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코드 배틀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코드 배틀러는 1991년 출시된 에폭사의 휴대용 게임기로, 바코드를 스캔하여 캐릭터 데이터를 생성하고 대전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모델은 1:1 대전 및 RPG 모드를 제공했으며, 이후 다양한 게임 요소와 주변기기 연동 기능을 갖춘 바코드 배틀러 II가 출시되었다.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어 슈퍼 마리오, 젤다의 전설 등 다양한 캐릭터를 활용한 특별판 카드가 제작되었으나, 해외에서는 반복적인 게임 플레이, 부족한 그래픽, 음향 효과, 조작성 등으로 인해 부진했다. 바코드 배틀러는 닌텐도 e-리더와 같은 후속 바코드 게임 및 완구에 영향을 미쳤으며, 만화, 관련 상품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전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코드 배틀러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에포크 사 |
종류 | 휴대용 게임기 |
세대 | 휴대용 LCD 게임 |
수명 | 1991년–1995년 |
미디어 | 해당 없음 |
기술 정보 | |
CPU | 불명 |
GPU | 불명 |
저장 매체 | 불명 |
컨트롤러 | 내장 |
외부 연결 단자 | 불명 |
발매 정보 | |
출시일 | 1991년 |
기타 정보 | |
판매량 | 불명 |
최고 판매 소프트웨어 | 불명 |
호환 하드웨어 | 불명 |
차세대 하드웨어 | 불명 |
2. 역사
바코드가 있는 카드를 읽혀 수치 정보로 캐릭터와 아이템 데이터를 생성, 1대1 대전을 즐기는 게임이다. 전용 카드 외에 일반 상품의 바코드로 오리지널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었다.
초기형인 흰색 '''바코드 배틀러'''와 시스템을 개선한 검은색 '''바코드 배틀러 II'''가 있었다. 2005년 8월에는 i앱으로 복각되었다(엑싱 개발).
상품 바코드를 잘라 붙인 자작 카드를 만들 수 있었는데(복사 후 사용 권장), JAN 코드(일본 국내 바코드, "49 바코드"로 불림)가 주 대상이었지만, 8/13자리 World Product Code에 속하는 해외 바코드(UPC, EAN, ISBN)도 읽을 수 있었다.
게임 화면은 7세그먼트 디지털 영숫자로만 구성되어 매우 단순했지만, 카드 일러스트나 만화판 등으로 보충되어 플레이어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 연재와 학습 잡지 게재로 인기를 얻어 전국 장난감 가게에서 대결 이벤트가 열렸다. 한정 카드가 배포되었고, 에포크사에서 정기 바코드 배틀러 신문도 발행했다.
하지만 "강한 바코드"를 만들어 판매하거나, 가게 상품 바코드를 훼손하는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일부 공략본은 바코드 조작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 편의점 워즈 바코드 배틀러(1991년 발매・6800JPY) CM은 스트롱 콩고가 담당했다.
- 편의점 워즈 바코드 배틀러 묘조 식품판(1991년・비매품)은 묘조 식품 "철판 야키소바" 구매자 추첨 증정품으로, 패키지, 카드, 본체 색상이 일반판과 달랐다.
- 편의점 워즈 바코드 배틀러 II 시공을 초월한 전사들(1992년 발매・7800JPY)[11] CM은 세키네 츠토무가 담당했다.
- 바코드 배틀러 II2 C0, C2는 바코드 배틀러 II 확장판으로, 『코로코로 코믹』에서 "코바토라(꼬마 배틀러)"라는 애칭이 공모되었다.
- J리그 오피셜 LCD 게임 바코드 일레븐은 바코드 배틀러 후속 기종으로, 바코드를 사용한 축구 게임이다.
바코드 배틀러 II 전용 카드 소프트(1992년 여름, 각 780JPY, 총 3권)는 '정전' 시리즈보다 먼저 출시되었다. 본체 부속 카드와 다른 세계관으로, 주인공들은 '동명의 다른 인물'이었다. '평화를 관장하는 수호신 레지타에 의해 바코드로 관리되는 세계'를 배경으로, 편의점 국가・선마트 국가・성 유우 국가가 등장했다.
외전 1・2의 카드는 이후 화이트 카드를 추가해 11장씩 분할 판매되었다.
1992년 7월~9월, 오다큐 전철 스탬프 랠리가 실시되었다. 69개 역 스탬프 수집, 한정 카드 소프트웨어 제작, 로망스 카드 증정 혜택이 있었다. 카드 소프트웨어는 바코드 배틀러 II 전용, 철도 관련 도구와 오다큐 차량, 역명 말장난으로 디자인되었다. 다크 월드에 붙잡힌 오다퀸 구출을 위해 스테이션 전사, 마법사를 모아 악의 제왕을 물리치는 내용이었다.
2. 1. 바코드 배틀러 II (1992)
검은색 본체의 바코드 배틀러 II는 확장된 싱글 플레이 모드, 다양한 게임 요소, 외부 기기와의 연결 기능을 제공했다.[6] 닌텐도는 이 기능을 활용하여 바코드 배틀러 II 인터페이스 유닛의 라이선스를 획득했다.[7] BBI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바코드 배틀러를 패미컴 및 슈퍼 패미컴 (게임보이 플레이어와 e-리더를 연결하는 방식과 유사) 콘솔에 연결할 수 있었다(어댑터를 통해[8]). 이 연결 상태에서 바코드 배틀러 II의 기능은 순전히 바코드 리더로 작동했으며, 게임 플레이는 연결된 기기의 게임 카트리지에 따라 달라졌다.II와 일레븐은 출력 단자를 사용하여 비디오 게임 기기에 연결할 수 있었다. 이 경우 본 기기는 주변 기기로 취급되어 읽어들인 데이터를 게임에 반영할 수 있었다.
- 선소프트의 패밀리 컴퓨터 소프트웨어 바코드 월드는 부속 케이블로 II(또는 일레븐)와 연결되었다.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는 플레이할 수 없었다. 대전 모드는 II의 C0 모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 에포크사의 슈퍼 패미컴 소프트웨어 바코드 배틀러 전기 슈퍼 전사 출격하라!는 II(또는 일레븐)이 없어도 시나리오 모드만은 플레이 가능했다. "바코드 배틀러 인터페이스"라는 별매 케이블로 슈퍼 패미컴 본체에 연결되었다. 이것 또한 대전 모드는 II의 C0 모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 바코드 배틀러 전기 슈퍼 전사 출격하라! (대회 버전)는 상기 제품 버전을 개량한 공식 대회용 슈퍼 패미컴 소프트웨어이다. 상품 버전에서는 실제 II와 데미지 계산이나 특수 능력의 효과가 약간 달랐던 부분이 수정되었다. 비매품이다.
- 바코드 배틀러 II2는 II2의 대회용으로 개발된 슈퍼 패미컴 소프트웨어이다. 비매품이다.
2. 2. 바코드 배틀러 II 인터페이스 게임
에포크사(Epoch Co.)와 닌텐도의 협력으로, 에포크는 바코드 배틀러 II와 BBII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패밀리 컴퓨터와 슈퍼 패미컴에서 플레이하거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게임을 설계했다.[7]플랫폼 | 게임 제목 | 비고 |
---|---|---|
패미컴 | 바코드 월드 | バーコードワールド|바코도 와루도일본어 (1992) |
슈퍼 패미컴 | Barcode Battler Senki: Super Senshi Shutsugeki Seyo!|바코드 배틀러 전기 슈퍼 전사 출격하라!일본어 | (1993) |
슈퍼 패미컴 | 드래곤 슬레이어 II | ドラゴンスレイヤーII|도라곤 스레야 II일본어 (1993) |
슈퍼 패미컴 | Hatayama Hatch no Pro Yakyuu News! Jitsumei Han|Hatayama Hatch no Pro Yakyuu News! Jitsumei Han일본어 | (1993) |
슈퍼 패미컴 | Doraemon 2: Nobita's Great Adventure Toys Land|도라에몽 2 노비타의 토이즈랜드 대모험일본어 | (1993) |
슈퍼 패미컴 | J-리그 94 | Jリーグ94|J-리고 94일본어 (1994) |
슈퍼 패미컴 | Doraemon 3: Nobita and the Jewel of Time|도라에몽 3 노비타와 시간의 보옥일본어 | (1994) |
슈퍼 패미컴 | 루팡 3세: 전설의 비보를 쫓아라! | ルパン三世 伝説の秘宝を追え!|루팡 산세 덴세쓰노 히호오 오 오에!일본어 (1994) |
슈퍼 패미컴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리썰 포즈 | スパイダーマン リーサルフォーズ|스파이다만 리사루 포즈일본어 (1995) |
슈퍼 패미컴 | J-리그 95 | Jリーグ95|J-리고 95일본어 (1995) |
슈퍼 패미컴 | Donald Duck no Mahō no Bōshi|도날도 닷쿠노 마호노 보시일본어 | (1995) |
슈퍼 패미컴 | 앨리스의 페인트 어드벤처 | アリスのペイントアドベンチャー|아리스노 페인토 아도벤차일본어 (1995) |
II와 일레븐은 출력 단자를 통해 비디오 게임 기기에 연결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본 기기는 주변 기기로 취급되어 데이터를 게임에 반영했다.
- 바코드 월드: 선소프트의 패밀리 컴퓨터 소프트웨어. 부속 케이블로 II(또는 일레븐)와 연결하며,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는 플레이할 수 없다. 대전 모드는 II의 C0 모드와 기본적으로 같다.
- 바코드 배틀러 전기 슈퍼 전사 출격하라!: 에포크사의 슈퍼 패미컴 소프트웨어. II(또는 일레븐)이 없어도 시나리오 모드만 플레이 가능하다. "바코드 배틀러 인터페이스"라는 별매 케이블로 슈퍼 패미컴 본체에 연결한다. 대전 모드는 II의 C0 모드와 기본적으로 같다.
- 바코드 배틀러 전기 슈퍼 전사 출격하라! (대회 버전): 위 제품 버전을 개량한 공식 대회용 슈퍼 패미컴 소프트웨어. 상품 버전에서 실제 II와 데미지 계산, 특수 능력 효과가 약간 달랐던 부분을 수정했다. 비매품.
- 바코드 배틀러 II2: II2의 대회용으로 개발된 슈퍼 패미컴 소프트웨어. 비매품.
3. 인기
바코드 배틀러는 일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지만, 해외에서는 부진했다.[3] 대한민국에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으나, 1990년대 초반 PC 통신 시절 제한적으로 정보가 공유되기도 했다.
일본에서의 인기는 바코드를 통해 게임 결과가 달라진다는 독창성에 기인했다. 다양한 바코드를 수집하는 것 자체가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끌었다. 슈퍼 마리오, 젤다의 전설 등 유명 캐릭터를 활용한 특별판 카드가 제작되기도 했다.[4][5]
해외 시장에서는 단순한 게임 플레이, 부족한 그래픽과 음향 효과 등으로 인해 외면받았다.[3]
3. 1. 일본 내 인기
바코드 배틀러는 일본에서 매우 인기가 높았다.[3] 게임 세계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실험하고 바코드를 수집하는 아이디어가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바코드 배틀러의 인기가 높아지자 슈퍼 마리오, 젤다의 전설 등 많은 캐릭터들을 담고 있는 특별판 카드가 제작되었다.[4][5] 닌텐도에서 라이선스를 받은 특별판 카드는 ''마리오'' 및 젤다의 전설 시리즈를 위해 제작되었다. 다른 특별판은 팔콤 (''로드 모나크''/''드래곤 슬레이어'')과 NTV (''도라에몽'' 시리즈)에서 의뢰했다.3. 2. 해외에서의 부진
바코드 배틀러는 게임보이, 게임 기어와 함께 상점에서 판매되었고, 겉보기에는 유사한 점이 있었다. 하지만 게임 플레이가 반복적이고 그래픽, 음향 효과, 조작이 부재하여 해외 게이머들에게 빠르게 잊혀졌다.[3]4. 게임 시스템
바코드 배틀러는 본체의 슬릿에 바코드 카드를 읽혀 수치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캐릭터나 아이템 데이터를 생성하여 1대1 대전을 즐기는 게임이다. 일반 상품의 바코드를 사용해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게임 화면은 7세그먼트 디지털 영숫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캐릭터 모습 등은 카드 일러스트를 통해 보충되어 플레이어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캐릭터를 "합체"시켜 능력치를 강화할 수 있으며, 합체 상성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게임 모드는 다음과 같다.
모드 | 설명 |
---|---|
COM 모드 | 1인용. 컴퓨터 RPG 형식으로, 본체 내장 적과 대전한다. |
B1 모드 | 1인용. COM 모드와 유사하나, 플레이어가 읽어들인 카드의 데이터를 가진 적과 대전한다. |
B2 모드 | 플레이어 간 대전 모드. 카드를 읽혀 수동으로 커맨드를 입력한다. |
공격 시 액정 표시나 공격음에 맞춰 공격(BATTLE) 버튼을 누르면 공격력이 증가하는 숨겨진 기술은 도시 전설처럼 퍼져나가다 II에서 정식 구현되었다.
"B3 모드"는 화면에 표시되지만 선택할 수 없는 모드이다.
바코드 배틀러 I과 II의 스토리 모드, 카드 소프트 「정전」 시리즈는 동일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다. 등장 캐릭터는 대부분 로봇 형태지만, 인간 또는 기계 생명체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주민들은 상품에 따라 10개 부족으로 나뉘며, 성운 역사는 4개 시대로 구성된다.
4. 1. 바코드 스캔 및 캐릭터 생성
바코드를 본체의 슬릿에 읽혀 수치 정보를 바탕으로 캐릭터나 아이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1대1 대전을 즐길 수 있다. 전용 카드가 동봉되어 있지만, 일반 상품 등에 붙어있는 바코드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오리지널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바코드 숫자에 따라 캐릭터의 능력치가 결정되는데,[10] 생명력(HP), 공격력(ST), 방어력(DF), 그리고 특수 능력(제4 능력)이 있다.[9] 이 능력치에는 규칙성이 있어서, 상품 바코드만 봐도 캐릭터 능력치와 특수 능력까지 알 수 있는 사람도 있었다.[9] 특히 초대 바코드 배틀러는 단순해서 데이터 파악이 쉬웠다.[9]
바코드 배틀러 I에서는 JAN 코드(앞자리 49)는 캐릭터만 생성 가능했지만, 바코드 배틀러 II와 바코드 배틀러 II2에서는 JAN 코드의 약 절반이 아이템으로 바뀌었다. JAN 코드 마지막 자리가 0 - 4는 캐릭터, 5 - 9는 아이템이다.[10]
특수 능력은 전투 시작 시 파라미터를 바꾸거나, 선공을 쉽게 가져가게 하고, 명중률을 100%로 만들거나, 치명타 확률을 높이거나, 받는 피해를 줄이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바코드 배틀러 II 이후에는 상대 능력치를 낮추는 특수 능력도 추가되었다.
바코드 일레븐에서도 바코드 배틀러 I, 바코드 배틀러 II2처럼 바코드 숫자로 캐릭터 능력치가 결정되고, 특수 능력(필살 슈팅, 이동 속도 증가 등)도 존재했다.
4. 2. 대전 모드
두 명의 플레이어가 각자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대전을 진행한다. 대전 모드에서는 두 사람이 각각 가져온 바코드를 스캔한 후, 랜덤 또는 잠재 능력(액정에 표시되지 않는 숨겨진 파라미터)에 따라 선공과 후공이 결정된다. 전투는 그 후에 시작된다.게임은 매우 간단하며, 플레이어는 게임 모드를 선택하고, 바코드를 스캔한 다음, 번갈아 가며 각자의 턴에 "공격" 또는 "회복"을 선택하여 진행한다(바코드 배틀러 II 이후에는 마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공격 시 액정의 표시나 공격음에 맞춰 공격(BATTLE) 버튼을 알맞게 누르면 공격력이 증가하는 숨겨진 기술도 있었다. 이것은 원래 초기 제품에는 없었고, 보급 과정에서 생겨난 도시 전설이었지만, II에서 정식으로 구현되었다.
4. 3. 싱글 플레이 모드 (COM, B1, C1 등)
COM 모드는 1인용 모드로, 플레이어가 읽어들인 캐릭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와 대전하는 방식이다. 본체에 내장된 총 60종류(10개 스테이지, 각 스테이지 당 6종류)의 적과 싸우는 컴퓨터 RPG와 유사한 형태로 진행된다.플레이어는 게임 시작 시 주인공 캐릭터만 사용할 수 있으며, 전용 카드가 아닌 다른 바코드는 읽힐 수 없다. 아이템은 각 전투마다 한 종류씩 사용할 수 있다. 적을 쓰러뜨려도 플레이어 캐릭터의 HP는 회복되지 않지만, 쓰러뜨린 적의 최대 HP만큼 자신의 현재 HP에 더할 수 있다.
B1 모드는 1인용 모드로, COM 모드와 유사하게 컴퓨터와 대전하지만, 적 캐릭터가 본체 내장 데이터가 아닌 플레이어가 읽어들인 카드의 데이터라는 점이 다르다. COM 모드를 클리어하면 나오는 패스코드를 입력하여 데이터를 계승한 상태로 플레이할 수 있다.
적 캐릭터는 본체에 동봉된 6종류의 카드 외에도 별도로 판매되는 "전용 카드 소프트"(총 3종류)를 통해 추가할 수 있다. 일반 상품의 바코드도 적으로 등장시킬 수 있다.
C1 모드는 원문에 언급되지 않았다.
4. 4. 합체 시스템
캐릭터와 캐릭터를 합체시켜 능력치를 강화할 수 있다. 합체에는 상성이 있으며, 상성이 좋으면 수치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고, 나쁘면 겉보기와 다르게 낮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5. 바코드 배틀러의 유산
바코드 배틀러는 이후 게임 및 주변기기에 영향을 주었다. 닌텐도의 e-리더[3]는 바코드 배틀러와 비슷한 시스템을 채택했다. 영국의 아케이드 게임 ''공룡킹'' 및 ''러브 앤 베리''처럼 바코드를 활용하는 게임들도 출시되어 인기를 얻었다.[3] 스마트폰 앱으로도 배포되었다.[1]
5. 1. 닌텐도 e-리더
닌텐도의 e-리더[3]는 바코드 배틀러와 유사한 시스템을 채택한 장치이다. 영국의 아케이드 게임 ''공룡킹'' 및 ''러브 앤 베리''와 같이 바코드를 활용하는 게임들도 출시되어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3]5. 2. 스마트폰 앱
휴대 전화용 사이트 "바코드 배틀러"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배포되었다. 운영, 제공은 주식회사 익싱이다.[1]6. 미디어 믹스
바코드 배틀러는 아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 상품이 출시되었다.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과 학습 잡지 초등학교 1~3학년에 바코드 배틀러를 소재로 한 작품이 연재되었고, 전국 장난감 가게에서 대결 이벤트가 열려 한정 카드가 배포되기도 했다. 하지만 악의적인 어른들이 "강한 바코드"를 만들어 판매하거나, 가게 상품에서 바코드를 잘라가는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에포크사에서는 정기적으로 바코드 배틀러 신문을 발행하여 정보를 제공했다. 또한, 바코드 배틀러 II 전용 카드 소프트 시리즈가 1992년 여름에 각 780JPY으로 총 3권 발매되었다. 이 시리즈는 본체 부속 카드와는 다른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며, 주인공들은 '동명의 다른 인물'로 설정되었다.
이야기는 '평화를 관장하는 수호신 레지타에 의해 바코드로 관리되는 세계'를 배경으로, 흑마술사 왕 파노라만더의 반란과 이에 맞서는 용사들의 싸움을 다룬다.
6. 1. 만화
"바코드 배틀러"를 홍보하기 위해 제작된 만화 "바코드 파이터"는 1992년 4월부터 1994년 6월까지 5권이 발매되었고, 이후 2권으로 재판되었다.[10]제목 | 작가 | 설명 |
---|---|---|
편의점 워즈 배틀러 영웅전 | 코바야시 타츠요시 | 본편 스토리의 코미컬라이즈 |
앗싸! 배틀러대 | 타나카 코이치 | 데포르메 캐릭터로 그려진 본편 개그 작품 |
바코드 파이터 | 오노 토시히로 | 바코드 배틀러를 이용한 대결을 그린 작품 |
이름 | 종족 | 설명 | 무기 |
---|---|---|---|
룡신 우롱리 (드래곤 킹 우롱리) | 음료 일족 | 전사, 외전 1의 주인공. 프린세스 구미의 좋은 이해자이다. | 음차마검, 유수도 |
성투사 버몬트 크리프 (세인트 버몬트 크리프) | 화려 일족 | 마법사, 우롱리의 파트너. 여성에게 관대한 성격이다. | 부이용 세이버 |
마검사 활무 | 면 일족 | 전사, 외전 2의 주인공. | 슈퍼컵환 |
려검사 프린세스 구미 | 식품 일족 | 마법사, 활무의 파트너. 메카 라이온을 몬다. | 스파게티 검 |
G・M 맥스플라이 (건맨 맥스플라이) | 식품 일족 | 전사, 외전 3의 주인공. | 해시드 총 |
렬정 중화요무 | 면 일족 | 마법사, 맥스플라이의 파트너. 성격이 격렬하고 활무와 싸움만 한다. | 우마니 팔보 수리검 |
6. 2. 기타 관련 상품
- 스트롱 콩고가 CM을 담당한 편의점 워즈 바코드 배틀러는 1991년에 6800엔에 발매되었다.
- 편의점 워즈 바코드 배틀러 묘조 식품판은 1991년에 비매품으로 출시되었다. 일반판과 비교하여 패키지 디자인과 부속 카드가 일부 다르며, 본체 색상은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되었다. 묘조 식품의 "철판 야키소바" 봉지면 구매자 중 추첨을 통해 소수에게 증정되었다.
- 세키네 츠토무가 CM을 담당한 편의점 워즈 바코드 배틀러 II 시공을 초월한 전사들은 1992년에 7800엔에 발매되었다.[11]
- 바코드 배틀러 II2 C0와 바코드 배틀러 II2 C2는 각각 C0, C2 모드에 대응하는 바코드 배틀러 II의 확장판이다. 『코로코로 코믹』에서 애칭 공모를 통해 "코바토라(꼬마 배틀러)"로 결정되었다.
- J리그 오피셜 LCD 게임 바코드 일레븐은 바코드를 사용한 축구 게임으로, 바코드 배틀러의 후속 기종이다.
- 최강 배틀러 열전은 기기에서 배출되는 카드로 즐길 수 있는 대전형 게임이다.
- 바코드 배틀러 NEO
- 바코드 스카우터는 휴대 전화용 사이트 "바코드 배틀러"에서 배포되었으며, 익싱에서 운영 및 제공하였다.
- 벨 푸즈 바코드 배틀러 슈퍼 V 카드 포함 라면 스낵 (카드 상하에 캐릭터 코드와 주문 코드 두 가지 기재)
- 메이지 제과 바코드 배틀러 카드 포함 초코 스낵
- 전용 화이트 카드
- 로드 모나크 사용자 카드
- 바코드 프린터 (반다이)
- 8cm 싱글: 핫터맨/성실하게 대하겠습니다 (노래: IYO&TUFF, 1992년 6월 25일, 하피넷 픽쳐스)
- 앨범: 핫터맨 바코드 배틀러 익사이팅 테마송 (1992년 7월 25일, 하피넷 픽쳐스)
7. 비판적 시각
바코드 배틀러는 여러가지 비판을 받았다.
'''상업적 문제'''로는 아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일부 어른들이 '강한 바코드'를 만들어 비싸게 팔거나 가게 상품에서 바코드만 잘라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는 점이다. 심지어 일부 공략본에서는 여러 바코드를 잇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바코드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여 일부 문구점에서 '강한 바코드'를 몰래 판매하기도 했다.
'''게임 시스템의 한계'''로는 게임 화면이 최소한의 문자를 제외하면 전부 7세그먼트의 디지털 영숫자만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캐릭터의 모습이나 무대 설정 등은 카드의 일러스트나 만화판 등으로 보충되었다. 동시대의 다른 컴퓨터 게임과 비교하면 매우 단순했지만, 그만큼 플레이어에게 상상의 여지가 컸다는 평가도 있다.
7. 1. 상업적 문제
아이들 사이에서 열광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악의적인 어른들이 "강한 바코드"를 만들어 비싸게 팔거나, 가게 상품에서 바코드만 잘라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일부 공략본에서는 여러 바코드를 잇거나, 심지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바코드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대한민국에서도 암암리에 발생했으며, 일부 문구점에서 '강한 바코드'를 몰래 판매하는 경우가 있었다.7. 2. 게임 시스템의 한계
게임 화면은 최소한의 문자를 제외하면 전부 7세그먼트의 디지털 영숫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캐릭터의 모습이나 무대 설정 등은 카드의 일러스트나 만화판 등으로 보충되었다. 동시대의 다른 컴퓨터 게임과 비교해도 매우 단순하지만, 그만큼 플레이어에게 상상의 여지가 컸다.8.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대한민국에서 바코드 배틀러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 당시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기술과 놀이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바코드 배틀러의 바코드 인식 기술은 이후 닌텐도 e-리더,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서는 바코드 배틀러가 아이들 사이에서 열광적인 반응을 얻어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 「바코드 파이터」가 연재되었고, 학습 잡지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바코드 배틀러를 소재로 한 작품이 연재되면서 전국 장난감 가게에서 대결 이벤트가 열렸다. 이벤트에서는 한정 카드가 배포되었는데, 바코드 배틀러 본체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챠항 제, 챠슈 팡, 덴테라 등이 배포되었다. (후에 챠슈 팡과 덴테라는 쇼가쿠칸 잡지에서 기사 플라페의 카드와 함께 재배포되었다.) 에포크사에서 정기적으로 바코드 배틀러 신문을 구입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악의적인 어른들이 "강한 바코드"를 생성하여 무지한 아이들에게 판매하거나, 가게 상품에서 바코드만 잘라가는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또한 공략본에 따라서는 여러 바코드를 잇거나, 심지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바코드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onveni Barcode Battler box translation
http://barcodebattle[...]
Epoch, Co.
1991
[2]
웹사이트
Conveni Wars Barcode Battler Manuals バーコードバトラー
http://barcodebattle[...]
Epoch, Co.
1991
[3]
웹사이트
Handheld Classics: Retro Roundup
http://www.pocketgam[...]
Pocket Gamer
2009-03-12
[4]
웹사이트
Mario Card Image
http://img213.images[...]
2010-11-24
[5]
웹사이트
Zelda Card Image
http://img526.images[...]
2010-11-24
[6]
웹사이트
Conveni Wars Barcode Battler II boxart
http://barcodebattle[...]
2014-09-29
[7]
웹사이트
Conveni Wars Barcode Battler II Interface
http://barcodebattle[...]
2014-09-29
[8]
웹사이트
Super Barcode Battler
http://www.gamersgra[...]
Gamers Graveyard
2014-09-29
[9]
웹사이트
Barcode Battler: Games
http://www.barcodeba[...]
2014-09-29
[10]
웹사이트
『バーコードファイター 上・下(小野敏洋)』 販売ページ
https://www.fukkan.c[...]
2022-07-21
[11]
서적
電子ゲーム なつかしブック
コアムックシリー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