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식 (192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경식은 1920년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군에서 태어나 일본 대학 예술과를 졸업하고 만주일보 기자로 활동했다. 그는 기자로서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현실을 알리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힘썼으며, 대한청년단 단원을 거쳐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대한민국 헌법 제정에 참여했다. 이후 한국 포플러 사장을 역임하고, 1960년대에는 전국에서 포플러 식수 운동을 추진했으며, 200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 출신 - 이용구 (1964년)
이용구는 1964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판사, 사법연수원 교수, 변호사를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법무실장, 차관, 장관 직무대리를 역임했다. - 용인시 출신 - 송영근 (1947년)
대한민국 육군 중장 출신인 송영근(1947년)은 국군기무사령관을 지냈으며,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후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 여흥 민씨 - 민복기
민복기는 친일파 아버지 아래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 후 해방 후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최장수 대법원장을 역임하며 사법계에 기여했으나, 인혁당 사건과 친일 행적, 권력 유착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여흥 민씨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제헌 국회의원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제헌 국회의원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민경식 (1920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민경식 (閔庚植) |
출생 | 1920년 |
사망 | 미상 |
본관 | 여흥 민씨 |
호 | 삼은(三隱) |
정치 경력 | |
정당 | 민주공화당 |
직업 | 정치인 |
주요 경력 | 제8대 국회의원 제9대 국회의원 |
2. 생애
민경식은 1920년 일제강점기 경기도용인군(현 용인시기흥구)에서 태어났다. 일본 대학 예술과를 졸업한 후 만주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그는 기자로서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현실을 알리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힘썼다. 대한청년단 단원을 거쳐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용인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제헌 국회의원으로서 대한민국 헌법 제정에 참여했다. 이후 한국 포플러 사장을 역임했으며, 1960년대에는 전국에서 포플러 식수 운동을 추진했다. 2000년에 사망, 향년 80세.
조부 민구호(閔龜鎬, 1849 ~ 1934)와 진사(進士) 민영선(閔泳善, 1874 ~ 1959)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내는 나영란(羅英蘭, 1927년 ~)이다. 아들 민병규(丙奎, 1960년 ~)는 회계사로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다. 사위는 이철수(李喆壽, 1947년 ~, 前 하나은행 부행장), 조관호(조寬鎬, 재 캐나다 사업), 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김승협(金承協, 1954년 ~), (주)라인무역 대표 이용호(李鎔浩, 1957년 ~)이다.
2. 1. 초기 생애와 언론 활동
민경식은 1920년 일제강점기 경기도용인군(현 용인시기흥구)에서 태어났다. 일본 대학 예술과를 졸업한 후 만주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그는 기자로서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현실을 알리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힘썼다.2. 2. 정치 활동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군 (현 용인시기흥구) 출신이다. 일본 대학 예술과를 졸업했다. 만주일보 기자, 대한청년단 단원을 거쳐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용인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제헌 국회의원으로서 대한민국 헌법 제정에 참여했다. 이후 한국 포플러 사장을 역임했으며, 1960년대에는 전국에서 포플러 식수 운동을 추진했다.2. 3. 가족 관계
조부 민구호(閔龜鎬, 1849 ~ 1934)와 진사(進士) 민영선(閔泳善, 1874 ~ 1959)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내는 나영란(羅英蘭, 1927년 ~)이다. 아들 민병규(丙奎, 1960년 ~)는 회계사로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다. 사위는 이철수(李喆壽, 1947년 ~, 前 하나은행 부행장), 조관호(조寬鎬, 재 캐나다 사업), 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김승협(金承協, 1954년 ~), (주)라인무역 대표 이용호(李鎔浩, 1957년 ~)이다.3. 역대 선거 결과
민경식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기 용인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22,468표(60.51%)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4,451표(11.67%)를 얻어 낙선했다.
4.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용인 빛낸 여흥 민씨명성 왕후 등 조선조 왕비 배출 가문으로 유명
https://www.yongin21[...]
2015-10-12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4-03-10
[3]
웹사이트
"[부음] 전 제헌국회의원 민경식씨 별세 .. 향년 80세"
https://n.news.naver[...]
2000-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