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주상호원조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주상호원조조약(TIAR)은 1947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체결된 상호 방위 조약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주도로 국제 연합 헌장 제51조에 따라 집단적 자위권을 명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을 서방 진영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쿠바 미사일 위기 등에서 발동되었다. 21세기 들어 멕시코,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 니카라과 등이 탈퇴했으며, 2019년 베네수엘라는 야당 주도로 복귀를 시도했다. 현재 아르헨티나, 미국 등 17개국이 가입해 있으며, 멕시코, 쿠바 등은 탈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체결된 조약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947년 체결된 조약 - 관세 무역 일반 협정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은 국제무역기구(ITO) 설립 실패 후 대안으로 등장하여 관세 인하와 무역 자유화를 목표로 다각적 무역 협상을 주도했으나, 세계무역기구(WTO) 설립 후 기능을 이관하고 1995년 종료된 다국적 무역 조약이다.
  • 1948년 발효된 조약 - 관세 무역 일반 협정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은 국제무역기구(ITO) 설립 실패 후 대안으로 등장하여 관세 인하와 무역 자유화를 목표로 다각적 무역 협상을 주도했으나, 세계무역기구(WTO) 설립 후 기능을 이관하고 1995년 종료된 다국적 무역 조약이다.
  • 1948년 발효된 조약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미주상호원조조약
조약 정보
이름리우 조약
정식 명칭미주 상호 원조 조약
서명1947년 9월 2일
서명 장소리우데자네이루
발효1948년 12월 3일
발효 조건서명국의 3분의 2 비준
기탁자미주 기구
언어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조약 내용
종류집단 방위 조약
목표미주 국가 간 상호 방위
참가국
서명국23개국
당사국18개국
회원국미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탈퇴 상태)

2. 역사적 배경

미국은 1823년 먼로 독트린에 따라 유럽의 영향력에 대한 범아메리카 방위 정책을 유지해 왔으며, 1904년 루즈벨트 수정안 공포 이후 점점 더 개입주의적으로 변모했다. 1930년대 동안 미국은 추축국이 라틴 아메리카 정부와의 군사 협력을 제안하는 것에 대해 우려했으며, 특히 파나마 운하에 대한 명백한 전략적 위협이 큰 관심사였다. 이러한 문제는 미주 국가 국제 회의 일련의 회의와 1936년 미주 평화 유지 회의에서 논의되었다.[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은 우루과이(1945년 2월 22일까지 중립 유지[6])와 아르헨티나(1944년부터 1945년까지 연합국과 어려운 관계를 가졌지만 1945년 3월 27일 추축국에 선전포고[7])를 제외한 아메리카 대륙의 모든 개별 정부로부터 연합국에 대한 지원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1944년 8월부터 10월까지 덤바턴 오크스 회담에서 열린 전후 안보 질서에 대한 연합국 논의에서 대부분 소외되었다. 워싱턴 주재 브라질 대사 카를로스 마르틴스 페레이라 이 소우자는 "전후 계획 수립 시 범미주 협의 규범 위반에 항의했다."[8] 이러한 항의는 일련의 협의를 이끌어냈고, 멕시코는 범미주 회의를 제안했다.

1945년 2월과 3월 멕시코시티의 차풀테펙 성에서 열린 전쟁과 평화에 관한 범미주 회의에서, 미국 국무 장관과 엘살바도르와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외무 장관들이 전후 세계 질서에 대한 논의를 가졌으며,[9] 1945년 3월 6일 '''차풀테펙 조약'''이 체결되었다.[5][10][11] 이 조약은 지역 안보 조약 협상을 위한 틀을 포함했다. 또한 이 조약은 국제 연합 헌장 제51조에 따라 지역 집단 방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항을 마련하기 위한 샌프란시스코의 유엔 회의 동안 라틴 아메리카의 압력에 영향을 미쳤다.[8][12]

초기에 안보 회의는 1945년 10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후안 페론과 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미국과 소련 간의 냉전 긴장 고조 등의 이유로 연기되었다. 1947년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 발표 이후, 미국은 반공주의 약속을 영구화하기를 원했고,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반공주의 지도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듬해인 1948년, 대표단은 콜롬비아 보고타에 모여 미주 기구(OAS)의 헌장을 통과시켰다.

미주상호원조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부터 미국 주도로 국제 연합 헌장과 함께 추진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국제 연합 헌장 51조에 "집단적 자위권"을 명기하게 된 원인이 된 조약이다. 1948년 3월 12일 발효 후에는 냉전 구조를 반영하게 되었다. 미국은 본 조약과 1948년 4월 30일에 서명되어 1951년 12월 13일에 발효된 보고타 헌장(미주 기구)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을 군사적, 경제적으로 서방 진영에 편입시켰다.

2. 1. 체결 이전

미국은 1823년 먼로 독트린에 따라 유럽의 영향력에 대한 범아메리카 방위 정책을 유지해 왔으며, 1904년 루즈벨트 수정안 공포 이후 점점 더 개입주의적으로 변모했다. 1930년대 동안 미국은 추축국이 라틴 아메리카 정부와의 군사 협력을 제안하는 것에 대해 우려했으며, 특히 파나마 운하에 대한 명백한 전략적 위협이 큰 관심사였다. 이러한 문제는 미주 국가 국제 회의의 일련의 회의와 1936년 미주 평화 유지 회의에서 논의되었다.[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정부는 우루과이(1945년 2월 22일까지 중립 유지[6])와 아르헨티나(1944년부터 1945년까지 연합국과 어려운 관계를 가졌지만 1945년 3월 27일 추축국에 선전포고[7])를 제외한 아메리카 대륙의 모든 개별 정부로부터 연합국에 대한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1944년 8월부터 10월까지 덤바턴 오크스 회담에서 열린 전후 안보 질서에 대한 연합국 논의에서 대부분 소외되었다. 워싱턴 주재 브라질 대사 카를로스 마르틴스 페레이라 이 소우자는 "전후 계획 수립 시 범미주 협의 규범 위반에 항의했다."[8] 이러한 항의는 일련의 협의를 이끌어냈고, 멕시코는 범미주 회의를 제안했다. 1945년 2월과 3월 멕시코시티의 차풀테펙 성에서 열린 전쟁과 평화에 관한 범미주 회의에서, 미국 국무 장관과 엘살바도르와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외무 장관들이 전후 세계 질서에 대한 논의를 가졌으며,[9] 1945년 3월 6일 '''차풀테펙 조약'''이 체결되었다.[5][10][11] 이 조약은 지역 안보 조약 협상을 위한 틀을 포함했다.

초기에 안보 회의는 1945년 10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1946년 3월로 연기되었다.[2] 1946년 3월 날짜도 무기한 연기되었다.[2] 후안 페론(1946년 6월 4일부터 대통령)과 아르헨티나 간의 분쟁으로 인해 지연이 발생했다. 미국의 우려와 일부 남아메리카 국가들의 페론주의에 대한 우려는 안보 회의에서 민주주의를 보존하기 위한 집단 개입을 포함할 가능성을 제기했다.[13] 지연되는 동안 미국과 소련 간의 전 세계적인 긴장이 고조되었다. 진행 중인 냉전을 고려하여, 1947년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 발표 이후, 미국은 이러한 새로운 반공주의 약속을 영구화하기를 원했고,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반공주의 지도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듬해인 1948년, 대표단은 콜롬비아 보고타에 모여 미주 기구(OAS)의 헌장을 통과시켰다. OAS는 방위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감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2. 체결 및 발효

미주상호원조조약은 여러 "상호 안보 협정"[15] 중 최초의 조약으로, 차풀테펙 조약의 공식화였다. 1947년 9월 2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원 서명국들에 의해 채택되어 "리우 조약"이라는 통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조약은 1948년 12월 3일에 발효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20일에 국제 연합에 등록되었다.[4] 1947년 이후 독립한 국가 중 트리니다드 토바고(1967년)와 바하마(1982년)를 제외하고는 이 조약에 가입하지 않았다. 캐나다별도의 방위 공약을 미국과 이미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회원국이 아니다.

1947년 9월 2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조인된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부터 미국 주도로 국제 연합 헌장과 함께 추진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국제 연합 헌장 51조에 "집단적 자위권"을 명기하게 된 원인이 된 조약이다.

1948년 3월 12일 발효 후에는 냉전 구조를 반영하게 되었다. 미국은 본 조약과 1948년 4월 30일에 서명되어 1951년 12월 13일에 발효된 보고타 헌장(미주 기구)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을 군사적, 경제적으로 서방 진영에 편입시켰다.

3. 냉전 시대의 역할과 변화

1947년 9월 2일 리오데자네이루에서 조인된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부터 미국 주도로 국제 연합 헌장과 함께 추진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국제 연합 헌장 51조에 "rignt of collective self-defense"(집단적 자위권)를 명기하게 된 원인이 된 조약이다.

1948년 3월 12일 발효 후에는 냉전 구조를 반영하게 되었다. 미국은 본 조약과 1948년 4월 30일에 서명되어 1951년 12월 13일에 발효된 보고타 헌장(미주 기구)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을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서방 진영에 편입시켰다.

트리니다드 토바고(1967년)와 바하마(1982년)를 제외하고 1947년 이후 독립국의 가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1년 9.11 테러 당시 이 조약이 발동되었다. 그러나 멕시코는 예상되는 이라크 전쟁에 발동될 것을 우려하여 2002년에 탈퇴를 선언하고 2004년 9월에 탈퇴했다.

2012년 6월, 당시 좌파 정권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 니카라과가 탈퇴했다.

2019년 베네수엘라의 야당 대표 후안 과이도가 의장을 맡고 있는 국회는 이 조약에 복귀를 선언하고, 2019년 7월에 승인했다. 2024년, 베네수엘라 선거 결과로 인해 시민들은 사기로 간주되는 위기에 대한 TIAR 발동을 위해 서명을 수집하고 있다.[32]

3. 1. 냉전 시기 주요 활동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 혁명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정부가 확산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경험했던 공동의 적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방어적 협력이라는 개념이 약화되었다.[16] 슬레이터에 따르면, 조약에 참여한 많은 라틴 아메리카 정부는 "세계를 분쟁에 끌어들이기보다는 반대로 반구(hemisphere)를 분쟁으로부터 보호"하려 했지만, 미국은 작은 국가들을 이념적 적대국과의 대결로 몰아갔다.[16] 이후 라틴 아메리카 정부는 범미 협력을 미국의 의지에 굴복하여 주권을 포기하는 것으로 보기 시작했다.[16]

1962년 미국은 쿠바 정부와 외교 관계를 단절할 필요성을 느꼈다. 미주 평화 위원회의 제8차 외무 장관 회의 보고서는 중소(中蘇, Sino-Soviet) 블록 국가와 쿠바 정부가 미국과 맺은 활동을 미주 체제의 기본 원칙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행위로 묘사했다.[17]

리오 조약의 냉전적 성격이 점점 더 분명해졌지만, 롱(Long)은 종전 직후 몇 년 동안 이 조약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지역적 선례 및 심지어 라틴 아메리카의 외교적 압력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롱은 "미국의 궁극적인 개입주의적 성격에 대한 많은 라틴 아메리카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라틴 아메리카 외교관들은 미국의 개입을 확대하고 제도화하는 동시에 일방주의를 제한하는 거대한 거래를 지지하기 위해 먼로 독트린과 미국 주도의 범미주의를 언급했다."라고 주장한다.[8] 그러나 미국은 냉전 문제에 대한 우려 때문에 조약의 불간섭 원칙 준수를 종종 부차적인 것으로 여겼다.

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와 1961년 피그스 만 침공 당시 미국의 행동은 라틴 아메리카 정부들 사이에 의문을 제기했고, 미주 기구(OAS)의 미주 평화군이 조직되기도 전에 미국이 도미니카 공화국을 1965년 도미니카 내전 중에 일방적으로 침공한 것은 많은 회원국들이 미국이 다자주의의 이상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믿게 만들었다.[16] 반대로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미국은 아르헨티나가 침략자였고 아르헨티나가 공격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영국을 지지했는데, 이는 칠레와 콜롬비아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게 조약의 최종 실패로 여겨졌다.[18][19]

이 조약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여러 차례 발동되었으며, 특히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미국의 해상 봉쇄에 대한 만장일치 지지가 있었다. 2001년, 미국은 9.11 테러 이후 리우 조약을 발동했다.

3. 2. 포클랜드 전쟁과 조약의 위기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미국은 아르헨티나가 침략자였고 공격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영국을 지지했으며, 칠레콜롬비아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게 조약의 최종 실패로 여겨졌다.[18][19]

1988년 초까지 16개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비동맹 운동의 정회원이 되었고, 다른 8개 국가는 참관국으로 다양한 수준으로 지지했다.

[20]

1982년에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 제도(말비나스 제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해당 제도를 점령한 포클랜드 전쟁에서는 외상 협의회에서 아르헨티나의 주장을 인정했지만, 집단적 자위권의 발동은 이루어지지 않았다.[38]

4. 21세기 이후의 동향

2001년 9.11 테러 당시 미주상호원조조약이 발동되었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에 발동될 것을 우려한 멕시코2002년에 탈퇴를 선언하고 2004년 9월에 탈퇴했다. 2012년 6월에는 좌파 정권이었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 니카라과가 탈퇴했다. 2019년, 베네수엘라의 야당 대표 후안 과이도가 의장을 맡고 있는 국민 의회가 이 조약에 복귀할 것을 선언하고, 2019년 7월에 조약 복귀를 승인했다.

4. 1. 멕시코의 탈퇴와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의 등장

2001년 9월, 멕시코 대통령 비센테 폭스 케사다는 미주 대륙의 현실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다차원적이고 현대적인 안보 구조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그는 1947년 미주상호원조조약이 창설될 당시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상황에 따른 결과였지만, 그 이후로는 국가의 취약성이 군사적 또는 이념적 위협에만 있는 것이 아닌, 세계적인 시스템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지적했다.[21]

2002년 9월, 멕시코포클랜드 전쟁을 예로 들고[22][23], 이라크 침공을 예상하며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탈퇴했다. 2년 후인 2004년 9월, 멕시코는 더 이상 조약 서명국이 아니게 되었다.

2008년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UNASUR)은 자체 방어 목표를 관리하기 위해 새로운 지역 안보 이사회를 창설했다.[24][25]

2012년 6월 5일, 미주 볼리바르 동맹(ALBA) 국가인 볼리비아, 에콰도르, 니카라과, 베네수엘라는 좌파 정부의 지도 하에 미주상호원조조약에서 탈퇴를 시작했다.[26][27] 이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유감"이라고 표현했지만 존중한 결정이었다.[28]

이후, 니카라과는 2012년 9월 20일, 볼리비아는 2012년 10월 17일, 베네수엘라는 2013년 5월 14일, 에콰도르는 2014년 2월 19일 공식적으로 조약을 비난했다.

4. 2. ALBA 국가들의 탈퇴

2001년 9월, 비센테 폭스 케사다 멕시코 대통령은 미주 대륙의 변화된 안보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1947년 미주상호원조조약(TIAR)이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만들어졌으며, 이제는 국가의 취약성이 군사적, 이념적 위협뿐 아니라 세계적인 시스템에 의해서도 발생한다고 보았다.[21] 2002년 9월, 멕시코는 포클랜드 전쟁[22][23]이라크 침공[22]을 예로 들며 조약 탈퇴를 선언했고, 2004년 9월에 탈퇴했다. 2008년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UNASUR)은 자체적인 지역 안보 이사회를 창설했다.[24][25]

2012년 6월 5일, 미주 볼리바르 동맹(ALBA) 국가들인 볼리비아, 에콰도르, 니카라과, 베네수엘라좌파 정부 주도 하에 조약 탈퇴를 시작했다.[26][27] 오바마 행정부는 이를 유감스럽게 생각하지만 존중한다고 밝혔다.[28] 이후 니카라과는 2012년 9월 20일, 볼리비아는 2012년 10월 17일, 베네수엘라는 2013년 5월 14일, 에콰도르는 2014년 2월 19일에 조약을 공식적으로 비난하며 탈퇴했다.

4. 3. 베네수엘라의 재가입 논의

베네수엘라 대통령 위기 당시, 후안 과이도TIAR 재가입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29] 2019년 5월 11일, 과이도는 미주 기구 (OAS) 사무총장 루이스 알마그로에게 베네수엘라의 복귀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30] 2019년 5월 29일, 국회는 예비 논의에서 조약 복귀를 승인했다.[31] 국회는 2019년 7월 조약 복귀에 대한 승인을 재확인했다.[35] 2024년, 베네수엘라 선거 결과로 인해, 시민들은 사기로 간주되는 위기에 대한 TIAR 발동을 위해 서명을 수집하고 있다.[32]

5. 참가국

미주상호원조조약의 참가국은 현재 참가국, 과거 참가국, 일시 중단 회원국으로 나뉜다.

1989년 미국의 파나마 침공으로 파나마가 일시 제명되었다.[40] 멕시코이라크 전쟁에 반발하여 2004년 9월에 탈퇴했다.[40] 쿠바는 사회주의 혁명으로 1964년에 제명되었다.[40] 미주 볼리바르 동맹 회원국인 볼리비아, 에콰도르, 니카라과, 베네수엘라는 좌파 정권 주도로 2012년 6월 탈퇴를 표명, 2014년까지 완료했다.

군사 동맹 목록도 참고할 수 있다.

5. 1. 현재 참가국

현재 미주상호원조조약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40]

국가가입 년도
아르헨티나1948년–현재
바하마1982년–현재
브라질1948년–현재
칠레1948년–현재
콜롬비아1948년–현재
코스타리카1948년–현재
도미니카 공화국1948년–현재
엘살바도르1948년–현재
과테말라1948년–현재
아이티1948년–현재
온두라스1948년–현재
파나마1948년–현재
파라과이1948년–현재
페루1948년–현재
트리니다드 토바고1967년–현재
미국1948년–현재
베네수엘라1948년–2013년, 2019년–현재[41]
우루과이1948년–2019년, 2020년–현재



베네수엘라는 2019년 국회에서 재가입이 승인되어 미주 기구에서 비준되었으나,[41] 니콜라스 마두로 행정부는 회원 자격을 부인하고 있다. 우루과이는 2019년 조약을 폐기했으나 2020년에 폐기가 철회되었다.

5. 2. 과거 참가국


  • -- (1948년–2012년)
  • -- (1948년–2012년)[40]
  • -- (1948년–2012년)[40]
  • -- (1948년–2012년)[40]
  • -- (1948년–2004년)[40]
  • -- (1948년–2019년)[42]

5. 3. 비참가국

군사 동맹 목록 참고.

남북 아메리카 국가 중, 영국 연방에 속하는 다음 국가 및 수리남(구 네덜란드령)은 미가입국이다. 또한 프랑스령 기아나 및 영국령 지역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등), 네덜란드령 지역은 해외 영토이므로 지역 고유의 판단이 허용되지 않아 가입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The Columbia Electronic Encyclopedia® https://encyclope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08-31
[2] 논문 The Inter-American Treaty of Reciprocal Assistance https://www.jstor.or[...] 1948
[3]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4] 웹사이트 B-29: INTER-AMERICAN TREATY OF RECIPROCAL ASSISTANCE (RIO TREATY) http://www.oas.org/j[...] 2014-03-01
[5] 문서 Act of Chapultepec http://www.encyclope[...]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2001
[6] 서적 Latin America and the Second World War: Volume 2: 1942 - 194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2-25
[7] 서적 U.S. and Allied Wartime and Postwar Relations and Negotiations with Argentina, Portugal, Spain, Sweden, and Turkey on Looted Gold and German External Assets and U.S. Concerns about the Fate of the Wartime Ustasha Treasury: Supplement to Preliminary Study on U.S. and Allied Efforts to Recover and Restore Gold and Other Assets Stolen or Hidden by Germany during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Public Affairs, Office of the Historian 2023-02-25
[8] 논문 Historical Antecedents and Post-World War II Regionalism in the Americas https://www.cambridg[...] 2020-04
[9] 문서 Mexico City Conference (1945) https://www.encyclop[...]
[10] 문서 Act of Chapultepec: Declarations on Reciprocal Assistance and American Solidarity http://www.ibiblio.o[...] Pillars of Peace, Documents Pertaining To American Interest In Establishing A Lasting World Peace: January 1941-February 1946, Book Department, Army Information School, Carlisle Barracks, Pa., May 1946 1945-03-03
[11] 서적 Digest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3-02-25
[12] 논문 Closed Hemisphere and Open World? The Dispute Over Regional Security at the U.N. Conference, 1945 1978-01
[13] 논문 The Promise of Precommitment in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e Hopeful, Forgotten Failure of the Larreta Doctrine n.d.
[14] 논문 Historical Antecedents and Post-World War II Regionalism in the Americas https://muse.jhu.edu[...] 2020-04
[15] 웹사이트 Alliances, Coalitions, and Ententes - The american alliance system: an unamerican tradition http://www.americanf[...] Advameg, Inc. 2018-08-31
[16] 논문 The Decline of the OAS 1969-Summer
[17] 논문 Economic Relations https://www.cambridg[...] 1962-04
[18] 논문 The Brazilian foreign policy and the hemispheric security 2006
[19] 논문 México abandona el TIAR. Implicaciones continentales de la iniciativa http://biblioteca.ri[...] Real Instituto Elcano 2018-09-01
[20] 웹사이트 https://csu-stan.primo.exlibrisgroup.com/discovery/fulldisplay?&context=PC&vid=01CALS_UST:01CALS_UST&search_scope=MyInst_and_CI&tab=Everything&docid=cdi_dtic_stinet_ADA242430 https://csu-stan.pri[...] 2024-12-09
[21] 웹사이트 Mexico confirms withdrawal from Inter-American - ProQuest https://www.proquest[...] 2024-12-09
[22] 뉴스 OEA: México abandona el TIAR http://news.bbc.co.u[...] Servicio Mundial de la BBC 2018-08-31
[23] 문서 OAS official document: ''He cited the 1982 conflict over the Falkland Islands as a classic demonstration of the Treaty's failure'' http://www.oas.org/O[...]
[24] 웹사이트 Nace UNASUR y alianza militar sin EE.UU. http://www.agenciaen[...] 2009-06-19
[25] 웹사이트 La defensa regional en manos propias: UNASUR https://filatina.wor[...] Fundación Integradora Latinoamericana Ambiental 2018-09-01
[26] 뉴스 Bolivia, Ecuador, Nicaragua y Venezuela dejan el mecanismo de defensa TIAR http://www.jornada.u[...] DEMOS S.A. de C.V. 2018-09-01
[27] 웹사이트 ALBA countries renounced the TIAR in OAS Assembly http://www.acercando[...] 2013-06-01
[28] 뉴스 EEUU lamenta que Bolivia, Ecuador, Nicaragua y Venezuela se retiren de TIAR http://www.elunivers[...] 2012-06-06
[29] 뉴스 Venezuela's Opposition Debates New Tactics https://www.washingt[...] 2019-05-09
[30] 웹사이트 Qué es TIAR, el tratado de defensa que Guaidó ve como opción para rescatar la democracia https://talcualdigit[...] 2019-05-19
[31] 웹사이트 Asamblea Nacional aprobó en primera discusión adhesión al TIAR http://www.elunivers[...] 2019-05-29
[32] 웹사이트 Venezuelans collect signatures to activate the - ProQuest https://www.proquest[...] 2024-12-09
[33] 웹사이트 Inter-American Treaty of Reciprocal Assistance (Rio Treaty) https://www.oas.org/[...] 2019-08-23
[34] 뉴스 Gobierno anunció el retiro de Uruguay de la Unasur y el reingreso al TIAR https://www.elpais.c[...] 2020-03-11
[35] 뉴스 Venezuela rejoins regional defense treaty but Guaido warns it's no 'magic' solution https://www.reuters.[...] 2019-07-23
[36] 뉴스 Cuba sanctions, imposed in 1964, lifted by O.A.S. https://www.nytimes.[...] 1975-07-30
[37]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38] 간행물 1.中南米地域の内外情勢 https://www.mofa.go.[...] 外交青書
[39]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40] 웹인용 Inter-American Treaty of Reciprocal Assistance (Rio Treaty) https://www.oas.org/[...] 2019-08-08
[41] 뉴스 Venezuela rejoins regional defense treaty but Guaido warns it's no 'magic' solution https://www.reuters.[...] 2019-07-23
[42] 웹인용 In support of Venezuela, Uruguay abandons the Rio Treaty https://en.mercopres[...]
[43] 뉴스 Gobierno anunció el retiro de Uruguay de la Unasur y el reingreso al TIAR https://www.elpais.c[...] 2020-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