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워키 브루어스는 1969년 시애틀 파일럿츠로 창단하여 아메리칸 리그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밀워키로 연고지를 이전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팀이다. 1970년부터 1997년까지 아메리칸 리그에 속했으며, 1998년 내셔널 리그로 옮겨 내셔널 리그 중부 지구에 소속되어 있다. 1981년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 우승, 1982년 월드 시리즈 진출을 이뤘으며, 2008년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2011년, 2018년, 2021년 중부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로빈 요언트, 라이언 브라운, 크리스티안 옐리치 등 MVP, 사이 영 상, 신인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7개의 마이너 리그 제휴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6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캔자스시티 로열스 캔자스시티 로열스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를 연고로 하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 팀으로, 1969년 창단 이후 조지 브렛, 프랭크 화이트와 같은 선수들을 배출하며 1985년과 2015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고, 카우프만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I-70 시리즈"로 불리는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196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대한항공 점보스 대한항공 점보스는 1969년 창단되어 V-리그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단으로, 2017-18시즌 첫 우승 이후 V-리그 5회 우승, KOVO컵 5회 우승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이 이끌고 인천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1969년 설립된 야구팀 - 몬트리올 엑스포스 몬트리올 엑스포스는 1969년부터 2004년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내셔널 리그에 소속되었던 캐나다 몬트리올 연고의 야구단으로, 가리 카터, 앤드레 도슨, 팀 레인스 등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배출했으며 2004년 워싱턴 D.C.로 이전하여 워싱턴 내셔널스가 되었다.
1969년 설립된 야구팀 - 캔자스시티 로열스 캔자스시티 로열스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를 연고로 하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 팀으로, 1969년 창단 이후 조지 브렛, 프랭크 화이트와 같은 선수들을 배출하며 1985년과 2015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고, 카우프만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I-70 시리즈"로 불리는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밀워키 브루어스 - 밀워키 카운티 스타디움 밀워키 카운티 스타디움은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밀워키 브레이브스와 밀워키 브루어스의 홈구장 및 그린베이 패커스의 일부 홈경기 장소로 사용되었으나 2000년 폐장 후 철거되어 현재는 리틀 리그 야구장인 헬퍼 필드가 들어서 있다.
밀워키 브루어스 - 저스틴 스모크 저스틴 스모크는 뛰어난 장타력을 가진 스위치 히터로서 메이저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1루수로 활약하며 2017년 MLB 올스타, 2009년 야구 월드컵 MVP를 수상한 미국의 전 야구 선수이다.
팀의 마스코트인 "버니 브루어"는 과거 밀워키 카운티 스타디움 시절, 팬들이 4만 명 이상 입장할 때까지 스코어보드 위에서 생활했던 실제 팬을 모델로 만들어졌다.[85] 현재 홈구장인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에서는 홈런이 나올 때마다 버니 브루어가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독특한 이벤트가 열린다.
2. 1. 창단과 밀워키 이전 (1969-1970)
1969년 시애틀에서 확장팀으로 시작한 이 클럽은 시애틀 파일럿츠라는 이름으로 아메리칸리그 서부지구에서 한 시즌을 보냈다.[11] 그 후 파산 법정에서 버드 셀리그(Bud Selig)에게 인수되어 밀워키로 이전했다.[11] 이들은 2년 더 서부지구에서 경기를 치렀다. 1972년 시즌 시작 전에 브루어스는 워싱턴 D.C.에서 이전한 텍사스 레인저스(Washington Senators)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로 이동하는 데 동의했다.
밀워키 브루어스의 첫 유니폼은 시애틀 파일럿츠의 헌 유니폼이었다.[11] 밀워키 이전이 시즌 개막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최종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새 유니폼을 주문할 시간이 없었다. 셀리그는 원래 마이너 리그인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American Association)의 밀워키 브루어스를 기념하여 브루어스의 색상을 네이비 블루와 레드로 변경할 계획이었지만(브레이브스의 색상이기도 하다),[11] 파일럿츠의 파란색과 금색 유니폼에서 시애틀 표식을 제거하고 앞면에 "BREWERS"를 수놓는 것으로 변경해야 했다. 하지만 파일럿츠 로고의 윤곽은 여전히 보였다. 유니폼에는 파일럿츠 시절부터 남아 있던 소매에 독특한 줄무늬가 있었다. 모자는 밀워키 브레이브스 모자의 업데이트 버전이었는데, 진한 파란색 바탕에 앞면에 노란색 "M"이 박혀 있었다. 결국 팀 색상으로 파란색과 금색을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그 이후로도 (1994년에 팀이 두 색상 모두 색조를 어둡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지되었다.
브루어스는 1971년에 마침내 자체 플란넬 디자인을 갖게 되었지만, 홈 저지에만 적용되었다. 이 디자인은 1970년에 사용된 디자인과 본질적으로 동일했지만, 소매와 깃에 파란색과 노란색 파이핑이 추가되었다. 한편, 원정 저지는 깃 주변에 트림을 추가하지 않았고, 파일럿츠 시대의 넓은 밴드 줄무늬를 소매에 그대로 유지했다. 또한, 1971년에는 양쪽 저지 앞면에 선수 번호가 추가되었다.
1972년, 브루어스는 플란넬을 기반으로 한 유니폼으로 더블 니트 시대에 진입했다. 전면에 "BREWERS"가 새겨진 올 화이트 유니폼에 소매, 목, 허리띠, 바지 옆면에 파란색과 노란색 트림이 추가되었고, 유니폼은 풀오버 저지와 고무줄 허리띠 형태를 취했다. 원정 유니폼은 파란색으로 남아 있었지만, 1970년과 71년 유니폼보다 더 어두운 색조였다. 1974년에는 원정 유니폼에 노란색 패널 모자가 추가되었고, 원정 유니폼의 "양말"도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되었다.
2. 2. 아메리칸 리그 시절 (1970-1997)
밀워키 브루어스는 1969년 시애틀에서 창단된 시애틀 파일럿츠가 그 전신이다. 파일럿츠는 재정난으로 인해 1970년 버드 셀릭에게 인수되어 밀워키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밀워키 브루어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브루어스는 1971년까지 서부 지구에 속해 있었으나, 1972년 워싱턴 세네터스가 텍사스주 얼링턴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동부 지구로 이동했다.
1970년대에는 약체 팀이었지만, 로빈 욘트, 폴 몰리터 등 스타 선수들의 활약으로 점차 전력이 향상되었다. 1981년 파업으로 인해 전후기 리그로 나뉘어 진행된 시즌 후반기에 우승을 차지했으나, 디비전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New York Yankees)에게 패했다.
1982년, 브루어스는 로빈 윤트(Robin Yount)의 MVP 활약과 리그 최다 팀 홈런(216개)을 기록한 강력한 타선을 앞세워 95승 67패로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American League East Division) 우승과 월드 시리즈(World Series) 진출을 달성했다. 월드 시리즈에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게 3승 4패로 아쉽게 패했다.
1987년에는 개막 13연승(MLB 타이 기록)을 기록하고, 후안 니에베스가 구단 최초의 노히트노런을 달성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지구 우승에는 실패했다. 1994년, 3지구제 도입으로 중부 지구로 이동했다.
2. 3. 내셔널 리그 이적과 현재 (1998-현재)
1998년, 브루어스는 내셔널리그로 이동했다. 그 결과, 밀워키는 밀워키 브레이브스(Milwaukee Braves)(1953–1965) 시절 이후 다시 내셔널리그 도시가 되었다.[7]
2007년 시즌, 브루어스는 NL 중부 타이틀을 2경기 차로 놓쳤는데, 이는 1988년 이후 가장 근접한 지구 타이틀 경쟁이자 1992년 이후 첫 승리 시즌이었다. 2008년, 대행 감독인 데일 스베움(Dale Sveum) 아래에서 월드 시리즈 출전 이후 26년 만에 처음으로 브루어스는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를 획득하여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7] 브루어스는 내셔널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에게 패배했는데, 필리스는 결국 2008 월드 시리즈(2008 World Series) 챔피언이 되었다.
2011년 9월 23일, 밀워키 브루어스는 29년 만에 첫 지구 타이틀을 획득했다. 브루어스는 내셔널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를 5경기 만에 꺾었지만, 2011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1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4]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게 6경기에서 패배했다. 카디널스는 결국 2011 월드 시리즈(2011 World Series) 챔피언이 되었다.
2018년 9월 26일, 브루어스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2-1로 이기면서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8][9]
9월 29일, 브루어스는 95승 67패의 기록으로 컵스와 내셔널리그 중부 1위를 다퉜고, 9월 30일 하루가 끝날 때까지 컵스와 브루어스는 여전히 동률을 이루었다. 이 동률은 10월 1일 브루어스가 NL 중부 타이브레이커에서 컵스를 3-1로 물리쳐 96승 67패로 1경기 차로 지구 우승을 차지하면서 끝났다. 브루어스는 콜로라도 로키스를 3-0으로 꺾고 NLDS에서 승리했지만, NLCS에서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os Angeles Dodgers)에게 7경기에서 패했다.
2019년 브루어스는 포스트시즌에 복귀하여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 게임에 출전했지만, 워싱턴 내셔널스에게 4-3으로 패배했다. 워싱턴 내셔널스는 결국 월드 시리즈 챔피언이 되었다.
2020년, 브루어스는 3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확장된 플레이오프에서 8번 시드로 진출했지만, 다저스에게 두 경기 모두 패배했다. 다저스는 결국 챔피언이 되었다.
2021년, 브루어스는 95승 67패의 기록으로 NL 중부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브루어스는 NLDS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anta Braves)에게 4경기에서 패배했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결국 월드 시리즈 챔피언이 되었다.
3. 팀 문화
"브루어(brewer)"는 "양조업자"라는 뜻으로, 밀워키 지역이 맥주 양조로 유명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rew"의 현지 발음에 가까운 것은 "루"이기 때문에 "블루어스"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며, 일본에서는 "'''브루어스'''"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팀을 나타내는 "crew"(크루)와 운율을 맞춰 "'''Brew Crew'''"라는 별명이 있다. 팀 로고 마크는 글러브에 공이 들어 있는 그림인데, 이 글러브는 팀 이름의 머리글자 "m"과 "b"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81] 한정 유니폼에서는 "Brewers"를 스페인어로 표현한 “'''Cerveceros'''[82]”나 폴란드어로 표현한 “'''Piwowarzy'''[83]” 로고를 사용하기도 한다.
3. 1. 마스코트
2000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팀 모자에는 밀워키의 머리글자 “M” 아래에 맥주 원료인 보리가 그려져 있다.[84]
마스코트인 버니 브루어는 팀 창설 초기에 군티 스타디움에 4만 명의 팬이 들어찰 때까지 스코어보드 위에 머물렀던 실존 팬을 모델로 했다.[85]
2001년에 개장한 현 연고지인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는 세계에서 4번째로 개폐식 지붕을 갖춘 구장이다. 홈런이 나오면 외야 스탠드에 설치된 미끄럼틀에서 마스코트 “버니 브루어”가 등장하고, 탈인형들이 경주를 하는 “소시지 경주” 등 독특한 이벤트가 열린다.
3. 2. 소시지 레이스
1993년부터 시작된 이벤트로, 5개의 소시지 마스코트 탈인형이 경주를 하는 것이다.[85] 초기에는 밀워키 카운티 스타디움의 3루 베이스 근처에서 시작하여 홈베이스까지 달리는 방식이었지만, 현재는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에서 외야를 한 바퀴 도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4. 경기장
2001년에 천연잔디와 개폐식 지붕을 갖춘 새로운 홈구장인 밀러 파크(현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가 개장했다.[81] 세계에서 4번째로 개폐식 지붕을 갖춘 이 구장에서는 홈런이 나오면 외야 스탠드에 설치된 미끄럼틀에서 마스코트 “버니 브루어”가 등장하고, 탈인형들이 경주를 하는 “소시지 경주” 등 독특한 이벤트가 열린다.
5. 역대 주요 선수
밀워키 브루어스는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활약한 팀이다. 다음은 브루어스에서 뛰었던 주요 선수들이다.
2014년, 브루어스는 명예의 거리를 제정하여 과거 브루어스에서 활약했던 선수들을 기리고 있다. 2014년에 58명이 처음으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으며, 이후 2015년 빌 슈뢰더, 2017년 코리 하트, 2018년 해리 달튼, 프린스 필더, 더그 멜빈, 2019년 J.J. 하디, 트레버 호프만, 리키 위크스, 2020년 요바니 가야르도, 카를로스 고메즈,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가 추가로 헌액되었다.[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