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야월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야월층은 경상 누층군에 속하는 지층으로, 영천시, 대구광역시, 포항시 등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한다. 영천시에서는 셰일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며 윤조 화석이 발견되었고, 대구광역시에서는 셰일, 사암, 이암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포항시에서는 유천 비스무트 광상이 반야월층 내에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셰일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셰일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중생대 아시아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중생대 아시아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백악기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백악기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반야월층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반야월층
시대중생대
시기백악기
유형퇴적암
주암질셰일, 실트스톤
나머지 암질사암
이름 유래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 지역
상위 단위경상 누층군
하층함안층
상층자인층
두께1,500 m 이상 (영천시)
1,100 m (대구광역시)
지역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모동, 만촌동, 황금동, 지산동, 범물동, 두산동, 파동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대명동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상인동, 도원동, 대곡동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북면 북동부, 화남면, 임고면, 매산동, 도림동
그림 정보
반야월층의 정단층
반야월층의 정단층

2. 지역별 지질과 산출 화석

2. 1. 경상북도 영천시

신령 지질도폭(1981)에 의하면 함안층과 정합적인 관계를 가지며 주로 녹회색 내지 암회색 셰일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며 얇은층의 담수성 석회질암을 협재한다.[2] 하위의 함안층과의 경계에서는 적색층과 호층대를 이루고 있어 본 지층의 하부에는 적색 셰일 및 실트스톤이 협재된다.[2] 도폭 내에서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공덕리, 오산리, 화남면 죽곡리, 사천리, 대천리, 선천리, 화산면 중·남부, 임고면 대부분 지역에 분포한다.[2] 이중 화북면 횡계리와 정각리, 청통면 서부 산악 지역에서 화강암의 관입에 의한 열변성 작용에 의해 혼펠스화 되었으며 그 접촉대의 너비는 약 5 km 에 달하는 곳도 있다.[2] 변성도가 높은 화북면 북동부의 본 지층은 암회색 내지 암흑색의 치밀한 바탕 속에 변정(他变晶)의 장석이 생겨 안산암과 유사한 외관을 갖기도 한다.[2] 이들 혼펠스암은 풍화,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매우 험준한 고산 지대를 형성한다.[2]

[[File:null|횡계교 부근

]]

[[File:null|황계리마을 부근

]]

장기홍(1989)은 영천시에 분포하는 반야월층에서 윤조화석 ''Eucaclistochara mulndula'', ''Mesochara voluta'', ''Mesochara'' sp., ''Obtusochara cylindica'', ''Obtusochara'' sp.을 발견했다.[3] 화석의 발견 지점은 영천시 대창면 사리리 사리못 제방 동단부근, 경산시 진량면 현내리 현안마을 동쪽 500 m 지점 못 아래, 진량면 대원동마을 남쪽 200 m 지점, 진량면소재지 토산지 제방남편, 하양읍 하양천주교회 입구 도로변, 화산면 화덕초등학교 남쪽 300 m 도로변, 고경면 파계리 안못 서쪽 500 m 지점 도로변, 파계리 마을 끝에서 서쪽 300 m 지점 도로변, 안강읍 강교리 남방 평지말 도로서편 가옥 옆이다.[3]

2. 1. 1. 산출 화석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과 경산시 진량면 등지에서 윤조화석 ''Eucaclistochara mulndula'', ''Mesochara voluta'' 등이 발견되었다.

2. 2.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시가지 지역의 반야월층은 주로 암회색 내지 흑색의 셰일사암, 이암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녹회색 셰일 및 사암이 협재되어 나온다.[4] 경산 지질도폭(1971)에 의하면 도폭 서북부 대구광역시 달성군 명곡리와 본리리에서 앞산 북쪽 앞산순환로 주변, 수성구 파동 북부와 두산동, 지산동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주로 담녹색(淡綠色; 엷은 녹색) 셰일과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층 전반에 걸쳐 암상이 균질하다. 앞산 북측 산사면에서는 화강반암과 안산암질 각력암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본 층의 상부에서는 담녹색에서 점차로 암회색을 띄어 암흑색 셰일로 구성되는 자인층으로 점이한다. 반야월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75°및 남동 20°이다.[5]

청호로 절개사면에 드러난 반야월층 노두. 황금동과 범물동을 잇는 청호로 고갯길에 약 200 m 에 걸쳐 노출된 지층의 일부로 남남동쪽으로 약간 기울어 있다. 수성구 황금동 산 93-3


수성못 부근, 두산오거리 남쪽에 드러난 반야월층 노두. 수성구 두산동 614-1

  •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및 남구 대명동 일대에서 1994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공사로 지표 아래 18 m 가 굴착되어 반야월층을 비롯한 암반이 드러났다. 이 지역에서의 주요 구성 암석은 담회색 내지 녹회색 안산암질 화산암류, 담회색 석회질 셰일, 담회색 중립질 사암 및 녹흑색 혼펠스이고 간혹 규장암맥이 수 m 폭으로 관입하고 있다. 안산암질 화산암류는 대부분 세립질 응회암으로서 괴상(塊狀)으로 산출되나 부분적으로 불규칙한 전단 절리들이 발달되어 있다. 응회암과 더불어 국부적으로 집괴암(集塊巖)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파쇄된 상태로 산출된다. 평균 화산력의 크기는 보통 장경 20~30 cm 정도이고 큰 것은 최대 장경 100 cm이다. 화산력의 종류는 현무암, 안산암 등 염기성 화산암류가 대부분이고 간혹 규장암 과 산성 반심성암류도 나타난다. 석회질 셰일은 부분적으로 괴상(塊狀)으로 나타나는 곳도 있으나 층리 간의 최대 간격이 10 cm 이내로서 세(細)층리의 발달이 양호하다. 지층의 대체적인 층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50°에 남동 20°이나 국부적으로 경사 방향이 북서로 변화하는 곳이 많은데 이는 근처의 유천층군 화산암류(앞산 화산암류)에 의해 교란된 것으로 보인다. 담회색 중립질 사암은 대부분 괴상으로 산출되나 셰일과 교호하는 곳에서는 층리의 발달이 양호하다. 이들 사암은 대체로 3 m 이하 두께로 석회질 셰일 내에 협재되고, 사암이나 안삼암질 화산암류와 접하는 곳에서 규장암맥이 부분적으로 관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6]
  • 반야월층에는 지하수를 함유한 대수층(帶水層)이 발달한다. 반야월층의 대수층은 석회질 성분이 많은 불연속적인 렌즈 모양으로 분포한 이회암층이다. 이회암층의 두께는 10~30 cm 로서 보통 거의 같은 두께의 이암 또는 셰일의 얇은 층과 교호하여 호층대를 이루며 이 호층대가 대수층이다. 이 대수층은 렌즈 모양이며 집단적으로 분포하고 대수층의 암석층은 지하수에 의해 용해되어 공극을 형성하여 지하 수로를 형성한다.[7]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담티고개 마루 부근 대륜고등학교 근처 야산의 반야월층 흑색 셰일 중에서 ''Estherids'' 화석이 발견되었다.[1]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범안로 2, 범물터널 동북동쪽 400 m 지점에 위치한 회치로의 남측 절개사면에는 아래와 같이 반야월층의 흑색 셰일이 90 m에 걸쳐 드러나 있으며 이곳에서는 교과서적인 층리와 정단층이 관찰된다.

층리가 명확하게 드러난 교과서적인 지층이다.


왼쪽 사진의 아래쪽 끝을 확대한 사진이다. 가운데 흰색 부분이 끊어진 양상으로 보아 정단층으로 보인다.


== 산출 화석 ==

대구광역시 도심부를 흐르는 하천 신천의 하상(河床)에서 1994년 9월 지역 주민에 의해 공룡 발자국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동신교를 기준으로 수성교 방향으로 약 300 m 지점에 드러난 북동 60°방향의 반야월층에서 공룡 발자국은 이암이 분포하는 약 10 m 두께의 반야월층 내에 1개의 층준에서 산출된다. 이곳의 발자국 화석은 오랫동안 하천의 침식 작용과 하각(下刻) 작용으로 인해 발자국의 발가락 부분은 보존 상태가 대체적으로 불량하다. 공룡 발자국은 하부로부터 약 250 m 층준에서 산출된다. 공룡 발자국과 건열의 퇴적구조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수심이 얕은 호성(湖成)의 퇴적 환경으로 추정된다. 이 화석 산지는 평상시에는 물에 잠겨 볼 수 없다.[8][9]

'''고산골공룡공원'''은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용두2길 43에 위치하며, 이곳에는 암회색의 반야월층 암석 중에 공룡 발자국의 화석과 연흔(Ripple mark)과 건열(mud crack) 구조가 드러나 있다.

욱수천 공룡발자국화석산지의 반야월층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동 욱수천의 하상에 공룡 발자국 화석이 드러나 있다. 이 화석은 2001년 대구성명여자중학교 교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암회색 셰일층이 넓게 드러난 하천 가운데에 약 1 m 두께의 안산암질 암맥이 관입하고 있으며 용각류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상부의 2개 층준에서 산출된다.[1]

2. 2. 1. 산출 화석

대구광역시 도심부를 흐르는 하천 신천의 하상(河床)에서 1994년 9월 지역 주민에 의해 공룡 발자국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동신교를 기준으로 수성교 방향으로 약 300 m 지점에 드러난 북동 60°방향의 반야월층에서 공룡 발자국은 이암이 분포하는 약 10 m 두께의 반야월층 내에 1개의 층준에서 산출된다. 이곳의 발자국 화석은 오랫동안 하천의 침식 작용과 하각(下刻) 작용으로 인해 발자국의 발가락 부분은 보존 상태가 대체적으로 불량하다. 공룡 발자국은 하부로부터 약 250 m 층준에서 산출된다. 공룡 발자국과 건열의 퇴적구조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수심이 얕은 호성(湖成)의 퇴적 환경으로 추정된다. 이 화석 산지는 평상시에는 물에 잠겨 볼 수 없다.[8][9]

'''고산골공룡공원'''은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용두2길 43에 위치하며, 이곳에는 암회색의 반야월층 암석 중에 공룡 발자국의 화석과 연흔(Ripple mark)과 건열(mud crack) 구조가 드러나 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동 욱수천의 하상에 공룡 발자국 화석이 드러나 있다. 이 화석은 2001년 대구성명여자중학교 교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암회색 셰일층이 넓게 드러난 하천 가운데에 약 1 m 두께의 안산암질 암맥이 관입하고 있으며 용각류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상부의 2개 층준에서 산출된다.[1]

2. 3. 경상북도 포항시

'''유천 비스무트광상'''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유계리의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 내에 발달한 북동 방향의 열극을 충진한 비스무트 열수 광상이다. 광산 일대에는 경상 누층군 동화치층, 가송동층, 청량산층, 오십동층, 도계동층, 기사동층, 신양동층, 반야월층, 유천화산암층군, 석영반암 등이 분포하며 이 지역의 반야월층은 주로 역질사암 내지 사암, 셰일로 구성되고 석영반암의 관입을 받아 혼펠스화되었으며 지층의 주향은 북동/북서 3~10°, 경사는 남서/남동 10~30°이다. 광산 부근에는 단층과[ 절리가 발달하는데 이는 양산 단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유천광상은 반야월층에 발달된 북동 30°방향의 구조대를 따라 형성된 견운모광체와 함창연광맥광체로 구성된다. 광산의 광물은 황철석, 자류철석, 적철석, 철망간중석, 자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휘창연석, 자연, 비스무트 산화광물, 휘동석 등이 산출되며 맥석광물로 석영, 형석, 금홍석 등이 있다.[10]

2. 3. 1. 유천 비스무트 광상

'''유천 비스무트광상'''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유계리의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 내에 발달한 북동 방향의 열극을 충진한 비스무트 열수 광상이다. 광산 일대에는 경상 누층군 동화치층, 가송동층, 청량산층, 오십동층, 도계동층, 기사동층, 신양동층, 반야월층, 유천화산암층군, 석영반암 등이 분포하며 이 지역의 반야월층은 주로 역질사암 내지 사암, 셰일로 구성되고 석영반암의 관입을 받아 혼펠스화되었으며 지층의 주향은 북동/북서 3~10°, 경사는 남서/남동 10~30°이다. 광산 부근에는 단층과[ 절리가 발달하는데 이는 양산 단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유천광상은 반야월층에 발달된 북동 30°방향의 구조대를 따라 형성된 견운모광체와 함창연광맥광체로 구성된다. 광산의 광물은 황철석, 자류철석, 적철석, 철망간중석, 자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휘창연석, 자연, 비스무트 산화광물, 휘동석 등이 산출되며 맥석광물로 석영, 형석, 금홍석 등이 있다.[10]

3. 지질 시대 및 퇴적 환경

4. 보존 및 활용 방안

참조

[1] 저널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 측정을 이용한 백악기 의성소분지 사암의 퇴적시기와 기원지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sandstones in the Cretaceous Euiseong subbasin inferred by detrital zircon U-Pb age dating) https://www.dbpia.co[...] 2019-10-01
[2] 웹인용 신령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01-01
[3] 웹인용 대구-진주 지역 백악계 생층서학적 비교 연구 https://scienceon.ki[...] 경북대학교 1989-05-01
[4] 웹인용 대구지역 적색 및 흑색 셰일의 공학적 특성 https://dcollection.[...] 경북대학교 2012-12-01
[5] 웹인용 경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01-01
[6] 저널 경사계를 이용한 대구 서부지역 반야월층 굴착 지반의 변위 분석 (Displacement Analysis of an Excavation Wall using Inclinometer Instrumentation Data, Banyawol Formation, Western Daegu) https://www.dbpia.co[...] 2013-01-01
[7] 저널 반야월층(半夜月層)의 지하수운동(地下水運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on the Movment of Ground Water of Banayweol Formation) https://www.dbpia.co[...] 1976-01-01
[8] 웹인용 대구광역시 신천하상의 백악기 반야월층에서 산출되는 공룡발자국 http://www.riss.kr/s[...] 경북대학교 2004-01-01
[9] 서적 화석과 만나는 자연사 여행 경북대학교 2003-01-01
[10] 저널 류천(柳川) 창연광상(蒼鉛鑛床) 광석광물(鑛石鑛物),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 및 안정동위원소(安定同位元素) (Ore Minerals, Fluid Inclusions and Stable Isotopes of the Yucheon Bismuth Deposits, Korea) http://www.koreascie[...] 199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