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까마귀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람까마귀류(Dicrurus)는 1816년 프랑스 조류학자 루이 피에르 비에이요가 드롱고류를 위해 명명한 조류의 한 속이다. 현재 28종이 있으며,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을 띠고, 길고 갈라진 꼬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곤충을 먹는 새로,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발견된다. 일부 종은 다른 새나 포유류의 소리를 흉내 내는 능력이 뛰어나며, 둥지를 위협받을 경우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람까마귀과 - 검은바람까마귀
검은바람까마귀는 검은색 깃털과 갈라진 꼬리를 가진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곤충을 주로 먹으며, 꿀벌을 잡아먹는 습성 때문에 양봉가에게는 해로운 존재이나 해충을 잡아먹어 농부에게는 이로운 존재이다.
바람까마귀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Dicrurus |
명명자 | Vieillot, 1816 |
모식종 | Corvus balicassius (Linnaeus, 1766) |
모식종 (한국어) | 발리카시아오 |
![]() | |
하위 분류 | |
종 | Dicrurus adsimilis (아프리카바람까마귀) Dicrurus aeneus (작은바람까마귀) Dicrurus aldabranus (알다브라바람까마귀) Dicrurus annectens (갈기바람까마귀) Dicrurus atripennis (숲바람까마귀) Dicrurus balicassius (발리카시아오) Dicrurus bracteatus (쇠바람까마귀) Dicrurus forficatus (코모로바람까마귀) Dicrurus fuscipennis (술탄바람까마귀) Dicrurus hottentottus (털관바람까마귀) Dicrurus leucophaeus (잿빛바람까마귀) Dicrurus ludwigii (네모꼬리바람까마귀) Dicrurus macrocercus (인도바람까마귀) Dicrurus megarhynchus (파푸아바람까마귀) Dicrurus modestus (마요트바람까마귀) Dicrurus paradiseus (긴꼬리바람까마귀) Dicrurus remifer (채찍꼬리바람까마귀) Dicrurus waldenii (민도르바람까마귀) |
2. 분류
바람까마귀과(Dicruridae)는 현재 주로 바람까마귀속(''Dicrurus'') 하나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류된다.[6] 과거에는 뉴기니 고유종인 드롱고 부채꼬리(''Chaetorhynchus papuensis'')를 포함하는 ''Chaetorhynchus'' 속도 함께 분류되었으나, 형태 및 유전적 차이로 인해 현재는 부채꼬리과(Rhipiduridae)로 재분류되었다.[7] 일부 연구자들은 바람까마귀과의 분류 범위를 호주 부채꼬리류, 군주새류, 극락조류 등을 포함하도록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6] 바람까마귀과는 약 1,500만 년 전 인도-말레이 지역에서 기원하여 아프리카로 퍼져나갔으며, 왈라세아 선을 넘어 오스트레일리아로 확산된 것은 약 60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9] 상세한 종 목록과 계통 관계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하위 종
속(屬) ''Dicrurus''는 1816년 프랑스 조류학자 루이 피에르 비에이요가 바람까마귀류를 위해 처음 도입했다.[1] 모식종은 1841년 영국 동물학자 조지 로버트 그레이에 의해 발리카시아오 (''Dicrurus balicassius'')로 지정되었다.[2][3]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dikros''("갈라진")와 ''oura''("꼬리")를 결합한 것이다.[4] "드롱고(drongo)"라는 이름은 원래 마다가스카르의 토착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해당 지역의 크레스트 드롱고를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바람까마귀과(科) 전체 조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5]바람까마귀과(Dicruridae)는 현재 속 ''Dicrurus''만을 포함하지만,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호주 부채꼬리류, 군주새류, 극락조류 등을 포함하도록 확장하기도 한다.[6] 과거에는 ''Chaetorhynchus'' 속과 ''Dicrurus'' 속 두 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뉴기니 고유종인 ''Chaetorhynchus papuensis''는 형태학적 및 유전적 차이에 근거하여 현재 부채꼬리과(Rhipiduridae)로 분류되며, 이름도 피그미 드롱고에서 드롱고 부채꼬리로 변경되었다.[7]
속 ''Dicrurus''는 다음 28종을 포함한다:[8]
이미지 | 일반명칭 | 학명 |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마요트 드롱고 || Dicrurus waldenii || 마요트. | |||
![]() | |||
![]() | |||
![]() | |||
![]() | |||
![]() | |||
![]() | |||
![]() | |||
|| 짧은꼬리드롱고 || Dicrurus striatus || 필리핀. | |||
![]() | |||
|| 타블라스 드롱고 || Dicrurus menagei || 필리핀. | |||
|| 팔라완 드롱고 || Dicrurus palawanensis || 팔라완. | |||
|| 수마트라 드롱고 || Dicrurus sumatranus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 |||
![]() | |||
![]() | |||
![]() | |||
|| 파라다이스 드롱고 || Dicrurus megarhynchus || 비스마르크 제도 뉴아일랜드, 파푸아뉴기니. | |||
![]() | |||
![]() | |||
![]() | |||
바람까마귀과(Dicruridae)는 약 1,500만 년 전 아프리카로 퍼져나가기 시작했으며, 그 기원은 인도-말레이 지역으로 추정된다. 왈라세아 선을 넘어 오스트레일리아로 확산된 것은 약 600만 년 전으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9]
2. 2. 계통 분류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따르면, 까마귀상과 내에서 바람까마귀과는 부채꼬리딱새과와 자매군을 이루는 그룹의 일부이며, 이 그룹은 다시 긴꼬리딱새과, Ifritidae, 극락조과 등과 유연관계를 가진다. 더 넓게는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과, 멜람피타과, 까마귀과, Platylophidae, 때까치과 등과 같은 과들과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19]속(屬) ''Dicrurus''는 1816년 프랑스 조류학자 루이 피에르 비에이요가 드롱고류를 위해 처음 사용했다.[1] 모식종은 1841년 영국 동물학자 조지 로버트 그레이에 의해 발리카시아오 (''Dicrurus balicassius'')로 지정되었다.[2][3]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dikros|디크로스grc("갈라진")와 oura|오우라grc("꼬리")를 결합한 것이다.[4] "드롱고"라는 이름은 원래 마다가스카르의 토착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해당 언어에서는 크레스트 드롱고를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바람까마귀과 전체 조류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된다.[5]
과거 크리스티디스(Christidis)와 볼스(Boles)는 2007년 연구에서 바람까마귀과를 호주 부채꼬리류, 군주새 및 극락조류, 그리고 마그파이 종달새 아과(Grallininae)까지 포함하도록 확장하기도 했다.[6]
또한 이 과는 과거에 ''Chaetorhynchus''와 ''Dicrurus'' 두 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Chaetorhynchus'' 속은 뉴기니 고유종인 드롱고 부채꼬리(''Chaetorhynchus papuensis'') 단일 종을 포함했는데, 형태학적 및 유전적 차이에 근거하여 현재는 부채꼬리과(Rhipiduridae)로 분류되며, 이름도 피그미 드롱고에서 드롱고 부채꼬리로 변경되었다.[7]
현재 ''Dicrurus'' 속에는 다음 28종이 포함된다:[8]
이미지 | 일반명칭 | 학명 | 분포 |
---|---|---|---|
사각꼬리드롱고 | Dicrurus ludwigii | 남아프리카. | |
샤프 드롱고 | Dicrurus sharpei | 남수단 남부와 케냐 서부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 나이지리아까지. | |
광택드롱고 | Dicrurus atripennis |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가봉, 가나, 기니,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토고. | |
포크테일드롱고 | Dicrurus adsimilis | 가봉, 콩고 공화국, DRC, 앙골라, 잠비아 북서부, 나미비아, 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서부 | |
벨벳망토드롱고 | Dicrurus modestus |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앙골라까지. | |
그란데 코모르 드롱고 | Dicrurus fuscipennis | 코모로. | |
알다브라 드롱고 | Dicrurus aldabranus | 세이셸 | |
크레스트 드롱고 | Dicrurus forficatus | 마다가스카르 및 코모로 | |
마요트 드롱고 | Dicrurus waldenii | 마요트. | |
검은드롱고 | Dicrurus macrocercus | 이란부터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를 거쳐 중국 남부 및 인도네시아 동부까지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 |
잿빛드롱고 | Dicrurus leucophaeus | 아프가니스탄 동부에서 중국 남부, 일본 남부 류큐 열도(특히 오키나와) 및 인도네시아까지. | |
흰배드롱고 | Dicrurus caerulescens | 인도와 스리랑카. | |
까마귀부리드롱고 | Dicrurus annectens |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 |
청동드롱고 | Dicrurus aeneus | 서부 우타라칸드에서 인도차이나 및 하이난,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및 보르네오 북부까지. | |
작은 래킷꼬리드롱고 | Dicrurus remifer | 방글라데시, 부탄, 캄보디아,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태국, 베트남. | |
발리카시아오 | Dicrurus balicassius | 필리핀. | |
짧은꼬리드롱고 | Dicrurus striatus | 필리핀. | |
털깃털드롱고 | Dicrurus hottentottus | 방글라데시, 인도, 부탄, 인도차이나를 거쳐 중국, 인도네시아, 브루나이까지. | |
타블라스 드롱고 | Dicrurus menagei | 필리핀. | |
팔라완 드롱고 | Dicrurus palawanensis | 팔라완. | |
수마트라 드롱고 | Dicrurus sumatranus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 |
왈라세아 드롱고 | Dicrurus densus | 인도네시아 및 동티모르. | |
술라웨시 드롱고 | Dicrurus montanus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 |
스팽글드 드롱고 | Dicrurus bracteatus | 호주, 뉴기니, 인도네시아 | |
파라다이스 드롱고 | Dicrurus megarhynchus | 비스마르크 제도 뉴아일랜드, 파푸아뉴기니. | |
안다만 드롱고 | Dicrurus andamanensis | 안다만 제도 | |
큰 래킷꼬리드롱고 | Dicrurus paradiseus | 인도에서 보르네오 및 자바까지 | |
스리랑카 드롱고 | Dicrurus lophorinus | 스리랑카. |
바람까마귀과(Dicruridae)는 약 1,500만 년 전(Mya) 아프리카로 이주하면서 인도-말레이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왈라세아 선을 넘어 오스트레일리아로 확산한 것은 약 600만 년 전으로 비교적 최근의 일로 추정된다.[9]
3. 형태 및 특징
바람까마귀류는 주로 탁 트인 숲이나 덤불에서 발견되며 곤충을 먹는 새이다. 대부분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금속성 색조를 띤다. 길고 갈라진 꼬리가 특징이고, 일부 아시아 종은 정교한 꼬리 장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다리는 짧고, 앉아 있을 때는 할미새처럼 매우 똑바로 서 있는 자세를 취한다. 먹이는 주로 공중에서 곤충을 잡거나 땅에서 찾는다.
일부 바람까마귀, 특히 큰부리새까마귀는 다른 새나 포유류의 소리까지 흉내 내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기에는 나무 높은 곳에 둥지를 틀고 2개에서 4개의 알을 낳는다. 몸집은 작지만 공격적이고 용감하여, 둥지나 새끼가 위협받을 때는 자신보다 훨씬 큰 동물에게도 맞서 싸운다.
여러 동물과 새들은 바람까마귀가 내는 경고 소리에 반응하는데, 이는 종종 포식자의 접근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칼라하리 사막에 서식하는 갈래꼬리새까마귀는 이러한 경고 소리를 교묘하게 이용한다. 포식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거짓 경고 소리를 내어 다른 동물들이 놀라 도망치면서 떨어뜨린 먹이를 가로채는데, 이런 방식으로 얻는 먹이가 전체 식량의 최대 23%에 달하기도 한다. 이들은 자신의 경고 소리뿐만 아니라, 속이려는 대상이나 그 대상이 반응하는 다른 동물의 소리까지 모방한다. 특정 소리에 익숙해져 효과가 떨어지면 다른 소리를 시도하는 등 지능적인 모습을 보인다. 갈래꼬리새까마귀는 51가지의 다른 소리를 모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남부 얼룩할미새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위험이 없을 때 반복되는 특정 경고 소리는 무시했지만 다른 종류의 경고 소리에는 계속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행동을 바탕으로 바람까마귀류가 인간 외의 동물에게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마음 이론과 유사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10][11][12]
4. 생태
바람까마귀류는 주로 곤충을 먹는 새로, 탁 트인 숲이나 덤불 지대에서 주로 서식한다. 대부분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금속성 광택이 도는 경우도 있다. 길고 끝이 갈라진 꼬리가 특징이며, 일부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은 더욱 정교하고 화려한 꼬리 깃털 장식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짧은 편이며, 나뭇가지 등에 앉아 있을 때는 할미새처럼 허리를 펴고 꼿꼿하게 앉는 자세를 취한다. 먹이는 주로 공중을 날아다니는 곤충을 직접 사냥하거나 땅에 내려와 찾는다. 일부 종, 특히 큰부리새까마귀와 같은 종들은 다른 새나 심지어 포유류의 소리까지 흉내 내는 능력으로 잘 알려져 있다.
번식기에는 나무의 높은 곳에 둥지를 틀고 한 번에 2개에서 4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몸집은 비교적 작지만 성격이 매우 공격적이고 용감하여, 자신의 둥지나 새끼가 위협을 받으면 자신보다 훨씬 큰 새나 동물에게도 거침없이 달려들어 공격한다.
4. 1. 다른 동물과의 관계
여러 종의 동물과 새들은 바람까마귀류의 경고 소리에 반응하며, 이는 종종 포식자의 존재를 알리는 신호로 이용된다. 칼라하리 사막에 서식하는 갈래꼬리새까마귀는 이러한 경고 소리를 이용하는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 이들은 포식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거짓 경고 소리를 내어 다른 동물들이 먹이를 버리고 도망가게 만든 뒤, 버려진 먹이를 차지한다. 이런 방식으로 얻는 먹이가 전체 식량의 최대 23%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갈래꼬리새까마귀는 자신의 경고 소리뿐만 아니라, 속이려는 대상이나 그 대상이 반응하는 다른 종의 소리까지 흉내 낸다. 이들이 모방할 수 있는 소리는 51가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만약 특정 소리에 대한 속임수가 반복되어 효과가 떨어지면(습관화), 다른 종류의 소리를 사용하여 속임수를 이어간다.
남부 얼룩할미새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 갈래꼬리새까마귀가 같은 경고 소리를 세 번 반복하자 얼룩할미새가 이를 무시했지만, 다른 종류의 소리에는 여전히 반응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행동이 다른 개체의 마음 상태를 이해하는 능력, 즉 마음 이론의 초기 형태를 보여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는 인간 외 동물에게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복잡한 인지 능력이다.[10][11][12]
5. 문화
'드롱고(drongo)'라는 단어는 호주 영어에서 '바보' 또는 '멍청이'를 뜻하는 가벼운 형태의 욕설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법은 1920년대 호주의 동명 경주마에서 유래했는데, 이 말은 여러 경주에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다. 경주마의 이름은 검은등할미새(D. bracteatus)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 단어는 친구들 사이에서 격식 없는 어조나 진지한 어조로 사용되기도 한다.[1][13][14][15]
참조
[1]
서적
Analyse d'Une Nouvelle Ornithologie Élémentaire
http://gallica.bnf.f[...]
Deterville/self
[2]
서적
A List of the Genera of Birds : with their Synonyma and an Indication of the Typical Species of Each Genus
https://biodiversity[...]
R. and J.E. Taylor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biodiversity[...]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4]
웹사이트
Key to Scientific Names in Ornithology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18-03-29
[5]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6]
간행물
Systematics and Taxonomy of Australian Birds
Csiro Publishing, Australia
2008
[7]
논문
The systematic affinity of the enigmatic ''Lamprolia victoriae'' (Aves: Passeriformes)—An example of avian dispersal between New Guinea and Fiji over Miocene intermittent land bridges?
http://www.nrm.se/do[...]
[8]
웹사이트
Orioles, drongos, fantail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03-29
[9]
논문
Evolutionary history and biogeography of the drongos (Dicruridae), a tropical Old World clade of corvoid passerines
[10]
논문
Deception by flexible alarm mimicry in an African bird
2014
[11]
뉴스
African Bird Shouts False Alarms to Deceive and Steal, Study Shows Drongos in the Kalahari are masters of deception, 1 May 2014
https://web.archive.[...]
2014-05-01
[12]
논문
Fork-tailed drongos use deceptive mimicked alarm calls to steal food
[13]
서적
Australian Folklore
Lansdowne Press
[14]
웹사이트
Drongo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27
[15]
뉴스
Career of Drongo
http://nla.gov.au/nl[...]
2018-02-14
[16]
서적
Cassell's Dictionary of Slang
https://books.google[...]
Orion Publishing Group
[17]
웹인용
Orioles, drongos, fantails
https://www.worldbir[...]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1.1
2021-02-16
[18]
문서
큰바람까마귀 또는 왕까마귀로도 불린다.
[19]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