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끼는 낚시, 사냥, 해충 방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나 도구를 의미한다. 낚시에서는 물고기를 유인하여 잡는 데 사용되며, 천연 미끼와 인조 미끼로 나뉜다. 사냥에서는 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거나 사격하기 위해 사용되며, 야생동물에게 미끼를 제공하는 것은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관련 법규에 따라 규제될 수 있다. 해충 방제에서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독극물이 포함된 미끼가 사용되며, 사육에서는 가축에게 제공하는 사료를 미끼로 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끼 - 붉은 청어
붉은 청어는 논쟁에서 주의를 딴 데로 돌리는 비형식적 오류의 일종으로, 논점과 관련 없는 주장을 제시하여 주의를 끄는 기술이며, 핵심 쟁점과 관련 없음을 지적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 사냥 장비 - 소총
소총은 강선이 있는 총열을 사용하고 어깨에 견착하여 발사하는 개인 화기로, 핸드 캐논에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소형화되었으며,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 사냥 장비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먹이 - 구유
구유는 예수 탄생 이야기에서 마리아와 요셉이 아기 예수를 뉘었던 곳으로, 겸손과 신성한 탄생을 상징하며, 성탄절에 교회나 가정에 장식되기도 한다. - 먹이 - 콩
콩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이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품, 사료, 공업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유전자변형, 환경 문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미끼 | |
---|---|
개요 | |
정의 | 사냥이나 낚시에서 먹이를 유인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 |
목적 | 동물을 특정 장소로 유인하여 포획하거나 잡기 쉽게 만드는 것 |
종류 | |
자연 미끼 | 벌레 작은 물고기 식물 |
가공 미끼 | 빵 씨앗 곡물 |
사용 방법 | |
낚시 | 낚싯바늘에 꿰어 물고기를 유인 |
사냥 | 덫 근처에 놓아 동물을 유인 |
고려 사항 | |
대상 동물 | 대상 동물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고려 |
환경 | 환경 조건 (날씨, 계절)을 고려 |
법규 | 관련 법규 준수 (특정 미끼 사용 금지 등) |
2. 용도
미끼는 특정 동물을 유인하거나 포획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대표적인 용도로는 낚시, 사냥, 해충 방제가 있으며, 각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미끼의 종류와 방식이 달라진다.
2. 1. 낚시
낚시에서 미끼는 낚싯바늘 끝에 꿰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먹이를 말한다.[13] 새우, 지렁이, 밥알 등이 전통적인 예시이다. 한국에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 모두에서 다양한 종류의 미끼가 사용된다.낚시 미끼는 크게 자연에서 얻는 천연 미끼와 인공적으로 만든 인조 미끼(루어)로 나눌 수 있다. 천연 미끼로는 살아있는 작은 물고기, 지렁이, 곤충 및 그 유충, 새우 등이 대표적이며, 죽은 물고기 조각이나 빵반죽 등도 사용된다.[1] 인조 미끼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만들며, 최근에는 전자 기술을 이용한 미끼도 등장했다.
미끼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낚싯바늘에 직접 끼우는 '끼움 미끼'와 물고기를 특정 장소로 유인하기 위해 물에 뿌리는 '밑밥'으로 구분하기도 한다.[13] 어떤 미끼를 어떻게 사용할지는 대상 어종, 낚시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진다.
2. 1. 1. 낚시 미끼의 종류
낚시 미끼는 낚시 바늘 끝에 꿰어 물고기를 유인하는 먹이를 가리킨다. 크게 천연 미끼와 인조 미끼로 나눌 수 있다.
=== 천연 미끼 ===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미끼이다. 살아있는 작은 물고기가 가장 효과적인 천연 미끼로 꼽히지만, 죽은 물고기를 잘게 잘라 쓰거나 치즈, 물고기알, 빵반죽 등도 활용된다. 전통적으로 지렁이, 작은 미끼 물고기, 곤충의 성충 및 유충이 널리 사용되었으며, 내장은 원양 낚시에서 밑밥으로 흔히 쓰인다.



바다 낚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천연 미끼가 사용된다.[12]
- 갯지렁이류: 갯지렁이, 참갯지렁이 등.
- 썰어 놓은 미끼: 고등어, 가다랑어, 오징어 등의 살점 조각.
- 크릴새우
- 살아있는 미끼: 멸치, 전갱이, 새우 등을 산 채로 바늘에 꿴 것.
- 기타: 멸치 등의 생선 소금 절임, 경단 미끼, 보일리.
계류 낚시에서는 주로 대상 어종이 서식하는 환경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미끼를 사용한다.
연구에 따르면 민어나 새우와 같은 천연 미끼는 물고기가 더 잘 인식하고 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특정 어종을 대상으로는 특정 미끼가 효과적인데, 예를 들어 붉은 북어(붉은 물고기)에는 포기 (청어)가 좋고, 가을철 점박이 물고기에게는 민어가 좋은 미끼로 알려져 있다.[1]
다만, ''Myxobolus cerebralis'' (회전병)의 전염 위험 때문에 송어와 연어는 미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인조 미끼 ===
인조 미끼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 인공적인 재료로 만든 미끼로, 흔히 루어(Lure)라고 부른다. 천연 미끼의 형태나 움직임을 모방한 것부터 화려한 색상이나 독특한 디자인으로 물고기의 호기심이나 공격성을 자극하는 것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최근에는 플라스틱 미끼 외에도, 영역 방어적이거나 공격적인 포식성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전자 기술을 이용한 바이오닉 미끼도 등장했다. Fishing bait영어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는 낚시와 루어 등 가짜 미끼를 사용하는 낚시가 있다.[13]
=== 미끼 사용 방식 ===
낚시 미끼는 사용 목적에 따라 끼움 미끼와 밑밥으로 나뉜다.
- 끼움 미끼: 낚싯바늘 끝에 직접 끼워서 물고기가 물도록 유도하는 미끼이다.[13] 위에 언급된 대부분의 천연 미끼와 인조 미끼가 여기에 해당한다.
- 밑밥: 배나 갯바위, 방파제 등에서 물속에 뿌려 물고기를 특정 지점으로 유인하거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미끼이다.[13] 주로 크릴새우나 내장, 곡물류 등을 잘게 부수거나 섞어서 사용한다.
2. 1. 2. 낚시 미끼 사용법
낚시 미끼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끼울 미끼와 밑밥이 있다.[13]- '''끼울 미끼'''
- * 낚싯바늘의 바늘 끝에 직접 끼우는 미끼를 의미한다.[13]
- * 바다낚시에서는 갯지렁이류, 고등어, 가다랑어, 오징어 등의 살을 잘라 만든 미끼, 크릴새우, 살아있는 멸치, 전갱이, 새우 등을 사용한다. 멸치 등을 소금에 절여 사용하기도 한다.[12] 이 외에도 경단 미끼나 보일리 같은 가공 미끼도 있다. 갯지렁이류에는 갯지렁이나 참갯지렁이 등이 포함된다.
- * 계류 낚시에서는 날도래와 같은 수생 곤충의 유충이나 그 성충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지렁이, 구더기, 왁스웜, 연어알 등도 계류 낚시 미끼로 이용된다.
- '''밑밥'''
- * 배나 갯바위, 방파제 등에서 물에 뿌려 물고기를 유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미끼이다.[13]
2. 2. 사냥
사냥에서 미끼는 동물을 특정 장소로 유인하여 포획하거나 사살하는 데 사용된다. 사냥꾼은 일반적으로 미끼를 설치한 후 사격 가능한 거리 내에서 동물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거나, 동물이 미끼를 먹으러 왔을 때 추적하기도 한다. 곰 사냥이 이루어지는 일부 지역에서는 주유소나 사냥 용품점에서 미끼용 재료를 판매하는 것을 볼 수 있다.[2] 미끼는 표범이나 곰과 같은 특정 동물을 대상으로 할 때 흔히 사용되며, 덫을 이용한 포획에도 활용된다.[11] 그러나 미끼 사용은 세실 더 라이온 사례[3]처럼 윤리적 논란이나 법적 규제[11], 생태계 영향[6] 등의 문제를 동반하기도 한다.2. 2. 1. 사냥 미끼의 종류
사냥에서 미끼는 목표 동물을 특정 장소로 유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로 동물이 좋아하는 먹이나 냄새를 이용한다. 사용되는 미끼의 종류는 사냥 대상 동물에 따라 다양하다.표범 사냥의 경우, 죽은 작은 영양과 같은 동물의 사체를 나무 높은 곳에 매달아 놓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는 조심성 많은 표범을 유인하기 위한 방법이다. 사냥꾼은 미끼 근처에서 기다리거나, 동물이 미끼를 먹으러 왔을 때 추적하기도 한다.
곰 사냥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썩은 고기나 생선에 설탕, 프로스팅, 당밀과 같은 단맛이 나는 재료를 섞어 미끼로 사용한다. 사냥꾼은 이렇게 만든 미끼를 뿌려놓고 숨어서 곰을 기다린다.[2] 2015년 짐바브웨에서 밀렵된 유명 사자 세실 더 라이온의 경우, 코끼리 사체를 이용하여 보호 구역 밖으로 유인되었다.[3]
호주에서는 멧돼지 사냥 시 사살된 다른 야생 동물의 사체를 미끼로 활용하기도 한다. 사체를 현장에 방치하면 부패하는 냄새가 며칠 동안 더 많은 멧돼지를 유인하여 사체를 먹게 만든다.[7] 또한 호주에서는 여우, 야생 개, 딩고와 같은 동물을 통제하기 위해 독극물을 넣은 미끼를 살포하는 캠페인이 진행되기도 한다. 이는 지역 농업부, 지방 토지 보호 위원회(RLPB), 국립공원 및 야생 동물 관리청(NPWS) 등과 협력하여 이루어진다.[6]
덫을 이용한 포획 시에도 미끼가 사용된다. 특히 상자 덫이나 울타리 덫과 같이 동물을 가두는 방식의 덫은 먹이로 동물을 유인한다. 이때 사용되는 먹이로는 쌀겨, 채소, 농후 사료, 조사료 등이 있다.[11] 이러한 덫 사용에는 법적 규제가 따르는 경우가 많다.[11]
2. 2. 2. 주의사항
미끼는 동물을 특정 장소로 유인하는 데 사용되지만, 때로는 비윤리적이거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2015년 짐바브웨의 유명한 사자였던 세실 더 라이온은 의도적으로 놓인 코끼리 사체 미끼에 유인되어 보호 구역 밖 사유지에서 밀렵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 이는 미끼가 동물을 안전한 서식지 밖으로 유인하여 위험에 빠뜨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호주에서는 여우, 야생 개, 딩고와 같은 특정 동물을 통제하기 위해 독극물을 섞은 미끼를 살포하는 캠페인이 정부 기관 주도로 진행되기도 한다.[6] 이러한 방식은 목표 동물 외 다른 야생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덫을 이용해 동물을 포획할 때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11] 덫의 사용 자체에 법적 규제가 따르는 경우가 있으므로[11] 미끼를 이용한 포획 활동 시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
2. 3. 해충 방제
해충 방제 분야에서 미끼는 주로 독극물을 섞은 먹이 형태로 만들어져 해충을 유인하고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4][5]2. 3. 1. 해충 방제 미끼의 종류

독 먹이는 쥐, 생쥐, 새, 민달팽이, 달팽이, 개미, 바퀴벌레 등 다양한 해충을 방제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기본적인 과립이나 다른 형태의 제제에는 대상 해충을 유인하는 먹이와 적절한 독극물이 포함되어 있다.
해충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독소의 작용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개미의 경우 일개미가 독 먹이를 군체로 가져갈 시간을 벌기 위해 느리게 작용하는 독소가 필요하다. 반면, 파리의 경우에는 알을 더 낳지 못하게 막고 불쾌감을 빠르게 줄이기 위해 신속하게 작용하는 물질이 요구된다.[4]
민달팽이와 달팽이용 미끼에는 종종 연체동물 살충제인 메탈데히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어린이와 애완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다.[5]
2. 3. 2. 주의사항
독극물을 이용한 미끼는 쥐, 생쥐, 새, 민달팽이, 달팽이, 개미, 바퀴벌레 등 다양한 해충을 없애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4] 그러나 이러한 미끼에 포함된 독성 물질은 사람이나 반려동물에게도 해로울 수 있어 취급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민달팽이와 달팽이용 미끼에는 연체동물 살충제인 메탈데히드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어린이와 반려동물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다.[5]
3. 사육
인간이 생활 영역 내에서 관리하고 키우는 동물을 사육 동물이라고 하며, 이는 자원 동물, 사역 동물(노동 동물), 애완 동물 등으로 나뉜다[9]. 가축 등 사육 동물에게 주는 먹이는 사료라고 부른다. 특히 소나 말 등에게 주는 베어낸 목초나 건초 등도 사료의 일종이다.
사료를 주는 방법에는 동물이 언제든 먹을 수 있도록 항상 준비해두는 '끊임없는 급여법'(자유 급여)과 하루에 줄 양을 정해놓고 주는 '제한 급여법'이 있다[10]. 예를 들어 실험 동물의 경우, 마우스, 래트, 햄스터 같은 작은 설치류에게는 끊임없이 먹이를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특히 마모셋류는 조금씩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습성이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한다[10]. 반면, 기니피그나 토끼 등은 영양 과다 섭취를 막기 위해 제한 급여법을 사용한다[10].
4. 기타 용도
미생물을 유인하는 데 미끼를 사용하는 방법을 미끼법이라고 한다.
또한, 비유적으로 사람을 유혹하거나 속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건이나 보상 등을 '미끼'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Live Bait Fishing: Including Doughbait & Scent
https://archive.org/[...]
Creative Publishing
[2]
웹사이트
Bear Hunting FAQ
http://www.bear-hunt[...]
Bear Hunting Frequently Asked Questions
[3]
웹사이트
Cecil the Lion was allegedly lured out of park with elephant carcass before he was killed
https://www.nydailyn[...]
2018-03-06
[4]
서적
Residential, Industrial, and Institutional Pest Control
https://books.google[...]
UCANR Publications
[5]
웹사이트
Snails and slugs
http://ipm.ucanr.edu[...]
UC IPM
2017-08-28
[6]
웹사이트
Wild dog baiting
https://web.archive.[...]
Lockyer Valley Regional Council
2011-08-23
[7]
웹사이트
In Pursuit of Pigs
https://www.ssaa.org[...]
Sporting Shooters Association of Australia
2015-05-10
[8]
웹사이트
"「ニホンウナギの生息地保全の考え方(案)」への意見"
https://www.ecosys.o[...]
2023-03-02
[9]
간행물
외래의 카메류노 야외데노 테이챠쿠노 지쯔타이(<토쿠슈>아이치 각센 대학 코뮤니티 정책 연구소 제13회 심포지움「사라와레루 카메、스테라레루 카메、코로사레루 카메-아이간 도우부츠토 코뮤니티」)
http://id.nii.ac.jp/[...]
2023-03-06
[10]
웹사이트
실험동물의 사양 및 보관 및 고통의 경감에 관한 기준의 해설
https://www.env.go.j[...]
2023-03-02
[11]
웹사이트
상자와 둘러싸는 함정에 의한 사슴 포획의 기본
http://www.wmi-hyogo[...]
2023-03-02
[12]
서적
기초부터 시작하는 오키낚시 입문
츠리 정보 편집부
[13]
서적
신판 바다낚시 완전BOOK
메이츠 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