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위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위솔은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로제트 형태로 자라며 '돌소나무'라고도 불린다. 9~10월에 흰색 꽃이 피며, 건조한 바위나 인공 구조물에서 잘 자란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원예 품종으로도 재배된다. 잎과 줄기에는 의학적 성분이 있어, 한국과 중국에서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꺾꽂이나 종자로 번식하며, 관리가 용이하여 재배가 쉬운 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기재된 식물 - 머루
    머루는 동아시아 북동부 자생의 낙엽성 덩굴식물로, 식용 열매와 와인 제조 활용, 공예품 제작, 한약재 사용, 관상 가치를 가지며, 최근 한국에서 와인 원료로 품종 개량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 1883년 기재된 식물 - 이삭단엽란아족
    이삭단엽란아족은 난초과의 아족으로, 닭의난초속과 과거 속했던 속들, 현재 속하는 Corybas, Gastrodia, Diphylax 등 100여 개의 다양한 속들을 포함한다.
  • 돌나물과 - 돌꽃
    돌꽃(Rhodiola rosea)은 세계 고산 지대에서 자생하는 다육질 식물로, 노란색 또는 연녹색 꽃을 피우며, 잎과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뿌리에는 다양한 화학 물질이 함유되어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효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거래가 통제된다.
  • 돌나물과 - 돌꽃속
    돌꽃속은 튼튼한 뿌리줄기, 꽃자루, 기저 로제트 잎을 특징으로 하며, 꽃잎 수의 두 배에 달하는 수술열을 가지고, 분자 계통학 연구를 통해 돌나물속에서 분리된 식물 속이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바위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로스타키스 자포니카
오로스타키스 자포니카 (Orostachys japonica)
학명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이명Cotyledon japonica Maxim.
Cotyledon polycephala Makino
Orostachys japonica f. polycephala (Makino) H.Ohba
Orostachys kanboensis Ohwi
Orostachys polycephala (Makino) H.Hara
Sedum japonicola Makino
Sedum polycephalum (Makino) Makino
다른 이름爪蓮華 (츠메렌게, 일본어)
昭和 (쇼와, 일본어)
秀女 (슈죠, 일본어)
바위솔 (한국어)
영어 이름Rock pine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범의귀목
돌나물과
아과Sempervivoideae
이와렌게속
분포 및 특징
설명바위솔속 식물
일본,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
다년생 초본
꽃은 흰색
약용 식물로 사용됨
보존 상태
한국準絶滅危惧 (준절멸위기)

2. 생태 및 형태

바위솔은 10cm까지 자라는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주걱 모양의 로제트 형태로 자란다.[3] 바위솔은 소나무의 원추 모양과 비슷하게 자라는 형태와 산 바위에 서식하는 습성 때문에 '돌소나무'라고도 불린다.[2]

상록성, 다육질이며 피침형을 띠고 있으며, 선단은 바늘 모양이 된다. 야생종은 녹색이지만 원예 품종에는 반입이 있거나 하얗게 되거나, 홍색을 띠는 것이 있다. 포기는 근생엽이 밀생하여 로제트상으로 뭉쳐, 그 지름은 최대 12cm 정도이다.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겨울에는 약간 작아진다. 뿌리에서는 왕성하게 곁눈을 내어 군락을 형성한다.

10-11월일본어에 로제트의 중앙 축이 뻗어 올라가 높이 10cm~30cm의 꽃이삭을 탑상으로 세우고, 다수의 원추상으로 군생시킨다. 꽃잎은 5장으로 피침형이며 흰색이고, 은 붉어 꽃잎에 비친다. 단일 식물이며, 꽃차례의 하방부터 차례대로 피어난다. 종자는 미세하고 가벼워 바람에 의해 산포된다. 단, 바위 틈에 나는 것은 로제트와 꽃이삭 모두 상당히 작아지는 경우가 많다.

개화하지 않는 해에는 영하 이하로 기온이 저하되는 지역에서는 중심에 인편상의 잎이 구상으로 굳어진 겨울눈을 형성한다. 혹한기에는 지금까지 있던 잎은 말라 죽지만, 봄이 오면 중심에서 보호받고 있던 생장점에서 다시 새로운 잎을 내기 시작한다. 겨울눈을 형성해도 영하 이하까지 내려가지 않는 곳에서는 생장을 계속하는 경우도 있다.

돌나물과의 원예 식물은 해외에서 다양하게 이입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계절마다 생장과 휴면의 사이클이 있지만, 바위솔만큼 계절마다 형태까지 명확하게 변하는 종은 드물고,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일본의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개체 수 감소가 거론되고 있지만, 본래 경쟁자가 별로 없는 가혹한 환경을 좋아하며,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도 강한 식물이다.

2. 1. 생육 환경

바위솔은 햇볕이 잘 들거나 반그늘(밝은 숲) 지역의 배수가 잘 되고 영양분이 적은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가볍고 모래가 섞인 토양과 양토에 적합하며,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선호하고 영양분이 부족한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산성, 중성 및 염기성 알칼리성 토양에서 생육 가능하다.[3]

건조한 바위투성이의 장소가 생식지이며, 그 바위 틈새에 뿌리를 내려 군생한다. 자연의 절벽에 자생하는 경우, 대부분 서향의 절벽이며 (사이타마현 지치부 지방,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어느 정도 건조환경에 자생한다. 나가노현의 아즈사가와, 다카세가와, 야마나시현의 후에후키가와, 가마나시가와, 오카야마현 와케정 등에서는 하천 부지에 자생하는 곳이 있으며, 제방의 석재 구조물이나 콘크리트 틈새에 군생하는 경우가 있다.

인공물에 뿌리내리는 것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어, 옛날에는 인가의 돌담이나 기와지붕 틈새 등에서 자연스럽게 자랐다. 또한 인공적으로 뚫린 절벽 등에서도 볼 수 있으며, 그 경우, 콘크리트를 뿌린 위에서 자라는 경우도 있다 (군마현 난모쿠촌).

자연 환경에서는 산속의 햇볕이 잘 드는 록 가든이나 붕괴지, 바위가 노출된 절벽에 자라지만, 화강암이나 현무암이 노출된 단단한 암반에는 자생하지 않으며, 어느 정도 부드러운 암반에서 보인다. 단단한 암반의 경우에는 세덤이나 타이트고메 등의 세덤류가 잘 어울리는 경우가 많다 (쓰시마섬 등).

2. 2. 생식

9월에서 10월 사이에 꽃이 핀다. 꽃은 자웅동주이다. 꽃은 흰색이며, 각 꽃은 5개의 원뿔형 꽃잎을 가지고 있다. 꽃에는 꽃자루가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꽃이 피고 씨앗을 맺으면 말라 죽는다.[3]

바위솔 1


발아에서 개화까지 약 3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다년생 식물이며, 개화한 개체는 결실 후에 고사한다. 다만, 개체가 성장하는 도중에 그 주위에 여러 개의 자구를 형성하므로, 잇따라 개화하더라도 생식지나 다른 개체가 금방 사라지는 일은 없다.


3. 분포

일본 국내에서는 관동 이서의 혼슈, 시코쿠, 큐슈에, 일본 국외에서는 한반도, 중국에 분포한다. 해마다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분포 지역 내에서도 서식지는 국소적이다. 하지만, 서식에 적합한 장소에서는 종종 성대한 군락을 볼 수 있다. 쓰시마 북부에서는 쓰시마 층이 노출된 곳에 군생한다.

4. 인간과의 관계

바위솔은 인가에서도 자주 발견되며, 이러한 생태가 사람들의 눈에 띄어 원예 식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꺾꽂이로 쉽게 번식하므로 오늘날에도 애호가가 많다. 다만, 유통 과정에서 '오로스타키스'라는 이름으로 묶여 다른 종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좀바위솔, 황화바위솔 등은 바위솔과는 다른 종이다.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 미관 지구 등, 지방의 오래된 민가가 늘어선 거리에서는 기와지붕 틈새에서 꽃이삭을 뻗는 바위솔을 자주 볼 수 있다.

필립 프란츠 폰 지볼트가 유럽에 바위솔을 소개하였다. 에도 시대 방문 도중에 도모정에서 채집한 가장 오래된 표본이 현존하고 있다.

4. 1. 원예

바위솔은 인가에서도 자주 발견되며, 이러한 생태가 사람들의 눈에 띄어 원예 식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꺾꽂이로 쉽게 번식하므로 오늘날에도 애호가가 많다. 다만, 유통 과정에서 '오로스타키스'라는 이름으로 묶여 다른 종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좀바위솔, 황화바위솔 등은 바위솔과는 다른 종이다.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 미관 지구 등, 지방의 오래된 민가가 늘어선 거리에서는 기와지붕 틈새에서 꽃이삭을 뻗는 바위솔을 자주 볼 수 있다.

필립 프란츠 폰 지볼트가 유럽에 바위솔을 소개하였다. 에도 시대 방문 도중에 도모정에서 채집한 가장 오래된 표본이 현존하고 있다.[1]

4. 1. 1. 품종

에도 시대 중반에 원예 품종으로 널리 재배되었으며, 많은 원예 품종이 생겨났다. 그중에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것도 있으며, 그러한 묘목을 원예점에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1]

지상부의 모습이 특이하고 재배에 손이 많이 가지 않으며, 꺾꽂이로 쉽게 번식하므로 오늘날에도 애호가가 많다. 다만, 원예 대상으로서의 바위솔은 유통상 속명에서 유래한 '''오로스타키스'''라는 이름으로 묶여서, 종, 변종, 품종, 산지 등의 차이를 원예 품종과 같은 속성으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오로스타키스라는 이름으로 구입한 것이 동속 이종의 바위솔이거나, 그 외의 다른 종인 경우가 종종 있다. 좀바위솔이나 황화바위솔 등도 다른 종이다.[1]

  • 겐로쿠(元禄): 야생종과 비슷하다. 덧붙여 야생종 그 자체는 유통상 '''야마도리'''(山採り, 산채)라고 부른다.[1]
  • 츠메렌게니시키(爪蓮華錦): 5할에 가까운 잎이 엽록소를 잃어 백변하고, 주 전체가 얼룩무늬와 같은 양상을 보인다.[1]
  • 쇼와(昭和), 시로하다츠메렌게(白肌爪蓮華): 녹백색을 띠며, 강한 햇빛에 노출되면 붉은색을 띤다.[1]
  • 야츠가시라(八頭) Orostachys japonicus|오로스타키스 야포니쿠스la f. polycephalus|폴리케팔루스la: 분류학상의 품종이므로 야외에서도 이 변이주를 볼 수 있다. 원예에서도 이 이름으로 불리지만, 겐로쿠와 동품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다수의 액생가지를 내는 것에서 야츠가시라라고 불린다.[1]

4. 2. 약용

근연종인 바위솔과 함께, 한반도중국에서는 '''와송'''(瓦松)이라는 이름으로 꽃이삭을 한약으로 복용한다. 청열해독 작용이 있으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민간요법으로 위장약으로도 사용된다. 다만 일본에서는 약용으로 처방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4. 2. 1. 성분

바위솔의 잎과 줄기에는 지방산 에스터, 프리델린,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여러 의학적으로 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2] 이들은 진경제 및 세포 독성 효과가 있으며, 시험관 내에서 항암 효과가 있다. 한국에서는 , 치은염, 응고 및 자궁내막염 치료에 사용된다.[2]

5. 관리 및 번식법

바위솔은 화분이나 화단의 바위, 기와 등에 흙을 조금 올려놓고 심는다. 선인장용 흙을 사용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두어야 한다.[5]

5. 1. 물주기

여름에는 2~3일 간격, 봄과 가을에는 4~5일 간격으로 물을 준다.[5] 미세바야 등 다른 돌나물과 식물과 마찬가지로 물주기는 적게 하고, 여름에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둔다. 그늘에 두거나 물을 너무 많이 주면 뿌리 썩음이 발생한다.

5. 2. 번식

바위솔은 11월에 열리는 종자를 이듬해 봄 화분이나 화단에 뿌려 번식한다.[5] 미세바야 등 다른 돌나물과 식물처럼 꺾꽂이로도 쉽게 번식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https://powo.science[...] The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null
[2] 서적 Medicinal Plants In the Republic of Korea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on-line http://www.floraofch[...] Flora of China on-line 2013-10-08
[4] 웹사이트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bean.bio.chib[...] 2003
[5] 서적 야생화도감[가을편] 푸른행복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