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다양한 종을 통칭하는 말로, 삼각형 얼굴, 뾰족한 귀, 덤불 꼬리가 특징이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포하며, 붉은여우, 북극여우, 페넥여우 등이 대표적이다. 여우는 잡식성 동물로, 곤충, 작은 척추동물, 과일 등을 섭취하며, 일부 종은 도시 환경에 적응하여 생활하기도 한다. 여우는 문화적으로 교활함, 속임수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민속 신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복원 사업을 통해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 향명 - 맹금류
    맹금류는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사나운 새를 통칭하며,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뛰어난 시력과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 매, 독수리, 올빼미 등이 대표적이고,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동물 향명 - 돌고래
    돌고래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총칭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측계통군 - 맹금류
    맹금류는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사나운 새를 통칭하며,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뛰어난 시력과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 매, 독수리, 올빼미 등이 대표적이고,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측계통군 - 돌고래
    돌고래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총칭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여우
개요
붉은여우
붉은여우, 온타리오주 앨곤퀸 주립공원
분류군일부 개족 종
카니니족 일부 종
불피니족 모든 종
일부 원시적인 개과
생물학적 분류
하위 분류
포함하는 종두시시온 쿨트리덴스
세르도키온
세르도키온 타우스
리카로펙스
리카로펙스 쿨파에우스
리카로펙스 풀비페스
리카로펙스 그리세우스
리카로펙스 김노케르쿠스
리카로펙스 세추라에
리카로펙스 베툴루스
불페스
불페스 라고푸스
불페스 불페스
불페스 벨록스
불페스 마크로티스
불페스 코르사크
불페스 카마
불페스 팔리다
불페스 벵갈렌시스
불페스 페릴라타
불페스 카나
불페스 루에펠리
불페스 제르다
우로키온
우로키온 키네레오아르겐테우스
우로키온 리토랄리스
우로키온 종
오토키온
오토키온 메갈로티스
특징
털색다양함
크기다양함
서식지다양함
추가 정보
참고 문헌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일본 대백과사전 키츠네
참고 서적데이비드 W. 맥도널드, 클라우디오 실레로-주비리 편집, "야생 개과의 생물학과 보존", 2004년, Oxford University Press.
H.G. 로이드, "붉은여우", 1981년, Batsford.
삼성당 편집부, "삼성당 생물소사전", 2012년, 삼성당.
마쓰이 미츠코, 아이가 테츠오 편집, "만유백과사전 20 동물", 1974년, 쇼가쿠칸.
이마이즈미 요시하루, 시모나카 나오토 편집, "세계대백과사전", 2009년, 헤이본샤

2. 하위 분류

여우는 다음 속에 속하는 동물들을 포함한다.



분자계통에 따르면, 개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개의 클레이드로 나눌 수 있다.[62]

  • 붉은여우형 클레이드: 구세계북아메리카의 여우류로, 여우속과 큰귀여우속이 포함된다.
  • 남미 클레이드: 남아메리카의 여우류로, 게잡이여우속과 쿨페오여우속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늑대형 클레이드(개속 등)에 다소 근연이며, 개족의 일부이다.
  • 섬회색여우 클레이드: 미국에 서식하는 회색여우속이 포함된다.


과거에는 개과를 개족과 여우족으로 나누었으나, 이 분류는 계통이나 넓은 의미의 여우 범위와 일치하지 않는다.

2. 1. 여우속 (''Vulpes'')

여우속(''Vulpes'')에 속하는 동물은 다음과 같다.

여우 같은 개과 동물에는 흰꼬리여우 (''Vulpes velox''), 붉은여우 (''Vulpes vulpes''), 케이프여우 (''Vulpes chama''), 북극여우 (''Vulpes lagopus''), 페넥여우 (''Vulpes zerda'')가 포함된다.[6]

여우(왼쪽)와 회색여우(오른쪽) 두개골의 비교 그림. 측두능선과 아각돌기의 차이를 나타낸다.


넓은 의미의 여우로서, 붉은여우형 클레이드에는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

2. 2. 북극여우속 (''Alopex'')

북극여우속(Alopexla)은 한때 북극여우를 포함하는 별도의 속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유전적 증거에 따라 여우속(Vulpes)에 포함되어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지 않는다.[6] 북극여우(Vulpes lagopusla)는 추운 북극 지방에 적응한 여우의 일종이다.

2. 3. 회색여우속 (''Urocyon'')

회색여우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회색여우 (''Urocyon cinereoargenteus''),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 미드타운


2. 4. 큰귀여우속 (''Otocyon'')

큰귀여우 (''Otocyon megalotis'')[6]

2. 5. 게잡이여우속 (''Cerdocyon'')

게잡이여우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여우의 일종이다.[2]

남아메리카 종인 게잡이여우

2. 6. 리칼로펙스속 (''Lycalopex'')

Lycalopex|리칼로펙스영어속에 속하는 동물은 다음과 같다.

사진



쿨페오여우속((Lycalopexla})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여우류로, 늑대형 클레이드(개속 등)에 다소 근연이며, 개족의 일부이다. 쿨페오여우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있다.[62]


  • 쿨페오여우 (쿨페오) culpeo|쿨페오영어, Lycalopex culpaeus|리칼로펙스 쿨파에우스la
  • 회색여우 hoary fox|회색여우영어, Lycalopex vetulus|리칼로펙스 베툴루스la
  • 세추라여우 Sechura fox|세추라여우영어, Lycalopex sechurae|리칼로펙스 세추라에la
  • 아르헨티나회색여우 Argentine gray fox, chilla|아르헨티나회색여우, 칠라영어, Lycalopex griseus|리칼로펙스 그리세우스la
  • 팜파스여우 pampas fox, Azara's dog|팜파스여우, 아자라개영어, Lycalopex gymnocercus|리칼로펙스 김노케르쿠스la


2. 7. 기타

"여우"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했으며, 원시 게르만어 *fuhsaz*에서 파생되었다.[3] 이는 다시 원시 인도-유럽어 *puḱ-* "털이 두꺼운, 꼬리"에서 유래한다.[3] 숱 많은 꼬리는 여우의 웨일스어 이름 ''llwynog'' ('숱 많은'을 의미, ''llwyn''은 '덤불'을 의미)의 기초가 된다. 마찬가지로, 는 ''rabo'' ('꼬리'를 의미)에서, 리투아니아어 ''uodẽgis''는 ''uodegà'' ('꼬리'를 의미)에서, 그리고 오지브와어 ''waagosh''는 동물이나 그 꼬리가 위아래로 "튀는" 또는 흔들리는 것을 가리키는 ''waa''에서 유래한다.[3]

수컷 여우는 개, ''토드'', 또는 ''레이나드''라고 알려져 있으며, 암컷은 ''여우''이다.[3] 새끼는 ''새끼'', ''강아지'', 또는 ''킷''이라고 하지만, 마지막 용어는 별개의 종인 킷여우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3] "Vixen"(암여우)은 현대 영어에서 중세 영어 남부 방언의 "v" 발음을 "f" 대신 유지하는 몇 안 되는 단어 중 하나이다. (북부 영어 "fox" 대 남부 영어 "vox").[3] 여우 무리는 ''잠행하는 무리'', ''사냥개 묶음'', 또는 ''땅굴''이라고 한다.[4][5]

개과 동물의 계통 발생 관계는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러 계통 분류군으로 나뉜다.[6]

여우로 흔히 알려진 개과 동물은 다음과 같은 속과 종을 포함한다.[2]

사진
Canis시미언 여우 또는 시미언 자칼이라고도 불리는 시미언자칼
에티오피아 고원에 서식하는 시미언자칼
Cerdocyon게잡이여우
Dusicyon멸종된 속으로, 포클랜드여우 (포클랜드 제도 여우)를 포함합니다
존 제러드 컬레만스(1842–1912)가 그린 포클랜드여우 그림
Lycalopex
Otocyon큰귀여우
Urocyon
Vulpes



붉은여우

3. 계통 분류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89][90][91]



개과 동물의 계통 발생 관계는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러 계통 분류군으로 나뉜다.



가장 넓은 의미의 여우로서, 일본어 이름에 "여우" (영어 이름에 fox영어)가 포함되는 6속의 종을 든다. 단, 화석종은 제외한다(근대 멸종종은 든다).

크게 3분한 "〜클레이드"는 분자계통에 의한 것이다.[62] 개과는 전통적으로 개족 Caninila와 여우족 Vulpinila으로 나뉘어 왔지만, 이 분류는 계통에도, 넓은 의미의 여우의 범위에도 일치하지 않는다.

  • 붉은여우형 클레이드의 대부분(너구리 제외) - 구세계북미의 여우류. 여우족의 대부분.
  • * 여우속 Vulpesla
  • ** 붉은여우 red fox영어, Vulpes vulpesla
  • ** 아프가니스탄여우 (블랜포드여우) Blanford's fox영어, Vulpes canala
  • ** 창백여우 pale fox영어, Vulpes pallidala
  • ** 루펠여우 Rueppel's fox영어, Vulpes rueppellila
  • ** 케이프여우 Cape fox영어, Vulpes chamala
  • ** 코삭여우 corsac fox영어, Vulpes corsacla
  • ** 스위프트여우 swift fox영어, Vulpes veloxla
  • ** 티베트여우 Tibetan fox영어, Vulpes ferrilatala
  • ** 킷여우 kit fox영어, Vulpes macrotisla
  • ** 벵골여우 Bengal fox영어, Vulpes bengalensisla
  • ** 페넥여우 (페넥) fennec영어, Vulpes zerdala (Fennecus zerdala)
  • ** 북극여우 arctic fox영어, Vulpes lagopusla (Alopex lagopusla)
  • * 큰귀여우속 Otocyonla
  • ** 큰귀여우 bat-eared fox영어, Otocyon megalotisla
  • 남미 클레이드의 일부 - 남미의 여우류. 늑대형 클레이드(개속 등)에 다소 근연이며, 개족의 일부.
  • * 게잡이여우속(게잡이개속) Cerdocyonla
  • ** 게잡이여우(게잡이개) crab-eating fox영어, Cerdocyon thousla
  • * 쿨페오여우속 Lycalopexla (Pseudalopexla)
  • ** 쿨페오여우 (쿨페오) culpeo영어, Lycalopex culpaeusla
  • ** 회색여우 hoary fox영어, Lycalopex vetulusla
  • ** 세추라여우 Sechura fox영어, Lycalopex sechuraela
  • ** 아르헨티나회색여우 Argentine gray fox, chilla영어, Lycalopex griseusla
  • ** 팜파스여우 pampas fox, Azara's dog영어, Lycalopex gymnocercusla
  • * †포클랜드여우속(포클랜드늑대속, 아자라개속) Dusicyonla
  • ** †포클랜드여우(포클랜드늑대) Falkland island fox영어, Dusicyon australisla
  • 섬회색여우 클레이드 - 미국에 서식. 여우족의 일부(붉은여우형 클레이드 이외의 나머지).
  • * 회색여우속 Urocyonla
  • ** 회색여우 gray fox영어, Urocyon cinereoargenteusla
  • ** 섬회색여우 island fox영어, Urocyon littoralisla


넓은 의미의 여우(그림의 ◆)는 개아과(현생 개과) 내에서 단계통을 이루지 않고, 계통적으로 분산된 다계통이다. 개아과의 4대 계통 중 3개에 분포한다.

{| class="wikitable"

|-

! 개아과

|-

| 붉은여우형 클레이드

|-

|

여우속 Vulpesla
너구리속 Nyctereutesla
◆큰귀여우속 Otocyonla



|-

| 남미 클레이드

|-

|

작은귀개속 Atelocynusla
◆게잡이여우속 Cerdocyonla
◆†포클랜드여우속 Dusicyonla
덤불개속 Speothosla



|-

| 늑대형 클레이드

|-

| 개속(늑대, , 자칼), 코요테, 딩고

|-

| 회색여우 클레이드

|-

| ◆회색여우속 Urocyonla

|}[62][63]

4. 생태

여우는 잡식성 동물로,[84][85] 물고기, 무척추동물, 설치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두더지, 참새, 메추라기, 거위, , 공작, 비둘기, 가재, 등 작은 동물들을 먹는다. 들쥐와 땃쥐를 먹기도 하고, 사과, , 블루베리, 딸기, 수박, 멜론, 바나나, 산딸기, 월귤 등도 먹는다. 하루에 1kg 정도의 먹이를 섭취하며, 먹이를 나뭇잎, 눈, 흙 아래에 묻어두는 습관이 있다.

인간, 검독수리, 사냥개, 벼룩, 진드기, 모기, 체체파리, 빈대, , 로드킬, 광견병, 파상풍 등이 여우의 천적이다. 영국에서는 여우를 사냥할 때 사냥개를 이용하지만 몽골에서는 검독수리를 이용한다. 여우사냥이 대표적인 예이다. 오소리의 굴을 빼앗거나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혼슈(本州), 큐슈(九州), 시코쿠(四国) 각 본섬과 아와지섬(淡路島)에 붉은여우가,[64] 홋카이도(北海道) 본섬과 북방영토(北方領土)에는 북극여우가 서식하고 있다. 오키나와(沖縄) 본섬에서도 서식이 확인되고 있으며, 사도가섬(佐渡島)에도 인위적인 유입이 있었지만 정착은 확인되지 않았다.[65]

개과 동물 중에서는 드물게 무리를 짓지 않고 작은 가족 단위로 생활한다. 와 같은 사회성은 별로 없다고 여겨지지만, 미야기현(宮城県) 시로이시시(白石市)의 여우무덤(狐塚)처럼 큰 무리로 생활했던 예도 알려져 있다.[66] 야행성이며 매우 신중하지만, 영리하고 호기심이 강해 안전하다고 판단하면 대담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사람에게 익숙해져 낮에 관광객에게 먹이를 구걸하는 일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66] 동공고양이와 마찬가지로 세로로 길다.

여우의 골격(종 불명, 모식도)


야생 여우는 수명이 약 10년 정도로 여겨지지만, 대부분 사냥, 사고, 질병으로 인해 2~3년밖에 살지 못한다.[67] 일반적으로 여우의 체격은 늑대, 자칼 등 개과의 다른 종보다 작다. 평균적인 수컷 여우의 체중은 5.9kg, 암컷은 5.2kg이다. 털이 풍성한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 끝은 흰색이다.[67] 러시아에서는 45년간의 선택적 교배를 통해 은여우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털 색깔, 둥근 귀, 말린 꼬리 등 여러 특징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68]

4. 1. 먹이

여우는 잡식성 동물이다.[84][85] 주된 먹이는 곤충과 같은 무척추동물파충류, 조류와 같은 작은 척추동물이다. 물고기와 같은 어류, 와 같은 설치류,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 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 두더지, 참새, 메추라기, 거위, , 공작, 비둘기, 가재, 등 그 밖의 작은 동물들을 먹이로 삼는다. 그 외에도 작은 들쥐와 땃쥐 등도 처리하는 게 가능하고 사과, , 블루베리, 딸기, 수박, 멜론, 바나나, 산딸기, 월귤 등도 먹을 수 있다. 많은 종은 여러 종을 먹이로 하는 범식 포식자이지만, 게잡이여우와 같은 몇 종은 한 종만을 주로 먹이로 삼기도 한다. 대부분의 여우 종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1kg 정도의 먹이를 섭취한다. 여우는 먹이를 저장하여 나중에 먹기 위해 잎, 눈 또는 흙 아래에 묻는 습관이 있다.[9][15] 사냥할 때 여우는 특정한 덮치기 기술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지형에 자신을 위장하기 위해 웅크린 다음 뒷다리를 사용하여 큰 힘으로 뛰어올라 선택한 먹이 위에 착지한다.[2] 그런 다음 뚜렷한 송곳니를 사용하여 먹이의 목을 잡고 죽을 때까지 또는 내장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흔든다.[2]

4. 2. 천적

인간, 검독수리, 사냥개, 벼룩, 진드기, 모기, 체체파리, 빈대, , 로드킬, 광견병, 파상풍 등이 여우의 천적이다.[64] 영국에서는 여우 사냥에 사냥개를 이용하지만 몽골에서는 검독수리를 이용하기도 한다.[64] 여우사냥은 대표적인 여우 천적의 예시이다.[64] 여우는 오소리의 굴을 빼앗거나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기도 해서, 개와 고양이의 천적이기도 하다.[64]

4. 3. 번식

수컷 여우의 음낭은 고환이 내려온 후에도 몸에 바싹 붙어 있으며, 음경골을 가지고 있다.[2][17][18] 붉은여우의 고환은 북극여우보다 작다.[19] 정자 형성은 8월에서 9월에 시작되며, 고환은 12월에서 2월에 최대 무게에 달한다.[20]

암컷 여우는 1일에서 6일 동안 발정기이며, 번식 주기는 12개월이다. 다른 개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난자는 교미 자극 없이 발정기 동안 배출된다. 난자가 수정되면 암컷 여우는 52일에서 53일 동안 지속될 수 있는 임신 기간에 들어간다. 여우는 평균적으로 4마리에서 5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임신 성공률은 80%이다.[2][21] 새끼의 수는 종과 환경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북극여우는 최대 11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22]

암컷 여우는 보통 6개 또는 8개의 젖꼭지를 가지고 있다.[23] 각 젖꼭지에는 유선을 젖꼭지에 연결하는 8개에서 20개의 유관이 있다.

짝짓기하는 흰발여우

4. 4. 수명

야생에서 여우의 평균 수명은 1년에서 3년이지만, 10년까지 사는 개체도 있다.[2][9] 대부분 사냥, 사고, 질병으로 인해 2~3년밖에 살지 못한다.[67]

5. 형태



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동물로, 늑대자칼보다는 보통 작지만, 너구리보다는 큰 경우도 있다. 가장 큰 종인 붉은여우 수컷은 4.1kg~8.7kg 정도이고,[7] 가장 작은 페넥여우는 0.7kg~1.6kg에 불과하다.[8]

여우는 삼각형 얼굴, 뾰족한 귀, 길쭉한 주둥이, 덤불 같은 꼬리가 특징적이다. 발가락으로 걷는 지행성 동물이며, 대부분의 개과 동물과 달리 부분적으로 발톱을 숨길 수 있다.[9] 검은색 수염 (vibrissae) 중 콧수염(mystacial vibrissae)은 평균 100mm~110mm이고, 머리 다른 부분의 수염은 더 짧다. 앞다리 수염(carpal vibrissae)은 평균 40mm로, 아래쪽과 뒤쪽으로 향한다.[2] 서식지와 적응 방식에 따라 다른 신체적 특징도 나타난다.

5. 1. 일반적인 특징

여우는 개과의 다른 구성원, 예를 들어 늑대자칼보다 일반적으로 작지만, 너구리와 같은 일부 종보다 클 수도 있다. 가장 큰 종인 붉은여우의 경우 수컷의 무게는 4.1kg에서 8.7kg이다.[7] 반면 가장 작은 종인 페넥여우는 0.7kg에서 1.6kg에 불과하다.[8]

여우의 특징적인 모습으로는 삼각형 얼굴, 뾰족한 귀, 길쭉한 주둥이, 그리고 덤불 같은 꼬리가 있다. 여우는 지행성 동물 (즉, 발가락으로 걷는다)이다. 개과의 대부분의 구성원과 달리, 여우는 부분적으로 움츠릴 수 있는 발톱을 가지고 있다.[9] 여우의 vibrissae, 즉 수염은 검은색이다. 콧수염으로 알려진 mystacial vibrissae는 평균 100mm에서 110mm 길이이며, 머리의 다른 부분에 있는 수염은 평균적으로 더 짧다. 앞다리에는 수염 (carpal vibrissae)이 있으며 평균 40mm 길이로 아래쪽과 뒤쪽으로 향한다.[2] 기타 신체적 특징은 서식지와 적응적 중요성에 따라 다르다.

5. 2. 털

여우 종류는 털 색깔, 길이, 밀도가 다양하다. 털 색깔은 밝은 흰색에서 흑백, 흰색 또는 회색이 섞인 검은색까지 다양하다. 예를 들어, 페넥여우와 사막 생활에 적응한 다른 여우 종류(예: 키트여우)는 몸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큰 귀와 짧은 털을 가지고 있다.[2][9] 반면에 북극여우는 작은 귀와 짧은 다리뿐만 아니라 두껍고 단열이 잘 되는 털을 가지고 있어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10] 붉은여우는 대조적으로 전형적인 적갈색 모피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는 일반적으로 흰색 무늬로 끝난다.[11]

여우의 털 색깔과 질감은 계절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우 모피는 추운 달에는 더 풍부하고 밀도가 높고 따뜻한 달에는 더 가볍다. 여우는 4월경에 짙은 겨울털을 벗기 위해 일 년에 한 번 털갈이를 한다. 털갈이는 발에서 시작하여 다리를 따라 등으로 올라간다.[9] 털 색깔은 개체의 나이가 들면서도 변할 수 있다.[2]

5. 3. 치아

여우의 치열은 다른 모든 개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I 3/3, C 1/1, PM 4/4, M 3/2 = 42이다. (큰귀여우는 어금니가 여섯 개 더 있어 총 4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여우는 육식 동물의 특징인 뚜렷한 육치를 가지고 있다.[12] 이 육치는 위쪽 앞어금니와 아래쪽 첫 번째 어금니로 구성되며, 고기와 같은 질긴 것을 자르는 데 함께 작용한다. 여우의 송곳니는 육식 동물의 특징인 뚜렷한 모양이며, 먹이를 잡는 데 탁월하다.[12]

6. 인간과의 관계

여우는 가금류나 작은 가축을 공격하기도 하여 해충이나 유해 동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인간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36] 많은 여우들이 인간 환경에 잘 적응하며, 특히 도시 지역에 서식하는 여우는 "도시 거주 육식 동물"로 분류되기도 한다.[37] 유럽에서는 도시 여우가 흔하며, 비도시 여우와 비교하여 개체군 밀도 증가, 영역 감소 및 무리 사냥 등의 행동 변화를 보인다.[38]

대한민국에서는 하는 짓이 귀엽고 깜찍하고 영악하거나, 교활하고 변덕스러운 여자 어린이를 비유적으로 '여우 같다'고 한다. 여우의 방언인 '여시', '불여우', '불여시'는 주로 매우 교활한 여자를 가리킨다.

일부 국가에서는 여우가 토끼와 닭의 주요 포식자이며, 이 두 종의 개체군 변동을 연구한 최초의 비선형 진동은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의 도출로 이어졌다.[40][41]

집 현관에 있는 여우


카번업에 있는 죽은 여우들

6. 1. 문화 속의 여우

여우는 많은 문화권, 특히 민속 신앙에서 등장하는데, 묘사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유럽, 페르시아, 동아시아 및 북미 원주민 민속 신앙에서 여우는 교활함과 속임수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 특히 사냥꾼을 따돌리는 능력에서 유래한 평판이다. 이러한 특징은 보통 이러한 특성을 지닌 등장인물로 나타나며, 이야기의 골칫거리, 오해받는 영웅 또는 교활한 악당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동아시아 민속 신앙에서 여우는 마법 능력을 지닌 식신(精)으로 묘사된다. 다른 지역의 민속 신앙과 마찬가지로 여우는 장난기 많고, 다른 사람들을 속이는 존재로 묘사되며, 매력적인 여성 인간으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다. 신비롭고 신성한 존재로서 놀라움이나 파멸을 가져올 수 있다고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53] 중국 민속 신앙, 문학 및 신화에는 구미호가 등장하는데, 이야기에 따라 길조 또는 흉조가 될 수 있다.[54] 이러한 모티프는 중국에서 일본과 한국 문화로 전파되었다.[55]

대한민국에서는 하는 짓이 귀엽고 깜찍하고 영악하거나, 교활하고 변덕스러운 여자 어린이를 비유적으로 '여우 같다'고 한다. 여우의 방언인 '여시', '불여우', '불여시'는 주로 매우 교활한 여자를 가리킨다.

복숭아 두 개 모양의 은도금 접시. 두 마리 여우를 묘사하고 있으며, 당나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됨


伏見稻荷大社의 이나리야마에 보이는 이나리塚. 여우석상을 확인할 수 있다.(교토부 교토시후시미구)


여우는 넓은 지역에 적응하여 서식하기 때문에 많은 지역의 민족 전승에 등장한다. 서양에서는 사냥꾼을 피하는 교활한 동물로서 트릭스터의 역할로 등장한다. 아시아권에서는 식신으로서의 역할이나 서양처럼 장난기 많고 사람을 속이는 성격을 지니고, 여성으로 변신하는 등의 능력을 가진다. 특히 일본(大和民族)에서는 문화·신앙이라 할 만큼 여우에 대해 친밀하며, 사람을 속이는 장난기 많은 동물로 여겨지기도 하고, 반대로 우가노미타마노카미의 신령으로 신앙되기도 한다.

6. 2. 여우와 관련된 질병

여우는 작은 가축이나 애완동물을 잡아먹고, 심지어 집에 침입하여 아이들을 공격하기도 해서 해충으로 간주되었다.[69] 도시 지역에서 쓰레기를 뒤져 생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여우는 도시 거주형 육식동물로 분류된다.[69] 또한, 고양이와 같은 소형 동물을 포식하거나 쓰레기를 어지럽히기 때문에 구제 대상이 되기도 한다.[70]

일부 국가에서는 여우가 토끼와 닭의 주요 포식자이며, 이 두 종의 개체군 변동을 연구한 최초의 비선형 진동은 생물의 포식-피식 관계에 의한 개체 수 변동을 나타내는 수리 모델인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으로 이어졌다.[71][72]

6. 3. 여우 사냥

여우 사냥은 16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영국에서는 개를 이용한 사냥이 금지되어 있지만,[43][44][45][46] 개를 이용하지 않는 사냥은 여전히 허용된다. 19세기 초, 붉은여우는 스포츠를 위해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입된 이후 전국적으로 널리 퍼졌다. 붉은여우는 많은 토종 종의 개체 수 감소를 야기했고, 특히 새끼 양과 같은 가축을 잡아먹기도 한다.[47] 캐나다,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러시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여우 사냥이 레크리에이션으로 행해진다.

일부 국가에서 여우는 토끼와 닭의 주요 포식자이며, 이 두 종의 개체군 변동을 연구한 최초의 비선형 진동은 생물의 포식-피식 관계에 의한 개체 수 변동을 나타내는 수리 모델인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을 이끌어냈다.[71][72] 16세기에 영국에서 시작된 여우 사냥은 영국의 문화가 되었으나, 20세기 이후 세계적인 동물 보호 운동의 영향으로 영국에서는 개를 이용한 사냥이 금지되었다.[73][74][75][76]

6. 4. 가축화

웨일스의 탈리사른에 있는 길들여진 여우


길들여진 붉은여우를 포함한 여러 동물의 기록이 많지만, 지속적인 사육의 경우는 드물다. 최근 주목할 만한 예외는 러시아 사육 여우[48]인데, 이는 외형 및 행동 변화를 가져왔으며, 인간의 사육 요구에 따라 모델링된 동물 개체군의 사례 연구이다. 현재 사육되고 있는 은여우는 소련과 러시아에서 붉은여우의 은색 변종을 가축화하기 위해 수행된 거의 50년간의 실험 결과이다.[49] 이러한 선택적 번식은 색소 변화, 처진 귀, 꼬리가 말리는 등 고양이, 개 및 기타 동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신체적, 행동적 특징을 나타냈다.[50] 특히 새로운 여우는 더욱 온순해져서 쓰다듬는 것을 허용하고, 관심을 끌기 위해 낑낑거리며, 사육사를 킁킁거리고 핥았다.[50]

청동기 시대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와 마찬가지로 먹이를 주고 매장했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이 시대 이 지역에서는 여우를 가축화했을 가능성이 있다.[77]

러시아의 신경 세포 학자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트루트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유전학자 드미트리 벨랴예프와 함께 여우의 인위 선택에 의한 사육 실험을 실시했다.[78][79] 100마리 남짓한 여우를 교배시켜, 가장 사람에게 잘 따르는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를 반복함으로써, 불과 40세대 만에 개처럼 꼬리를 흔들고 사람에게 잘 따르는 개체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동시에 귀가 둥글어지는 등 애완견과 같은 형질이 나타나는 것도 관찰되었다.[80][81] 이것은 친화성이라는 특징이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은 대규모 관광용 여우 방목 시설이다.

시설명위치사육 여우 종류 및 규모
북여우목장홋카이도 북견시붉은여우 약 100마리 (『북쪽나라에서』 스페셜 에디션 촬영지)
미야기 자왕 여우마을미야기현 시로이시시붉은여우·은여우·십자여우·북극여우·블루폭스 혼합 약 100마리 (영화 『여우 아기 헬렌』의 여우 역할)


6. 5. 도시 여우

여우는 가금류 및 기타 소규모 가축을 기회주의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종종 해충이나 유해 동물로 여겨진다. 여우의 인간 공격은 드물다.[36]

많은 여우들이 인간 환경에 잘 적응하며, 여러 종이 도시 경계 내에서만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도시 거주 육식 동물"로 분류된다.[37] 도시 지역의 여우는 비도시 지역의 여우보다 더 오래 살 수 있으며 새끼 수가 더 적을 수 있다.[1] 유럽에서는 도시 여우가 흔하며, 비도시 여우와 비교하여 개체군 밀도 증가, 영역 감소 및 무리 사냥 등의 행동 변화를 보인다.[38]

여우는 도시(주로 교외) 인간 환경에서 어느 정도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비교적 적은 수의 포유류 중 하나이다. 잡식성 식단 덕분에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를 먹고 살 수 있으며, 겁이 많고 야행성인 경우가 많아 크기가 큰데도 불구하고 종종 발각되지 않고 지낼 수 있다. 도시 여우는 고양이와 작은 개에게 위협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도시 환경에서 여우를 배제하려는 압력이 종종 있다.[51]

산호아킨키트여우(San Joaquin kit fox)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지만, 역설적으로 캘리포니아 남부의 산호아킨밸리(San Joaquin Valley)와 살리나스밸리(Salinas Valley)에서 도시 생활에 적응했다. 먹이는 쥐, 다람쥐, 토끼, 노루, 새알, 곤충 등이며, 개방된 지역, 골프장, 배수구, 학교 운동장 등에 서식지를 확보했다.[51]

드물지만 여우에게 물린 사례가 보고되었다. 2018년 클랩햄(Clapham, London)의 한 여성은 아파트 문을 열어둔 채로 있다가 여우에게 팔을 물렸다.[52] 여우는 작은 가축이나 애완동물을 잡아먹고, 심지어는 집에 침입하여 아이들을 공격하기 때문에 해충으로 간주되었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지역에 서식하는 고유종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 지역에서도 쓰레기를 뒤져 생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여우는 도시 거주형 육식동물(resident urban carnivores)로 분류된다.[69] 또한, 이러한 여우는 고양이와 같은 소형 동물을 포식하거나 쓰레기를 어지럽히기 때문에 구제 대상이 된다.[70]

일부 국가에서는 여우가 토끼와 닭의 주요 포식자이며, 이 두 종의 개체군 변동을 연구한 최초의 비선형 진동은 생물의 포식-피식 관계에 의한 개체 수 변동을 나타내는 수리 모델인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으로 이끌어냈다.[71][72]

7. 한국의 여우

한국의 여우(''V. v. peculiosa'')는 1970년대를 전후하여 모두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다가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됐다.

2011년 경기도의 한 개 사육농장 주인이 2006년에 몰래 들여온 여우를 축사에서 교배시킨 여우를 기증했다. 이 여우의 유전자가 1970년대에 멸종된 토종 여우의 유전자와 일치해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86]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3년 9월 경상북도 영주시 소백산국립공원에 토종여우 6마리를 방사했다.[87] 2016년에는 자연번식에 성공했다. 2023년 2월에는 90여 마리가 활동해, 성공적으로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17마리는 자연에서 번식해 태어난 개체였다.[88]

북한에는 아직 서식하고 있다.

8. 보존

한국의 여우(''V. v. peculiosa'')는 1970년대를 전후하여 모두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다가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되었다.[86]

2011년 경기도의 개 사육농장 주인이 2006년에 몰래 들여온 여우를 축사에서 교배시킨 여우를 기증했다. 이 여우의 유전자가 1970년대에 멸종된 토종 여우의 유전자와 일치해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86]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3년 9월 경상북도 영주시 소백산국립공원에 토종여우 6마리를 방사했다.[87] 2016년에는 자연번식에 성공했다. 2023년 2월에는 90여 마리가 활동해, 성공적으로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17마리는 자연에서 번식해 태어난 개체였다.[88]

북한에는 아직 여우가 서식하고 있다.

섬여우는 준위협종이다.


여러 여우 종이 원래 서식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여우에게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식지 감소와 모피, 기타 거래 또는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사냥이 포함된다.[25] 기회주의적인 사냥 방식과 부지런함으로 인해 여우는 일반적으로 해로운 동물로 여겨진다.[26] 반대로, 종종 해충으로 간주되는 여우는 과일을 손상시키지 않고 과수원의 해충을 제거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27]

섬여우는 전 세계적으로 취약종으로 간주되지만, 캘리포니아 해협 제도의 고유한 서식 환경에서는 점점 더 멸종 위기에 처하고 있다.[28] 섬의 개체군은 공간, 먹이, 은신처와 같은 자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토의 개체군보다 더 작다.[29] 따라서 섬 개체군은 도입된 포식 종과 인간부터 극심한 기후까지 다양한 외부 위협에 매우 취약하다.[29]

캘리포니아 해협 제도에서는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 발생[30]과 토착종이 아닌 황금 독수리의 포식[31]으로 인해 섬여우 개체 수가 매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3년 이후 독수리로 인해 개체 수가 최대 95% 감소했다.[30] 여우 수가 적어짐에 따라 개체군은 알리 효과(밀도가 충분히 낮으면 개체의 적응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했다.[28] 보존론자들은 야생 개체군에서 건강한 번식쌍을 꺼내 야생으로 다시 방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여우가 생길 때까지 사육하여 번식시켜야 했다.[30] 토착 식물이 자연적인 높이까지 자라서 황금 독수리로부터 여우를 위한 충분한 은신처와 보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비토착 초식 동물도 제거되었다.[31]

다윈여우는 알려진 성체 개체 수가 250마리로 적고 분포 지역이 제한적이어서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여겨졌다.[32] 그러나 IUCN은 이후 2004년과 2008년 평가에서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했던 것을, 이전에 보고된 것보다 더 넓은 분포 지역이 발견됨에 따라 2016년 평가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등급을 낮추었다.[33] 칠레 본토에서는 그 개체군이 나우엘부타 국립공원과 주변 발디비아 온대 우림으로 제한되어 있다.[32] 마찬가지로 칠로에섬에서는 그 개체군이 섬의 남쪽 끝에서 북서쪽 끝까지 뻗어 있는 숲으로 제한되어 있다.[32] 나우엘부타 국립공원은 보호되지만, 이 종의 90%는 칠로에섬에 서식한다.[34]

이 종이 직면한 주요 문제는 보호되지 않은 숲의 벌채와 방화로 인해 서식지가 줄어들고 제한되고 있다는 점이다.[32] 삼림 벌채로 인해 다윈여우의 서식지는 줄어들고 있으며, 경쟁자인 칠라 여우가 선호하는 개방된 공간의 서식지는 늘어나고 있다. 그 결과 다윈여우는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35] 또 다른 문제는 증가하는 애완견의 수로 인해 전염되는 질병에 저항할 수 없다는 점이다.[32] 이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나우엘부타 국립공원을 칠레 해안과 연결하는 숲, 그리고 칠로에섬과 그 숲을 보호할 필요성을 제기한다.[35] 또한 칠레 주변의 다른 숲을 조사하여 다윈여우가 이전에 그곳에 서식했는지, 또는 종을 그 지역에 재도입해야 할 필요가 생길 경우 미래에 그곳에 서식할 수 있는지 확인할 것을 제안한다.[35] 마지막으로 연구원들은 야생의 성체 개체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칠레에서 사육 프로그램을 만들 것을 권고한다.[35]

참조

[1] 서적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can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 서적 The red fox Batsford 1981
[3] 웹사이트 Episode 113: A Zouthern Accent - The History of English Podcast http://historyofengl[...] 2018-06-28
[4] 웹사이트 Animal Congregations, or What Do You Call a Group of.....? http://www.npwrc.usg[...] USGS
[5] 웹사이트 Fox Cubs and the breeding cycle http://www.newforest[...]
[6] 논문 Molecular evolution of the dog family http://wooferhouse.n[...] 1993-06-01
[7] 논문 ''Vulpes vulpes''
[8] 서적 Foxes https://archive.org/[...] Benchmark Books (NY)
[9] 서적 Wild fox. David & Charles 1968
[10] 웹사이트 Arctic fox (Vulpes lagopus) http://www.arkive.or[...]
[11] 웹사이트 Vulpes vulpes, red fox http://animaldiversi[...]
[12] 웹사이트 Canidae http://www.nhc.ed.ac[...]
[13] 논문 Competition and intraguild predation among three sympatric carnivores http://www.ebd.csic.[...] 2000-07-05
[14] 웹사이트 Vulpes vulpes (red fox)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15] 논문 Food Caching by Red Foxes and Some Other Carnivores 2010-04-26
[16] 서적 Free Ranging Dogs – Stray, Feral or Wild?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2015-03-19
[17] 논문 Variability of the baculum in the red fox (Vulpes vulpes) from Slovakia
[18] 논문 Copulatory lock of wild red fox (Vulpes vulpes) in broad daylight http://zoogdierwinke[...]
[19] 서적 Mammals of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Brill 1998
[20] 서적
[21] 논문 The Reproductive Processes of certain Mammals.-VIII. Reproduction in Foxes (Vulpes spp.) 2009-08-21
[22] 논문 The Integument in Canidae
[23] 서적 Walker's Carnivor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JHU Press
[24] 논문 Canid vocalizations
[25] 서적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https://books.google[...]
[26] 서적 The Fox's Craft in Japanese Religion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Foxes are Beneficial on Fruit Farms http://www.nysaes.co[...] 1997-04-24
[28] 논문 Double Allee Effects and Extinction in the Island Fox https://digital.csic[...] 2007-05-29
[29] 서적 Essentials of conservation biology Sinauer Associates 2014
[30] 논문 A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for the Island Fox on Santa Catalina Island, California 2005-04-10
[31] 웹사이트 Channel Islands: The Restoration of the Island Fox http://www.nps.gov/c[...]
[32] 논문 Ecology of a coastal population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Darwin's fox (Pseudalopex fulvipes) on Chiloé Island, southern Chile
[33] IUCN ''Lycalopex fulvipes''
[34] IUCN ''Pseudalopex fulvipes'' https://www.iucnredl[...]
[35] 논문 Darwin's Fox: A Distinct Endangered Species in a Vanishing Habitat
[36] 서적 Practical Quail-keeping https://books.google[...] 2023-11-29
[37] 서적 A Taxonomic Analysis of Urban Carnivore Ecology https://books.google[...] Urban Carnivores 2023-11-30
[38] 서적 Urban Ecosystems https://books.google[...] 2023-11-29
[39] 서적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2023-11-29
[40] 서적 Elegant Chaos https://books.google[...] 2023-11-29
[41] 서적 Axiomatic Modeling in Life Sciences https://books.google[...] Mathematics and Life Sciences 2023-11-29
[42] 뉴스 Donkey snack contaminated by fox meat, fears Walmart https://www.telegrap[...] 2014-01-02
[43] 뉴스 Hunt campaigners lose legal bid http://news.bbc.co.u[...] 2006-06-23
[44] 웹사이트 David Cameron 'to vote against fox hunting ban' https://web.archive.[...] 2009-09-18
[45] 웹사이트 Fox Hunting https://web.archive.[...]
[46] 웹사이트 Fox Hunting: For and Against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Fact Sheet: European Red Fox,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ustralian Government http://www.environme[...]
[48] 웹사이트 The most affectionate foxes are bred in Novosibirsk https://web.archive.[...] Redhotrussia
[49] 학술지 Early Canid Domestication: The Fox Farm Experiment http://www.floridalu[...]
[50] 서적 Biology Ninth Edition McGraw-Hill
[51] 서적 Urban Wildlife Management,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06-15
[52] 뉴스 Woman mauled in bed by fox in Clapham flat: I'm traumatised and feared I would contract rabies https://www.standard[...] 2018-06-21
[53] 학술지 The Fox in World Literature: Reflections on a "Fictional Animal" 2006
[54] 서적 The cult of the fox: Power, gender, and popular religion in late imperial and moder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55] 서적 Fox Reaktion Books 2006
[56] 서적 三省堂 生物小事典 三省堂
[57] 서적 万有百科大事典 20 動物 小学館
[58] 웹사이트 ミステリアス“ウルフ” http://www.jomon-shi[...]
[59] 간행물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http://www.carnivore[...]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60] 백과사전
[61]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62] 학술지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https://www.nature.c[...]
[63]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enigmatic Falkland Islands wolf http://www.nature.co[...]
[64] 웹사이트 洲本川水系河川整備基本方針(案) 概要 https://web.pref.hyo[...] 兵庫県
[65] 웹사이트 佐渡島のテンの生息に関する研究 http://www.env.go.jp[...]
[66] 웹사이트 宮城蔵王キツネ村公式ウェブサイト http://zao-fox-villa[...]
[67] 학술지 Journal of Mammalogy http://www.jstor.org[...]
[68] 웹사이트 Early Canid Domestication: The Fox Farm Experiment http://www.floridalu[...]
[69] 서적 A Taxonomic Analysis of Urban Carnivore Ecology https://books.google[...] Urban Carnivores
[70] 서적 Urban Wildlife Management,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06-15
[71] 서적 Elegant Chaos https://books.google[...]
[72] 서적 Axiomatic Modeling in Life Sciences https://books.google[...]
[73] 뉴스 Hunt campaigners lose legal bid http://news.bbc.co.u[...] 2006-06-23
[74] 웹사이트 David Cameron 'to vote against fox hunting ban' https://www.telegrap[...] 2009-09-18
[75] 웹사이트 Fox Hunting https://web.archive.[...]
[76] 웹사이트 Fox Hunting: For and Against http://www.emteconli[...] 2009-12-12
[77] 웹사이트 青銅器時代、キツネは家畜化されていた(スペイン)紀元前3千年から2千年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動物好きな研究者の夢 -- 40年の研究からペットギツネが誕生 http://siberiandream[...]
[79] 웹사이트 実験飼育場で遊ぶキツネ http://jp.rbth.com/a[...] 2019-03-21
[80] 웹사이트 特集:野生動物 ペットへの道 http://nationalgeogr[...]
[81] 웹사이트 ロシア科学アカデミーシベリア支部 細胞学・遺伝学研究所の「キツネの家畜化研究」 http://www.tokyoprog[...]
[82] 웹사이트 2010年8月29日放送シルシルミシルさんデー『キツネは本当に「コンコン」鳴くの?』 https://datazoo.jp/t[...]
[83] 웹사이트 中川裕「語り合うことばの力~カムイたちと生きる世界」 https://www.ff-ainu.[...]
[84] 저널 Competition and intraguild predation among three sympatric carnivores http://www.ebd.csic.[...] 2011-10-06
[85] 웹인용 Vulpes vulpes (red fox)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86] 웹인용 돌아온 '토종 여우'…정부, 기증받아 복원 작업 https://n.news.naver[...] SBS 2023-02-25
[87] 웹인용 멸종위기 토종여우 6마리, 소백산에 방사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3-02-25
[88] 웹인용 백두대간에 90여 마리 자연 정착…토종 여우 복원 순항 https://n.news.naver[...] KBS 2023-02-25
[89] 저널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90] 저널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http://www.biomedcen[...]
[91] 저널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