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광은 다양한 에너지원에 의해 물질이 빛을 내는 현상으로, 이온 충격, 전류 통과, 화학 반응, 기계적 작용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광발광, 전기발광, 음극선발광, 열발광, 화학발광, 생물발광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발광 현상은 형광등, LED, 브라운관, 열발광 선량계, 케미컬 라이트, 반딧불이 등 다양한 기술과 현상에 활용된다. 발광은 조명, 디스플레이, 의료 영상, 광물 감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1888년 '루미네선스'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광 - 황화 아연
    황화 아연(ZnS)은 아연과 황의 화합물로, 섬아연석과 섬아연광의 두 가지 결정 형태로 존재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섬광체, 안료 등으로 활용되고 도핑에 따라 반도체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초기 원자물리학 연구에도 기여했다.
  • 발광 - 인광
    인광은 빛을 흡수한 후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삼중항 상태를 거쳐 에너지를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하며 형광등 코팅, 시계 문자판, 안전 표지판 등에 활용되는 야광 재료의 원리이다.
  • 1880년대 신조어 - 범죄학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 발생, 결과, 예방 및 통제를 연구하는 학제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범죄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안전망 구축과 범죄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880년대 신조어 - 미국 중서부
    미국 중서부는 미국 4대 주요 지역 중 하나로, 오대호와 미시시피강 유역을 중심으로 12개 주를 포함하며, 역사적으로 농업과 제조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 정치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이다.
발광
개요
정의물질이 자발적으로 빛을 방출하는 현상
종류광발광 (Photoluminescence, PL)
전기 발광 (Electroluminescence, EL)
음극선 발광 (Cathodeluminescence, CL)
역사양자 이론 등장 이전부터 형광 및 인광 현상 연구
발광 메커니즘
자발적 방출물질 내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빛 방출
여기 상태물질이 외부 에너지(빛, 전기 등)를 흡수하여 높은 에너지 상태로 전이된 후, 낮은 에너지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빛 방출
발광의 종류
광 발광빛에 의해 유발되는 발광 현상
전기 발광전기 에너지에 의해 유발되는 발광 현상
음극선 발광음극선(전자빔)에 의해 유발되는 발광 현상
응용 분야
조명형광등, LED 조명 등
디스플레이LCD, OLED 디스플레이 등
분석 화학물질 분석, 생체 물질 검출 등
과학 연구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에 활용

2. 발광의 종류

발광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 이온발광: 고속 이온의 충격에 의해 발생한다.
  • 라디오발광: 이온화 방사선의 충격에 의해 발생한다.
  • 전기발광: 물질에 전류를 통과시켜 발생한다.
  • 음극선발광: 발광 물질이 전자에 의해 충격을 받아 발생한다.
  • 화학발광: 화학 반응의 결과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이다.
  • 생물발광: 생물체 내 생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 전기화학발광: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 용액발광: 고체(보통 강하게 조사된)를 액체 용매에 용해시킬 때 발생한다.
  • 캔들발광: 특정 물질이 고온에서 방출하는 빛으로, 해당 온도에서 예상되는 흑체 방사와는 다르다.
  • 기계발광: 고체에 기계적인 작용이 가해질 때 발생한다.
  • 마찰발광: 물질이 긁히거나, 부서지거나, 문질러질 때 물질 내 결합이 끊어지면서 발생한다.
  • 파쇄발광: 특정 결정체의 결합이 파쇄에 의해 끊어지면서 발생한다.
  • 압전발광: 특정 고체에 압력이 작용하여 발생한다.[4]
  • 음향발광: 소리에 의해 여기될 때 액체 내 기포가 내파될 때 발생한다.
  • 결정발광: 결정화 과정에서 발생한다.
  • 열발광: 물질이 가열될 때 흡수된 에너지가 재방출되는 현상이다.[5]
  • 냉발광: 물체가 냉각될 때 빛이 방출되는 현상이다.[6] (불석이 한 예임)
  • 광발광: 광자의 흡수에 의해 발생한다.
  • 형광: 여기원이 제거된 직후에 빛의 방출이 끝나는 현상. 양자역학적으로는 여기 상태에서 빛 방출까지 스핀 다중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2]
  • 인광: 여기가 끝난 후에도 빛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현상. 양자역학적으로는 여기 상태에서 빛 방출까지 스핀 다중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2]


발광의 분류와 관련 기술
발광여기 에너지원현상명관련 기술 및 현상 예시
포토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광자형광형광등,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백라이트(냉음극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네온 컬러
인광EL 인광 재료
 축광형광 페인트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전기장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무기 EL
캐소드루미네선스(Cathodoluminescence)전자빔 브라운관
방전 발광전기 수은등, 네온관
열발광 열발광 선량계
소놀루미네선스음파 딱총새우의 위협
트라이볼루미네선스마찰 설탕의 파쇄, 셀로판 테이프의 박리
케밀루미네선스화학 반응 케미컬 라이트
바이올루미네선스생물의 효소 반응 반딧불이, 야광 해파리 등, 발광 해양 생물의 발광


2. 1. 광발광 (Photoluminescence)

광발광은 광자의 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발광 현상이다.

광발광은 여기(excitation) 상태에서 빛 방출까지 스핀 다중도의 변화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뉜다.[2]

  • 형광: 여기원이 제거된 직후에 빛의 방출이 끝나는 현상. 양자역학적으로는 여기 상태에서 빛 방출까지 스핀 다중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2]
  • 인광: 여기가 끝난 후에도 빛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현상. 양자역학적으로는 여기 상태에서 빛 방출까지 스핀 다중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2]


발광의 분류와 관련 기술
발광여기 에너지원현상명관련 기술 및 현상 예시비고 및 출처
포토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PL)광자형광형광등,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백라이트(냉음극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인광EL 인광 재료
 축광형광 페인트



형광등,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백라이트(냉음극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등은 모두 포토루미네선스(광발광)에 의한 것이다.

휘저성 형광체를 사용한 X선 영상 장치가 후지필름(Fujifilm)에서 개발되어 FCR(후지 컴퓨터 방사선 사진)으로 판매되고 있다.

2. 2. 전기발광 (Electroluminescence)

(Electroluminescence:EL)전기장


2. 3. 음극선발광 (Cathodoluminescence)

(Cathodoluminescence:CL)전자빔colspan="2" |브라운관


2. 4. 열발광 (Thermoluminescence)

물질이 가열될 때 흡수된 에너지가 재방출되는 현상이다.[5]

발광여기 에너지원현상명관련 기술 및 현상 예시비고 및 출처
열발광열발광 선량계


2. 5.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

화학 반응의 결과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이다.[4] 케미컬 라이트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2. 6. 생물발광 (Bioluminescence)

생물체 내 생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빛이다. 반딧불이, 야광 해파리 등 발광 해양 생물의 발광이 그 예시이다.[4]

2. 7. 기타 발광 현상



발광의 분류와 관련 기술
발광여기 에너지원현상명관련 기술 및 현상 예시
포토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PL)광자형광형광등,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백라이트(냉음극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네온 컬러
인광EL 인광 재료
축광형광 페인트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EL)전기장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무기 EL
캐소드루미네선스(Cathodoluminescence:CL)전자빔브라운관
방전 발광전기수은등, 네온관
열발광열발광 선량계
소놀루미네선스음파딱총새우의 위협
트라이볼루미네선스마찰설탕의 파쇄, 셀로판 테이프의 박리
케밀루미네선스화학 반응케미컬 라이트
바이올루미네선스생물의 효소 반응반딧불이, 야광 해파리 등, 발광 해양 생물의 발광


3. 발광의 활용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발광을 통해 빛을 방출한다.[7] 형광체는 고에너지 전자기파 또는 입자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빛을 방출하는 물질이다. 발광은 레이저 및 전구 산업에 활용된다.

형광 온도 측정법, 인광을 이용한 온도 측정, 열발광 연대 측정법, 열발광 선량계 등에도 활용된다. 비파괴 관찰을 통해 세포 내부 과정 관찰에도 쓰인다.[8]

일부 광물대기압 및 대기 온도에서 저출력 자외선 또는 적외선 전자기파(예: 휴대용 자외선 램프)에 노출되었을 때 발광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광물의 특성은 현장 또는 실험실에서 암석 암석 노두의 광물 확인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형광등,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백라이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브라운관 등은 모두 루미네선스(발광)에 의한 것이다. 레이저를 제외한 주변의 조명 및 표시 장치 중 루미네선스가 아닌 것은 백열전구, 가스등, 태양광 등 19세기부터 알려진 것들뿐이라고 할 수 있다.

휘저성 형광체를 사용한 X선 영상 장치가 후지필름(Fujifilm)에서 개발되어 FCR(후지 컴퓨터 방사선 사진)으로 판매되고 있다. 기존의 은염사진에 의한 영상 촬영보다 다이내믹 레인지가 크고 고감도이기 때문에 적은 선량으로 촬영할 수 있다. 원리는 일단 형광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그 후 파장이 긴 빛을 조사하면 피폭 선량에 비례한 형광을 발하는 것이다.

4. 역사

루미네선스(luminescence)라는 용어는 1888년에 처음 사용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IUPAC - luminescence (L03641) https://goldbook.iup[...] The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23-12-03
[2] 논문 A Brief History of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before the Emergence of Quantum Theory https://pubs.acs.org[...] 2011-06-01
[3] 서적 Radioactive Releases in the Environment: Impact and Assessment Wiley
[4] 논문 Piezoluminescence phenomenon 1982-06-21
[5] 웹사이트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luminescence of ZrO2:Eu3+ Nanocrystals http://shodhganga.in[...] 2014-12-18
[6] 서적 Advances in Astronomy and Astrophysics (Volume 6) Academic Press
[7] 서적 Carbon Nanotubes: Advanced Topics in the Synthesis, Structur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12-18
[8] 뉴스 Light-emitting particles illuminate understanding of cellular malfunctions - News & Media @ UOW https://web.archive.[...] 2018-06-11
[9] 논문 Über Fluorescenz und Phosphorescenz, I. Abhandlung (On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first paper)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