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리 상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리 상수는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된 값으로, 2019년 국제 단위계(SI) 재정의 이후 빛의 속도, 플랑크 상수, 기본 전하 등 세 가지 기본 상수를 포함한 고정된 자연 현상으로 정의된다. 주요 물리 상수에는 광속, 중력 상수, 플랑크 상수, 기본 전하, 아보가드로 상수, 볼츠만 상수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자기학, 원자 및 핵물리학, 물리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물리 상수는 시간과 위치에 독립적인 상수성을 가져야 하며, 그 불변성은 실험을 통해 검증된다. 또한, 미세 구조 상수와 같은 무차원 물리 상수는 우주의 미세 조정 및 인류 원리와 관련하여 논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험적 법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 경험적 법칙 - 중력
    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지구에서는 물체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되며, 현대 물리학에서는 양자 중력 이론과 중력파 관측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 과학 법칙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과학 법칙 - 보일의 법칙
    보일의 법칙은 온도와 질량이 일정할 때 기체의 압력과 부피가 반비례한다는 법칙으로, 로버트 보일이 발견했으며, 수학적으로 PV = k로 표현된다.
  • 측정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측정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물리 상수
개요
분야물리학
하위 분야기초 상수
성격보편적이고 불변하는 물리량
설명자연 법칙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무차원 또는 차원을 가진 물리량
예시
차원을 가진 상수진공 유전율
진공 투자율
만유인력 상수
플랑크 상수
볼츠만 상수
무차원 상수미세 구조 상수
강한 결합 상수
기본 입자 질량 비율

2. 역사적 배경

물리 상수는 그 역사가 길지 않다.

2. 1. SI 단위계의 재정의 (2019년)

2019년 개정 이후, 국제 단위계의 모든 단위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인 ''c''; 플랑크 상수, ''h''; 그리고 기본 전하, ''e''를 포함한 세 가지 기본 상수를 포함한 고정된 자연 현상으로 정의되었다.[3]

새로운 정의의 결과로, 킬로그램과 같은 SI 단위는 기본 상수와 실험적으로 측정된 상수, Δ''ν''Cs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3]

: 1 kg = (}).

SI 단위계의 그림, 기본 단위 및 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정의 상수: '''s''' – ''''''에 대한 세슘 전이 주파수, '''kg''' – '''킬로그램'''에 대한 IPK의 질량, '''mol''' – ''''''에 대한 탄소 12 원자 질량, '''cd''' – '''칸델라'''에 대한 인간 눈의 감도, '''K''' – '''켈빈'''에 대한 볼츠만 상수, '''A''' – '''암페어'''에 대한 진공의 자기 투자율, '''m''' – '''미터'''에 대한 빛의 속도.

3. 주요 물리 상수

물리 상수는 물리 이론에서 설명할 수 없는 매개변수로, 실험을 통해 측정해야 한다.[4] 물리 상수는 물리 모델의 변화에 따라 그 집합과 기본적인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c'')는 처음에는 빛의 속성으로 여겨졌으나, 전자기학의 발전으로 전자기 현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상수가 되었고,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는 인과성의 기초로 이해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4]

물리 상수가 나타내는 물리량은 단위계에 의존하지 않지만, 그 수치 값은 단위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는 SI 단위로 표현하면 m/s이지만, 플랑크 단위에서는 1이다.

2019년 개정 이후, 국제 단위계의 모든 단위는 ''c'', ''h'', ''e'' 등 고정된 자연 현상을 통해 정의된다.[3]

자연 단위를 구성하기 위해 차원을 가진 보편적인 물리 상수를 결합하여 원하는 차원의 고정된 양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랑크 단위는 양자 중력 연구에, 원자 단위는 원자 물리학에 편리한 단위를 제공한다.

아래 표는 주요 물리 상수를 나타낸 것이다.

기호상대
표준
불확도
기본 전하e
뉴턴의 만유인력 상수G
플랑크 상수h
진공 중의 빛의 속도c
진공 전기 유전율 \varepsilon_0
진공 자기 투자율 \mu_0
전자 질량m_{\mathrm{e}}
미세 구조 상수\alpha = e^2 / 2 \varepsilon_0 h c
조셉슨 상수K_{\mathrm{J}} = 2 e / h
리드베리 상수R_\infin = \alpha^2 m_{\mathrm{e}} c / 2 h
폰 클리칭 상수R_{\mathrm{K}} = h / e^2


3. 1. 보편 상수

기호출처
진공에서의 광속c299 792 458 m·s-1 (정의)a
진공의 투자율μ01.256 637 062 12(19) × 10-6 N A-2a
진공의 유전율ε0 = 1/(μ0c2)8.854 187 8128(13) ... × 10-12 F·m-1a
진공의 온저항Z0 = μ0c376.730 313 668(57) Ωa
중력 상수G6.674 30(15) × 10-11 m3·kg-1·s-2?
플랑크 상수h6.626 070 15 × 10-34 J·s (정의)a
디랙 상수ℏ|ħ영어 = h / (2π)1.054 571 817... × 10-34 J·sa
플랑크 질량mp = (ℏ|ħ영어 / G)1/22.1767(16) × 10-8 kga
플랑크 길이lp= (ℏ|ħ영어G / c3)1/21.6160(12) × 10-35 ma
플랑크 시간tp = (ℏ|ħ영어G / c5)1/25.3906(40) × 10-44 sa
기본 전하e1.602 176 634 × 10-19 C (정의)a
전자불변 질량me9.109 383 7015(28) × 10-31 kga
양성자불변 질량mp1.672 621 923 69(51) × 10-27 kga
중성자불변 질량mn1.674 927 498 04(95) × 10-27 kga
원자 질량 상수mu = 1 u1.660 539 066 60(50) × 10-27 kga
아보가드로 상수L, NA6.022 140 76 × 1023 mol-1 (정의)a
볼츠만 상수k1.380 649 × 10-23 J·K-1 (정의)a
패러데이 상수F96 485.332 12... C·mol-1a
기체 상수R8.314 462 618... J·K-1·mol-1a
섭씨 영점273.15 K (정의)?
이상 기체의 몰부피, p = 1 bar, θ = 00C22.710 981(40) L·mol-1a
표준 기압atm101 325 Pa (정의)a
미세 구조 상수α = μ0e2c / (2h)7.297 352 5693(11) × 10-3a
α-1137.035 999 084(21)a
보어 반지름a05.291 772 109 03(80) × 10-11 ma
하트리 에너지Eh4.359 744 722 2071(85) × 10-18 Ja
뤼드베리 상수R10 973 731.568 160(21) m-1a
보어 자기자μB9.274 010 0783(28) × 10-24 J·T-1a
전자의 자기 모멘트μe-9.284 763 62(37) × 10-24 J·T-1a
자유 전자 상수ge2.002 319 304 362 56(35)?
핵 자기자μN5.050 783 7461(15) × 10-27 J·T-1?
양성자 자기 모멘트μp1.410 607 61(47) × 10-26 J·T-1?
양성자의 자기회전비γp2.675 221 28(81) × 108 s-1·T-1?
H20에서의 자기 극자 모멘트, μ'pμ'p / μB1.520 993 129(17) × 10-3?
H20에서의 양성자 자기 공명 주파수γ'p / (2π)42.576 375 (13) M·Hz·T-1?
슈테판-볼츠만 상수σ5.670 374 419... × 10-8 W·m-2·K-4a
제1 복사 상수c13.741 771 852... × 10-16 W·m2?
제2 복사 상수c21.438 776 877... × 10-2 m·K?
표준 중력 가속도 (지구에서)gn9.80665 m·s-2 (정의)?



물리 상수는 해당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물리 이론의 매개변수이다. 이는 상수의 명백한 기본적인 성격 때문이거나 이론의 한계 때문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물리 상수는 실험적으로 측정해야 한다.[4]

물리 상수로 간주되는 매개변수 집합은 물리 모델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되며, 얼마나 기본적인지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인 c 는 원래 특정 시스템인 빛의 속성으로 간주되었다. 맥스웰 방정식의 발견과 검증은 동일한 양을 전체 시스템인 전자기학과 연결했다. 특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그 양은 인과성의 기초로 이해되기에 이르렀다.[4] 빛의 속도는 매우 기본적인 것이어서 이제 국제 미터를 정의한다.

물리 상수가 나타내는 물리량은 해당 물리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 단위계에 의존하지 않지만, 차원을 가진 물리 상수의 수치 값은 단위계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물리 상수"라는 용어는 물리량을 지칭하며, 특정 단위계 내의 수치 값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는 SI 단위인 초당 미터(m/s)로 표현될 때 299792458의 수치 값을 가지며, 자연 단위인 플랑크 단위의 플랑크 길이/플랑크 시간으로 표현될 때는 1의 수치 값을 갖는다. 빛의 속도 자체는 단위 선택에 따라 수치 값을 임의로 정의할 수 있지만, 하나의 물리 상수이다.

2019년 개정 이후, 국제 단위계의 모든 단위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인 ''c''; 플랑크 상수, ''h''; 그리고 기본 전하, ''e''를 포함한 세 가지 기본 상수를 포함한 고정된 자연 현상으로 정의되었다.[3]

새로운 정의의 결과로, 킬로그램과 같은 SI 단위는 기본 상수와 실험적으로 측정된 상수, Δ''ν''Cs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3]

: 1 kg = .

차원이 있는 보편적인 물리 상수를 결합하여 원하는 차원의 고정된 양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속성은 다양한 자연 단위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사용된 상수의 선택과 배열에 따라 결과적인 자연 단위는 연구 분야에 편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G'', ''ħ'', ''k''B로 구성된 플랑크 단위는 양자 중력 연구에 사용하기 편리한 크기의 측정 단위를 제공하며, ''ħ'', ''m''e, ''e'', 4''π''''ε''0로 구성된 원자 단위는 원자 물리학에서 편리한 단위를 제공한다. 사용된 상수의 선택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양을 초래한다.

3. 2. 전자기학 상수

기호출처
진공에서의 광속c299 792 458 m·s-1 (정의)a
진공의 투자율μ01.256 637 062 12(19) × 10-6 N A-2a
진공의 유전율ε0 = 1/(μ0c2)8.854 187 8128(13) ... × 10-12 F·m-1a
진공의 온저항Z0 = μ0c376.730 313 668(57) Ωa
기본 전하e1.602 176 634 × 10-19 C (정의)a
미세 구조 상수α = μ0e2c / (2h)7.297 352 5693(11) × 10-3a
α-1137.035 999 084(21)a
자기 선속 양자\Phi_0=\tfrac{h}{2e}
컨덕턴스 양자G_0=\tfrac{2e^2}{h}
저항 양자R_0=\tfrac{h}{2e^2}
조셉슨 상수K_\text{J}=\tfrac{2e}{h}
폰 클리칭 상수R_\text{K}=\tfrac{h}{e^2}


3. 3. 원자 및 핵물리학 상수

원자 및 핵물리학 상수
기호상대 표준 불확도
기본 전하e
전자의 정지 질량me3.1×10-10
양성자의 정지 질량mp3.1×10-10
중성자의 정지 질량mn5.1×10-10
원자 질량 상수mu
미세 구조 상수α1.6×10-10
미세 구조 상수-1α-11.6×10-10
보어 반지름a01.6×10-10
하트리 에너지Eh1.1×10-12
뤼드베리 상수R1.1×10-12
보어 마그네톤μB
전자자기 모멘트μe3.1×10-10
자유 전자 상수ge1.8×10-13
핵 마그네톤μN
양성자자기 모멘트μp4.3×10-10
양성자의 자기 회전비γp4.3×10-10
H20에서의 자기 극자 모멘트, μ'pμ'p / μB4.1×10-9
H20에서의 양성자 자기 공명 주파수γ'p / (2π)4.1×10-9


3. 4. 물리화학 상수

기호출처
아보가드로 상수L, NA6.022 140 76 × 1023 mol-1 (정의)a
볼츠만 상수k1.380 649 × 10-23 J·K-1 (정의)a
패러데이 상수F96 485.332 12... C·mol-1a
기체 상수R8.314 462 618... J·K-1·mol-1a
섭씨 영점273.15 K (정의)
이상 기체의 몰부피, p = 1 bar, θ = 00C22.710 981(40) L·mol-1a
표준 기압 (標準 氣壓, standard atmosphere)atm101 325 Pa (정의)



다음은 정의값인 물리 상수와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물리 상수이다. 유효 숫자의 자릿수는 '''무한대'''이며, 끝에는 영원히 0이 이어진다.



이상 기체에 관련된 물리 상수
기호값 (SI)상대 표준 불확도
이상 기체의 몰 부피V_\text{m}=\tfrac{RT}{p}[22]정의값
[23]


3. 5. 기타 상수

기호출처
진공에서의 광속c299 792 458 m·s-1 (정의)a
진공의 투자율μ01.256 637 062 12(19) × 10-6 N A-2a
진공의 유전율ε0 = 1/(μ0c2)8.854 187 8128(13) ... × 10-12 F·m-1a
진공의 온저항Z0 = μ0c376.730 313 668(57) Ωa
중력상수G6.674 30(15) × 10-11 m3·kg-1·s-2?
플랑크 상수h6.626 070 15 × 10-34 J·s (정의)a
디랙 상수ℏ = h / (2π)1.054 571 817... × 10-34 J·sa
플랑크 질량mp = (ℏ / G)1/22.1767(16) × 10-8 kga
플랑크 길이lp= (ℏG / c3)1/21.6160(12) × 10-35 ma
플랑크 시간tp = (ℏG / c5)1/25.3906(40) × 10-44 sa
기본 전하e1.602 176 634 × 10-19 C (정의)a
전자불변 질량me9.109 383 7015(28) × 10-31 kga
양성자불변 질량mp1.672 621 923 69(51) × 10-27 kga
중성자불변 질량mn1.674 927 498 04(95) × 10-27 kga
원자 질량 상수mu = 1 u1.660 539 066 60(50) × 10-27 kga
아보가드로 상수L, NA6.022 140 76 × 1023 mol-1 (정의)a
볼츠만 상수k1.380 649 × 10-23 J·K-1 (정의)a
패러데이 상수F96 485.332 12... C·mol-1a
기체 상수R8.314 462 618... J·K-1·mol-1a
섭씨 영점273.15 K (정의)?
이상 기체의 몰부피, p = 1 bar, θ = 00C22.710 981(40) L·mol-1a
표준 기압atm101 325 Pa (정의)a
미세 구조 상수α = μ0e2c / (2h)7.297 352 5693(11) × 10-3a
α-1137.035 999 084(21)a
보어 반지름a05.291 772 109 03(80) × 10-11 ma
하트리 에너지Eh4.359 744 722 2071(85) × 10-18 Ja
뤼드베리 상수R10 973 731.568 160(21) m-1a
보어 자기자μB9.274 010 0783(28) × 10-24 J·T-1a
전자의 자기 모멘트μe-9.284 763 62(37) × 10-24 J·T-1a
자유 전자 상수ge-2.002 319 304 362 56(35)?
핵 자기자μN5.050 783 7461(15) × 10-27 J·T-1?
양성자 자기 모멘트μp1.410 607 61(47) × 10-26 J·T-1?
양성자의 자기회전비γp2.675 221 28(81) × 108 s-1·T-1?
H20에서의 자기 극자 모멘트, μ'pμ'p / μB1.520 993 129(17) × 10-3?
H20에서의 양성자 자기 공명 주파수γ'p / (2π)42.576 375 (13) M·Hz·T-1?
슈테판-볼츠만 상수σ5.670 374 419... × 10-8 W·m-2·K-4a
제1 복사 상수c13.741 771 852... × 10-16 W·m2?
제2 복사 상수c21.438 776 877... × 10-2 m·K?
표준 중력 가속도 (지구에서)gn9.80665 m·s-2 (정의)?


4. 무차원 물리 상수

같은 차원을 가진 물리 상수 간의 비율은 무차원 물리 상수를 생성하며, 양성자-전자 질량비가 그 예이다. 미세 구조 상수 ''α''는 가장 잘 알려진 무차원 기본 물리 상수이다. 이는 기본 전하의 제곱 값을 플랑크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 이 값은 물리 상수의 유도 가능성 또는 비유도 가능성을 논의할 때 표준적인 예가 되었다. 아르놀트 조머펠트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당시 결정된 값과 불확실성은 1/137과 일치했다. 이는 아서 에딩턴이 그 값이 정확히 1/137이 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주장을 구성하도록 동기를 부여했고, 이는 에딩턴 수, 즉 우주에 있는 양성자 수에 대한 그의 추정치와 관련이 있었다.[15] 1940년대에 이르러 미세 구조 상수의 값이 정확히 1/137에서 상당히 벗어난다는 것이 명확해지면서 에딩턴의 주장을 반박했다.[16]

5. 물리 상수와 측정

기호출처
진공에서의 광속c299 792 458 m·s-1 (정의)a
진공의 투자율 (磁 透過性, magnetic permeability)μ01.256 637 062 12(19) × 10-6 N A-2a
진공의 유전율 (誘電率, permittivity)ε0 = 1/(μ0c2)8.854 187 8128(13) ... × 10-12 F·m-1a
진공의 온저항 (阻抗, impedance)Z0 = μ0c376.730 313 668(57) Ωa
중력상수G6.674 30(15) × 10-11 m3·kg-1·s-2?
플랑크 상수h6.626 070 15 × 10-34 J·s (정의)a
디랙 상수ℏ|ħ영어 = h / (2π)1.054 571 817... × 10-34 J·sa
플랑크 질량mp = (ℏ|ħ영어 / G)1/22.1767(16) × 10-8 kga
플랑크 길이lp= (ℏ|ħ영어G / c3)1/21.6160(12) × 10-35 ma
플랑크 시간tp = (ℏ|ħ영어G / c5)1/25.3906(40) × 10-44 sa
기본 전하e1.602 176 634 × 10-19 C (정의)a
전자불변 질량me9.109 383 7015(28) × 10-31 kga
양성자불변 질량mp1.672 621 923 69(51) × 10-27 kga
중성자불변 질량mn1.674 927 498 04(95) × 10-27 kga
원자 질량 상수mu = 1 u1.660 539 066 60(50) × 10-27 kga
아보가드로 상수L, NA6.022 140 76 × 1023 mol-1 (정의)a
볼츠만 상수k1.380 649 × 10-23 J·K-1 (정의)a
패러데이 상수F96 485.332 12... C·mol-1a
기체 상수R8.314 462 618... J·K-1·mol-1a
섭씨 영점273.15 K (정의)?
이상 기체의 몰부피, p = 1 bar, θ = 00C22.710 981(40) L·mol-1a
표준 기압 (標準 氣壓, standard atmosphere)atm101 325 Pa (정의)a
미세 구조 상수α = μ0e2c / (2h)7.297 352 5693(11) × 10-3a
α-1137.035 999 084(21)a
보어 반지름a05.291 772 109 03(80) × 10-11 ma
하트리 에너지Eh4.359 744 722 2071(85) × 10-18 Ja
뤼드베리 상수R10 973 731.568 160(21) m-1a
보어 자기자(Bohr magneton)μB9.274 010 0783(28) × 10-24 J·T-1a
전자의 자기 모멘트 (electron magnetic moment)μe-9.284 763 62(37) × 10-24 J·T-1a
자유 전자 상수ge2.002 319 304 362 56(35)?
핵 자기자(nuclear magneton)μN5.050 783 7461(15) × 10-27 J·T-1?
양성자 자기 모멘트 (proton magnetic moment)μp1.410 607 61(47) × 10-26 J·T-1?
양성자의 자기회전비γp2.675 221 28(81) × 108 s-1·T-1?
H20에서의 자기 극자 모멘트, μ'pμ'p / μB1.520 993 129(17) × 10-3?
H20에서의 양성자 자기 공명 주파수γ'p / (2π)42.576 375 (13) M·Hz·T-1?
슈테판-볼츠만 상수σ5.670 374 419... × 10-8 W·m-2·K-4a
제1 복사 상수c13.741 771 852... × 10-16 W·m2?
제2 복사 상수c21.438 776 877... × 10-2 m·K?
표준 중력 가속도 (지구에서)gn9.80665 m·s-2 (정의)?


6. 물리 상수의 시간 불변성

정의상 기본 물리 상수는 측정의 대상이므로, 그 상수성(측정 수행 시간과 위치에 독립적임)은 필연적으로 실험 결과이며 검증을 거쳐야 한다.

폴 디랙은 1937년에 중력 상수미세 구조 상수와 같은 물리 상수가 우주의 나이에 비례하여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실험적으로는 원칙적으로 1년당 상대적 변화의 상한을 설정할 수 있을 뿐이다. 미세 구조 상수의 경우, 이 상한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2008년 기준으로 대략 10−17/년이다.[6]

중력 상수는 정밀하게 측정하기가 훨씬 더 어려우며, 2000년대에 일어난 상충되는 측정 결과는 2015년 논문에서 그 값의 주기적 변화에 대한 논쟁적인 제안을 촉발시켰다.[7] 그러나 그 값은 그다지 정밀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주의 먼 과거에 발생한 Ia형 초신성을 관측할 가능성은 이러한 사건에 관련된 물리학이 보편적이라는 가정과 결합하여, 지난 90억 년 동안 중력 상수의 변화에 대해 연간 10−10 미만의 상한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8]

마찬가지로, 양성자 대 전자 질량비의 변화에 대한 상한은 2012년 연구에서 먼 은하에서 메탄올 관측을 기반으로 70억 년(또는 연간 10−16) 동안 10−7로 설정되었다.[9][10]

단일 ''차원'' 물리 상수의 제안된 변화율(또는 부재)을 개별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단위 선택이 임의적이어서, 상수가 변화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이 단위의 선택(및 정의)의 인위적인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11][12][13]

예를 들어, SI 단위에서 빛의 속도는 1983년에 정의된 값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1983년 이전에 SI 단위로 빛의 속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의미가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마찬가지로, 2019년 5월부터 플랑크 상수는 정의된 값을 가지며, 모든 SI 기본 단위는 이제 기본 물리 상수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킬로그램 국제 원기는 SI 단위 정의에 사용되는 마지막 물리적 객체로서 퇴출되고 있다.

물리 상수의 불변성에 대한 검증은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무차원'' 양, 즉 같은 차원의 양 간의 비율을 살펴본다. 물리 상수의 변화는 ''관측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우주를 초래하는 경우 의미가 없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 ''c''의 "변화"는 ''e''2/(4π''ε''0''ħc'')영어 (미세 구조 상수)의 표현이 변하지 않도록 기본 전하 ''e''의 해당 변화가 동반된다면 무의미할 것이다.[14]

7. 미세 조정 우주와 인류 원리

일부 물리학자들은 무차원 물리 상수가 충분히 다른 값을 가졌다면, 우리 우주는 지적 생명체가 나타나기 어려울 정도로 근본적으로 달라졌을 것이며, 따라서 우리 우주는 지적 생명체에 맞게 미세 조정된 것처럼 보인다는 개념을 탐구해 왔다.[17] 인류 원리는 논리적인 자명한 진실을 말한다. 즉, 물리 상수를 측정할 수 있는 지적 존재로서 우리의 존재는 우리와 같은 존재가 존재할 수 있도록 그러한 상수가 존재해야 함을 필요로 한다. 상수 값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는데, 여기에는 신성한 창조주(겉보기에 미세 조정은 실제적이고 의도적이다)의 해석, 우주가 다중 우주의 많은 우주 중 하나라는 해석(예: 양자역학다세계 해석), 또는 정보가 우주의 내재된 속성이고 의식과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면, 의식 있는 존재를 위한 능력이 없는 우주는 존재할 수 없다는 해석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from NIST http://physics.nist.[...] NIST 2016-01-14
[2] 웹사이트 ISO 80000-1:2022 Quantities and units — Part 1: General https://www.iso.org/[...] 2023-08-31
[3]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https://www.bipm.org[...] International Bureau of Weights and Measures 2022-12
[4] 논문 Varying Constants, Gravitation and Cosmology
[5] 논문 On the conceptual nature of the physical constants 1977
[5] 서적 Problems in the Foundations of Physic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chool of Physics 'Enrico Fermi' Course LXXII, Varenna, Italy, July 25 – August 6, 1977 NorthHolland 1979
[6] 논문 Frequency Ratio of Al+ and Hg+ Single-Ion Optical Clocks; Metrology at the 17th Decimal Place https://zenodo.org/r[...]
[7] 간행물 Measurements of Newton's gravitational constant and the length of day 2015-04
[8] 간행물 Constraining a Possible Variation of G with Type Ia Supernovae 2014-04-10
[9] 논문 A Stringent Limit on a Drifting Proton-to-Electron Mass Ratio from Alcohol in the Early Universe https://research.vu.[...] 2012-12-13
[10] 웹사이트 Phew! Universe's Constant Has Stayed Constant http://www.space.com[...] Space.com 2012-12-14
[11] 논문 How fundamental are fundamental constants? https://www.tandfonl[...]
[12] arXiv Comment on time-variation of fundamental constants 2002-08-13
[13] 논문 Trialogue on the number of fundamental constants 2002
[14] 간행물 The Constants of Nature; From Alpha to Omega – The Numbers that Encode the Deepest Secrets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15] 서적 The World of Mathematics Simon & Schuster
[16] 논문 Magic Number: A Partial History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17] 서적 Modern Cosmology & Philosophy Prometheus Books 1998
[18] 문서 The values are given in the so-called ''concise form'', where the number in parentheses indicates the ''[[standard uncertainty]]'' referred to the [[least significant digit]]s of the value.
[19] 웹사이트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http://physics.nist.[...] アメリカ国立標準技術研究所|NIST 2024-06-20
[20] 문서 [[水|H{{sub|2}}O]] 中, 球, {{Val|25|ul=degC}}
[21] 웹사이트 2024 Review of Particle Physics https://pdg.lbl.gov/[...] パーティクルデータグループ|Particle Data Group 2019-05-23
[22] 문서 온도 {{Math|''T'' {{=}} {{Val|273.15|ul=K}}}}、圧力 {{Math|''p'' {{=}} {{Val|100|ul=kPa}}}} における値。
[23] 문서 온도 {{Math|''T'' {{=}} {{Val|273.15|u=K}}}}、圧力 {{Math|''p'' {{=}} {{Val|101.325|u=kPa}}}} における値。
[24] 문서 온도 {{Math|''T'' {{=}} {{Val|1|u=K}}}}、圧力 {{Math|''p'' {{=}} {{Val|100|u=kPa}}}} における値
[25] 문서 온도 {{Math|''T'' {{=}} {{Val|1|u=K}}}}、圧力 {{math|''p'' {{=}} {{Val|101.325|u=kPa}}}} における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