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산 (용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수산 (용인)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산으로, 능원리에 있는 문수산과 원삼면 사암리 및 문촌리에 있는 문수봉으로 나뉜다. 능원리 문수산에는 고려 말 유학자 정몽주와 그의 손녀사위 이석형의 묘가 있으며, 특히 정몽주의 묘역은 매년 천장 행렬을 재현하는 포은문화제가 열리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문수산 일대는 풍수지리적으로 '쌍유혈'로 불리며 명당으로 여겨진다. 주변에는 한국등잔박물관과 용인자연휴양림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지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용인시의 지리 -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에서 시작해 서울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약 32.66km 길이의 하천으로, 백제 시대 군사 훈련장, 조선 시대 숯 생산지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주변 아파트 단지 및 스포츠 시설을 갖춘 도시 하천이다. - 한남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정맥 - 관악산
관악산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있는 높이 629m의 산으로, 험준한 봉우리와 기암절벽, 깊은 계곡으로 유명하며 효령대군과 관련된 연주대와 연주암이 있고,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기도의 산 - 불암산
불암산은 서울 노원구와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과거 필암산으로 불리다가 승려의 송낙을 닮은 바위 봉우리 때문에 불암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암벽 등반 연습장과 불암폭포, 사찰 등이 위치해 있고, 한국 전쟁 당시 유격대가 활동하기도 했다. - 경기도의 산 - 수락산
수락산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경계에 있는 높이 637m의 산으로, 화강암 암벽과 유서 깊은 사찰, 폭포, 정자 등의 명소가 있으며 맑은 물이 떨어지는 모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문수산 (용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산 정보 | |
이름 | 문수산 |
한자 표기 | 문수산 (文秀山) |
높이 | 221.4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동림리 |
산맥 | 알 수 없음 |
2. 정몽주 묘역과 천장 행렬
경기도 용인시 모현읍 능원리에는 포은 정몽주(1337∼1392) 선생의 묘역이 있다. 이곳에서는 매년 정몽주 선생을 기리는 포은문화제가 열리는데, 그중 하나는 천장(遷葬) 행렬 행사이다.[1]
이 천장 행렬은 정몽주 선생이 선죽교에서 희생된 뒤 고향인 영천으로 이장하던 중 일어난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을 지날 때, 갑자기 상여의 명정(죽은 사람의 품계, 관직, 성씨 따위를 적은 깃발)이 회오리바람에 날아가 죽전 대지고개를 넘어 모현읍 능원리 문수산에 떨어졌고, 그곳에 묘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1]
문수산에는 연안 이씨인 조선 세조 때의 문신 이석형(1415~1477)과 영일 정씨인 포은 정몽주의 무덤이 나란히 있다. 이석형은 정몽주의 손녀사위이다.
2. 1. 포은 정몽주와 천장 행렬
고려 말 충신 정몽주(1337∼1392) 선생을 기리는 포은문화제에서는 해마다 천장(遷葬) 행렬 행사가 열린다.[1] 천장 행렬은 정몽주 선생이 선죽교에서 희생된 뒤, 복권되어 고향인 영천으로 이장하던 중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에서 상여의 명정(죽은 사람의 품계, 관직, 성씨 따위를 적은 깃발)이 회오리바람에 날아가 죽전 대지고개를 넘어 모현읍 능원리 문수산에 떨어져 묘를 쓰게 되었다는 전설을 재현한 것이다.[1]조선 세조 때의 문신 이석형(1415~1477, 정몽주의 손녀사위)과 정몽주의 무덤은 모현읍 능원리 문수산에 나란히 있다.[1] 이들이 묻힌 자리는 ‘쌍유혈(雙乳穴)’로 유명한데, 이는 여인의 ‘두 젖가슴처럼 생긴 자리’라는 풍수지리 용어로, 그만큼 이 일대가 좋은 땅임을 의미한다.[1]
2. 2. 이석형과 쌍유혈
조선 세조 때의 문신 이석형(1415~1477)과 포은 정몽주 무덤이 용인시 모현읍 능원리의 문수산에 나란히 묻혀 있다.[1] 이석형은 정몽주의 손녀사위이다.[1] 정몽주와 이석형이 각각 묻힌 자리는 ‘쌍유혈(雙乳穴)’로 유명한데, 쌍유혈이란 여인의 ‘두 젖가슴처럼 생긴 자리’라는 풍수 용어이다. 그만큼 이 일대가 좋은 땅이라고 전해진다.[1]3. 문수산의 지리적 특징
경기도 용인시에는 한자가 다른 문수산(文秀山)과 문수봉(文殊峰) 두 산이 있으며, 높이도 다르다.[3]
3. 1. 문수산(文秀山)과 문수봉(文殊峰)
경기도 용인시에는 문수산(文秀山)과 문수봉(文殊峰) 두 개의 산이 있다. 한자가 다르듯이 산의 높이도 다르다. 능원리 문수산(文秀山)은 221.4m이고, 원삼면 사암리와 문촌리의 문수봉(文殊峰)은 403.2m이다.[3]현재 지도에는 원삼면 사암리의 문수산이 문수봉으로 표기되어 있어 혼란을 준다. 높이가 300m 이상은 되어야 산이라고 할 수 있는데, 능원리의 문수산은 221.4m임에도 산으로 표기하고 원삼면 사암리와 문촌리의 문수산은 봉으로 표기하여 앞뒤가 맞지 않는다.[3]
4. 주변 명소
43번 국도를 타고 10분 정도 달리면 한국등잔박물관(처인구 능원리)에 도착한다. 등잔박물관에서 걸어서 5분 거리에는 정몽주 선생 묘가 있다. 정몽주 선생 묘는 개성 풍덕에 있던 묘소를 현재 위치인 모현면 능원리 문수산 기슭으로 옮겨 부인 경주 이씨와 합장하였다.[2]
4. 1. 한국등잔박물관
한국등잔박물관은 1997년 9월 세브란스병원 의사였던 김동휘씨가 40여 년간 수집한 등잔을 모아 개관하였다.[2]1층은 사랑방, 안방, 찬방, 부엌 등으로 실내 공간을 구성하고 선비, 아낙, 아이, 서민들이 쓰던 등잔을 전시했다. 2층에서는 등잔의 역사와 다른 나라의 등잔을 볼 수 있다.[2]
4. 2. 용인자연휴양림
용인자연휴양림은 2009년 9월에 개장하였으며, 반나절이면 돌아볼 수 있다.[2]참조
[1]
웹사이트
향토문화대전
http://www.grandcult[...]
2010-09-29
[2]
뉴스
용인 녹색 시티투어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4-06
[3]
기사
용인신문에 기고한 글
http://www.yongin21.[...]
용인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