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쏘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쏘 전쟁은 16세기 초 이탈리아 북부에서 밀라노 공국과 삼동맹 간의 영토 분쟁으로 발발했다. 밀라노 공국은 발텔리나와 키아벤나 지역을 장악하려 했고, 코모 출신 성직자 잔 자코모 메디치의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1525년 모르베뇨 전투에서 메디치가 패배했지만 키아벤나를 계속 장악했으며, 포로 석방과 평화 협상 과정에서 삼동맹은 트레 피에비를 밀라노에 할양했다. 1531년 밀라노의 재침공으로 구스위스 연방이 개입했고,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개신교 주만 삼동맹을 지지했다. 이 전쟁은 삼동맹의 영토 회복과 가톨릭 주의 지원 거부로 인한 제2차 카펠 전쟁 발발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군사사 - 토블론 라인
토블론 라인은 스위스의 프로멘투스 방어선 일부로, 1930년대 후반부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건설 및 강화되었으며, 전차 저지 장애물, 벙커, 지뢰밭 등을 포함하는 스위스 국방 전략의 핵심 시설이다. - 스위스의 군사사 - 라이슬로이퍼
라이슬로이퍼는 중세 후기부터 근세에 걸쳐 활약한 스위스 용병으로, 장창과 할버드를 이용한 집단 전투술로 명성을 떨치며 유럽 각국에서 고용되었고, 프랑스와 깊은 관계를 맺었으며, 현재는 바티칸 시국의 스위스 근위대가 그 전통을 잇고 있다. - 밀라노 공국이 참전한 전쟁 - 롬바르디아 전쟁
롬바르디아 전쟁은 15세기 초 밀라노 공국의 확장 정책에 맞서 이탈리아 북부에서 다섯 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쟁으로, 피렌체, 베네치아, 교황령 등 다양한 세력이 참여했으며 로디 조약으로 종결되어 이탈리아 반도의 세력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 - 밀라노 공국이 참전한 전쟁 - 코냐크 동맹 전쟁
코냐크 동맹 전쟁은 1526년부터 153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서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주도한 코냐크 동맹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이탈리아의 분열 심화, 교황권 쇠퇴,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간접적 원인이 되었다.
무쏘 전쟁 | |
---|---|
개요 | |
분쟁 명칭 | 무쏘 전쟁 |
다른 명칭 | 데이 본다 전투 (Battaglia di Dei Bonda) 벨린초나 원정 (Spedizione di Bellinzona) |
교전 세력 | |
교전 1 | 세 동맹 프랑스 |
교전 2 | 밀라노 공국 신성 로마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세 동맹 | 융 폰 레치 니클라스 플라처 요한 야콥 루에프 |
밀라노 공국 |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 안토니오 데 레이바 |
전투 기간 | |
시기 | 1차: 1524년 - 1526년 2차: 1531년 - 1532년 |
장소 | 발텔리나 |
결과 | |
결과 | 세 동맹의 승리 |
영향 | 세 동맹이 발텔리나에서 권력을 강화함 무쏘 성이 파괴됨 |
2. 배경
잔 자코모 메디치는 무쏘성에 거주하며 삼동맹과 갈등을 빚은 인물이다. 1521년부터 코모 출신의 밀라노인 성직자였던 그는 키아벤나 계곡을 습격했고, 1524년에는 쿠어 대주교와 동맹을 맺어 삼동맹 정복을 시도했다.[4]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은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5]
1531년, 밀라노는 1526년의 약한 조약을 빌미로 다시 공격을 감행했고, 구스위스 연방 내 종교 갈등은 제2차 카펠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6]
2. 1. 밀라노 공국과 삼동맹의 갈등
잔 자코모 메디치는 1521년부터 무쏘성에 거주하던 코모 출신의 밀라노인 성직자였다. 그는 키아벤나 계곡을 습격했으며, 1524년에는 쿠어 대주교와 동맹을 맺고 삼동맹 정복을 시도했다.[4] 1525년 그의 군대는 모르베뇨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키아벤나를 계속 장악했다. 전투 후 삼동맹은 지안 트래버스가 이끄는 대표단을 파견하여 밀라노와 평화 조약을 맺으려 했다. 그러나 이들은 1525년 9월 메디치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으로 인해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 모두 포로 석방을 위해 신속하게 움직일 수 없었다. 1526년 봄, 프랑스와 베니스의 지원을 받은 삼동맹 대표단은 마침내 포로를 석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메디치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코모 호수 북쪽 끝에 있는 트레 피에비(세 개의 코뮌)를 제공한 후에야 가능했다.[5]1531년, 1526년의 약한 조약으로 인해 밀라노는 다시 모르베뇨를 점령하고 그 지역의 삼동맹 군대를 패배시켰다. 삼동맹은 구스위스 연방에 도움을 요청하며 이전에 체결한 방위 동맹에 따른 지원을 요구했다. 그러나 연방 내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개신교 주만이 삼동맹을 지지했고, 가톨릭 주는 옛 신앙으로 다시 개종해야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프로테스탄트와 동맹군은 발텔리나에서 밀라노 세력을 몰아낼 수 있었다.[5] 이듬해 체결된 평화 조약에서 키아벤나와 발텔리나는 삼동맹에게 주어졌다. 밀라노가 손에 넣을 수 있었던 곳은 트레 피에비뿐이었다.
가톨릭 주가 삼동맹에 대한 지원을 거부한 것은 스위스 취리히주에서 제2차 카펠 전쟁을 일으킨 원인이 되었다. 가톨릭 주는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연방 의회인 타크자충에서 과반수를 확보, 연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6]
2. 2. 잔 자코모 메디치의 등장
1521년부터 무쏘성에 거주하던 코모의 밀라노인 성직자인 잔 자코모 메디치는 키아벤나 계곡을 습격했다. 1524년 쿠어 대주교와 동맹을 맺어 삼동맹 정복을 시도했다.[4] 1525년 그의 군대는 모르베뇨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그는 키아벤나를 계속 장악했다. 전투가 끝난 후 삼동맹은 지안 트래버스가 이끄는 대표단을 파견하여 밀라노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이들은 1525년 9월 메디치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으로 인해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 모두 포로들을 석방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일 수 없었다. 1526년 봄, 프랑스와 베니스의 지원을 받아 삼동맹 대표단은 마침내 포로를 석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메디치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코모 호수 북쪽 끝에 있는 트레 피에비(tre pievi) 또는 3개의 코뮌을 제공한 후에야 석방되었다.[5]
3. 전개 과정
잔 자코모 메디치는 1521년부터 무쏘성에 거주하던 코모 출신 밀라노인 성직자였다. 그는 키아벤나 계곡을 습격했고, 1524년 쿠어 대주교와 동맹을 맺어 삼동맹 정복을 시도했으나,[4] 1525년 모르베뇨 전투에서 패배했다. 하지만 그는 키아벤나를 계속 장악했다. 전투 후 삼동맹은 지안 트래버스를 대표로 밀라노와 평화 조약을 맺으려 했으나, 1525년 9월 메디치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으로 인해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은 포로 석방을 위해 신속하게 움직일 수 없었다. 1526년 봄, 프랑스와 베니스의 지원을 받아 삼동맹은 포로를 석방했지만, 메디치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코모 호수 북쪽의 트레 피에비를 할양해야 했다.[5]
1531년, 밀라노는 다시 모르베뇨를 점령하고 삼동맹 군대를 패배시켰다. 삼동맹은 구스위스 연방에 도움을 요청했고, 방위 동맹에 따라 지원을 요구했다. 연방 내 종교 갈등으로 인해 개신교 주만이 삼동맹을 지지했고, 가톨릭 주는 옛 신앙으로 개종해야만 도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프로테스탄트 동맹군은 발텔리나에서 밀라노 군대를 몰아냈다.[5] 이듬해 체결된 평화 조약에서 키아벤나와 발텔리나는 삼동맹에 귀속되었고, 밀라노는 트레 피에비만을 얻었다.
가톨릭 주의 지원 거부는 제2차 카펠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가톨릭 주는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연방 의회인 타크자충에서 과반수를 확보, 연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6]
3. 1. 초기 충돌 (1521-1525)
잔 자코모 메디치는 1521년부터 무쏘성에 거주하던 코모 출신의 밀라노인 성주였다. 그는 키아벤나 계곡을 습격해 왔으며, 1524년에는 쿠어 대주교와 동맹을 맺고 삼동맹 정복을 시도했다.[4] 1525년, 그의 군대는 모르베뇨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키아벤나를 계속 장악했다.모르베뇨 전투 이후, 삼동맹은 지안 트래버스를 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파견하여 밀라노와 평화 조약을 맺으려 했다. 그러나 이들은 1525년 9월 메디치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으로 인해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 모두 포로 석방을 위해 신속하게 움직일 수 없었다. 1526년 봄, 프랑스와 베니스의 지원을 받은 삼동맹 대표단은 마침내 포로들을 석방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메디치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코모 호수 북쪽 끝에 있는 트레 피에비(세 개의 코뮌)를 넘겨준 후에야 가능했다.[5]
3. 2. 포로 석방과 평화 협상 (1526)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으로 인해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은 포로 석방에 어려움을 겪었다. 1526년 봄, 프랑스와 베니스의 지원을 받은 삼동맹 대표단은 메디치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코모 호수 북쪽 끝에 있는 트레 피에비(tre pievi) 또는 3개의 코뮌을 할양하는 조건으로 포로를 석방했다.[5]3. 3. 밀라노의 재침공과 스위스 연방의 개입 (1531)
1531년, 밀라노는 다시 공격하여 모르베뇨를 점령하고 그 지역의 삼동맹 군대를 패배시켰다. 삼동맹은 구스위스 연방에 도움을 요청했고, 앞서 체결한 방위 동맹에 따른 지원을 요구했다. 연방 내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개신교 주들만이 삼동맹을 지지했고, 가톨릭 주들은 삼동맹이 옛 신앙으로 다시 개종해야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프로테스탄트 동맹군은 발텔리나에서 밀라노 군대를 몰아낼 수 있었다.[5] 이듬해 체결된 평화 조약에서 키아벤나와 발텔리나는 삼동맹에게 귀속되었고, 밀라노는 트레 피에비만을 차지하게 되었다.4. 결과 및 영향
잔 자코모 메디치는 1524년 쿠어 대주교와 동맹을 맺고 삼동맹 정복을 시도했다.[4] 이 과정에서 가톨릭 주들이 삼동맹 지원을 거부하면서 스위스 내 종교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제2차 카펠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제2차 카펠 전쟁에서 가톨릭 주가 승리하며 구스위스 연방의 연방 의회인 타크자충에서 가톨릭 세력이 과반수를 확보, 연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6]
4. 1. 삼동맹의 영토 회복
잔 자코모 메디치는 1525년 모르베뇨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키아벤나를 계속 장악했다.[4] 전투 후 삼동맹은 지안 트래버스를 대표로 보내 밀라노와 평화 조약을 맺으려 했으나, 메디치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4] 종교개혁 이후 종교 분쟁으로 구스위스 연방과 삼동맹은 포로 석방에 어려움을 겪었다. 1526년 봄, 프랑스와 베니스의 지원으로 삼동맹은 포로를 석방했지만, 메디치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코모 호수 북쪽의 트레 피에비를 넘겨야 했다.[5]1531년, 밀라노는 다시 공격해 모르베뇨를 점령하고 삼동맹 군대를 패배시켰다. 삼동맹은 구스위스 연방에 도움을 요청했고, 연방 내 종교 갈등으로 개신교 주만이 삼동맹을 지원했다. 프로테스탄트와 동맹군은 발텔리나에서 밀라노 군대를 몰아냈다.[5] 이듬해 평화 조약으로 키아벤나와 발텔리나는 삼동맹에게 돌아갔고, 밀라노는 트레 피에비만 차지했다.
4. 2. 제2차 카펠 전쟁의 발발
무쏘 전쟁에서 가톨릭 주들이 삼동맹에 대한 지원을 거부한 것은 스위스 내 종교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였으며, 이는 제2차 카펠 전쟁으로 이어졌다. 제2차 카펠 전쟁에서 가톨릭 주들이 승리하면서, 구스위스 연방의 연방 의회인 타크자충에서 가톨릭 세력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6]참조
[1]
서적
The Reformation in the Three Leagues (Grisons)
Brill
2016
[2]
HDS
Musso War
[3]
서적
A Crisis in Swiss Pluralism: The Romansh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German- and Italian-Swiss in the Perspective of a Millennium
Mouton
1979
[4]
서적
The Reformation in the Three Leagues (Grisons)
Brill
2016
[5]
HDS
Musso War
[6]
서적
A Crisis in Swiss Pluralism: The Romansh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German- and Italian-Swiss in the Perspective of a Millennium
Mouton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