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성 (190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기성(1907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1907년 충청북도 진천에서 태어나 3·1 운동에 참여한 후 일본으로 유학하여 항일 운동을 전개했다. 1920년대에는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하고, 상하이에서 남화한인청년연맹에 참여하여 일제 밀정 제거 활동을 벌였다. 중국에서 무장 투쟁을 이어가며, 한국청년전지공작대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여 준장으로 예편했으며,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산 박씨 - 박철수 (영화 감독)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철수는 1978년 데뷔하여 멜로드라마 연출 후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 여성의 욕망과 사회적 억압을 탐구하는 실험적인 작품을 만들었으며 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 죽산 박씨 - 박제환 (1905년)
박제환은 도시샤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수리조합연합회 경기도 지부장, 부천군 권업과장, 경기도 식량과장을 거쳐 농림부 장관과 제2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한국계 중국 군인 - 유진동
유진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상하이 동제대학 의과대학에서 한인학우회 활동을 하고 김구의 주치의를 맡았으며, 한국 광복군 군의처장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2007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한국계 중국 군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진천군 출신 - 이용길
이용길은 1970년대 후반부터 사회운동과 정치 활동을 활발히 펼친 한국의 정치인으로, 노동 운동과 시민 운동에 참여하고 진보 정당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2017년 노동당을 탈당했다. - 진천군 출신 - 김능환
김능환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판사, 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변호사로 활동 중이며, 대법관 시절 판결로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재임 시절 총선과 대선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기성 (1907년) | |
---|---|
기본 정보 | |
씨명 | 박기성 |
출생 정보 | 출생일: 1907년 6월 1일 출생지: 충청북도 진천군 |
사망 정보 | 사망일: 사망지: 서울특별시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제201묘지 |
경력 | |
소속 조직 | 국민혁명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상위(중국군) 정령(광복군) 준장(한국 육군) |
2. 생애
박기성은 1924년 도쿄[東京]에서 정찬진, 홍영유 등과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하여 한인유학생들과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1926년 상하이로 건너가 백정기, 엄순봉 등과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을 조직하고 일제의 밀정 제거에 주력했다. 1931년경, 인천에서 칭다오를 거쳐 상하이로 망명했다. 1932년에는 류자명, 백정기, 정화암과 함께 무정부주의자 연맹에서 활동했다.
1933년에는 일본공사 아리요시(有吉)를 암살하고자 했으나 실패하고, 상하이를 떠나 난징의 포병학교에 입학했다. 1934년 9월, 중앙 육군군관학교 제11기로 입학하여,[1] 1937년 10월에 졸업했다. 졸업후에는 후베이성창더의 제1등 통신병단 보충대 파이장이 되었다. 이후 상위가 되어, 충칭의 훈련총감부 통신감실 참모로 복무했다.
나월환과 이하유의 권유를 받아 중국군을 사임하고, 1940년 10월에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결성에 참여하여 군사조장이 되었다. 전지공작대는 중국군 제34집단군과 연계하여 일본군 점령 지역의 조선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징모 활동을 전개했다. 1941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총사령부가 충칭에서 창립되자 전지공작대를 해체하고 이듬해 1월 1일 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하여 제2구대장이 되었다. 지대장 나월환과 대원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자, 나에게 충고했지만 거절당했다.
1942년에 나월환이 암살되자 사후 처리를 위해 중국과 협의했다. 이후, 충칭으로 귀환하여 광복군 총사령부 정보참모부장에 취임했다. 1943년 총사령부로 전임되어 최용덕 총무처장 밑에서 중령으로 과장에 임명되었으며, 김홍일 참모장 밑에서 대령으로 정보과장의 임무를 맡아보다가 1945년 8·15 광복을 맞았다.
2. 1. 유년 시절과 3.1 운동 참여 (1907년 ~ 1919년)
박기성은 1907년 6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증평군으로 이주하여 15세까지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만세를 외쳤다.2. 2. 일본 유학과 항일 운동 (1919년 ~ 1931년)
1919년의 3·1 운동에 참여하여 만세를 외쳤으며, 이후 일본으로 유학했다. 1924년 도쿄[東京]에서 정찬진, 홍영유 등과 같이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하여 한인유학생들과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1926년에 일어난 6·10 만세 운동 이후, 항일 투쟁을 결심하고, 원심창, 한하연 등과 빈번하게 교류했다. 1927년, 요요기 공원에서 예정되었던 3·1절 기념 행사에 참여하려다 체포되었다. 1928년, 정찬진, 홍영유 등과 함께 아나키스트 단체인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했다. 1929년, 광주 학생 운동이 일어나자 귀국했으나, 경찰의 감시를 받았다. 1931년경, 인천에서 칭다오를 거쳐 상하이로 망명했다.2. 3. 중국 망명과 무장 투쟁 (1931년 ~ 1945년)
1924년 도쿄[東京]에서 정찬진, 홍영유 등과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하여 한인유학생들과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1926년 상하이로 건너가 백정기, 엄순봉 등과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을 조직하고 일제의 밀정 제거에 주력했다. 1931년경, 인천에서 칭다오를 거쳐 상하이로 망명했다. 1932년에는 류자명, 백정기, 정화암과 함께 무정부주의자 연맹에서 활동했다.1933년에는 일본공사 아리요시(有吉)를 암살하고자 했으나 실패하고, 상하이를 떠나 난징의 포병학교에 입학했다. 1934년 9월, 중앙 육군군관학교 제11기로 입학하여,[1] 1937년 10월에 졸업했다. 졸업후에는 후베이성창더의 제1등 통신병단 보충대 파이장이 되었다. 이후 상위가 되어, 충칭의 훈련총감부 통신감실 참모로 복무했다.
나월환과 이하유의 권유를 받아 중국군을 사임하고, 1940년 10월에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결성에 참여하여 군사조장이 되었다. 전지공작대는 중국군 제34집단군과 연계하여 일본군 점령 지역의 조선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징모 활동을 전개했다. 1941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총사령부가 충칭에서 창립되자 전지공작대를 해체하고 이듬해 1월 1일 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하여 제2구대장이 되었다. 지대장 나월환과 대원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자, 나에게 충고했지만 거절당했다.
1942년에 나월환이 암살되자 사후 처리를 위해 중국과 협의했다. 이후, 충칭으로 귀환하여 광복군 총사령부 정보참모부장에 취임했다. 1943년 총사령부로 전임되어 최용덕 총무처장 밑에서 중령으로 과장에 임명되었으며, 김홍일 참모장 밑에서 대령으로 정보과장의 임무를 맡아보다가 1945년 8·15 광복을 맞았다.
2. 4. 광복 이후 활동과 대한민국 군 복무 (1945년 ~ 1986년)
1946년 국군에 입대하여 1959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을 수여하였다.1945년 12월 28일 귀국하여, 1947년 3월 경비사관학교 특별 제3기를 졸업하고 대위로 임관했다(군번 361번). 총사령부에 배속된 후 제5연대 대대장을 역임했다. 1948년 5월에는 제15연대 부연대장(소령),[2] 제5연대 부연대장을 역임했다. 1950년 3월 15일, 제5연대 연대장 대리(중령)가 되었다.[3]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구의 제1훈련소장(1950년 10월 24일) 등을 역임했다. 고등군사반 제7기 교육을 받고, 군산의 신병 보충대장을 거쳐, 1952년에 제101사단장이 되었다. 1959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1969년,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에 참여했고, 1985년에는 광복군 동지회 회장(제5대)을 역임했다.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南京本校第十一期交通兵隊学員姓名籍貫表
http://www.hoplite.c[...]
2016-03-26
[2]
웹사이트
馬山警備分遣隊 聯隊로서 正式昇格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1-11
[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4]
뉴스
충북 독립운동가 열전 - 박기성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5-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