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지는 2006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재발견되었으며, 현재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된 고래목의 동물이다. 인간의 활동으로 멸종된 첫 고래목 동물로 여겨졌으나, 목격담이 이어져 멸종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바이지는 남아시아 강돌고래를 제외한 강돌고래의 계통 분류에 속하며, 아마존강돌고래속에 속하는 종들과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댐 건설로 인한 절멸위기종 - 철갑상어
중국철갑상어는 철갑상어과에 속하는 대형 회유성 어류로, 뾰족한 주둥이와 아래쪽 입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중국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고 과거 진미로 여겨졌으며 한반도와 일본에서도 발견된다. - 댐 건설로 인한 절멸위기종 - 타파눌리오랑우탄
타파눌리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토바호 남쪽 지역에 서식하며 곱슬거리는 털과 작은 두개골로 구별되는 희귀한 유인원으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다. - 공해로 인한 절멸위기종 - 철갑상어
중국철갑상어는 철갑상어과에 속하는 대형 회유성 어류로, 뾰족한 주둥이와 아래쪽 입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중국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고 과거 진미로 여겨졌으며 한반도와 일본에서도 발견된다. - 공해로 인한 절멸위기종 - 아홀로틀
아홀로틀은 멕시코 소치밀코 호수에 사는 점박이도롱뇽과의 일종으로, 유생의 형태를 유지한 채 성적으로 성숙하며 뛰어난 재생 능력과 다양한 색상으로 애완동물 및 실험 동물로 사육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이빨고래류 - 아마존강돌고래속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은 1834년 처음 기술되었고, 분류학적으로 복잡한 역사를 가지며, 종의 수와 아종 분류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있다. - 이빨고래류 - 향고래상과
향고래상과는 이빨고래아목의 분류군으로, 현생하는 향고래, 꼬마향고래, 쇠향고래를 포함하며, 튼튼한 몸과 노 모양 지느러미, 깊이 잠수하는 특징을 가진다.
바이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생물 분류 | |
이름 | 양쯔강돌고래 |
![]() | |
상태 | CR |
상태 기준 | iucn3.1 |
상태 출처 | iucn status 19 November 2021 |
사이테스 | 1 |
사이테스 출처 | Appendices CITES |
색 | 동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아목 | 경하마형아목 |
하목 | 고래하목 |
소목 | 이빨고래소목 |
과 | 양쯔강돌고래과 (Lipotidae) |
속 | 양쯔강돌고래속 (Lipotes) |
종 | 양쯔강돌고래 (L. vexillifer) |
학명 | Lipotes vexillifer |
학명 명명자 | Miller, 1918 |
![]() | |
중국어 | 白鱀豚 (báijìtún) |
2. 상태
2006년 12월 4일, 신화통신사는 30여 명의 학자들이 참여한 6주 간의 조사 결과, 양쯔강에서 양쯔강돌고래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12월 13일, 중국 정부는 이를 공식 확인했다. 이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멸종된 첫 고래목 동물로 여겨진다. 이 연구 결과는 2007년 8월 7일, 학술지 'Biology Letters'에 발표되었으며, 범세계적인 학자들로 구성된 연구단의 추가 조사가 없는 한, 양쯔강돌고래는 멸종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멸종 발표 직후 양쯔강돌고래가 재발견되었고,[3] 2016년에도 추가 발견 사례가 보고되었다.
다음은 남아시아를 제외한 강돌고래의 계통 분류이다.[4]
[1]
IUCN
Lipotes vexillifer
2021-11-19
IUCN 레드 리스트에서는 양쯔강돌고래를 절멸이 아닌 절멸위급종(CR)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도 목격담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양쯔강돌고래가 사실상 멸종되었거나, 매우 적은 수의 개체만이 생존해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 비-남아시아 강돌고래
|-
|
{| class="wikitable"
|-
! 남아메리카 강돌고래
|-
|
{| class="wikitable"
|-
! 아마존강돌고래속
|-
|
|-
| 볼리비아강돌고래
|}
|-
| 라플라타돌고래
|}
|-
| † 양쯔강돌고래
|}
참조
[2]
웹인용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4]
저널
A New Species of River Dolphin from Brazil or: How Little Do We Know Our Biodiversity
http://www.plosone.o[...]
2014-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