 입각에 난색을 표했다. 철저한 반공주의자인 요시다와 자유당 간사장 오노 반보쿠는 "오늘의 내각회의 기밀을 내일은 모스크바에 누설할 분자(용공의 사회당 좌파)가 있는 사회당 정권에는 참가할 수 없다"며, "아무래도 입각해 주었으면 하면 (사회당) 좌파를 잘라주었으면 좋겠다"라고 요구했다.[22]

요시다는 공식적으로는 '용공' 사회당 좌파 때문에 사회당 정권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4당 연립에 의한 불안정한 정권 운영을 예측하고 함께 무너질 것을 우려하여 연립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요시다의 예견은 다음 해에 현실화되었다.

2. 3. '1인 내각'의 출범

일본국 헌법 하에서 처음으로 국회의 지명을 받아 내각을 조직한 사례이다.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된 일본사회당을 중심으로,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 내각을 구성하였다. 무산 정당 출신 의원이 수상을 맡은 첫 내각이었다.

당초 가타야마 데쓰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을 포함하여, 일본 공산당을 제외한 '거국 일치 내각'을 구상했다. 그러나 자유당은 입각에 난색을 표했다. 자유당의 오노 반보쿠는 당수 회담에서 "사회당 좌파를 제거해야만 입각하겠다"고 요구했다.[22] 결국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는 단독으로 친임식을 거쳐 임시로 각료직을 겸임하는, 이른바 '1인 내각'을 출범시켰다.

요시다는 공식적으로는 '용공' 성향의 사회당 좌파 때문에 연립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는 4당 연립의 불안정한 정국 운영을 우려하여 함께 무너질 것을 걱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자유당은 각료를 내지 않았고, 1947년 6월 1일, 3당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가타야마 내각이 발족되었다.

2. 4. 국가공무원법 제정

가타야마 내각 당시에는 공무원의 '공복'화를 목표로 하는 국가공무원법이 제정되었다.[22]

2. 5. 내무성 해체와 경찰 제도 개혁

일본국 헌법하에서 가타야마 내각은 공무원의 ‘공복’화를 목표로 하는 국가공무원법을 제정하고, 내무성을 해체하였으며, ‘자치단체경찰’을 창설하는 등 경찰 제도의 개혁을 실현하였다.[22]

2. 6. 노동성 설치와 노동 정책

가타야마 내각은 노동성을 설치하고 실업보험을 창설하는 등 노동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사회 안정을 위한 중요한 조치였다.[20]

2. 7. 가족 제도 개혁과 민법 개정

일본국 헌법 하에서 가타야마 내각은 봉건적 가족 제도의 폐지를 목표로 한 민법 개정을 실현하였다.[22]

2. 8. 임시 석탄 광업 관리법 제정

일본사회당이 중심이 된 가타야마 내각은 사회주의 정책의 하나로 임시 석탄 광업 관리법(탄광 국가 관리법)을 만들고자 했다. 가타야마 총리는 이 법에 적극적이었지만, 산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여당인 민주당 안에서도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와 어려움을 겪었다.[22]

2. 8. 1. 탄광 국가 관리법 논란과 정권의 취약성

일본사회당을 중심으로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하여 출범한 가타야마 내각은 주요 정책으로 임시 석탄 광업 관리법(통칭 ‘탄광 국가관리법’) 제정을 추진했다. 이는 사회주의 정책 구현을 목표로 한 사회당의 핵심 법안이었으며, 가타야마 총리도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22]

그러나 탄광 국가관리법은 산업계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야당인 자유당뿐만 아니라 여당인 민주당 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오면서 법안 통과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법안은 수정되어 성립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가타야마 내각의 취약성이 드러났다.[22]

법안 채결 과정에서 민주당 시데하라 기주로 파의 반발과 탈당, 사회당 우파 내 니시오 스에히로 관방장관과 히라노 리키조 농림상 간의 갈등, 사회당 좌파의 반대로 인한 보정 예산 부결 등 연립 내각 내부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이는 정권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했고, 결국 가타야마는 1948년 2월 10일 총리직 사퇴를 표명했다.[22]

3. 내각의 구성

제23회 중의원 선거와 제1회 참의원 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면서, 민주당, 국민협동당과의 연립 내각으로 가타야마 내각이 1947년 5월 24일부터 1948년 3월 10일까지 존속하였다.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 데쓰 내각총리대신이 취임하였으나, 다른 국무대신은 임명되지 않아 6월 1일까지 9일 동안 가타야마 총리 1인 내각이 지속되었다.[3] 이 기간 동안 가타야마 총리는 내각총리대신외무대신, 물가청 장관을 겸임하였다.

내각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대수성명의석 및 출신 정당재임 기간
내각총리대신46가타야마 데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위원장
1947년 5월 24일 ~ 1948년 3월 10일
부총리외무대신아시다 히토시중의원 의원
민주당 총재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내무대신기무라 고자에몬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6월 1일 ~ 1947년 12월 31일[23]
대장대신야노 쇼타로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6월 1일 ~ 1947년 6월 25일
구루스 다케오참의원 의원
료쿠후카이
1947년 6월 25일 ~ 1948년 3월 10일
사법대신
법무총재
스즈키 요시오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24]
11948년 2월 15일 ~ 1948년 3월 10일
문부대신모리토 다쓰오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후생대신히토쓰마쓰 사다요시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농림대신히라노 리키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6월 1일 ~ 1947년 11월 4일
임시 대리가타야마 데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위원장
1947년 11월 4일 ~ 1947년 12월 13일
하타노 가나에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12월 13일 ~ 1948년 3월 10일
상공대신미즈타니 조자부로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운수대신도마베치 기조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6월 1일 ~ 1947년 12월 4일
기타무라 도쿠타로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12월 4일 ~ 1948년 3월 10일
체신대신미키 다케오중의원 의원
국민협동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노동대신요네쿠보 미쓰스케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9월 1일 ~ 1948년 3월 10일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겸 물가청 장관와다 히로오참의원 의원
료쿠후카이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복원청 장관(~1947년 10월 15일)
배상청 장관(1948년 2월 1일~)
사사모리 준조중의원 의원
국민협동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행정조사부 총재사이토 다카오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건설원 총재기무라 고자에몬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8년 1월 1일 ~ 1948년 3월 10일
지방재정위원회 위원장다케다 기이치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8년 1월 7일 ~ 1948년 3월 10일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니시오 스에히로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국무대신하야시 헤이마중의원 의원
민주당
1947년 6월 1일 ~ 1947년 11월 25일
법제국 장관사토 다쓰오1947년 6월 14일 ~ 1948년 2월 15일
내각관방차장(정무)소네 에키일본사회당1947년 6월 17일 ~ 1948년 3월 10일
내각관방차장(사무)다키가와 스에카즈1947년 6월 10일 ~ 1948년 3월 10일



니시오 스에히로는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을 맡았으며, 사토 다쓰오는 법제국 장관을, 소네 에키와 다키가와 스에이치는 각각 내각관방차장(정무)와 내각관방차장(사무)를 맡았다.

정무차관은 다음과 같다.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 정무차관마쓰모토 다키조중의원/국민협동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내무 정무차관나가노 나가히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24일 ~ 1947년 12월 31일
대장 정무차관고사카 젠타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사법 정무차관사카키바라 지요중의원/일본사회당1948년 1월 21일 ~ 1948년 2월 14일
법무 정무차관사카키바라 지요1948년 2월 15일 ~ 1948년 3월 10일[24]
문부 정무차관나가에 가즈오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후생 정무차관가네미쓰 요시쿠니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농림 정무차관이노우에 료지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상공 정무차관도미요시 에이지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운수 정무차관다나카 겐자부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체신 정무차관시이구마 사부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
노동 정무차관도이 나오사쿠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9월 1일 ~ 1948년 3월 10일


3. 1. 국무대신

일본사회당 위원장1947년 5월 24일 ~ 1948년 3월 10일부총리외무대신아시다 히토시중의원 의원
민주당 총재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내무대신기무라 고자에몬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2월 31일[23]대장대신야노 쇼타로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6월 25일구루스 다케오참의원 의원
료쿠후카이1947년 6월 25일 ~ 1948년 3월 10일사법대신
법무총재스즈키 요시오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2월 15일[24]11948년 2월 15일 ~ 1948년 3월 10일문부대신모리토 다쓰오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후생대신히토쓰마쓰 사다요시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농림대신히라노 리키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1월 4일임시 대리가타야마 데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위원장1947년 11월 4일 ~ 1947년 12월 13일하타노 가나에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12월 13일 ~ 1948년 3월 10일상공대신미즈타니 조자부로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운수대신도마베치 기조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2월 4일기타무라 도쿠타로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12월 4일 ~ 1948년 3월 10일체신대신미키 다케오중의원 의원
국민협동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노동대신요네쿠보 미쓰스케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9월 1일 ~ 1948년 3월 10일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겸 물가청 장관와다 히로오참의원 의원
료쿠후카이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복원청 장관(~1947년 10월 15일)
배상청 장관(1948년 2월 1일~)사사모리 준조중의원 의원
국민협동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0월 15일
1948년 2월 1일 ~ 1948년 3월 10일행정조사부 총재사이토 다카오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건설원 총재기무라 고자에몬중의원 의원
민주당1948년 1월 1일 ~ 1948년 3월 10일지방재정위원회 위원장다케다 기이치중의원 의원
민주당1948년 1월 7일 ~ 1948년 3월 10일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니시오 스에히로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국무대신하야시 헤이마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1월 25일법제국 장관사토 다쓰오1947년 6월 14일 ~ 1948년 3월 10일내각관방차장(정무)소네 에키일본사회당1947년 6월 17일 ~ 1948년 3월 10일내각관방차장(사무)다키가와 스에카즈1947년 6월 10일 ~ 1948년 3월 10일


3. 1. 1. 1인 내각 시기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 데쓰 내각총리대신이 취임하였으나, 다른 국무대신은 임명되지 않아 6월 1일까지 9일 동안 가타야마 총리 1인 내각이 지속되었다.[3] 이 기간 동안 가타야마 총리는 내각총리대신외무대신, 물가청 장관을 겸임하였다.

직명성명출신 등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46가타야마 데쓰--중의원
일본사회당
첫 입각
일본사회당 위원장
외무대신66임시 대리
(내각총리대신 겸임)
일본사회당 위원장
내무대신-
대장대신-
사법대신-
문부대신-
후생대신-
농림대신-
상공대신-
운수대신-
체신대신-
국무대신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결원)
국무대신
물가청 장관
-1947년 5월 27일까지
-가타야마 데쓰--중의원
일본사회당
사무 취급
(내각총리대신 겸임)
1947년 5월 27일 겸
일본사회당 위원장
국무대신
복원청 총재
-(결원)
국무대신
행정조사부 총재
-


3. 1. 2. 정식 내각

일본사회당 위원장1947년 5월 24일 ~ 1948년 3월 10일부총리
외무대신아시다 히토시중의원 의원
민주당 총재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내무대신기무라 고자에몬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2월 31일[23]대장대신야노 쇼타로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6월 25일구루스 다케오참의원 의원
료쿠후카이1947년 6월 25일 ~ 1948년 3월 10일사법대신
법무총재스즈키 요시오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24]11948년 2월 15일 ~ 1948년 3월 10일문부대신모리토 다쓰오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후생대신히토쓰마쓰 사다요시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농림대신히라노 리키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1월 4일임시 대리가타야마 데쓰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 위원장1947년 11월 4일 ~ 1947년 12월 13일하타노 가나에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12월 13일 ~ 1948년 3월 10일상공대신미즈타니 조자부로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운수대신도마베치 기조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2월 4일기타무라 도쿠타로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12월 4일 ~ 1948년 3월 10일체신대신미키 다케오중의원 의원
국민협동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노동대신요네쿠보 미쓰스케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9월 1일 ~ 1948년 3월 10일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물가청 장관와다 히로오참의원 의원
료쿠후카이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복원청 장관
배상청 장관사사모리 준조중의원 의원
국민협동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0월 15일
1948년 2월 1일 ~ 1948년 3월 10일행정조사부 총재사이토 다카오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건설원 총재기무라 고자에몬중의원 의원
민주당1948년 1월 1일 ~ 1948년 3월 10일지방재정위원회 위원장다케다 기이치중의원 의원
민주당1948년 1월 7일 ~ 1948년 3월 10일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니시오 스에히로중의원 의원
일본사회당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국무대신하야시 헤이마중의원 의원
민주당1947년 6월 1일 ~ 1947년 11월 25일법제국 장관사토 다쓰오1947년 6월 14일 ~ 1948년 3월 10일내각관방차장(정무)소네 에키일본사회당1947년 6월 17일 ~ 1948년 3월 10일내각관방차장(사무)다키가와 스에카즈1947년 6월 10일 ~ 1948년 3월 10일


3. 2. 내각관방장관 및 법제국 장관

니시오 스에히로는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을 맡았으며, 1947년 6월 1일부터 1948년 3월 10일까지 재임하였다.[12]

사토 다쓰오는 법제국 장관을 맡았으며, 1947년 6월 14일부터 1948년 2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13] 1948년 2월 15일에 법제국이 폐지되면서 사토 다쓰오는 면직되었다.

내각관방차장으로는 정무 담당에 소네 에키, 사무 담당에 다키가와 스에이치가 임명되었다. 소네 에키는 1947년 6월 17일부터, 다키가와 스에이치는 1947년 6월 10일부터 1948년 3월 10일까지 재임하였다.[13]

직명성명출신 등재임 기간
내각관방장관2니시오 스에히로--중의원
일본사회당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법제국 장관48사토 다쓰오--법제국1947년 6월 14일 ~ 1948년 2월 15일
내각관방 차장-다키가와 스에이치--일본사회당1947년 6월 10일 ~ 1948년 3월 10일
-소네 에키--외무성1947년 6월 17일 ~ 1948년 3월 10일


3. 3. 정무차관

1947년 12월 31일 면직대장 정무차관고사카 젠타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사법 정무차관사카키바라 지요중의원/일본사회당1948년 1월 21일 임명
1948년 2월 14일 면직법무 정무차관사카키바라 지요1948년 2월 15일 임명[24]문부 정무차관나가에 가즈오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후생 정무차관가네미쓰 요시쿠니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농림 정무차관이노우에 료지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상공 정무차관도미요시 에이지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운수 정무차관다나카 겐자부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체신 정무차관시이구마 사부로중의원/민주당1947년 6월 18일 ~ 1948년 3월 10일노동 정무차관도이 나오사쿠중의원/일본사회당1947년 9월 1일 임명


4. 내각의 붕괴

일본국 헌법 하에서 국회의 지명으로 내각을 조성한 최초의 내각인 가타야마 내각은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된 일본사회당을 중심으로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요시다 시게루의 자유당을 포함한 거국 일치 내각을 목표로 하였으나, 자유당은 사회당 좌파를 '용공'이라고 주장하며 연립에 불참했다. 실제로는 불안정한 정권 운영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22]

자유당을 제외한 3당 중심으로 내각이 발족되었으나, 각료 인선에서 사회당은 주요 직책에 인재를 배치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가나가와 세무서 직원 순직 사건과 같은 밀주 및 탈세 사건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가타야마 내각은 내무성 해체, 노동성 설치, 탄광 국가관리법 제정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탄광 국가관리법은 산업계의 반발과 여당인 민주당 내에서도 이견을 보여 정권의 취약함을 드러냈다.

결국 1948년 2월, 사회당 좌파는 1948 회계 연도 (4월 시작) 예산안을 막겠다고 위협했고, 가타야마 데쓰는 사임했다.[1] 아시다 히토시가 2월 21일에 그의 후임으로 선출되었고, 가타야마 내각은 3월 10일 그의 임명 전까지 직무를 유지했다.

4. 1. 내부 갈등 심화

탄갱 국가관리 법안 채결 과정에서 민주당 시데하라 기주로파가 반발하여 탈당했고, 사회당 우파 내에서는 니시오 스에히로 관방장관과 히라노 리키조 농림상 간의 갈등이 있었다. 또한 사회당 좌파는 보정 예산에 반대하는 등 내부 대립이 표면화되어 정권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22]

4. 2. 보정 예산 부결

사회당 좌파의 반대로 보정 예산이 부결되면서 가타야마 내각은 정권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이러한 내부 갈등은 가타야마 내각의 총사퇴로 이어졌다.[22]

4. 3. 가타야마 데쓰의 퇴진 표명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일본사회당은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 내각을 구성했으나, 정권 운영은 순탄치 않았다. 특히, 탄광 국가관리 법안 채결 과정에서 민주당 시데하라 기주로 파의 반발과 탈당, 사회당 우파 내 니시오 스에히로 관방장관과 히라노 리키조 농림상 간의 갈등, 사회당 좌파의 반대로 인한 보정 예산 부결 등 내부 대립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정권 운영에 어려움을 겪은 가타야마 데쓰는 1948년 2월 10일 총리직 사퇴를 표명했다.[22]

5. 평가와 의의

가타야마 내각은 제23회 중의원 선거와 제1회 참의원 선거에서 제1당이 된 일본사회당이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하여 구성한 내각이다. 일본 최초로 사회주의 정당 출신의 총리대신인 가타야마 데쓰가 내각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전후 일본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1]

그러나 사회당은 자유당과의 대연정을 추진했지만, 자유당은 협력을 거부했다.[1] 가타야마 내각은 중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하고 녹풍회의 지지를 얻어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추구했으나,[1] 가격 통제와 세금 문제 등으로 연립 정당 간 갈등이 발생했고, 사회당 좌파가 1948년도 예산안에 반대하면서 결국 1948년 2월에 가타야마 총리가 사임하게 되었다.[1]

5. 1. 부정적 평가

가타야마 내각은 제23회 중의원 선거와 제1회 참의원 선거에서 제1당이 된 일본사회당이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립하여 구성한 내각이었다. 그러나 이 연립 내각은 시작부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사회당은 자유당과의 대연정을 추진했지만, 자유당은 협력을 거부했다.[1]

1947년 5월 24일부터 1948년 3월 10일까지 존속한 가타야마 내각은 사회당 좌파가 1948년도 예산안에 반대하면서 결국 1948년 2월에 가타야마 총리가 사임하게 되었다.[1] 이처럼 짧은 기간 동안 내각이 유지된 것은 연립 내각의 불안정성과 사회주의 정책 추진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5. 2. 역사적 의의

제23회 중의원 선거와 제1회 참의원 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면서, 일본 최초로 사회주의 정당 출신의 총리대신인 가타야마 데쓰가 이끄는 내각이 수립되었다.[1] 이는 전후 일본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가타야마 내각은 민주당, 국민협동당과의 연립 내각으로, 중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하고 녹풍회의 지지를 얻어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추구했다.[1] 그러나 가격 통제와 세금 문제 등으로 연립 정당 간 갈등이 발생했고, 결국 1948년 2월에 가타야마 데쓰 총리가 사임하면서 내각은 1년도 채 지속되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1]

참조

[1] 웹사이트 Katayama Cabinet http://www.kantei.go[...]
[2] 문서 会派として与党入りしていない。
[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2962620/10}[...] 1947-05-24
[4]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2962627}}" 1947-06-01
[5] 문서 脳溢血による病気療養のため。
[6] 문서 第1次吉田内閣の逓信大臣から転任(6月1日まで一人内閣のため、厳密な転任とは異なる)。
[7] 문서 国務大臣(無任所)より補職。
[8] 문서 内務相より転任。
[9] 문서 地方財政委員会設置に伴い、国務大臣(無任所)より補職。
[10] 문서 笹森は賠償庁に伴い、国務大臣(無任所)より補職。
[11] 문서 1947年6月10日より補職。
[1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2962627}}" 1947-06-01
[13] 문서 1947年(昭和22年)6月17日より政務・事務の次長二人制を導入。
[14] 문서 吉田には山口好一、齋藤には本人が投票。白票は片山、只野直三郎、残り2票は無記名。
[15] 간행물 第1回国会衆議院会議録第4号 https://kokkai.ndl.g[...] 『官報』 1947-05-24
[16] 문서 幣原には服部教一、尾崎には大山安が投票。
[17] 간행물 第1回国会参議院会議録第4号 https://kokkai.ndl.g[...] 『官報』 1947-05-24
[18] 문서 経済安定本部総務長官、復員庁総裁、行政調査部総裁については片山自身への兼務の発令なく6月1日まで空席。物価庁長官のみ3日遅れて5月27日に自らに事務取扱の発令をしている。閣僚ポストではないが、内閣官房長官、法制局長官、内閣官房次長、全ての政務次官も同様に空席。
[19] 문서 税務職員の殉難小史 https://www.nta.go.j[...]
[20] 문서 日本共産党の台頭を恐れた片山内閣は、当初は内務省と参謀第2部|G2が提案していた「公安庁」の設置を検討しており、警察機構の解体には消極的であったが、民政局|GSのチャールズ・L・ケーディスの強い意向により行われた。ケーディスは国家地方警察の設置にも反対していたが、G2のチャールズ・ウィロビーの巻き返しにより、国家地方警察本部が設置された。
[21]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22] 문서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복원청 총재, 행정조사부 총재에 대해서는 가타야마 자신에게의 겸무 발령은 없고 6월 1일까지 공석이 되었다. 물가청 장관만 3일 늦은 5월 27일 스스로에게 사무 취급의 발령을 하고 있다. 각료 임명은 아니지만 내각관방장관, 법제국 장관, 내각관방차장 등의 모든 정무 차관도 동일하게 공석이 되었다.
[23] 문서 1947년 12월 31일에 일본 내무성|내무성]]이 폐지됨.
[24] 문서 1948년 2월 15일에 일본 사법성|사법성]]이 폐지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