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주 (교육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찬주는 1914년 경성부에서 태어난 교육인으로, 조선 철종의 외손녀이자 친일 정치가 박영효의 서손녀이다. 1932년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도쿄 여자학습원에 진학했으며, 이우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1938년에는 경성가정여숙 설립을 지원했고, 해방 후에는 운현궁의 사유 재산 승인을 받아냈다. 1950년 추계학원 초대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1995년 사망하여 남편 이우와 합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왕공족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일본의 왕공족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경성부 출신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경성부 출신 - 김상순 (배우)
김상순은 196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수사반장》, 《전원일기》 등과 시트콤, 영화, 뮤지컬,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상, 남자 최우수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운현궁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운현궁 - 고종 (대한제국)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며,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하여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열강의 각축 속에서 국권을 잃고 강제 퇴위당했다.
박찬주 (교육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 | |
작위 | 공비 |
재위 | 1935년 ~ 1947년 |
개인 정보 | |
이름 | 박찬주 |
원래 이름 | 박찬주 |
출생일 | 1914년 12월 11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
사망일 | 1995년 7월 13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매장지 | 운현궁 가족 묘지 |
거주지 | 운현궁, 도쿄 별저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이우 |
자녀 | 이청, 이종 |
아버지 | 박일서 |
어머니 | 박원희 |
기타 | |
문장 | The Unhyeongung Ihwamun.svg |
문장 제목 | 운현궁 이화문 |
2. 생애
박찬주는 1914년 12월 11일 경성부에서 태어나 1932년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여자학습원으로 유학을 갔다. 이우와의 결혼은 조선인과의 결혼을 고집한 이우와 일본 정계에 로비를 벌인 박영효의 노력으로 성사되었다. 1935년 도쿄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경성에서 피로연을 열었으며, 슬하에 장남 이청과 차남 이종을 두었다.
1945년 남편 이우가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사망한 후, 박찬주는 두 아들과 함께 운현궁에서 살았다. 해방 후 구황실재산법에 따라 황실 재산이 국유화되자, 운현궁이 흥친왕 집안의 사저임을 주장하여 국회로부터 사유 재산 승인을 받아냈다. 1938년 황신덕에게 소유 건물을 희사하여 경성가정여숙(현 중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도왔고, 1950년 추계학원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여 추계예술대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추계초등학교 운영에 힘썼다.
1992년 운현궁을 서울특별시에 매각하고 서대문구 북아현동 자택에서 여생을 보내다 1995년 7월 13일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사후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흥선대원군 묘역에 남편 이우와 합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4년 12월 11일 경성부에서 아버지 박일서(朴日緖)와 어머니 박원희(朴元熙) 사이의 5남 3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철종의 외동딸 영혜옹주의 남편이자 친일 정치가였던 박영효의 서손녀이다. 1932년 3월에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여자학습원으로 유학을 갔다.2. 2. 이우와의 결혼
이우는 조선인과의 결혼을 고집하였고, 박영효가 일본 정계에 로비를 벌인 결과 일본 궁내성과 이왕직은 박찬주와의 혼약을 인정하게 되었다.[11] 1934년 7월 11일에 궁내성 종질료(宗秩寮)에서 약혼을 인정하는 담화를 발표하였고,[12] 1935년 4월 17일에는 혼인을 인정하는 쇼와 천황의 칙허가 발표되었다.[13] 1935년 5월 3일에 이우와 박찬주는 도쿄 별저에서 결혼식을 올렸으며,[14] 같은 해 6월 28일에 경성으로 돌아와 종묘와 능원을 참배하고 조선호텔과 운현궁에서 피로연을 열었다.[15]2. 3. 교육 사업 및 사회 활동
1938년, 박찬주는 황신덕에게 자신과 남편 이우가 살던 건물을 기증하여 경성가족료숙(현재의 중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도왔다.[1] 1950년 4월, 추계예술대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추계초등학교의 초대 이사장이 되었다.2. 4. 말년
1992년, 운현궁을 서울시에 매각하고, 서대문구 서울 북아현동 자택에서 여생을 보낸 후, 1995년 7월 13일 지병으로 사망했다.[3] 이우의 배우자인 박찬주는 흥선대원군 묘역인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에 묻혔다.[3]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박영효 | 1861년 | 1939년 | |
아버지 | 박일서 | 1897년 | 1931년 | |
어머니 | 박원희 | 1889년 | 1969년 | 박현경의 딸 |
남자형제 | 박찬범 | 1917년 | 1986년 | 이해춘(의친왕의 3녀)과 혼인 |
남자형제 | 박찬익 | 1920년 | 2003년 | |
남자형제 | 박찬우 | 요절 | ||
남자형제 | 박찬웅 | 1926년 | 1950년 | |
남자형제 | 박찬용 | 1927년 | 1945년 | |
여자형제 | 박찬옥 |
4. 관련 작품
박찬주는 연극 《거울속의 은하수》에 참여하였다. 이 연극은 2014년 4월 19일부터 2014년 4월 27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에서 공연되었다.
참조
[1]
간행물
나의 아버지 이우공
서울역사박물관
2007
[2]
뉴스
박후작 영손 찬주양 이우공비로 어내정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3]
뉴스
이우공 어배우로 박찬주양을 어확정 종질료에서 어약혼 정식발표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4]
뉴스
이우공 전하 어결혼칙허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5]
뉴스
이우공 전하 어혼의 3일 동경서 신식으로 어거행 궁중어참내는 4일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6]
뉴스
이우공 동비 양전하 가례후 어초환가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7]
웹인용
나의 아버지 이우공
http://www.museum.se[...]
서울역사박물관
2007
[8]
서적
위의 책
[9]
서적
위의 책
[10]
뉴스
박후작 영손 찬주양 이우공비로 어내정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1]
서적
위의 책
[12]
뉴스
이우공 어배우로 박찬주양을 어확정 종질료에서 어약혼 정식발표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3]
뉴스
이우공 전하 어결혼칙허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4]
뉴스
이우공 전하 어혼의 3일 동경서 신식으로 어거행 궁중어참내는 4일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5]
뉴스
이우공 동비 양전하 가례후 어초환가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6]
웹인용
《이희공계제3세이우공족보》(李熹公系第參世李鍝公族譜)
https://web.archive.[...]
2014-04-23
[17]
뉴스
이우공비 전하 23일 어경사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8]
뉴스
이우공 전하 어장남 명명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19]
뉴스
이우공비 전하 제2남자 어분만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20]
뉴스
이우공 제2공자 ‘종’으로 어명명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