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정 헌법 제4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수정 헌법 제4조는 부당한 수색과 압수로부터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며, 영장 없이 압수나 수색을 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 조항은 1760년대 영국 법리에서 기원하며, 개인의 신체, 주거, 서류, 물건에 대한 정부의 침해를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정 헌법 제4조는 수색과 압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상당한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위반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를 통해 발전해 왔다. 영장 요건에 대한 다양한 예외가 있으며, 배제 규칙을 통해 위헌적인 증거는 법정에서 사용될 수 없도록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수수색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적법 절차를 따르지 않고 수집된 증거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칙으로, 사법의 공정성과 수사기관의 위법 행위 억제를 목적으로 하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에 명시되어 있고 진술 및 비진술 증거 모두에 적용되지만, 대법원 판례는 구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증거 배제 여부를 판단한다. - 압수수색 - 수색영장
수색영장은 법 집행기관이 수사 목적으로 개인의 재산 등을 수색할 수 있도록 법원이 발부하는 명령이다. - 1791년 1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6조
미국 수정 헌법 제6조는 형사 피고인에게 공정하고 신속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배심원단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 내용 고지, 증인 대면 및 소환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 1791년 1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5조
미국 수정 헌법 제5조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대배심 고발, 이중 처벌 금지, 자기 부죄 거부권, 적법 절차에 따른 법 집행, 정당한 보상 없는 사유 재산 수용 금지 등을 규정한다. - 1791년 미국 - 미국 수정 헌법 제6조
미국 수정 헌법 제6조는 형사 피고인에게 공정하고 신속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배심원단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 내용 고지, 증인 대면 및 소환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 1791년 미국 - 권리장전 (미국)
미국 권리장전은 강력한 중앙 정부에 대한 우려와 개인의 자유 보장 요구를 반영하여 미국 헌법에 추가된 첫 열 개의 수정 조항으로, 종교, 언론, 집회, 무기 소지 등의 자유와 적법 절차, 이중처벌 금지, 자기부죄 거부권 등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 수정 헌법 제4조 | |
---|---|
개요 | |
종류 | 미국 권리 장전의 일부 |
소속 | 미국 헌법 |
제정 | 1791년 12월 15일 |
본문 | |
내용 | |
보장하는 권리 | 부당한 수색 및 압수로부터의 보호 영장 발부의 요건 |
보호 대상 | 개인의 사생활, 소지품 |
역사 | |
기원 | 영국법의 전통 식민지 시대의 경험 |
제정 배경 | 반연방주의자들의 요구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 강화 |
해석 및 적용 | |
핵심 개념 | 상당한 이유 (Probable cause) 합리적인 기대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영장주의의 예외 |
주요 판례 | 카츠 대 합중국 사건(Katz v. United States): 합리적인 기대 개념 확립 맵 대 오하이오 사건(Mapp v. Ohio): 위법 수집 증거 배제 원칙 (Exclusionary rule)을 주 정부에 적용 |
영장 없는 수색의 예외 | 동의 있는 수색(consent search) 자동차 내의 수색(Motor vehicle exception) 평문 법칙에 의한 증거(Plain view doctrine) 긴급 상황(Exigent circumstance) 국경에서의 수색(Border search exception) |
위반 시 구제 방법 | 위법 수집 증거 배제 원칙 불법 수색에 대한 손해 배상 청구 |
관련 조항 | |
수정 제5조 | 자기부죄 거부 특권, 정당한 법 절차 |
수정 제14조 | 적법 절차 조항, 평등 보호 조항 |
추가 정보 | |
중요성 |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호의 핵심적인 역할 |
논쟁점 | 기술 발전과 새로운 유형의 수색에 대한 적용 |
참고 | 위크스 대 합중국 사건(Weeks v. United States) 피해 발생 시의 예외(Inevitable discovery) |
비고 |
2. 전문
불합리한 압수와 수색에 대하여 신체, 주거, 서류, 물건의 안전을 확보할 국민의 권리는 침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선서나 확약에 의하여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이유가 있고, 특별히 수색할 장소와 압수할 물건, 체포·구속할 사람을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장은 발부되어서는 아니 된다.[404]
미국 수정 헌법 제4조는 다른 많은 미국 법 분야와 마찬가지로 영국 법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604년 서메인의 소송에서 에드워드 코크 경은 "모든 사람의 집은 그에게 성이자 요새와 같으며, 휴식을 위한 곳일 뿐만 아니라 침해와 폭력으로부터의 방어 장소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3]
3. 배경
1760년대에는 존 윌크스의 출판물과 관련된 자료를 수색하기 위해 일반 영장을 사용한 사건이 증가했다. 찰스 프랫, 제1대 캠던 백작은 엔틱 대 캐링턴 사건에서 존 엔틱의 모든 문서를 압수하도록 허용했고, 수색을 정당화할 상당한 이유조차 없었기 때문에 수색과 압수 모두 불법이라고 판결했다.[4]
그러나 미국 식민지의 가옥들은 영국 가옥과 같은 불가침성을 누리지 못했다. 1756년, 매사추세츠 식민지는 일반 영장 사용을 금지하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법률을 제정했다. 1761년, 제임스 오티스 주니어는 일반 영장 및 보조 영장을 비난했지만, 법원은 오티스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존 애덤스는 이 사건을 "미국 혁명의 기원을 낳은 불꽃"으로 보았다.
버지니아 권리 선언(1776)은 일반 영장 사용을 명시적으로 금지했으며, 이는 수정 헌법 제4조의 선례가 되었다. 존 애덤스가 작성한 매사추세츠 헌법의 권리 선언 제14조는 모든 수색이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추가했으며, 수정 헌법 제4조 문구의 또 다른 근거가 되었다.[6]
3. 1. 영국법
미국 수정 헌법 제4조는 다른 많은 미국 법 분야와 마찬가지로 영국 법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604년 서메인의 소송에서 에드워드 코크 경은 "모든 사람의 집은 그에게 성이자 요새와 같으며, 휴식을 위한 곳일 뿐만 아니라 침해와 폭력으로부터의 방어 장소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3] ''서메인의 소송''은 국왕이 신하의 거주지에 무제한적인 권한으로 침입할 수 없음을 인정했지만, 정부 요원이 그 목적이 적법하고 영장을 발부받은 경우 특정 조건 하에 수색과 압수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했다.
1760년대에는 일반 영장을 사용하여 존 윌크스의 출판물과 관련된 자료를 수색하기 위해 급습을 감행한 국가 공무원에 대한 소송이 증가했다. 이 사건들 중 가장 유명한 사건은 존 엔틱의 사건으로, 그의 집은 조지 몬태규-덩크, 제2대 핼리팩스 백작이 발부한 영장에 따라 국왕의 메신저인 네이선 캐링턴과 다른 사람들에 의해 강제로 침입을 받았다. 그 영장은 그들에게 "다음과 같은 여러 주간 매우 선동적인 논문인 '모니터 또는 영국 자유 보유자' No 257, 357, 358, 360, 373, 376, 378, 380의 저자 또는 그 저술에 관련된 사람을 찾아 엄중하고 부지런히 수색할" 권한을 부여했고, 수색 결과 인쇄된 도표, 팸플릿 및 기타 자료가 압수되었다. 엔틱은 1765년 킹스 벤치 법원에서 심리된 ''엔틱 대 캐링턴'' 소송을 제기했다. 찰스 프랫, 제1대 캠던 백작은 영장이 범죄 관련 문서뿐만 아니라 엔틱의 ''모든'' 문서를 압수하도록 허용했고, 수색을 정당화할 상당한 이유조차 없었기 때문에 수색과 압수 모두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우리 법은 모든 사람의 재산을 매우 신성하게 여겨, 허락 없이 아무도 이웃의 토지에 발을 들여놓을 수 없을 정도다"라고 판결함으로써,[4] ''엔틱''은 집행부가 관습법에 의해 사유 재산 침해에 제한을 받는다는 영국 선례를 확립했다.
3. 2. 식민지 시대 미국
찰스 프랫, 제1대 캠던 백작은 일반 수색 영장에 반대하는 영국 관습법의 선례를 확립한 인물이다. 에드워드 코크 경은 서메인의 소송(1604)에서 "모든 사람의 집은 침해와 폭력으로부터 방어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성이자 요새와 같다"라고 판시했다.[3] 이는 국왕이라도 신하의 거주지에 무제한적으로 침입할 수 없음을 의미했지만, 정부 요원이 적법한 목적과 영장을 가지고 특정 조건 하에 수색 및 압수를 수행하는 것은 허용했다.
1760년대, 존 윌크스의 출판물과 관련된 자료를 수색하기 위한 일반 영장 사용에 대한 소송이 증가했다. 존 엔틱 사건에서 조지 몬태규-덩크, 제2대 핼리팩스 백작이 발부한 영장으로 국왕의 메신저 네이선 캐링턴 등이 엔틱의 집에 강제 침입하여 인쇄물, 팸플릿 등을 압수했다. 엔틱 대 캐링턴 소송에서 찰스 프랫, 제1대 캠던 백작은 영장이 엔틱의 모든 문서를 압수하도록 허용했고, 수색을 정당화할 상당한 이유가 없었기 때문에 불법이라고 판결했다.[4]
그러나 미국 식민지의 가옥들은 영국 가옥과 같은 불가침성을 누리지 못했다. 이는 관세 징수를 위한 영국의 정책 시행을 위해 법률이 명시적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1750년까지 치안 판사 핸드북에 정의된 유일한 영장은 일반 영장이었다. 당국은 거의 무제한의 권한으로 수색할 수 있었다.
1756년, 매사추세츠 식민지는 일반 영장 사용을 금지하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법률을 제정했다. 이는 1754년 소모세법에 대한 국민적 항의가 커지면서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세관원에게 식민지 주민의 가옥을 수색하고 "금지되고 세관이 없는" 상품을 압수할 수 있는 보조 영장 사용을 허용했다.
1760년 조지 2세 사망 후, 모든 영장은 6개월 후 자동 만료되므로 조지 3세가 재발행해야 했다. 1761년, 제임스 오티스 주니어가 대표하는 50명 이상의 상인들은 심리를 청원했다. 1761년 심리에서 오티스는 일반 영장 및 보조 영장을 비난했지만, 법원은 오티스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존 애덤스는 이 사건을 "미국 혁명의 기원을 낳은 불꽃"으로 보았다.
오티스는 매사추세츠 식민지 입법부에 선출되어 특별 보조 영장이 "세관 관리의 선서하에 제공된 정보에 따라 판사 또는 치안 판사에 의해 부여"되어야 하며 다른 모든 영장을 금지하는 법안 통과를 도왔으나, 총독은 이 법안이 영국 법과 의회 주권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뒤집었다.
버지니아 권리 선언(1776)은 일반 영장 사용을 명시적으로 금지했으며, 이는 수정 헌법 제4조의 선례가 되었다. 존 애덤스가 작성한 매사추세츠 헌법의 매사추세츠 권리 선언 제14조는 모든 수색이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추가했으며, 수정 헌법 제4조 문구의 또 다른 근거가 되었다.[6] 1784년까지 8개의 주 헌법에 일반 영장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었다.
4. 제안과 비준
연합 규약 아래에서 수년간 상대적으로 약한 정부가 유지된 후, 1787년 9월 17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제헌 의회는 강력한 행정 수반과 기타 변경 사항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헌법을 제안했다. 제헌 의회 대표이자 버지니아 권리 선언 초안자였던 조지 메이슨은 시민 자유를 나열하고 보장하는 권리 장전을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권리 장전 초안 작성자이기도 한 제임스 매디슨을 포함한 다른 대표들은 기존의 주에서 시민 자유를 보장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개별 권리를 열거하는 것은 언급되지 않은 다른 권리가 보호받지 못한다는 암시를 줄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했다. 짧은 논쟁 끝에 메이슨의 제안은 주 대표단의 만장일치 투표로 부결되었다.[12]
헌법이 비준되기 위해서는 13개 주 중 9개 주가 주 헌법 회의에서 헌법을 승인해야 했다. 비준에 대한 반대("반연방주의")는 부분적으로 헌법에 시민 자유에 대한 적절한 보장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버지니아 주, 매사추세츠 주, 뉴욕 주 등 여론이 비준에 반대하는 주에서 헌법 지지자들은 자주의 헌법 회의에서 헌법을 비준하고 권리 장전을 추가할 것을 요구하는 데 성공했다.[8] 4개의 주 헌법 회의는 새로운 연방 정부가 수색을 수행하는 권한에 대한 일종의 제한을 제안했다.[8]
제1차 미국 의회에서 주의회 요청에 따라 제임스 매디슨은 주의 권리 장전과 1689년 권리 장전과 같은 영국 자료를 바탕으로 20개의 헌법 수정안을 제안했으며, 여기에는 정부의 수색에 대한 상당한 이유를 요구하는 수정안도 포함되었다. 의회는 매디슨의 수색 및 압류에 관한 언어 수정과 함께 매디슨이 제안한 20개의 수정안을 12개로 줄였다.[9][10] 최종 언어는 1789년 9월 25일 주에 비준을 위해 제출되었다.[11]
권리 장전이 주에 비준을 위해 제출될 즈음, 양쪽 진영에서 의견이 바뀌었다. 이전에 권리 장전에 반대했던 많은 연방주의자들은 이제 반연방주의자들의 가장 효과적인 비판을 잠재울 수단으로 권리 장전을 지지했다. 반대로, 많은 반연방주의자들은 권리 장전의 채택이 그들이 원했던 두 번째 헌법 회의의 가능성을 크게 줄일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제 권리 장전에 반대했다.[12] 리처드 헨리 리와 같은 반연방주의자들은 또한 권리 장전이 연방 사법부와 직접 과세와 같은 헌법의 가장 불쾌한 부분을 그대로 남겨두었다고 주장했다.[12]
1789년 11월 20일, 뉴저지 주는 제4조를 포함한 12개의 수정안 중 11개를 비준했다. 1789년 12월 19일, 1789년 12월 22일, 1790년 1월 19일에 각각 메릴랜드 주, 노스캐롤라이나 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는 12개의 수정안 모두를 비준했다.[12] 1790년 1월 25일과 28일에 각각 뉴햄프셔 주와 델라웨어 주는 제4조를 포함한 권리 장전의 12개 수정안 중 11개를 비준했다.[12] 이로써 비준한 주의 총 수는 필요한 10개 중 6개가 되었지만, 다른 주에서는 절차가 중단되었다. 코네티컷 주와 조지아 주는 권리 장전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비준을 거부했고, 매사추세츠 주는 대부분의 수정안을 비준했지만, 그렇게 했다는 공식 통지를 국무 장관에게 보내는 데 실패했다(세 주 모두 1939년 세기 기념 축제 때 권리 장전을 비준했다).[12]
1790년 2월부터 6월까지 뉴욕, 펜실베이니아 주, 로드아일랜드 주는 각각 제4조를 포함한 11개의 수정안을 비준했다. 버지니아 주는 처음에 토론을 연기했지만, 1791년 버몬트 주가 연방에 가입한 후 비준에 필요한 주 총 수는 11개로 늘어났다. 버몬트 주는 1791년 11월 3일 12개의 수정안 모두를 승인했고, 버지니아 주는 마침내 1791년 12월 15일에 따랐다.[12] 토머스 제퍼슨 국무 장관은 1792년 3월 1일에 성공적으로 비준된 10개의 수정안의 채택을 발표했다.[12]
5. 적용 가능성
미국 수정 헌법 제4조와 그에 의해 보장되는 개인의 권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214] 원래 권리 장전은 연방 정부만을 규제했으며, 초기에는 사법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기간이 길었다. 역사학자 고든 S. 우드에 따르면, 권리 장전 비준 직후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헌법의 첫 10개 수정 조항에 대해 잊어버렸다고 한다.[214]
19세기 말, 주간 통상법(1887년)과 셔먼법 등의 제정으로 연방 정부의 형사 재판 관할권이 확대되면서, 수정 헌법 제4조에 대한 의문이 연방 대법원에 제기되기 시작했다.[214]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4조가 정부의 수색 및 압수 권한을 제한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보호한다고 판시했다.[215] 또한, 이 수정 조항의 근본적인 목적은 정부 기관이 범죄 수사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관계없이 개인의 프라이버시, 존엄성,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밝혔다.[216]
대법원은 ''슈머버 대 캘리포니아 주 사건''(1966년)에서 국가가 영장 없이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존엄성을 침해하는 것을 막는 것이 수정 헌법 제4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판시했다.[217] 이는 "경찰의 임의적인 침해로부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것"이 "수정 헌법 제4조의 핵심"이자 "자유로운 사회의 기초"이기 때문이다.[218]
''실버만 대 미국 사건''(1961년)에서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4조의 핵심이 개인이 자신의 주거 공간에서 정부의 부당한 침입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라고 판시했다.[214] ''버거 대 뉴욕 주 사건''(1967년)에서는 수정 헌법 제4조의 보호 범위가 "신체, 가옥, 서류 및 소지품"에 한정되지 않고 "대화"까지 포함한다고 선언했다.[219]
1975년, 뉴욕 주 항소 법원은 "불법적인 수색 및 압수에 대한 헌법상의 보호의 기본적인 목적은 모든 사람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정부에 의한 모든 임의적인 침입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개인의 안전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가 괴롭힘, 충동, 변덕, 호기심 등에 의해 이루어졌을 때 헌법 정신이 파괴되며, 피해자는 불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이나 민사적 보상을 통해 구제받을 수 있다고 판시했다.[220][221]
대법원은 ''토레스 대 마드리드 사건''(2021년)에서 수정 헌법 제4조의 초점이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이며, 정부 직원에 의한 임의적인 침해의 개별적인 형태가 아니라고 밝혔다.[223] ''맵 대 오하이오 주 사건''(1961년)에서는 수정 헌법 제4조가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을 통해 각 주에 적용된다고 판시했다.[225]
수정 헌법 제4조에 대한 판례는 다음 세 가지 주요 논점을 다룬다.[227]
- 정부의 어떤 활동이 "수색" 또는 "압수"에 해당하는가?
- 무엇이 수색 및 압수를 수행하기 위한 상당한 이유를 구성하는가?
- 수정 헌법 제4조의 권리 침해는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가?
수정 헌법 제4조는 일반적으로 수색 또는 체포에 사법부가 발부한 영장이 필요하다고 판시한다. 이는 "사전의 판사 또는 치안 판사에 의한 승인 없이, 사법 절차 외부에서 실시된 수색 및 체포는 당연히 불합리하다"는 것이 수정 헌법 제4조의 기본 원칙이기 때문이다.[231] 영장이 합리적이려면 상당한 이유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하며, 선서 진술서를 통해 발급 법원에 책임을 지는 사람(일반적으로 법 집행관)이 제공한 구체적인 정보에 따라야 한다.
대법원은 ''챈들러 대 밀러 사건''(1997년)에서 "수정 헌법 제4조 하에서 합리적이 되기 위해서는, 수색은 일반적으로 불법 행위의 개별적인 의심에 기초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그러나 "법 집행 기관에 대한 일반적인 필요를 넘는 특별한 필요"에 따라 예외가 허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법원은 당사자들의 이익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232]
''테리 대 오하이오 주 사건''(1968년)에서 대법원은 모든 구체적인 수색 및 압수의 합리성은 구체적인 상황에 비추어 평가되어야 한다고 판시했다.[233] 이 수정 조항은 정부에 의한 수색·압수에 적용되지만, 정부의 대리인으로 행동하지 않는 민간인 또는 민간 조직에 의해 행해지는 것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34]
''온타리오 시 대 퀀 사건''(2010년)에서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4조를 시 정부의 고용주로서의 능력에 적용하여, 온타리오 시가 시 경찰관의 문자 메시지 내용을 통신 회사로부터 입수하여 조사했을 때 시 경찰관의 수정 헌법 제4조 상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았다고 판결했다.[216][235]
5. 1. 수색

미국 수정 헌법 제4조 관련 판례에서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수색"이 발생했는지 여부이다. 초기 판례는 시민의 재산권에 따라 판단했다. 즉, 정부가 정보를 얻기 위해 "사람, 주택, 서류 또는 소지품"을 물리적으로 침해하는 경우 "수색"이 발생한 것이다.[39] 1928년 ''Olmstead v. United States'' 사건에서는 수정 헌법 제4조가 물리적 침해에는 적용되지만, 도청과 같은 다른 형태의 경찰 감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9] 1961년 ''Silverman v. United States'' 사건에서 법원은 "가장 핵심은 부당한 정부의 침해로부터 자유로운 자기 집으로 물러날 권리"라고 언급했다.[40]
1967년 ''Katz v. United States'' 사건으로 수정 헌법 제4조의 보호 범위는 크게 확대되었다.[39][41]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개인의 사생활 보호 권리를 포함하도록 범위를 확대하여, 정부가 유리창 밖에 부착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전화 부스를 도청했을 때 수색이 발생했다고 판결했다. 물리적 침입은 없었지만, 법원은 1) Katz가 부스에 들어가 문을 닫음으로써 "구두로 내뱉는 말이 세상에 방송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고, 2) 사회는 그의 기대가 합리적이라고 믿는다고 추론했다. 포터 스튜어트 대법관은 "수정 헌법 제4조는 장소가 아닌 사람을 보호한다"라고 썼다.[42] 즉, 정부가 개인의 "합리적인 사생활 보호 기대"를 침해할 때 "수색"이 발생한다.[43] 따라서 Katz의 합리적인 사생활 보호 기대는 정부의 침해가 물리적이라기보다는 전자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정 헌법 제4조의 적용을 받는 수색이었고, 영장이 필요하다는 판결의 근거가 되었다.[39][44] 법원은 일반적인 사생활 보호 권리를 인정하는 것은 아니며,[45] 적절한 절차가 따르면 도청을 허가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44]
''Katz'' 사건의 결정은 1979년 ''Smith v. Maryland'' 사건에서 채택된 두 가지 기준 검사로 발전했다.[46][47][48]
# 사람이 "사생활 보호에 대한 실제적 (주관적) 기대를 나타냈고",
# 사회가 이러한 기대가 (객관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대법원은 제3자와 자발적으로 공유된 정보에는 수정 헌법 제4조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49][50] ''Smith'' 사건에서 개인이 전화를 걸 때 전화 회사에 해당 정보를 의도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거는 전화번호에 대해 "정당한 사생활 보호 기대"가 없다고 판결했다.[46][51] 그러나 2018년 ''Carpenter v. United States'' 사건에 따르면, 개인은 스스로 그 정보를 "제3자"(예: 전화 회사)에게 넘겨주었음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기록에 대해 합리적인 사생활 보호 기대를 가진다. Carpenter 판결 이전에는, 법 집행 기관이 휴대폰 사용자의 위치 정보(CSLI)를 검색할 수 있었다. Carpenter 사건은 제3자 원칙을 좁혀, 법 집행 기관이 CSLI 기록을 받기 전에 수색 영장을 발부받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획기적인 사건으로 작용한다.[52]
''Katz'' 사건 이후, 대부분의 판례는 사생활 보호 권리에 달려 있었지만, 2012년 ''United States v. Jones'' 사건에서 법원은 ''Katz'' 기준이 이전 판례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고 판결했다.[53] ''Jones'' 사건에서, 법 집행관은 Jones의 동의 없이 자동차 외부에 GPS 장치를 부착했다. 법원은 Jones가 자동차의 위탁자이므로 자동차에 대한 재산권을 가진다고 결론 내렸다.[54] 따라서, 일반법상의 불법 침입인 차량 침해가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수색이라고 판결했다. 법원은 2013년 ''Florida v. Jardines'' 사건에서도 유사한 논리를 사용하여, 마약 탐지견을 집 현관 앞에서 냄새 맡게 하는 행위가 수색이라고 판결했다.[55]
많은 상황에서, 법 집행 기관은 체포에 필요한 상당한 근거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범죄 행위에 대한 합리적인 의심이 있는 경우 수색을 수행할 수 있다. 1968년 ''Terry v. Ohio'' 사건에 따르면, 법 집행관은 특정 상황에서 상당한 근거보다 낮은 수준의 의심만으로도 영장 없는 제한적인 수색을 수행할 수 있다. ''Terry'' 사건에서 대법원은 경찰관이 "특이한 행동"을 목격하고 "범죄 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리적으로 믿게 되며, 의심스러운 사람이 무기를 소지하고 있고 현재 위험을 가하는 경우, 간이 수색("신체 수색")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56] 이러한 구금 및 수색을 ''Terry'' 정지라고 한다. 신체 수색을 수행하기 위해, 경찰관은 특정 사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57] 1983년 ''Florida v. Royer'' 사건에서 확립된 바와 같이, 그러한 수색은 일시적이어야 하며, 질문은 정지의 목적으로 제한되어야 한다.[58][59]
5. 2. 압수
미국 수정 헌법 제4조는 영장 없이 사람, 사람의 집(그 주변 토지) 또는 개인 재산에 대한 불합리한 압수를 금지한다. 재산 압수는 "개인의 재산에 대한 소유권에 대한 의미 있는 간섭"이 있을 때 발생하며,[60] 예를 들어 경찰관이 증거로 사용하기 위해 개인 재산을 소유자로부터 가져가거나 퇴거에 참여하는 경우이다.[61] 이 수정 조항은 또한 구금을 포함한 사람에 대한 불합리한 압수로부터 보호한다.[63]정부가 공공장소에서 개인에게 질문을 한다고 해서 압수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배제 규칙은 그러한 질문에 대한 자발적인 답변이 이후의 형사 소송에서 증거로 제시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 그 사람의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압수된 것이 아니다.[58][62] 정부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근거 없이,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개인을 잠시라도 구금할 수 없다. 그가 듣거나 대답하기를 거부하는 것 자체만으로는 그러한 근거를 제공하지 못한다.[63]
미국 대 멘덴홀 사건(1980)에서 법원은 물리적 힘 ''또는'' 권위의 표시를 통해 그 사람의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고, 사건을 둘러싼 상황에서 합리적인 사람이 떠날 자유가 없다고 믿는 경우에만 그 사람이 압수된다고 판결했다.[63] 토레스 대 마드리드 사건(2021)에 따르면, 그 사람이 도망치는 데 성공했더라도 구속하려는 의도를 가진 물리력을 사용한 후에는 그 사람이 압수된 것으로 간주된다. 플로리다 대 보스틱 사건(1991)에서 법원은 경찰이 그들의 요청에 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는 한, 경찰의 접촉은 제4차 수정 헌법의 보호를 받지 않는 "시민 만남"이라고 판결했다.[64] 만약 어떤 사람이 정부의 질문을 무시할 자유가 있다면, 압수는 없었고 따라서 제4차 수정 헌법에 따른 개인의 사생활 침해도 없었던 것이다.[63]
어떤 사람이 체포되어 경찰에 구금되면, 그 사람은 압수된 것이다(즉, 수갑을 차고 경찰차 뒷좌석에 탄 합리적인 사람은 떠날 자유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일상적인 교통 단속을 받는 사람은 압수된 것이지만 "체포"된 것은 아니다. 교통 단속은 비교적 짧은 만남이며 정식 체포보다 ''테리'' 정지와 더 유사하기 때문이다.[65] 불법 행위에 대한 혐의를 받지 않는 사람의 경우, 특정 주 규정에서 이를 명시하지 않는 한, 법 집행관은 이 사람이 신원을 밝히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그 사람을 체포할 수 없다.[66] 체포에 부수되는 수색이 주법에 따라 허용되지 않더라도, 체포 경찰관에게 상당한 이유가 있다면 제4차 수정 헌법을 위반하지 않는다.[67][68] 메릴랜드 대 킹 사건(2013)에서 법원은 경찰이 체포된 사람의 DNA를 채취하는 것이 심각한 범죄에 대한 체포에 대해 헌법에 합치된다고 유지했다. 이는 경찰이 체포하고 구금한 사람의 지문이나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논리이다.[69][70]

6. 영장
수정 헌법 제4조에 따르면, 법 집행 기관은 범죄 활동을 수사하는 동안 증거를 합법적으로 수색하고 압수하기 위해 법원 또는 자격을 갖춘 판사로부터 서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 법원은 영장을 발부하여 허가를 내준다. 유효한 영장 없이 수행된 수색 또는 압수는 일반적으로 불합리하고 위헌으로 간주되며[77], 경찰은 가능한 경우 영장을 발부받아야 한다.[78] 영장 없이 이루어진 수색 및 압수는 영장 요건에 대한 구체적으로 확립되고 명확하게 정의된 예외 사항 중 하나가 적용되는 경우 부당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39][79][80] 이러한 예외는 "법 집행에 대한 일반적인 필요를 넘어 특별한 필요가 있고 영장 및 상당한 이유 요건을 실현하기 어려운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적용된다.[81]
영장 요건이 적용되지 않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수색 또는 압수는 불법 행위에 대한 개별적인 의심으로 정당화되어야 한다.[82]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개별적인 의심 요건에 대한 예외를 설정했다. 대법원은 "수색으로 인해 침해되는 사생활 이익이 최소화되고 침해로 인해 중요한 정부 이익이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제한적인 상황에서" 수색 또는 압수는 여전히 합리적일 것이라고 판결했다.[83]
7. 상당한 이유
미국 연방 대법원은 1967년 ''버거 대 뉴욕주 사건''에서 수정 헌법 제4조의 상당한 이유 요건의 목적은 특정 범죄가 저질러졌거나 저질러지고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을 때까지 국가가 헌법적으로 보호되는 구역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것이라고 설명했다.[284] 상당한 이유(probable cause)[285]의 기준은 체포와 수색에 따라 다르다. 정부는 "스스로 인지하고 있으며, 또한 그것에 대해 합리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실과 상황"이, 해당 체포자가 죄를 범했거나 범하고 있었다고 양심적인 사람에게 믿게 할 경우, 체포를 할 상당한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된다.[286] 체포에 대한 상당한 이유는 그 체포가 이루어지기 전에 존재해야 하며, 체포 후에 얻은 증거는 해당 체포를 정당화하는 데 소급 적용될 수 없다.[287]
수정 조항은 경찰이 수색을 실시할 때, 영장이 해당 수색이 범죄적 활동 또는 금지 품목을 드러낸다고 믿을 상당한 이유를 확립하도록 요구한다. 그들은 수색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법적으로 충분한 이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1925년 ''캐롤 대 미국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은 수색의 상당한 이유란 탄력적이고 상식적인 기준(flexible, common-sense standard)이라고 말했다.[288][289] 이를 위해, 연방 대법원은 ''덤브라 대 미국 사건''에서 해당 관리가 입수할 수 있는 여러 사실이 특정 물품이 금지 품목이거나, 도품이거나, 또는 범죄의 증거로 유용하다는 믿음으로 "합리적인 주의력을 가진 자를 이끌 것이다"라는 ''캐롤 판결''의 논의를 반복하고,[290] 상당한 이유라는 용어는 "유죄 판결을 정당화할 수 있는 증거보다 약한 것"을 의미한다고 판시했다.[291] 법원은 그러한 믿음이 옳거나, 또는 오류보다 사실에 가깝다는 입증은 전혀 요구하지 않으며, 유죄 증거가 포함되어 있다는 "실질적이고 법률적인" 가능성이 요구되는 전부라고 하였다.[292] 1983년 ''일리노이 주 대 게이츠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은 정보 제공자의 신뢰성은 "상황의 총체(Totality of the circumstances)"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고 판시했다.[293]
8. 영장 요건의 예외
미국 수정 헌법 제4조는 영장 발부의 예외적인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 자동차 예외
: 대법원은 자동차는 주거지나 개인 소지품 보관 장소로 사용되지 않고, 영장 발부 전에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안에 있는 개인은 사생활 보호를 덜 기대한다고 판결했다.[119] 경찰은 범죄 행위에 대한 상당한 이유나 합리적인 의심이 있을 때 차량을 수색할 수 있으며, 눈에 띄는 물품을 압수하고 무기가 숨겨져 있을 수 있는 지역을 수색할 수 있다. 증거가 있다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다면 차량 내 모든 지역을 수색할 수 있지만, 탑승자를 수색할 상당한 이유나 동의 없이는 수색 범위를 탑승자에게까지 확대할 수 없다.[120] 콜린스 대 버지니아 (2018) 사건에서, 법원은 자동차 예외가 주거지의 사생활 보호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121][122] 애리조나 대 간트 (2009) 사건에서는, 체포된 사람이 차량에 손이 닿는 거리에 있거나, 범죄 증거가 차량에서 발견될 것이라고 믿을 만한 이유가 없는 한, 차량 탑승자를 체포한 후 영장 없이 자동차를 수색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123][124]
; 적법한 체포에 수반되는 수색
: 영국 관습법 규칙에 따라 영장 없이 체포에 수반되는 수색이 허용되며, 이는 미국 법에도 적용되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125] 이러한 수색은 체포된 사람이 증거를 훼손하거나 경찰관에게 무기를 사용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126] 그러나 대법원은 피의자가 무기나 증거에 접근할 가능성이 없을 때는 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127] ''Trupiano v. United States'' (1948)에서는 적법한 체포 이상의 필요성이 있어야 한다고 판결했지만,[128] ''United States v. Rabinowitz'' (1950)에서는 영장을 얻을 기회가 체포에 수반되는 수색의 합리성과 관련이 없다고 판결했다.[129] ''Chimel v. California'' (1969)에서는 체포 시 경찰관이 무기와 증거를 위해 체포된 사람을 수색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결했다.[130] 그러나 ''Riley v. California'' (2014)에서는 체포된 사람의 휴대폰을 수색하려면 영장이 필요하다고 판결했다.[131]
; 국경 검색 예외
: 미국 국경이나 국경과 동일한 지역(국제공항 등)에서는 영장이나 상당한 근거 없이 검색이 가능하다.[134][135][136][137] 대부분의 국경 검색은 무작위로 수행될 수 있지만, 나체 수색이나 신체 내강 수색과 같이 개인적 존엄성과 사생활에 침해를 가하는 검색은 합리적인 의심이 필요하다.[136][138] 미국 제4 연방 항소 법원과 미국 제9 연방 항소 법원은 여행자의 전자 자료를 의심 없이 무작위로 검색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36][139][140]
; 외국 정보 감시 예외
: ''미국 대 법원 대 미국'' (1972) 판결은 영장 조항에 대한 외국 정보 감시 예외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141][142] 2008년 ''In re Directives'' 판결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143][144] 하급 법원은 국가 안보를 위한 외국 정보 획득을 위해 감시가 수행되고, 미국 외부에 위치한다고 합리적으로 믿어지는 외국 세력 또는 그 대리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수정 헌법 제4조의 영장 요건에 대한 외국 정보 예외가 존재한다고 판결했다.[144]
; 기타 예외
- 특별한 필요: ''교육 위원회 대 얼스'' (2002)에서는 일반적인 법 집행의 필요를 넘어 영장과 상당한 이유의 요건을 실현 불가능하게 만들 때, 수색의 합리성은 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정부의 이익 증진 사이의 균형을 통해 결정된다고 판결했다.[146]
- 공공의 우려: ''일리노이 주 대 리드스터'' (2004)에서는 합리성을 판단할 때 공공의 우려의 심각성, 압수가 공공의 이익을 얼마나 증진하는지, 개인의 자유에 대한 간섭의 심각성을 고려한다고 설명했다.[146]
- 통신 사업자 협력: 미국 정부에 협력하는 통신 사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의회는 법안을 통과시켜 이 유형의 감시를 허용했다.[149]
- 학교 및 정부 사무실 수색: 뉴저지 대 T.L.O. 사건 (1985)에서는 공립 학교에서의 수색은 합당한 근거가 있는 한 영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결했다.[80] 샘슨 대 캘리포니아 사건 (2006)에서는 정부 직원의 직무 관련 위법 행위 증거를 찾기 위해 정부 사무실을 수색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50]
- 교도소 감방 수색: 교도소 감방 수색은 합리성 또는 상당한 근거와 관련된 제약을 받지 않는다.[151]
- 학생 알몸 수색: 사포드 통합 교육구 대 레딩 사건 (2009)에서는 다른 학생의 주장만으로 학생을 알몸 수색하는 것은 수정 헌법 제4조 위반이라고 판결했다.[152][153]
- 차량 정지 및 구속: ''델라웨어 주 대 프라우스 사건'' (1979)에서는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의심 없이 개인을 구속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269][270]
- 검문소: ''미국 대 마르티네스-푸에르테 사건'' (1976)에서는 무차별적인 입국 검문소를,[271] ''미시간 주 주 경찰성 대 시츠 사건'' (1990)에서는 무차별적인 음주 검문소를,[272] ''일리노이 주 대 리드스터 사건'' (2004)에서는 정보 제공만을 위한 검문소를 허가했다.[273] 그러나 ''인디애나폴리스 시 대 에드먼드 사건'' (2000)에서는 재량적인 검문소나 전반적인 범죄 대책 검문소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274]
; 동의 있는 수색
: 당사자가 수색에 동의한 경우 영장은 필요하지 않다.[294] 슈넥클로스 대 부스타몬테 사건 (1973)에서는 경찰이 피의자에게 수색 거부 권리를 알리지 않았더라도 동의 있는 수색은 유효하다고 판결했다.[295] 미국 대 매트록 사건 (1974)에서는 제3자인 공동 점유자가 수색에 동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297][300] 그러나 조지아 주 대 랜돌프 사건 (2006)에서는 공유 주택 수색에 한 사람은 동의하고 다른 사람은 거부하는 경우, 경찰은 수색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298] 일리노이 주 대 로드리게스 사건 (1990)에서는 경찰이 "겉보기 권한자"의 동의를 선의로 수용한 경우, 동의 있는 수색은 유효하다고 판결했다.[299][300]
; 플레인 뷰 및 오픈 필드 법리
: 플레인 뷰의 법리에 따르면, 합법적으로 위치한 관리는 뚜렷하게 보이는 물체를 압수할 수 있다.[303] 그러나 그 물건이 금지 품목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며, 범죄성은 명백해야 한다.[304] 오픈 필드의 법리에 따르면, 목초지, 열린 수역, 삼림과 같은 열린 광경은 영장 없이 수색될 수 있다.[306] 올리버 대 미국 사건 (1984)에서는 오픈 필드에 관해서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기대가 없다고 판시했다.[307] 그러나 주거지를 직접 둘러싸는 옥외 구역인 정원지는 주거의 연장으로 취급되어 보호된다.[309]
; 긴급 상황
: 법 집행관은 영장 획득이 위험하거나 비현실적인 긴급 상황에서 영장 없이 수색을 실시할 수 있다. ''테리 대 오하이오 주 사건'' (1968)에서는 무기를 찾기 위한 피의자 몸수색이 허가되었다.[315] ''캐롤 대 합중국 사건'' (1925)에서는 금지 품목을 운반한다고 의심되는 자동차를 영장 없이 수색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88] ''슈머버 대 캘리포니아 주 사건'' (1966)에서는 음주 운전 혐의자의 혈액 채취를 허가했지만,[315][313] ''미주리 주 대 맥닐리 사건'' (2013)에서 수정되었다.[314] ''워든 대 헤이든 사건'' (1967)은 피의자를 "긴급 추격" 중일 경우 영장 요구에 대한 예외를 규정했다.[315][316]
; 지역 사회 보호 예외
: 논란이 되는 예외로, ''케이디 대 돔브로우스키 사건'' (1973)에서 설정되었다.[318][319] ''카닐리아 대 스트롬 사건'' (2021)에서는 자살 의심자의 주거지에 영장 없이 침입하여 권총을 압수한 것은 이 예외를 벗어난다고 판시했다.[320][321]
9. 배제 규칙
법원은 미국 수정 헌법 제4조를 집행하기 위해 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exclusionary rule)을 적용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하여 얻은 증거는 일반적으로 피고인에 대한 형사 재판에서 검찰 측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357] 연방 대법원은 ''엘킨스 대 미국 사건(1960년)[358]에서 이 법칙의 기능이 "헌법적 보장을 무시하는 행위를 억제하고, 헌법 존중을 강제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357]
연방 대법원은 ''위크스 대 미국 사건(1914년)[359]에서 처음으로 배제 법칙을 적용했다. 이 전에는 압수 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증거가 법정에서 채택될 수 있었다.[360] ''실버손 럼버사 대 미국 사건(1920년)[361] 및 ''나르돈 대 미국 사건(1939년)[362]에서 연방 대법원은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에서 파생된 정보나 다른 증거도 재판에서 증거 능력이 없다고 판시했다. 펠릭스 프랭크푸르터 대법관은 ''나르돈 판결''에서 이러한 2차 증거를 "독수의 독과"라고 표현했다.[363] 연방 대법원은 ''울프 대 콜로라도주 사건(1949년)[364]에서 배제 법칙을 수정 헌법 제14조를 통해 통합하는 것을 거부했지만, ''울프 판결''은 ''맵 대 오하이오주 사건(1961년)[224]에서 명시적으로 뒤집혀, 수정 헌법 제4조(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 포함)가 주의 사법 절차에 적용 가능하게 되었다.[365]
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과 그 실효성은 종종 논란이 되어 왔다. 비판자들은 이 법칙이 경찰 수사를 방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를 기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가해자를 풀어줄 수 있다고 비난한다. 또 다른 비판자들은 이 법칙이 경찰의 불법 수색을 억제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옹호자들은 이 법칙에 따라 뒤집힌 유죄 판결의 수가 극히 적으며, 수정 헌법 제4조를 집행하는 다른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고 주장한다.[357] 1982년, 캘리포니아주는 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을 취소하는 규정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권리 장전영어"을 가결했다. 이 장전은 수정 헌법 제4조에 따른 연방에서 위임된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주 법원이 이러한 보호를 더 이상 확대하는 것을 막았다.[366]
9. 1. 제한
1974년 이후, 연방 대법원은 배제 법칙을 반복해서 제한해 왔다.[357] 미국 대 칼란드라 사건(1974년)[367]에서 대법원은 대배심이 증인에게 질문할 때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그 이유는 "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의 선례 없는 확장으로 인한 해당 제도에 대한 악영향이, 억제 효과의 가능한 증가분의 이익을 능가"하기 때문이다.[368] 이 법칙의 목적을 설명하면서, 대법원은 이 법칙은 "권리를 침해당한 측의 당사자의 개인적인 헌법상의 권리라기보다는, 그 억제 효과를 통해 수정 헌법 제4조에 의한 권리를 일반적으로 보장하도록 사법상 창설된 구제 조치"라고 언급했다.[369]1984년의 세 가지 판례는 배제 법칙을 더욱 제한했다.
- 미국 대 레온 사건(1984년)[370]에서 대법원은, 영장에 합리적으로 의존했던 관리(官吏)에 의해 압수된 증거는, 비록 그 영장이 후에 흠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더라도, 관리가 영장을 청구하는 데 있어 선서 진술서(affidavit)를 불성실하게 또는 무책임하게 준비했거나, 영장을 발부한 사법관이 스스로의 중립성을 포기했거나, 영장이 충분한 개별 구체성(particularity)을 결여하지 않는 한, 증거 능력이 있다고 판결하여, 이 법칙에 대한 "선량한 신념"(good faith) 예외를 창설했다.[371]
- 닉스 대 윌리엄스 사건(1984년)[372]에서 대법원은, "독수(毒樹)의 열매"인 증거라도, 기소자가 그것이 합법적인 수사의 "피할 수 없는 발견"이 될 수 있었음을 증명할 수 있다면, 채택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373]
- 세구라 대 미국 사건(1984년)[374]에서 대법원은, 수색 영장 없이 위법하게 발견된 증거는, 그 증거가 후에 그 위법한 수색과는 무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발견되어 합법적으로 압수되었다면, 증거 능력이 있다고 판결했다.[375]
애리조나 주 대 에반스 사건(1995년)[376] 및 헤링 대 미국 사건(2009년)[377]에서 대법원은, 정부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부작위가 원인이 되어 발견된 증거에는, 체포한 경찰관이 그 데이터베이스에 "선량한 신념"으로 의존하고 있고, 그리고 그 부작위가 전면적(pervasive)이지 않은 한, 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78][379] 데이비스 대 미국 사건(2011년)[380]에서, 대법원은 상소 법원에 의한 법적 구속력 있는 판례에 대한 합리적인 의존의 결과로서의 수정 헌법 제4조 위반에는 배제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81] 유타 주 대 스트리프 사건(2016년)[382]에서 대법원은, 경찰의 불법적인 정지로부터 얻어진 증거는, 정지 중에 미해결 영장이 발견된 것으로 그 정지와 증거의 발견 사이의 연결이 "희석"(attenuate)된 경우에는, 법정에서 배척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83]
또한, 대법원은 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은 다음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10. 메타데이터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미국인 통화 기록 메타데이터 대규모 수집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결이 있었다.[390][391][392][393][394][395][397] 2013년 12월 16일, ''클레이만 대 오바마 사건''에서 연방 지방 법원은 이러한 판결을 내리고, 사적인 원고 2명에 대한 전화 데이터 수집 금지 가처분 명령을 내렸다.[396] 법원은 정부에 그동안 수집된 그들의 기록 일체를 폐기하도록 명령했지만, "이 사건에서 위협받는 중대한 국가 안보상의 이익과 이 헌법상의 문제의 신규성"을 고려하여 정부가 항소할 때까지 판결을 유예했다.[397]
그러나 ''미국 자유 인권 협회 대 클래퍼 사건''에서 다른 연방 법원은 미국 정부의 지구 규모 전화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잠재적인 테러 공격 방지에 필요하며, 모든 사람의 통화가 포함될 경우에만 기능한다고 판결했다.[398] 이 법원은 연방 의회가 합법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설치했고, 누구의 헌법상 권리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결하면서, NSA가 수집하는 전화 데이터는 전화 사용자가 아닌 전화 회사에 귀속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NSA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신자와 테러리스트 의심자 사이의 관련성을 찾는 것은 수정 헌법 제4조 하에서의 수색이 아니라고 판시하며, ''스미스 대 메릴랜드 주 사건'' 판례를 인용하여 "개인은 제3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대해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당한 기대를 가지지 않는다"고 말했다.[399][400][401][402] 2014년 1월 2일, 미국 자유 인권 협회(ACLU)는 이 판결에 항소한다고 선언하며, "정부는 테러리스트 의심자의 교우 관계를 추적할 정당한 권리를 가지지만, [...] 모든 시민을 항시적인 감시에 복종시키는 것을 요청하지 않는다"고 밝혔다.[403]
참조
[1]
웹사이트
Argument preview: Police and cellphone privacy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4-07-01
[2]
웹사이트
Bill of Rights Transcript Text
https://www.archives[...]
2015-10-30
[3]
판례
Coke's Rep.
[4]
판례
Entick v Carrington
[5]
학술지
Technology and the Fourth Amendment: History and Application of Principles of Decision in Light of New Means of Surveillance.
http://search.ebscoh[...]
2014-09-01
[6]
웹사이트
The Originalist Case for the Fourth Amendment Exclusionary Rule
http://gonzagalawrev[...]
Gonzaga Law Review
2012-01-08
[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http://www.mass.gov/[...]
[8]
백과사전
Fourth Amendment, Historical Origins of
2013-07-27
[9]
웹사이트
Amendment IV
http://press-pubs.uc[...]
The Founders Constit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Egbert Benson: A Nationalist in Congress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13-04-04
[12]
백과사전
Bill of Rights (United States)
2013-07-16
[13]
웹사이트
Johnson v. United States, 333 U.S. 10 (1948), at 13-1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3-07-10
[14]
웹사이트
Silverman v. United States, 365 U.S. 505 (1961), at 51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1-26
[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artinez-Fuerte, 428 U.S. 543 (1976), at 42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8-09
[16]
판례
Ontario v. Quon
[17]
웹사이트
Schmerber v. California, 384 U.S. 757 (1966), at 76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9-03
[18]
웹사이트
Wolf v. Colorado, 338 U.S. 25 (1949), at 2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9-03
[19]
웹사이트
Berger v. New York, 388 U.S. 41 (1967), at 51.
https://supreme.just[...]
2023-09-18
[20]
웹사이트
People v De Bour
https://nycourts.gov[...]
2023-10-27
[21]
웹사이트
Close Encounters of the Police Kind
https://archive.nysb[...]
2022-06-18
[22]
웹사이트
Camara v. Municipal Court, 387 U.S. 523 (1967), at 528.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4-10
[23]
웹사이트
Roxanne Torres v. Janice Madrid, et al., Opinion of the Court, Slip Opinion page 9.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4-10
[24]
판례
Mapp v. Ohio
[25]
백과사전
Mapp v. Ohio
2013-07-28
[26]
웹사이트
Weeks v. United States, 232 U.S. 383 (1914), at 391-39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1-18
[27]
백과사전
Fourth Amendment
2013-07-28
[28]
판례
Jacobson v. United States
[29]
학술지
Recent Case, Ninth Circuit Considers Community's Racial Tension with Police in Finding Illegal Seizure and Lack of Voluntary Consent. — United States V. Washington, 490 F.3d 765 (9th Cir. 2007)
https://scholarship.[...]
2008-04-01
[30]
판례
Berger v. New York
[31]
판례
Camara v. Municipal Court of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32]
판례
Coolidge v. New Hampshire
[33]
판례
Arizona v. Gant
[34]
판례
Vernonia School District 47J v. Acton
[35]
판례
Chandler v. Miller
[36]
웹사이트
Terry v. Ohio, 392 U.S. 1 (1968), at 21-2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3-10-27
[37]
판례
United States v. Jacobsen
[38]
웹사이트
City of Ontario v. Qu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3-12-28
[39]
백과사전
Katz v. United States 389 U.S. 347 (1967)
https://web.archive.[...]
2013-07-28
[40]
판례
Silverman v. United States
[41]
판례
Katz v. United States
[42]
판례
Katz
[43]
판례
Katz
[44]
서적
The Lure: The True Story of How the Department of Justice Brought Down Two of the World's Most Dangerous Cyber Criminals
https://archive.org/[...]
Cengage Learning
[45]
서적
Intellectual Freedom Manual
https://books.googl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Office for Intellectual Freedom
[46]
판례
Smith v. Maryland
[47]
학술지
First Principles of Communications Privacy
https://web.archive.[...]
2013-06-17
[48]
학술지
United States v. Forrester: An Unwarranted Narrowing of the Fourth Amendment
http://digitalcommon[...]
[49]
판례
Smith v. Maryland; United States v. Miller
[50]
웹사이트
Smith v. Maryland
https://www.oyez.org[...]
2014-01-13
[51]
판례
Smith
[52]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Court holds that police will generally need a warrant for cellphone location informati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8-06-22
[53]
판례
United States v. Jones
[54]
웹사이트
Opinion recap: Tight limit on police GPS use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2-01-23
[55]
판례
Florida v. Jardines
[56]
판례
Terry v. Ohio
[57]
백과사전
Terry v. Ohio 392 U.S. 1 (1968) Sibron v. New York 392 U.S. 40 (1968)
https://web.archive.[...]
2013-07-28
[58]
판례
Florida v. Royer
[59]
웹사이트
Florida v. Royer
http://www.casebrief[...]
casebriefs.com
2013-07-28
[60]
판례
Jacobsen
[61]
판례
Soldal v. Cook County
[62]
판례
Dunaway v. New York
[63]
판례
United States v. Mendenhall
[64]
판례
Florida v. Bostick
[65]
판례
Knowles v. Iowa
[66]
뉴스
Fed appeals court says refusal to identify no cause for arrest
http://www.arkansasn[...]
2008-04-05
[67]
판례
Virginia v. Moore
[68]
뉴스
Court allows search and seizure in Va. case
https://www.usatoday[...]
2008-04-23
[69]
판례
Maryland v. King
[70]
웹사이트
Supreme Court Approves Use of DNA Swabbing in Serious Arrests
http://www.jdjournal[...]
JDJournal
2013-08-02
[71]
판례
Delaware v. Prouse
[72]
백과사전
Automobile search
https://web.archive.[...]
2013-07-28
[73]
판례
United States v. Martinez-Fuerte
[74]
판례
Michigan Dept. of State Police v. Sitz
[75]
판례
Illinois v. Lidster
[76]
판례
City of Indianapolis v. Edmond
[77]
판례
Maryland v. Dyson
[78]
판례
Andrews v. Fuoss
https://scholar.goog[...]
2014-02-12
[79]
판례
Flippo v. West Virginia
[79]
판례
California v. Acevedo
[80]
판례
New Jersey v. T. L. O.
[81]
판례
T. L. O.
[82]
학술지
Article 8 – Subway Searches: Which Exception to the Warrant and Probable Cause Requirements Applies to Suspicionless Searches of Mass Transit Passengers To Prevent Terrorism?
http://ir.lawnet.for[...]
2013-12-28
[83]
판례
Skinner v. Railway Labor Executives Association
[84]
웹사이트
Berger v. New York, 388 U.S. 41 (1967), at 59.
https://supreme.just[...]
2023-09-18
[85]
웹사이트
CSR Memorandum to the United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entitled "Probable Cause, Reasonable Suspicion, and Reasonableness Standards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Amendmen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Act"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via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9-09-27
[86]
판례
Beck v. Ohio
[87]
판례
Johnson v. United States
[88]
판례
Carroll v. United States
[89]
백과사전
Carroll v. United States 267 U.S. 132 (1925)
https://web.archive.[...]
2013-07-28
[90]
판례
Dumbra v. United States
[91]
판례
Carroll
[92]
판례
Texas v. Brown
[93]
판례
Illinois v. Gates
[94]
간행물
Obtaining Written Consent to Search
http://www2.fbi.gov/[...]
2003-03
[95]
판례
Schneckloth v. Bustamonte
[96]
백과사전
Schneckloth v. Bustamonte 412 U.S. 218 (1973)
https://web.archive.[...]
2013-07-31
[97]
판례
United States v. Matlock
[98]
판례
Georgia v. Randolph
[99]
판례
Illinois v. Rodriguez
[100]
간행물
Consent searches: guidelines for officers
https://www.questia.[...]
1996-08-01
[101]
판례
Stoner v. California
[102]
판례
Coolidge v. New Hampshire
[103]
백과사전
Plain View Doctrine
https://web.archive.[...]
2013-07-31
[104]
판례
Arizona v. Hicks
[105]
판례
[106]
판례
Hester v. United States
[107]
판례
Oliver v. United States
[108]
판례
Oliver
[109]
판례
California v. Ciraolo
[110]
판례
United States v. Dunn
[111]
판례
Dunn
[112]
판례
Jardines
[113]
판례
Schmerber v. California
[114]
웹사이트
Missouri v. McNeely
https://web.archive.[...]
Supreme Court
2014-12-05
[115]
백과사전
Exigent Circumstances Search
https://web.archive.[...]
2013-07-31
[116]
판례
Warden v. Hayden
[117]
웹사이트
Courts in a muddle over 4th Amendment's community caretaking exception
http://www.abajourna[...]
2018-09-29
[118]
웹사이트
The Community Caretaker Function Exception to the Warrant Requirement
https://web.archive.[...]
2018-09-29
[119]
판례
Carroll v. United States
[120]
웹사이트
The motor vehicle exception
https://www.questia.[...]
2005-08-01
[121]
판례
Collins v. Virginia
[122]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Justices decline to extend Fourth Amendment's "automobile excepti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8-05-29
[123]
판례
Arizona v. Gant
[124]
웹사이트
Limits on warrantless car searches, compensation to terrorism victims, veterans benefit disputes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09-04-21
[125]
블로그
The Origins of the "Search Incident to Arrest" Exception
http://volokh.com/20[...]
The Volokh Conspiracy
2010-12-14
[126]
웹사이트
Riley v. California –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a Warrantless Cell Phone Search Incident to Arrest
http://epic.org/amic[...]
Electron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2014-07-01
[127]
판례
Arizona v. Gant
[128]
판례
Trupiano v. United States
[129]
판례
United States v. Rabinowitz
[130]
판례
Chimel v. California
[131]
판례
Riley v. California
[132]
뉴스
Major Ruling Shields Privacy of Cellphones
https://www.nytimes.[...]
2014-06-25
[133]
뉴스
Between the Lines of the Cellphone Privacy Ruling
https://www.nytimes.[...]
2014-06-25
[134]
판례
Henderson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135]
판례
United States v. Guadalupe-Garza
https://scholar.goog[...]
[136]
저널
Suspicionless border seizures of electronic files: the overextension of the border search exception to the Fourth Amendment
https://www.questia.[...]
2009-10-01
[137]
판례
United States v. Flores-Montano
[138]
판례
Flores-Montano
[139]
판례
United States v. Ickes
https://scholar.goog[...]
[140]
판례
United States v. Arnold
https://scholar.goog[...]
[141]
판례
United States v. U.S. District Court
[142]
웹사이트
More on Clapper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Exception
https://www.lawfarem[...]
Lawfare Blog – Hard National Security Choices
2013-05-23
[143]
웹사이트
United States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Court of Review Case No. 08-01 In Re Directives [redacted text] Pursuant to Section 105B of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https://fas.org/irp/[...]
U.S.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Court of Review (via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8-08-22
[144]
뉴스
Why Clapper Matters: The Future of Programmatic Surveillance
https://www.lawfarem[...]
Lawfare Blog – Hard National Security Choices
2013-05-22
[145]
웹사이트
[redacted]
https://www.eff.org/[...]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11-10-03
[146]
웹사이트
CSR Memorandum to the United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entitled "Probable Cause, Reasonable Suspicion, and Reasonableness Standards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Amendmen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Act"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via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6-01-30
[147]
판례
Board of Education v. Earls
[148]
판례
Illinois v. Lidster
[149]
뉴스
Bush wins passage of US spy bill to protect telecoms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7-09
[150]
판례
Samson v. California
[151]
학술지
Fourth Amendment—Prison Cells: Is there a Right to Privacy
http://scholarlycomm[...]
1984
[152]
판례
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v. Redding
[153]
웹사이트
Analysis: Some expansion of student privacy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09-06-25
[154]
백과사전
Exclusionary Rule
https://web.archive.[...]
[155]
판례
Elkins v. United States
[156]
판례
Weeks v. United States
[157]
백과사전
Weeks v. United States 232 U.S. 383 (1914)
https://web.archive.[...]
[158]
판례
Silverthorne Lumber Co. v. United States
[159]
판례
Nardone v. United States
[160]
백과사전
Silverthorne Lumber Co. v. United States 251 U.S. 385 (1920)
https://web.archive.[...]
[161]
판례
Wolf v. Colorado
[162]
웹사이트
Mapp v. Ohio
https://web.archive.[...]
[163]
뉴스
California's Backfire on Cri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2-06-21
[164]
판례
United States v. Calandra
[165]
판례
Calandra
[166]
판례
Calandra
[167]
판례
United States v. Leon
[168]
판례
Leon
[169]
판례
Nix v. Williams
[170]
백과사전
Nix v. Williams 467 U.S. 431 (1984)
https://web.archive.[...]
[171]
판례
Segura v. United States
[172]
웹사이트
The Inevitable Discovery Exception to the Exclusionary Rule
https://www.questia.[...]
1997-09-01
[173]
판례
Arizona v. Evans
[174]
판례
Herring v. United States
[175]
웹사이트
Arizona v. Evans: Adapting the Exclusionary Rule to Advancing Computer Technology
http://law.richmond.[...]
The Richmond Journal of Law and Technology
1996-02-13
[176]
웹사이트
Court says evidence is valid despite police error
http://www.law.com/j[...]
2009-01-14
[177]
판례
Davis v. United States
[178]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The fading "exclusionary rule"
http://www.scotusblo[...]
2011-06-25
[179]
판례
Utah v. Strieff
[180]
뉴스
The Supreme Court's Utah v. Strieff decision and the Fourth Amendment
http://blog.constitu[...]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2016-06-25
[181]
판례
Burdeau v. McDowell
[182]
판례
United States v. Janis
[183]
판례
United States v. Andreas
[184]
판례
INS v. Lopez-Mendoza
[185]
판례
Griffin v. Wisconsin; United States v. Knights
[186]
판례
Pennsylvania Bd. of Probation and Parole v. Scott
[187]
뉴스
Federal judge rules NSA program is likely unconstitutional
https://web.archive.[...]
2013-12-16
[188]
뉴스
Judge Questions Legality of N.S.A. Phone Records
https://www.nytimes.[...]
2013-12-16
[189]
뉴스
Judge: NSA domestic phone data-mining unconstitutional
http://edition.cnn.c[...]
CNN
2013-12-17
[190]
뉴스
Court Says NSA Bulk Telephone Spying Is Unconstitutional
https://www.wired.co[...]
2013-12-16
[191]
뉴스
Federal judge rules against NSA spying
https://www.usatoday[...]
2013-12-16
[192]
뉴스
Judge: NSA phone program likely unconstitutional
http://www.politico.[...]
2013-12-16
[193]
뉴스
NSA phone surveillance program likely unconstitutional, federal judge rules
https://www.theguard[...]
2013-12-16
[194]
뉴스
Judge: NSA's collecting of phone records is probably unconstitutional
https://www.washingt[...]
2013-12-16
[195]
웹사이트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v. James R. Clapper (13 Civ. 3994) (WHP)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13-12-27
[196]
뉴스
Judge Upholds N.S.A.'s Bulk Collection of Data on Calls
https://www.nytimes.[...]
2013-12-27
[197]
웹사이트
Judge upholds NSA's phone data sweeps (UPDATED)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3-12-27
[198]
뉴스
The most Kafkaesque paragraph from today's NSA ruling
https://www.washingt[...]
2013-12-27
[199]
뉴스
NSA collection of phone data is lawful, federal judge rules
https://www.washingt[...]
2013-12-27
[200]
뉴스
ACLU will appeal ruling that NSA bulk phone record collection is legal
https://www.theguard[...]
2014-01-02
[201]
웹사이트
アメリカ合衆国憲法に追加され またはこれを修正する条項
https://americancent[...]
American Center Japan
2022-06-28
[202]
서적
各国憲法集
衆議院法制局
1955-03
[203]
판례
Coke's Rep.
[204]
판례
Entick v. Carrington
[205]
학술지
Technology and the Fourth Amendment: History and Application of Principles of Decision in Light of New Means of Surveillance.
http://search.ebscoh[...]
2014-09
[206]
웹사이트
The Originalist Case for the Fourth Amendment Exclusionary Rule
https://web.archive.[...]
Gonzaga Law Review
2010-01-13
[20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http://www.mass.gov/[...]
2023-10-25
[208]
백과사전
Fourth Amendment, Historical Origins of
https://web.archive.[...]
[209]
서적
Amendment IV
http://press-pubs.u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0]
서적
Neither Separate Nor Equal: Congress in the 1790s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11]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13-04-04
[212]
백과사전
Bill of Rights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13-07-16
[213]
웹사이트
Johnson v. United States, 333 U.S. 10 (1948), at 13-1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3-07-10
[214]
웹사이트
Silverman v. United States, 365 U.S. 505 (1961), at 51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1-26
[2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artinez-Fuerte, 428 U.S. 543 (1976), at 42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8-09
[216]
판례
Ontario v. Quon
[217]
웹사이트
Schmerber v. California, 384 U.S. 757 (1966), at 76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9-03
[218]
웹사이트
Wolf v. Colorado, 338 U.S. 25 (1949), at 2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9-03
[219]
웹사이트
Berger v. New York, 388 U.S. 41 (1967), at 51.
https://supreme.just[...]
2023-09-18
[220]
웹사이트
People v De Bour
https://nycourts.gov[...]
2023-10-27
[221]
웹사이트
Close Encounters of the Police Kind
https://archive.nysb[...]
New York State Bar Association
2022-06-18
[222]
웹사이트
Camara v. Municipal Court, 387 U.S. 523 (1967), at 528.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4-10
[223]
웹사이트
Roxanne Torres v. Janice Madrid, et al., Opinion of the Court, Slip Opinion page 9.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4-10
[224]
판례
Mapp v. Ohio
[225]
백과사전
Mapp v. Ohio
https://web.archive.[...]
2013-07-28
[226]
웹사이트
Weeks v. United States, 232 U.S. 383 (1914), at 391-39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1-18
[227]
백과사전
Fourth Amendment
https://web.archive.[...]
2013-07-28
[228]
학술지
Recent Case, Ninth Circuit Considers Community's Racial Tension with Police in Finding Illegal Seizure and Lack of Voluntary Consent. — United States V. Washington, 490 F.3d 765 (9th Cir. 2007)
https://scholarship.[...]
2008-04-01
[229]
판례
Berger v. New York
[230]
판례
Camara v. Municipal Court of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231]
판례
Arizona v. Gant
[232]
판례
Chandler v. Miller
[233]
웹사이트
Terry v. Ohio, 392 U.S. 1 (1968), at 21-2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3-10-27
[234]
판례
United States v. Jacobsen
[235]
웹사이트
City of Ontario v. Qu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3-12-28
[236]
백과사전
Katz v. United States 389 U.S. 347 (1967)
https://web.archive.[...]
2013-07-28
[237]
판례
Silverman v. United States
[238]
판례
Katz v. United States
[239]
판례
Katz
[240]
판례
Katz
[241]
서적
The Lure: The True Story of How the Department of Justice Brought Down Two of the World's Most Dangerous Cyber Criminals
https://archive.org/[...]
Cengage Learning
[242]
서적
Challenges and Issues Today
https://books.googl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Office for Intellectual Freedom
[243]
판례
Smith v. Maryland
[244]
학술지
First Principles of Communications Privacy
https://web.archive.[...]
[245]
학술지
United States v. Forrester: An Unwarranted Narrowing of the Fourth Amendment
http://digitalcommon[...]
[246]
판례
Smith v. Maryland
[247]
웹사이트
Smith v. Maryland
https://www.oyez.org[...]
2014-01-13
[248]
판례
Smith
[249]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Court holds that police will generally need a warrant for cellphone location informati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8-06-22
[250]
학술지
Chimaera Unleashed: The Specter of Warrantless Governmental Intrusion Is a Phantom That Has Achieved Greater Life in the Ether of Internet Communications
https://scholarship.[...]
University of Florida Levin College of Law
2023-10-23
[251]
판례
United States v. Jones
[252]
웹사이트
Opinion recap: Tight limit on police GPS use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2-01-23
[253]
판례
Florida v. Jardines
[254]
판례
Terry v. Ohio
[255]
백과사전
Terry v. Ohio 392 U.S. 1 (1968) Sibron v. New York 392 U.S. 40 (1968)
https://web.archive.[...]
2013-07-28
[256]
판례
Florida v. Royer
[257]
웹사이트
Florida v. Royer
http://www.casebrief[...]
casebriefs.com
2013-07-28
[258]
판례
Soldal v. Cook County
[259]
판례
Jacobsen
[260]
판례
Dunaway v. New York
[261]
판례
United States v. Mendenhall
[262]
판례
Florida v. Bostick
[263]
판례
Knowles v. Iowa
[264]
뉴스
Fed appeals court says refusal to identify no cause for arrest
http://www.arkansasn[...]
2012-04-06
[265]
판례
Virginia v. Moore
[266]
뉴스
Court allows search and seizure in Va. case
https://www.usatoday[...]
2012-04-11
[267]
판례
Maryland v. King
[268]
웹사이트
Supreme Court Approves Use of DNA Swabbing in Serious Arrests
http://www.jdjournal[...]
2013-08-02
[269]
판례
Delaware v. Prouse
[270]
백과사전
Automobile search
https://web.archive.[...]
2013-07-28
[271]
판례
United States v. Martinez-Fuerte
[272]
판례
Michigan Department of State Police v. Sitz
[273]
판례
Illinois v. Lidster
[274]
판례
City of Indianapolis v. Edmond
[275]
웹사이트
warrantとは 意味・読み方・使い方
https://ejje.weblio.[...]
2023-10-30
[276]
웹사이트
writとは 意味・読み方・使い方
https://ejje.weblio.[...]
2023-10-30
[277]
판례
Maryland v. Dyson
[278]
판례
Andrews v. Fuoss
https://scholar.goog[...]
2014-02-12
[279]
판례
Flippo v. West Virginia
[280]
판례
New Jersey v. T. L. O.
[281]
판례
T. L. O.
[282]
논문
Article 8 – Subway Searches: Which Exception to the Warrant and Probable Cause Requirements Applies to Suspicionless Searches of Mass Transit Passengers To Prevent Terrorism?
http://ir.lawnet.for[...]
2013-12-28
[283]
판례
Skinner v. Railway Labor Executives Association
[284]
웹사이트
Berger v. New York, 388 U.S. 41 (1967), at 59.
https://supreme.just[...]
1967-06-12
[285]
웹사이트
CSR Memorandum to the United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entitled "Probable Cause, Reasonable Suspicion, and Reasonableness Standards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Amendmen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Act"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via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6-01-30
[286]
판례
Beck v. Ohio
[287]
판례
Johnson v. United States (1948 Fourth Amendment case)
[288]
판례
Carroll v. United States
[289]
백과사전
Carroll v. United States 267 U.S. 132 (1925)
https://web.archive.[...]
2013-07-28
[290]
판례
Carroll
[291]
판례
Dumbra v. United States
[292]
판례
Texas v. Brown
[293]
판례
Illinois v. Gates
[294]
간행물
Obtaining Written Consent to Search
http://www2.fbi.gov/[...]
FBI Law Enforcement Bulletin
2003-03
[295]
판례
Schneckloth v. Bustamonte
[296]
백과사전
Schneckloth v. Bustamonte 412 U.S. 218 (1973)
https://web.archive.[...]
2013-07-31
[297]
판례
United States v. Matlock
[298]
판례
Georgia v. Randolph
[299]
판례
Illinois v. Rodriguez
[300]
논문
Consent Searches: Guidlines for Officers
https://www.google.c[...]
Federal Bureau of Investigaion
2023-10-29
[301]
판례
Stoner v. California
[302]
판례
Coolidge v. New Hampshire
[303]
백과사전
Plain View Doctrine
https://web.archive.[...]
2013-07-31
[304]
판례
Arizona v. Hicks
[305]
판례
Arizona v. Hicks
[306]
판례
Hester v. United States
[307]
판례
Oliver v. United States
[308]
판례
Oliver
[309]
판례
California v. Ciraolo
[310]
판례
United States v. Dunn
[311]
판례
Dunn
[312]
판례
Jardines
[313]
판례
Schmerber v. California
[314]
웹사이트
Missouri v. McNeely
https://web.archive.[...]
Supreme Court
2014-12-05
[315]
백과사전
Exigent Circumstances Search
https://web.archive.[...]
2013-07-31
[316]
판례
Warden v. Hayden
1967
[317]
뉴스
Courts in a muddle over 4th Amendment's community caretaking exception
http://www.abajourna[...]
2018-09-29
[318]
간행물
The Community Caretaker Function Exception to the Warrant Requirement
https://www.radford.[...]
Radford University
2012-08
[319]
웹사이트
Cady v. Dombrowski, 413 U.S. 433 (1973), at 44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73-06-21
[320]
웹사이트
SCOTUS Holds Community Caretaking Does Not Allow for Warrantless Search
https://www.american[...]
American Bar Association
2021-06-02
[321]
논문
アメリカ刑事法の調査研究(170) Caniglia v. Strom, 593 U.S. ___, 141 S.Ct. 1596 (2021)
https://chuo-u.repo.[...]
日本比較法研究所
2022-08-26
[322]
판례
Carroll v. United States
1925
[323]
논문
The Motor Vehicle Exception
https://books.google[...]
Federal Bureau of Investigaion
2005-08
[324]
판례
Collins v. Virginia
2018
[325]
뉴스
Opinion analysis: Justices decline to extend Fourth Amendment's "automobile excepti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8-05-29
[326]
판례
Arizona v. Gant
2009
[327]
뉴스
Limits on warrantless car searches, compensation to terrorism victims, veterans benefit disputes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09-04-21
[328]
블로그
The Origins of the "Search Incident to Arrest" Exception
http://volokh.com/20[...]
The Volokh Conspiracy
2010-12-14
[329]
웹사이트
Riley v. California –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a Warrantless Cell Phone Search Incident to Arrest
http://epic.org/amic[...]
Electron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2014-07-01
[330]
판례
Arizona v. Gant
2009
[331]
판례
Trupiano v. United States
1948
[332]
판례
United States v. Rabinowitz
1950
[333]
판례
Chimel v. California
1969
[334]
판례
Riley v. California
2014
[335]
뉴스
Major Ruling Shields Privacy of Cellphones
https://www.nytimes.[...]
2014-06-25
[336]
뉴스
Between the Lines of the Cellphone Privacy Ruling
https://www.nytimes.[...]
2014-06-25
[337]
판례
https://scholar.goog[...]
1967
[338]
판례
https://scholar.goog[...]
1970
[339]
논문
Suspicionless border seizures of electronic files: the overextension of the border search exception to the Fourth Amendment
https://www.questia.[...]
2009-10-01
[340]
판례
United States v. Flores-Montano, United States v. Montoya De Hernandez, United States v. Ramsey (1977)
[341]
판례
Flores-Montano
[342]
판례
https://scholar.goog[...]
2005
[343]
판례
https://scholar.goog[...]
2008
[344]
판례
United States v. U.S. District Court
1972
[345]
웹사이트
More on Clapper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Exception
http://www.lawfarebl[...]
Lawfare Blog – Hard National Security Choices
2013-05-23
[346]
웹사이트
United States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Court of Review Case No. 08-01 In Re Directives [redacted text] Pursuant to Section 105B of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https://fas.org/irp/[...]
U.S.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Court of Review (via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8-08-22
[347]
웹사이트
Why Clapper Matters: The Future of Programmatic Surveillance
https://www.lawfareb[...]
2013-05-22
[348]
웹사이트
[redacted]
https://www.eff.org/[...]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11-10-03
[349]
웹사이트
CSR Memorandum to the United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entitled "Probable Cause, Reasonable Suspicion, and Reasonableness Standards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Amendmen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Act"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via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6-01-30
[350]
판례
Board of Education v. Earls
2002
[351]
판례
Illinois v. Lidster
[352]
뉴스
Bush wins passage of US spy bill to protect telecoms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7-09
[353]
판례
Samson v. California
[354]
학술지
Fourth Amendment—Prison Cells: Is there a Right to Privacy
http://scholarlycomm[...]
1984
[355]
판례
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v. Redding
[356]
웹사이트
Analysis: Some expansion of student privacy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09-06-25
[357]
백과사전
Exclusionary Rule
http://www.highbeam.[...]
[358]
판례
Elkins v. United States
[359]
판례
Weeks v. United States
[360]
백과사전
Weeks v. United States 232 U.S. 383 (1914)
http://www.highbeam.[...]
[361]
판례
Silverthorne Lumber Co. v. United States
[362]
판례
Nardone v. United States
[363]
백과사전
Silverthorne Lumber Co. v. United States 251 U.S. 385 (1920)
http://www.highbeam.[...]
[364]
판례
Wolf v. Colorado
[365]
웹사이트
Mapp v. Ohio
http://www.highbeam.[...]
[366]
뉴스
California's Backfire on Crime
https://www.nytimes.[...]
1982-06-21
[367]
판례
United States v. Calandra
[368]
판례
Calandra
[369]
판례
Calandra
[370]
판례
United States v. Leon
[371]
판례
Leon
[372]
판례
Nix v. Williams
[373]
백과사전
Nix v. Williams 467 U.S. 431 (1984)
http://www.highbeam.[...]
[374]
판례
Segura v. United States
[375]
학술지
The Inevitable Discovery Exception to the Exclusionary Rule
https://books.google[...]
Federal Bureau of Investigaion
1997-09
[376]
판례
Arizona v. Evans
[377]
판례
Herring v. United States
[378]
웹사이트
'Arizona v. Evans': Adapting the Exclusionary Rule to Advancing Computer Technology
http://law.richmond.[...]
The Richmond Journal of Law and Technology
1996-02-13
[379]
웹사이트
Court says evidence is valid despite police error
http://www.law.com/j[...]
[380]
판례
Davis v. United States
[381]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The fading "exclusionary rule"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1-06-25
[382]
판례
Utah v. Strieff
[383]
뉴스
The Supreme Court's Utah v. Strieff decision and the Fourth Amendment
http://blog.constitu[...]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2016-06-25
[384]
판례
Burdeau v. McDowell
[385]
판례
United States v. Janis
[386]
판례
United States v. Andreas
[387]
판례
INS v. Lopez-Mendoza
[388]
판례
Griffin v. Wisconsin; United States v. Knights (2001)
[389]
판례
Pennsylvania Bd. of Probation and Parole v. Scott
[390]
뉴스
Federal judge rules NSA program is likely unconstitutional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Post
2013-12-16
[391]
뉴스
Judge Questions Legality of N.S.A. Phone Record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12-18
[392]
뉴스
Judge: NSA domestic phone data-mining unconstitutional
http://edition.cnn.c[...]
CNN
2013-12-18
[393]
뉴스
Court Says NSA Bulk Telephone Spying Is Unconstitutional
https://www.wired.co[...]
Wired
2013-12-18
[394]
뉴스
Federal judge rules against NSA spying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3-12-18
[395]
뉴스
Judge: NSA phone program likely unconstitutional
http://www.politico.[...]
Politico
2013-12-18
[396]
뉴스
NSA phone surveillance program likely unconstitutional, federal judge rul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12-18
[397]
뉴스
Judge: NSA's collecting of phone records is probably unconstitutional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3-12-17
[398]
웹사이트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v. James R. Clapper (13 Civ. 3994) (WHP)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13-12-28
[399]
뉴스
Judge Upholds N.S.A.'s Bulk Collection of Data on Cal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12-28
[400]
웹사이트
Judge upholds NSA's phone data sweeps (UPDATED)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3-12-28
[401]
뉴스
The most Kafkaesque paragraph from today's NSA ruling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3-12-28
[402]
뉴스
NSA collection of phone data is lawful, federal judge rule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3-12-28
[403]
뉴스
ACLU will appeal ruling that NSA bulk phone record collection is lega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1-04
[404]
웹사이트
Official Bill of Rights in the National Archives
http://www.arch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