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방자는 일본 황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황태자 이은과 결혼하여 의민황태자비가 된 인물이다. 일본에서 태어나 황족으로 성장했으며, 1920년 이은과 결혼하여 대한제국 황태자비가 되었다. 결혼 후 두 아들을 낳았으나, 광복 이후 일본 국적과 한국 국적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으로 귀국하여 정신지체 및 신체 장애인 교육에 헌신하며 '한국 장애인들의 어머니'로 존경받았다. 1989년 사망 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으며, 여러 저서를 남기고 대중문화 작품으로도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태자비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 나시모토노미야 - 히로하시 노리코
일본 황족 출신인 히로하시 노리코는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둘째 왕녀로 태어나 야마시나노미야 타케히코 왕과의 파혼 후 히로하시 사네미츠 백작과 결혼하여 평민이 되었으며, 결혼 후 자선 활동과 다이 니폰 부인회 시부야 지부장으로 활동했다. - 나시모토노미야 - 나시모토 이쓰코
나시모토 이쓰코는 1882년에 태어나 황족으로 결혼한 후 미모와 외국어 실력으로 활동했으며, 신적강하 이후 자서전을 출판하고 아키히토 황태자 결혼에 반대하다가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이방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방자 |
본명 | 나시모토 마사코 |
일본어 이름 | 梨本宮 方子女王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조오) |
로마자 표기 | I Bang-ja |
출생일 | 1901년 11월 4일 |
출생지 | 도쿄, 일본 제국 |
사망일 | 1989년 4월 30일 |
사망지 | 창덕궁 낙선재, 서울, 대한민국 |
배우자 | 의민태자 (1920년 결혼, 1970년 사별) |
자녀 | 이진 이구 |
아버지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
어머니 | 모리마사 왕비 이쓰코 |
직위 | |
작위 (일본) | 여왕 |
작위 (한국) | 이왕세자빈 (1920년~1926년) 이왕비 (현덕정목온정자행비) (1926년~1947년) |
칭호 | 현덕정목온정자행비 |
종교 | |
종교 | 신도 → 천주교 (세례명: 마리아) |
기타 | |
소속 | 芙蓉会 명예회장 |
![]() | |
한국어 표기 | |
한글 | 이방자 |
한자 | 李方子 |
로마자 표기 (한국) | I Bang-ja |
로마자 표기 (북한) | Ri Bang-ja |
일본어 표기 | |
일본어 (한자) | 方子女王 |
일본어 (로마자) | Masako Joō |
2. 생애
이방자는 1901년 11월 4일 일본 도쿄에서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과 왕비 이쓰코의 장녀로 태어났다.[9] 고준 황후의 사촌이었다.[2]
가쿠슈인 여자 중등과 재학 중, 1916년 이은과 약혼하였다.[10] 1918년 12월 5일, 황실전범 증보 후 결혼 칙허가 내려왔다.[13][14] 1920년 4월 28일, 이은과 결혼하였다.[17] 결혼 직전, 조선의 독립운동가에 의한 암살 미수 사건(이왕세자 암살 미수 사건(李王世子暗殺未遂事件))이 발생하기도 했다.
1921년 장남 진(晉)을 낳았으나,[19] 1922년 경성에서 급성 소화불량으로 사망하였다.[15] 1926년 4월 24일, 순종이 사망하자 '이 왕비'(李王妃方子女王일본어)라는 칭호를 받았다.[2] 1931년 둘째 아들 구를 낳았다.[26] 1927년 5월부터 1928년 4월까지, 영친왕 부부는 유럽을 방문하였다.[21]
1945년 광복 이후, 일본의 패전으로 왕족 지위를 잃고 재산까지 몰수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27] 이승만 대통령은 이은의 귀국을 막았고, 이들은 일본에서 재일 한국인으로서 궁핍한 생활을 했다.[4] 1962년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했고,[32] 1963년 11월, 박정희 대통령의 초청으로 귀국하여 창덕궁 낙선재에 거주하게 되었다.[4]
귀국 후, 장애인 교육에 헌신했다. 1989년 4월 30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직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87세로 사망하였다.
2. 1. 일본 황족 시절
1901년 11월 4일, 메이지 천황의 조카이자 황족인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과 왕비 이쓰코의 장녀로서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9] 아버지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은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들이었고, 이쓰코 비는 나베시마 나오히로의 딸이었다. 이방자는 고준 황후의 사촌이었다.[2]
가쿠슈인 여자 중등과 재학 중, 이방자는 사촌인 구니노미야 나가코 여왕 등과 함께 황태자 히로히토 친왕의 유력한 배우자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1916년 일본에 유학하고 있던 이은과 약혼하였다.[10] 이방자가 약혼 사실을 알게 된 것은 가나가와현 오이소정에 있는 나시모토노미야 별장에서 천황의 뜻이라는 설명을 들었을 때였다.[10] 그러나, 어머니 이쓰코 비는 훗날 공개된 일기에서 조선총독을 통해 비밀리에 이왕가에 혼담을 신청하고, 표면적으로는 천황의 명령으로 했다는 것을 고백했다.[11]
1918년 12월 5일, 황실전범 증보 후 결혼 칙허가 내려왔다.[13][14] 1918년 12월 8일 납채의 의가 거행되었고, 1920년 4월 28일, 이은(李垠)과 결혼하였다.[17] 결혼 직전, 조선의 독립운동가에 의한 암살 미수 사건(이왕세자 암살 미수 사건(李王世子暗殺未遂事件))이 발생하기도 했다.
결혼 후, 1921년 장남 진(晉)을 낳았다.[19] 그러나 1922년, 진은 한반도 방문 중 경성에서 급성 소화불량으로 사망한다.[15] 이 사건에는 여러 독살설이 존재한다.[15] 1926년 4월 24일, 순종이 사망하자 이방자는 공식적으로 '이 왕비'(李王妃方子女王일본어)라는 칭호를 받았다.[2]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한국의 왕실 칭호는 "황제"에서 "왕"으로 강등되었고, 의민태자는 한국의 군주로 공식적으로 즉위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방자는 한국에서 "방자(方子), 의민태자비"로 불리게 되었다.[3]
1927년 5월부터 1928년 4월까지, 영친왕 부부는 유럽을 방문하였다.[21] 프랑스를 시작으로, 영국,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을 방문하였다.[23] 여행 중에는 “Prince/Princess RI”라는 칭호를 사용하였고, “백작 이은(伯爵李垠)”, “백작 부인 이마사코(伯爵夫人李方子)”라는 통칭을 사용하였다.[24]
1931년, 둘째 구를 낳았다.[26]
2. 2. 대한제국 황태자비 시절
1916년, 일본에 유학하고 있던 이은과 약혼하였다. 어릴 때 불임 가능성이 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이는 조선에서 떠돌던 근거 없는 소문이었고, 실제로 결혼 후 장남 이진을 임신하였다.[2]1920년 4월 28일, 도쿄 롯폰기에서 이은과 결혼식을 올렸다.[17] 결혼식 직전, 조선 독립운동가에 의한 암살 미수 사건(이왕세자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921년, 장남 이진을 낳았다.[19] 그러나 1922년 이진은 한반도 방문 중 경성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15] 마사코는 첫 아이를 잃은 슬픔 속에서도, 일본에 유학 온 이은의 이복 여동생 덕혜옹주를 친절하게 돌보았다.[20]
1926년 4월 24일, 순종이 사망하자, 마사코는 '이왕비 마사코 여왕'(李王妃方子女王일본어)이라는 칭호를 받았다.[2]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한국의 왕실 칭호가 "황제"에서 "왕"으로 격하되었고, 의민태자는 공식적으로 즉위하지 못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방자(方子), 의민태자비"로 불리게 되었다.[3]
1931년 12월 29일, 둘째 아들 이구를 낳았다.[26]
1927년 5월부터 1928년 4월까지 남편과 함께 유럽을 방문하였다.[21] 요코하마를 출발하여, 프랑스를 거쳐[22] 영국에서 국왕 조지 5세와 왕비 메리 오브 테크를 만났다.[22] 이후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을 방문하였다.[23]
2. 3. 해방 이후의 삶
1945년 광복 이후, 이방자는 일본의 패전으로 왕족 지위를 잃고 재산까지 몰수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27] 이승만 대통령은 의민태자의 인기를 우려하여 이방자 가족의 귀국을 막았고, 이들은 일본에서 재일 한국인으로서 궁핍한 생활을 해야 했다.[4] 한국에서는 일본인으로, 일본에서는 한국인으로 여겨져 무국적 상태로 힘든 삶을 살았다.[27]1960년 이승만 정권이 실각한 후, 1961년 방미 중이던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이은을 문병하고 귀국을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32] 1962년 대한민국 국적법에 따라 이방자는 한국 국적을 회복했고,[32] 1963년 11월, 박정희 대통령의 초청으로 가족과 함께 귀국하여 창덕궁 낙선재에 거주하게 되었다.[4] 그러나 당시 의민태자는 이미 뇌혈전으로 의식을 잃은 상태였고, 서울성모병원으로 긴급 후송되어 남은 생을 침대에서 보내야 했다.[4]
귀국 후, 이방자는 남편 이은의 뜻을 이어 장애인 교육에 헌신했다. 칠보공예 기술을 활용하여 서울칠보연구소를 설립하고, 칠보공예품, 서예, 그림 등을 판매하거나 궁중 의상 패션쇼를 개최하여 자금을 모았다.[34] 이를 통해 지적장애아 시설인 명휘원과 자혜학교를 설립하여 장애인들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왔다.[5][6][34]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1년 전두환 대통령으로부터 보관훈장을 수여받았다.[34]
또한, 이방자는 재한일본인부인회 "부용회"의 초대 명예회장을 역임하며 한국에 남은 일본인 여성들을 지원했다. 여러 차례 일본을 방문하여 쇼와 천황, 고준 황후, 상황 아키히토, 상황후 미치코 등 일본 황족들과 만나 교류하기도 했다.
1989년 4월 30일, 이방자는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5][36][37][38][39] 장례는 한국 황태자비의 예우를 갖춘 준국장으로 치러졌으며,[40][41] 사후 대한민국 국민훈장(훈일등)이 추서되었다.
2. 4. 사회봉사 활동
대한민국에서 지내며 평소 남편 의민태자와 구상해 온 사회봉사를 시작해 1963년, 신체장애자재활협의회 부회장에 취임하였다.[4] 1966년, 장애인들의 재활을 위해 자행회(慈行會)를 설립하고, 1967년에는 언어장애 및 소아마비 장애인들의 사회 적응을 위한 명휘원(明暉園)을 설립하였다. 한편, 해외 모금 활동과 칠보(七寶)를 통해 복지 사업 자금을 모았다.[4]1970년 남편이 사망하자 1971년, 지적장애 어린이들의 교육을 목적으로 수원에 자혜학교(慈惠學校)를 설립하였다. 1973년, 숙원 사업이었던 영친왕기념사업회를 발족시켰으며, 1982년에는 광명시의 명혜학교(明惠學校) 이사장으로 재직하였다. 이처럼 국가의 생활비 보조로 생계를 유지하는 어려운 생활 여건 속에서도 사회봉사에 정열을 쏟아 "한국 장애인들의 어머니"로 존경받았다.[5][6] 일본에서는 한국인들의 존경을 받은 일본인으로 알려져 있다.[4]
그녀의 친척인 나시모토 가문은 2008년 10월 서울을 방문하여 조문했다. 나시모토 가문은 이방자가 1989년에 사망한 후에도 한국 신체 장애인을 돕는 그녀의 자선 재단을 계속 지원해 왔다.[7]
2. 5. 서거
1989년 4월 30일, 서울 창덕궁 낙선재에서 직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87세로 운명하였다. 일본에 있는 아들 구(玖)와 함께 지내기도 하였다.[49] 장례는 1989년 5월 8일 각계 인사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장으로 치러졌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영원에 의민태자와 합장되었다.3. 칭호 논란
황태자비를 부르는 명칭은 영친왕비, 영왕비, 이방자 여사 등이다. 그러나 이은의 영왕 칭호는 결혼 전에 폐지되었기 때문에 황태자비 또한 태자비(또는 이왕세자비)로서 혼인한 것이며, 친왕(왕자)과 황태자(왕세자)는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영친왕비가 아닌 '''의민황태자비'''로 부르는 것이 옳다.[50] '이방자'라는 이름은 일본식 이름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50] 方子)'에서 유래한 것으로, 신부의 성(姓)인 나시모토(梨本)를 떼고 신랑의 성(姓)인 이(李)를 붙여 만든 것이다.
4. 가족 관계
구분 | 내용 |
---|---|
아버지 | 나시모토 모리마사 |
어머니 | 나시모토 이쓰코 |
여동생 | 노리코 (남편은 히로하시 다다미쓰) |
양남동생 | 노리히코[51] (친부는 다카 왕) |
양조카 | 다카오 (옛 성씨는 간바야시) |
시아버지 | 고종 |
시어머니 | 순헌황귀비 |
남편 | 영친왕 이은 |
장남 | 이진 (1921년 ~ 1922년) |
차남 | 이구 (1931년 ~ 2005년) |
조부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외조부 | 나베시마 나오히로 |
외삼촌 | 나오미쓰 |
외사촌동생 | 나오야스 |
외삼촌 | 나오타다[52] |
외사촌동생 | 나오쓰구 |
이모부 | 마쓰다이라 쓰네오 |
이모 | 노부코 |
이종사촌여동생 | 세쓰코 |
이모부 | 마쓰다이라 유타카 |
이모 | 도시코 |
이종사촌여동생 | 요시코 |
5. 저서
- 《지나온 세월》
- 《The World is One》
- 《세월이여 왕조여》
6. 수상
수여 국가 | 훈장 | 연도 |
---|---|---|
대한민국 | 국민훈장 모란장 | 1981년 |
대한민국 | 국민훈장 무궁화장 | 추서 |
일본 제국 | 보관장 훈이등 | 1919년 |
일본 제국 | 서봉장 | 1922년 |
일본 제국 | 보관장 훈일등 | 1926년 |
일본 제국 | 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 | 1940년 |
7. 대중문화
이방자의 삶은 영화, 드라마, 오페라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뤄졌다. 다음은 이방자가 등장하는 작품 목록이다.
- 1989년 KBS 드라마 《왕조의 세월》 (이휘향 연기)
- 2006년 후지 TV 드라마 《무지개를 이은 왕비》 (칸노 미호 연기)
- 2015년 NHK BS1 스페셜 《"한국어머니"가 된 일본인 ~조선왕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 2015년 창작 오페라 《더 라스트 퀸 조선왕조 마지막 황태자비》 (다쓰키 센 주연)
- 2016년 영화 《덕혜옹주》 (토다 에리카 연기)
- 2016년 영화 《라스트 프린세스》 (도다 나호 연기)
7. 1. 영화
2016년 영화 《덕혜옹주》에서 토다 에리카가 이방자 역을 연기했다.[1]7. 2. 드라마
이방자를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와 영화는 다음과 같다.참조
[1]
뉴스
김희애 조선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역 캐스팅
http://media.daum.ne[...]
Daum
2006-10-30
[2]
웹사이트
왕공족보(王公族譜)
http://jsg.aks.ac.kr[...]
[3]
웹사이트
신위봉안도(神位奉安圖)
http://www.jongmyo.n[...]
2021-01-08
[4]
웹사이트
Naver dictionary
http://100.naver.com[...]
2024-11-00 #Dead link date, approximate
[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rincipal of Jahye school in South Korea (우리 모두는 남이 아닌 한 이웃)
http://www.urisuwon.[...]
[6]
뉴스
이방자 여사는 장애인을 이끌어준 등불
http://news.naver.co[...]
Yonhap News
[7]
뉴스
영친왕비 이방자 여사 종친 방한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8-10-02
[8]
뉴스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마리아의 삶과 신앙
https://news.cpbc.co[...]
CPBC 평화방송
2019-08-14
[9]
간행물
明治34年宮内省告示第13号
https://dl.ndl.go.jp[...]
官報
1901-11-11
[10]
서적
신성 2015
[11]
서적
신성 2015
[12]
서적
신성 2015
[13]
서적
신성 2015
[14]
간행물
『官報』第1903号「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18-12-06
[15]
뉴스
[人]李方子=3 父王は“毒殺”愛児も同じ運命に 雷鳴の夕に絶命
読売新聞
1984-06-30
[16]
서적
신성 2015
[17]
간행물
大正9年宮内省布告第11号
https://dl.ndl.go.jp[...]
官報
1920-04-29
[18]
간행물
『官報』第2320号「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0-04-29
[19]
서적
신성 2015
[20]
뉴스
御遊学中の徳恵姫のため朝鮮料理をお学び やさしき方子妃殿下のお心尽し
読売新聞
1925-05-30
[21]
서적
신성 2015
[22]
서적
신성 2015
[23]
서적
신성 2015
[24]
서적
신성 2015
[25]
서적
신성 2015
[26]
간행물
昭和6年宮内省告示第32号
https://dl.ndl.go.jp[...]
官報
1931-01-04
[27]
서적
신성 2015
[28]
서적
신성 2015
[29]
서적
신성 2015
[30]
서적
신성 2015
[31]
서적
신성 2015
[32]
서적
신성 2015
[33]
뉴스
[人]李方子=5 市井の“妃” 一生いばらの道
読売新聞
1984-07-03
[34]
뉴스
[世界の中の日本人]韓国で福祉活動する李王朝“最後の王妃”李方子さん
読売新聞
1982-07-17
[35]
뉴스
조선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별세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89-04-30
[36]
뉴스
조선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비운의 일생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89-04-30
[37]
뉴스
이방자(조선 마지막 황태자비)발언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89-04-30
[38]
뉴스
【から(韓)くに便り】ソウル支局長・黒田勝弘 故・李方子さんのこと
산케이 신문
2009-04-27
[39]
웹사이트
平成の天皇と皇后 韓国との「ゆかり」に託した思い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8-24
[40]
뉴스
조선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영결식
KBS 9시 뉴스
1989-05-08
[41]
뉴스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오늘 영결식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89-05-08
[42]
간행물
官報 第1926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官報
1919-01-07
[43]
간행물
官報 第4300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官報
1926-12-22
[44]
간행물
官報 第4438号・付録「辞令二」
https://dl.ndl.go.jp[...]
官報
1941-10-23
[45]
간행물
官報 第255号「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1-02
[46]
기타
공식 시호가 아닌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에서 추서한 사시(私諡)이다.
[47]
뉴스
장애인 복지시설의 요람 40돌
http://www.pbc.co.kr[...]
평화신문
2015-09-13
[48]
웹사이트
의민황태자비(懿愍皇太子垠[英親王妃], 1901~1989)
http://www.imperialh[...]
[49]
뉴스
'백전노장' 정하연 작가 "재밌는 드라마 있지만 좋은 드라마는…"(인터뷰)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15-10-25
[50]
기타
미야(宮)는 경칭(敬稱)
[51]
기타
원래는 모리마사 왕의 조카이자 의민태자비의 사촌으로, 삼촌 모리마사 왕의 양자가 되었다.
[52]
기타
가시마 번 마지막 번주 나베시마 나오요시의 양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