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학 (사회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학은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문화 기제를 역사적,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모델화하여 지식으로 제공하는 학문이다. 지식의 생산과 분배, 자연 인식 방식의 변화, 기술의 규정력, 미디어, 인간관의 역사적 변화 등을 연구하며, 러시아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마르크스주의적 문화 접근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발전했다. 러시아 문화학은 철학, 이론, 역사, 사회학, 인류학, 응용 연구 등 다양한 학파를 포함하며, 모스크바 대학교 등에서 연구가 이루어진다. 서구에서는 레슬리 화이트가 용어를 대중화했으며, 마리오 붕게는 사회학적, 경제적, 정치적, 역사적 연구로 정의했다. 파브리스 리볼트는 국제 정치 문화학을 제안하여 국제 관계를 설명하려 했다. 한국에서는 문화 경영 및 한류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학이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 문화유산
    문화유산은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자연유산, 디지털 유산으로 나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기념물, 건축물군, 유적으로 문화유산을 구분하고 문화적 경관 개념을 추가하여 인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각국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문화 - 단혼
    단혼 또는 일부일처제는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중혼 또는 다처제와 대조되며, 사회적, 성적, 유전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고, 현대 사회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시행되며, 여성 권리 운동의 옹호를 받는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문화학 (사회과학)
학문 분야
분야사회과학
주요 관심사
관심사문화, 사회, 인류
관련 학문 분야
관련 학문인류학, 사회학,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문화 연구, 민족지학

2. 연구 대상

이상엽 교수에 따르면 문화학은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모든 문화기제들이 그 대상영역이다.[19] 주요 연구 대상은 다음과 같다.


  • 지식 생산 및 분배 메커니즘 (학문 문화) 연구[19]
  • 자연 인식 방식의 변화 (자연문화사) 연구[19]
  • 기술의 문화사 연구[19]
  • 매체(미디어) 연구[19]
  • 역사적 인간학 연구[19]


이처럼 문화학의 과제는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문화기제들의 생성 및 작용 연관을 역사적·체계적으로 해석하고 모델화하여 지식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은 대중이 스스로를 이해하고 자신의 실천적 행위 방식을 고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19]

2. 1. 지식 생산 및 분배

이상엽 교수에 따르면, 문화학은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모든 문화 기제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19] 그중 하나는 지식이 생산되고 분배되는 메커니즘, 즉 학문 문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는 지식인들의 학문 문화 속에서 특정 패러다임이 어떻게 등장하고 사라지는지에 따라 인간의 세계 해석 방식과 일상생활이 변화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분야로 여겨진다.[19]

2. 2. 자연 인식 방식의 변화

문화학은 인간이 자연을 어떻게 인식해왔는지 그 변화 과정을 연구한다. 이는 '자연문화사' 연구라고도 할 수 있다.[19]

역사를 살펴보면, 사람들은 자연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했다. 자연철학적 관점, 종교적 관점, 자연을 단순히 도구로 보는 관점, 낭만적 관점, 생태적 관점 등이 있었다.[19] 오늘날 우리가 익숙한 자연과학에 기반한 자연 이해는 근대 이후에 등장한 비교적 새로운 방식이다.[19] 문화학은 이러한 근대 이전의 다양한 자연 인식 방식, 즉 과거 사람들이 자연을 지각하고 해석했던 관점들을 다시 살펴보고 그 의미를 되살림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인간과 자연이 새로운 관계를 맺을 가능성을 탐색한다.[19]

2. 3. 기술의 문화사

문화학의 연구 대상 중 하나는 인간에 대해 기술이 갖는 규정적 힘을 탐구하는 기술의 문화사이다. 과거에는 부분적인 의미만 가졌던 기술이 역사의 어느 단계에서 중요하게 부각되었는지 살펴보고, 기술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들을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이 분야의 주요 관심사이다.

2. 4. 매체(미디어) 연구

문화학의 연구 대상 중 하나는 매체 (미디어)에 관한 연구이다.[19] 인간은 항상 매체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소통하며, 이는 곧 매체에 의해 삶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19] 문화학에서는 다양한 매체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 역사를 살펴보고, 각각의 매체가 인간의 인식, 행위, 그리고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관찰한다.[19] 특히 현대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는 대중매체에 대한 연구는 문화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19]

2. 5. 역사적 인간학

문화학의 연구 영역 중 하나로, 앞서 언급된 지식 생산 메커니즘, 자연 인식 방식, 기술의 영향, 매체 연구 등의 결과물을 토대로 인간관의 역사적 변화를 탐구한다.[19] 이는 인간에 관한 담론들이 어떻게 생겨나고 발전했는지, 그리고 인간의 사유, 행위, 상상력, 감각, 감정, 느낌 등이 특정 사회나 시대 속에서 어떻게 코드화되고 이해되어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9] 예를 들어, 특정 시대 사람들이 세상을 어떻게 감각하고 느꼈는지를 연구하는 '감각의 역사' 탐구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19]

3. 러시아의 문화학

러시아의 문화학(культурология|쿨투롤로기야ru)은 인문학학제간 분과로, 1960년대 후반 소련에서 시작되었다.[1] 이는 인간 문화와 그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것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당시 소련의 지배적인 마르크스주의적 문화 접근 방식에 도전하며 발전했으며, 소련의 해체 이후 러시아의 고등 교육 기관과 중등학교에서 주요 과목으로 가르쳐지고 있다.[2] 러시아 문화학은 서구의 문화 연구 분야와 비교되기도 하지만, 고유한 특징과 발전 과정을 거쳐왔다.

3. 1. 발전 과정

문화학(культурология|쿨투롤로기야rus)은 인문학학제간 분과로서, 그 기원은 1960년대 후반 소련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미하일 바흐친, 알렉세이 로세프, 세르게이 아베린체프, 게오르기 가체프, 유리 로트만,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블라디미르 토포로프, 에드워드 마르카리안 등 학자들의 연구는 기존의 마르크스주의적 사회 정치적 문화 접근 방식에 도전하는 성격을 띠었다.[1]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문화학은 러시아에서 공식적인 학문 분야로 인정받고, 고등 교육 기관의 연구 과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소련의 해체 이후에는 러시아 고등학력 인증 위원회의 학위 수여 가능 전문 분야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현재 고등 교육 기관과 중등학교의 필수 교과 과정으로 편성되어 있다.[2] 문화학은 인간 문화와 그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것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 이는 서구의 문화 연구 분야와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도 지닌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문화학 학파들이 형성되었다.

지난 수십 년간 형성된 주요 문화학 학파
학파주요 학자
문화 철학A. 아놀드, G. V. 드라흐, N. S. 즈로빈, M. S. 카간, V. M. 메주예프, Y. N. 솔로닌, M. B. 투로프 등
문화 이론B. S. 이에라소프, A. S. 카르민, V. A. 루코프, A. A. 펠리펜코, E. V 소콜로프, A. 야. 플리에르 등
문화사S. N. 이코니코바, I. V. 콘다코프, E. A. 슐레포바, I. G. 야코벤코 등
문화 사회학I. 아키에저, L. G. 이오닌, L. N. 코간, A. I. 쉔드릭 등
문화 인류학A. A. 벨릭, 예. A. 오를로바, A. S. 오를로프-크레취머, 유. M. 레즈니크 등
응용 문화 연구O. 아스타피예바, I. M. 비호프스카야 등
문화 연구 예술K. E. 라즈로고프, N. A. 흐레노프 등
문화 기호학유리 로트만, V. N. 토포로프, V. V. 이바노프, E. M. 멜레틴스키 등
문화 교육G. I. 즈베레바, A. I. 크라브첸코, T. F. 쿠즈네초바, L. M. 모솔로바 등



1992년부터는 러시아 문화 연구소(RIC)에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재 모스크바 중앙 사무소를 중심으로 시베리아 지부(1993년 옴스크 개설), 상트페테르부르크 지부(1997년 개설), 남부 지부(2012년 크라스노다르 개설) 등 세 개의 지부가 운영되고 있다.

3. 2. 주요 학파

문화학(культурология|쿨투롤로기야ru)은 소련에서 발전하며 지난 수십 년 동안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학파들이 형성되었다.[1][2]

  • 문화 철학: A. 아놀드, G. V. 드라흐, N. S. 즈로빈, M. S. 카간, V. M. 메주예프, Y. N. 솔로닌, M. B. 투로프 등
  • 문화 이론: B. S. 이에라소프, A. S. 카르민, V. A. 루코프, A. A. 펠리펜코, E. V 소콜로프, A. 야. 플리에르 등
  • 문화사: S. N. 이코니코바, I. V. 콘다코프, E. A. 슐레포바, I. G. 야코벤코 등
  • 문화 사회학: I. 아키에저, L. G. 이오닌, L. N. 코간, A. I. 쉔드릭 등
  • 문화 인류학: A. A. 벨릭, 예. A. 오를로바, A. S. 오를로프-크레취머, 유. M. 레즈니크 등
  • 응용 문화 연구: O. 아스타피예바, I. M. 비호프스카야 등
  • 문화 연구 예술: K. E. 라즈로고프, N. A. 흐레노프 등
  • 문화 기호학: 유리 로트만, V. N. 토포로프, V. V. 이바노프, E. M. 멜레틴스키 등
  • 문화 교육: G. I. 즈베레바, A. I. 크라브첸코, T. F. 쿠즈네초바, L. M. 모솔로바 등

3. 3. 러시아 문화 연구소

1992년부터 러시아 문화 연구소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오늘날 모스크바의 중앙 사무실 외에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지부가 운영되고 있다.

3. 4. 모스크바 대학교의 문화학

1990년, 모스크바 대학교 철학부에 세계 문화의 역사와 이론 학과가 개설되었다. V. V. 이바노프, S. S. 아베린체프, A. Y. 구레비치, M. L. 가스파로프, G. S. 크나베, E. M. 밀레틴스키, V. N. 로마노프, T. V. 바실리에바, N. V. 브라긴스카야, V. V. 비비킨, 알렉산드르 도브로호토프와 같은 여러 저명한 소련 및 러시아 학자들이 이곳에서 연구를 수행했다.[3]

유리 로제스트벤스키는 모스크바 대학교 언어학과에 문화학 학파를 세웠다. 로제스트벤스키가 제시한 문화 발전 접근 방식(층의 축적과 상호 영향)은 미디어 생태학에서 사용하는 접근 방식과 비교되기도 한다.

4. 기타 용례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문화학"이라는 단어는 1920년부터 "문화 또는 한 문화를 연구하는 과학"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4] 이후 미국의 인류학자 레슬리 화이트가 현대 영어권 사회 과학자들 사이에서 이 용어를 널리 알렸으며,[5][6][7] 과학 철학자 마리오 붕게는 이를 구체적인 문화 시스템에 대한 과학적 연구로 정의하고 발전시켰다.[12] 또한, 문화학의 접근 방식은 국제 관계와 같은 다른 학문 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파브리스 리볼트에 의해 국제 정치 문화학이라는 하위 분야가 제안되기도 했다.[13]

4. 1. 레슬리 화이트의 문화학

미국의 인류학자 레슬리 화이트(1900-1975)는 현대 영어를 사용하는 사회 과학자들 사이에서 ''문화학''이라는 용어를 대중화시킨 인물이다.[5][6][7] 화이트는 문화학을 문화와 문화 시스템을 연구하는 데 전념하는 과학 분야로 정의했다.[8][9] 그는 "문화학"이 1872년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의 저서 ''원시 문화''에서 정의된 "문화 과학"으로 더 일찍 알려졌다고 언급했다.[10] 화이트는 또한 그가 1939년에 이 용어를 도입했고,[11] 이 용어가 영어 사전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54년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이에 해당하는 독일어 용어인 Kulturwissenschaft|쿨투어비센샤프트de가 1909년 빌헬름 오스트발트에 의해 도입되었다고 언급했다.[10]

4. 2. 마리오 붕게의 문화학

과학 철학자 마리오 붕게(1919-2020)는 문화학을 구체적인 문화 시스템에 대한 사회학적, 경제학적, 정치적, 역사적 연구로 정의했다. 그는 문화학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공시적 문화학"은 문화의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 이데올로기 연구와 관련이 깊고, "통시적 문화학"은 역사 연구의 일부라고 보았다. 붕게는 이러한 "과학적 문화학"이 전통적인 문화 연구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화 연구가 종종 과학적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회적 사실이나 구체적인 사회 시스템을 연구하는 데 미숙한 이상주의적 문학 비평가나 유사 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비판했다.[12]

붕게의 체계적이고 유물론적인 문화 연구 접근 방식은 사회 과학 내에서 여러 새로운 연구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파브리스 리볼트는 붕게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국제 관계의 하위 분야로서 국제 정치 문화학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이는 세계 문화 시스템과 그 하위 시스템들을 이해하고, 문화적 요인들이 정치경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국제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려는 시도이다.[13] 이러한 과학적 접근 방식은 문화주의, 구성주의, 문화적 포스트모더니즘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논리, 경험주의, 시스템주의, 창발적 유물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14] 국제 정치 문화학은 현재 전 세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15][16]

4. 3. 국제 정치 문화학

과학 철학자 마리오 붕게(1919-2020)는 문화학을 구체적인 문화 시스템에 대한 사회학적, 경제적, 정치적, 역사적 연구로 정의했다. 그는 문화의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공시적 문화학"과 역사의 한 부분인 "통시적 문화학"을 구분했다. 붕게에 따르면, 이러한 "과학적 문화학"은 전통적인 문화 연구와 다르다. 그는 전통적 문화 연구가 종종 과학적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회적 사실과 구체적인 사회 시스템 연구에 미흡한 이상주의적 문학 비평가나 유사 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12]

붕게의 체계적이고 유물론적인 문화 연구 접근 방식은 사회 과학 내에서 다양한 새로운 연구 분야의 등장을 촉진했다. 예를 들어, 파브리스 리볼트는 국제 관계의 하위 분야로서 국제 정치 문화학을 처음으로 공식화하고 제안한 학자이다.[13] 국제 정치 문화학은 세계 문화 시스템과 그 수많은 하위 시스템을 이해하고, 문화적 변수가 정치경제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며 세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이러한 과학적 접근 방식은 문화주의, 구성주의, 문화적 포스트모더니즘과는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국제 정치 문화학은 논리, 경험주의, 시스템주의, 창발적 유물론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14] 국제 정치 문화학은 현재 전 세계의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15][16]

5. 한국의 문화학

한국에서 문화학은 사회과학인문학의 여러 분과와 교차하며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주로 서구 이론을 수용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점차 한국 사회의 독특한 문화 현상과 역사적 맥락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 범위가 확장되었다. 특히 대중문화, 문화 정책, 문화 정체성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며, 사회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연구들도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5. 1. 문화 경영 및 문화 콘텐츠

문화학 중에서 특히 문화경영학을 전공하는 학자의 경우 석사 학위를 MBA로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존 문화학에서는 문화 경영 부문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일반적인 학술 경영학 학위는 이론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어 실무적인 경영 기술을 익히기 위한 선택으로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Transcultural Experiments: Russian and American Models of Creative Communication http://www.emory.edu[...] St. Martin's Press (Scholarly and Reference Division) 1999
[2] 웹사이트 http://db.informika.[...] 2007-04-07
[3] 웹사이트 Философский факультет http://new.philos.ms[...] 2015-08-26
[4] 문서 culturology
[5] 서적 The Science of Culture: A Study of Man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24-07-27
[6] 서적 The Evolution of Culture: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o the Fall of Rom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7-27
[7] 서적 The Science of Culture: A Study of Man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24-07-27
[8] 서적 The Evolution of Culture: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o the Fall of Rome McGraw-Hill 1959
[9] 서적 The Concept of Cultural Systems: A Key to Understanding Tribes and Nation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5
[10] 간행물 Culturology 1958-11-21
[11] 간행물 A problem in kinship terminology https://anthrosource[...]
[12] 서적 Social Science Under Debat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8
[13] 웹사이트 CULTUROLOGY - Definition - A Scientific Approach to the Study of Culture https://culturologia[...] 2021-09-22
[14] 서적 Political Philosophy - Fact, Fiction and Vision Transaction Publishers 2009
[15] 웹사이트 Cultural Factor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crvp.org/[...] 2005
[16] 문서 Combining Research on Cultural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2009
[17] 문서 기독교 철학자들의 문화관 북코리아
[18] 웹사이트 문화학, 인간·세계에 대한 연구 넓혀 http://inews.ewha.ac[...]
[19] 웹사이트 문화학, 인간·세계에 대한 연구 넓혀 http://inews.ewha.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