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id-Season Invitational, MSI)은 매년 개최되는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 국제 대회이다. 2023년 기준으로, 10개 지역의 스프링 시즌 우승팀과 4개의 메이저 지역 스프링 시즌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대회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와 브래킷 스테이지로 진행되며,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 사용된다. 2015년부터 시작되어,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역대 우승팀으로는 T1, 로열 네버 기브 업, G2 e스포츠 등이 있으며, 2024년 대회에서는 Gen.G가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러피언 게임
유러피언 게임은 유럽 올림픽 위원회 주관으로 4년마다 개최되는 유럽 대륙의 종합 스포츠 대회로, 올림픽 종목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목의 경기를 진행하며 다수의 유럽 국가들이 참가한다. - 201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WBSC 프리미어 12
WBSC 프리미어 12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이 주관하며 4년마다 랭킹 상위 12개국이 참가하여 세계 챔피언을 가리는 국제 야구 대회로, 프로 선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11월에 개최되고 올림픽 예선전을 겸하기도 하며 대한민국은 2015년 초대 대회에서 우승했다. - E스포츠 대회 - 에볼루션 챔피언십 시리즈
에볼루션 챔피언십 시리즈(Evo)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격투 게임 대회로, 1996년 소규모 토너먼트로 시작하여 2002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더블 일리미네이션 방식과 상금 규모 변동 등의 특징을 가진다. - E스포츠 대회 -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는 인텔의 후원으로 2006년에 시작되어 ESL이 주관하는 세계적인 e스포츠 토너먼트로서, 카운터 스트라이크,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으로 진행되며, 월드 챔피언십을 통해 최종 우승자를 결정한다.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 리프트 라이벌즈 2018 - 레드 리프트
리프트 라이벌즈 2018 - 레드 리프트는 LPL, LCK, LMS 스프링 시즌 상위 3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 국제 대회로, 2018년 중국 다롄에서 개최되어 LPL이 우승, LCK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5는 팬 투표로 선발된 선수들이 팀 파이어와 팀 아이스로 나뉘어 경쟁하는 대회로, 2015년 12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어 팀 파이어가 우승했다.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e스포츠 |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
주관 단체 | 라이엇 게임즈 |
참가 팀 수 (2025) | 10 |
경기 장소 | 순환 개최 (다음 개최지: 캐나다) |
참가 자격 | 각 지역 리그 스프링 스플릿 우승팀 |
토너먼트 형식 |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관련 대회 | 월드 챔피언십 퍼스트 스탠드 |
최근 우승팀 (2024) | Gen.G |
최다 우승팀 | 로열 네버 기브 업 (3회 우승) |
스트리밍 | 트위치 유튜브 |
웹사이트 | lolesports.com |
역사 | |
첫 대회 | 2015년 |
참가 팀 | |
2015–2019 | 12팀 |
2021–2022 | 11팀 |
기타 | |
최다 우승자 | 샤오후, 밍 (3회) |
2. 대회 시스템
대회 시스템은 '''2023년 기준'''이다.
- 출전 팀 및 진행 순서
- * 출전 팀은 10개의 지역의 스프링 시즌 우승팀과 4개의 메이저 지역 스프링 시즌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 ** 메이저 최상위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결승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한다.
- ** 나머지 메이저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은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하고, 준우승팀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참가한다.
- ** 마이너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 모두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 플레이-인 스테이지-브래킷 스테이지 순으로 진행한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 * 4개팀씩 2개조로 편성된다.
- *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하며 각 조 1위(승자전 승리팀)은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 각 조 2위(최종전 승리팀)는 5전 3선승제를 통해 승리팀이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하게 된다.
- 브래킷 스테이지
- *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한 5팀과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통과한 3팀이 참가한다.
- * 5전 3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한다.
2. 1. 출전 팀 및 진행 순서
2023년 기준,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는 10개 지역의 스프링 시즌 우승팀과 4개 메이저 지역 스프링 시즌 준우승팀이 참가한다. 메이저 최상위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결승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하며, 나머지 메이저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은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하고, 준우승팀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참가한다. 마이너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은 모두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대회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와 브래킷 스테이지 순서로 진행된다.2. 2. 플레이-인 스테이지
4개 팀씩 2개 조로 편성되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조 1위(승자전 승리팀)는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각 조 2위(최종전 승리팀)는 5전 3선승제 경기를 통해 승리팀이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한다.2. 3. 브래킷 스테이지
브래킷 스테이지에는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한 5팀과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통과한 3팀이 참가한다. 5전 3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한다.3. 역대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베를린
하노이
호찌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