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규 (194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재규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이며, 통일부 장관과 경남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페어리 디킨슨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경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재규는 1972년 극동문제연구소를 설립하여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학술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통일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2009년 자크 시라크 재단 분쟁 예방 특별 심사위원상을 수상했으며, 저서와 논문을 통해 북한 및 남북 관계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스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한준호 (공무원)
한준호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공무원으로 공직에 입문하여 중소기업청 청장,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삼천리그룹 CEO 회장을 지냈다. - 카자흐스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한정우 (축구 선수)
한정우는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서 K리그, 카자흐스탄, 아일랜드 리그에서 활동하며 FC 카이라트 데뷔 후 수원 FC K리그1 승격 기여, 던도크 FC에서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출전, 김포 FC 활동, U-20 및 U-23 국가대표팀 경력을 가지고 있다. - 페얼리 디킨슨 대학교 동문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페얼리 디킨슨 대학교 동문 - 그레고리 올슨
그레고리 올슨은 미국의 기업가이자 우주 비행사로, EPITAXX와 Sensors Unlimited를 설립하여 사업가로 활동했으며, 2005년 국제 우주 정거장(ISS)으로 비행하여 세 번째 우주 관광객이 되었다.
박재규 (194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책 | 경남대학교 총장 |
임기 | 1986년–2000년, 2003년–현재 |
한글 이름 | 박재규 |
로마자 표기 | Bak Jae-gyu |
공직 정보 | |
직책 | 대한민국 제26대 통일부 장관 |
임기 시작 | 1999년 12월 24일 |
임기 종료 | 2001년 3월 25일 |
대통령 | 김대중 |
총리 | 김종필 박태준 이한동 서리 이한동 국무총리 |
차관 | 양영식 통일부 차관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44년 8월 11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마산 |
본관 | 밀양(密陽) |
형제 | 박종규(형) |
정당 | 무소속 |
학력 | |
학력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경력 | |
경력 | 경남대학교 교수 통일부 장관 경남대학교 총장 |
2. 학력
페얼레이 디킨슨 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뉴욕 시립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뉴욕 사회과학원 사회과학 박사 수료,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박사.[1]
2. 1. 정규 학력
- 미국 페얼레이 디킨슨 대학교 정치학과 학사[1]
- 미국 뉴욕 시립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 미국 뉴욕 사회과학원 사회과학 박사 수료
- 대한민국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박사[1]
2. 2. 명예 박사 학위
- 소카 대학교|소카 대학교일본어 명예 경영학 박사
- 중국 문화 대학|중국문화대학교중국어 명예 정치학 박사
- 가나가와 현립 보건복지대학|가나가와 현립 보건복지대학교일본어 명예 보건과학 박사
- 페얼레이 디킨슨 대학교|페얼레이 디킨슨 대학교영어 명예 법학박사
- 플레하노프 경제대학교|플레하노프 경제대학교ru 명예 경제학 박사
- 극동 연방 대학교|극동국립대학교ru 명예 국제정치학 박사
- 태평양국립대학교 사범대학|하바로프스크 국립사범대학교ru 명예 교육학 박사
3. 경력
- 1973년~1985년: 경남대학교 교수
- 1973년~1986년: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소장[2]
- 1986년~1999년: 경남대학교 총장
- 1997년~1999년: 한국대학총장협회 회장
- 1999년 12월~2001년 3월: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99년 12월~2001년 3월: 대한민국 통일부 장관
- 2000년 4월~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 위원장
- 2000년 7월~2001년 3월: 남북장관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 2001년~2004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 2003년~2010년: 동북아대학총장협의회 이사장
- 2003년~: 경남대학교 총장
- 2005년~2009년: 윤이상 평화재단 이사장
- 2005년~2009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 2006년 5월~2008년 11월: 대통령자문 통일고문회의 고문
- 2009년 2월~: 대통령자문 통일고문회의 고문
- 2009년 12월~2012년 12월: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위원
- 2018년: 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 2018년 4월~2022년 4월: 학교법인 한마학원 이사
- 2020년: 통일부 영남통일교육센터장
4. 남북 관계 활동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은 경남대학교 총장이던 박재규를 통일부 장관으로 임명하여, 대북 협력 및 화해 정책을 실행하도록 했다.[1] 그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박재규는 통일부 장관 재임 기간 외에도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직책 | 기간 |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소장 | 1973년~1986년 |
동북아대학총장협의회 이사장 | 2003년~2010년 |
윤이상 평화재단 이사장 | 2005년~2009년 |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 2005년~2009년 |
4. 1. 2000년 남북정상회담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은 박재규를 통일부 장관으로 임명하여, 대북 협력 및 화해 정책을 실행하도록 했다.[1] 박재규는 이 직책을 수행하면서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4. 2.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은 박재규를 통일부 장관으로 임명하여, 대북 협력 및 화해 정책을 실행하도록 했다.[1] 박재규는 이 직책을 수행하면서 2000년 6월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그는 현재까지도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한반도 통일 관련 사안에 대해 조언하고 있으며, 사회통합위원회에도 참여하고 있다.[1]직책 | 기간 |
---|---|
통일부 장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99년 12월 ~ 2001년 3월 |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 위원장 | 2000년 4월 ~ 2000년 6월 |
남북장관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 2000년 7월 ~ 2001년 3월 |
대통령자문 통일고문회의 고문 | 2006년 5월 ~ 2008년 11월, 2009년 2월 ~ |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위원 | 2009년 12월 ~ 2012년 12월 |
2018 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 2018년 |
통일부 영남통일교육센터장 | 2020년 |
5. 저서 및 논문
박재규는 북한 및 남북 관계에 관한 많은 저서와 논문을 저술하였다.
5. 1. 저서
제목 | 출판사 | 연도 |
---|---|---|
《북한군사정책론》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 1983 |
《북한의 신외교와 생존전략》 | 나남 | 1997 |
《북한이해의 길라잡이》 | 법문사 | 1997 |
《새로운 북한 읽기를 위하여》 | 법문사 | 2004 |
《일념, 평화통일 길》(자서전) | 경남대학교출판부 | 2017 |
《북한의 외교 정책》 | 1977 | |
《북한의 군사 정책》 | 1983 | |
《북한 정치》 | 1984 | |
《북한 이해 길잡이》(공저) | 1997 | |
《북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공저) | 2004 | |
《북한의 딜레마와 미래》(공저) | 2011 |
5. 2. 논문
wikitext제목 | 발행처 | 발행년도 | 비고 |
---|---|---|---|
Foreign Policy of North Korea | Asian Perspective 제5권 제2호 | 1980년 | 가을 |
핵문제의 남북한 관계의 전망과 대응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1994년 | 연구보고서 94-1 |
김일성 사후 북한정세와 한반도의 장래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1994년 | 연구보고서 94-3 |
한반도 통일을 위한 종교의 역할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1996년 | 정책보고서 96-1 |
6. 수상
박재규는 2009년 자크 시라크 재단에서 수여하는 분쟁 예방 특별 심사위원상을 비롯한 수많은 상을 받았다.[3]
7. 가족
- 배우자: 김선향(金仙香, 북한대학원대학교 재단 이사장)
- 자녀: 장남 박정민(朴廷敏), 차남 박정진(朴廷鎭)
참조
[1]
간행물
Article on Park Jae-kyu
http://www.fdu.edu/n[...]
FDU Magazine
2007
[2]
웹사이트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http://ifes.kyungnam[...]
[3]
웹사이트
Park Jae-kyu, Laureate of the Fondation Chirac Special Jury Prize for Conflict Prevention 2009
http://www.fondation[...]
2009-11
[4]
웹인용
역대총장
https://www.kyungnam[...]
202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