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코니 (희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코니》는 장 주네가 쓴 희곡으로, 고급 사창가를 배경으로 권력, 혁명, 환상과 현실의 뒤섞임을 탐구한다. 이야기는 사창가 마담 이르마가 주교, 판사, 장군 등의 역할을 맡는 손님들을 캐스팅하고 연출하는 가운데, 도시 밖에서 혁명이 진행되는 상황을 그린다. 1956년, 1960년, 1962년에 걸쳐 여러 버전으로 출판되었으며, 1957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프랑스, 미국 등지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권력과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으며, 루시앙 골드만, 캐롤 로젠 등 다양한 평론가들의 해석을 통해 인간의 욕망, 정치, 연극적 틀 자체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1963년 영화로 제작되었고, 오페라로도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희곡 - 찻집 (희곡)
    찻집은 라오 서가 중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격변기를 찻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묘사하며 사회의 부조리와 시대상을 반영하는 희곡으로, 중국 현대 희곡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장 주네의 희곡 - 하녀들 (희곡)
    《하녀들》은 1933년 파팽 자매 사건을 바탕으로 장 주네가 쓴 희곡으로, 하녀 자매가 주인 여자를 동경하고 증오하며 역할극을 통해 권력 관계를 드러내고 살해 계획을 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장 주네의 희곡 - 엄중한 감시
    엄중한 감시는 장 주네의 희곡으로, 감옥에 수감된 세 죄수의 갈등과 권력 관계를 통해 소외된 세계를 비추는 실존주의적 작품이다.
  • 오프브로드웨이 - 밤으로의 긴 여로 (희곡)
    유진 오닐의 4막 사실주의 희곡 《밤으로의 긴 여로》는 코네티컷 별장에서 타이론 가족 구성원들이 소통 부재, 과거의 상처, 중독, 고독 속에 살아가는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 오프브로드웨이 - 헤다 가블레르
    헨리크 입센의 희곡 《헤다 가블레르》의 주인공인 헤다 가블레르는 권태와 욕망 속에서 고뇌하며 파멸에 이르는 인물로, 결혼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옛 연인의 등장으로 갈등하며 사회적 억압, 여성의 욕망, 자유와 파멸의 선택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발코니 (희곡)
기본 정보
장 주네의 희곡
장 주네의 희곡 "발코니" 초판본 표지
원제Le Balcon
장르부조리극
언어프랑스어
초연1957년 4월 22일 (런던, 비공식)
초연 장소런던 예술 극장
공식 초연1960년 5월 31일
공식 초연 장소파리, 테아트르 뒤 주
등장인물
이레느환락의 집의 여주인
로제반군 지도자
한국어 공연
제목발코니
극단극단 여행자
연출양정웅
초연2007년
장소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2. 작품 구성 및 줄거리

발코니》는 고급 사창가 '발코니'와 그 바깥에서 벌어지는 혁명을 배경으로 하는 장 주네의 희곡이다. 사창가 안에서는 손님들이 주교, 판사, 장군 등 권력자의 역할을 연기하며 환상에 빠져든다. 바깥세상에서는 혁명이 진행 중이며, 사창가 사람들은 경찰청장의 도착을 기다린다.[8] 혁명 와중에 여왕의 사절은 기존 권력자들이 모두 사망했음을 알리고, 사창가의 마담 이르마와 손님들은 권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현실에서 권력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9]

작품에서 사창가는 돈과 육체가 맞교환되고 속임수와 환상이 지배하는 장소로 묘사되며, 이는 서구사회를 비유한 것이다.

2. 1. 등장인물


  • 이르마 (여왕)
  • 카르멘
  • 경찰청장
  • 궁정 사절
  • 고문 기술자 (아서)
  • 주교
  • 판사
  • 장군
  • 주교의 소녀 (로진)
  • 도둑 (마를리즈)
  • 장군의 소녀 (엘리안)
  • 거지/노예
  • 거지 소녀
  • 피 (첫 번째 사진가)
  • 눈물 (두 번째 사진가)
  • 정액 (세 번째 사진가)
  • 샹탈
  • 조르제트
  • 로제
  • 아르망
  • 루크
  • 마크
  • 부상병

3. 작품의 판본과 수정

발코니》는 1956년, 1960년, 1962년에 각각 다른 버전으로 출판되었다.[10] 첫 번째 버전은 15개의 장면으로 구성된 2막으로, 이르마가 피, 눈물, 정자를 의인화한 세 명의 상처 입은 젊은이에 대한 꿈을 꾸는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다.[11] 두 번째 버전은 가장 길고 정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11] 세 번째 버전은 더 짧고, 카페 혁명가들과의 장면에서 정치적 내용을 줄였다.[11]

장 주네는 1956년 작품을 발표한 이후 10년에 걸쳐 개작과 수정을 거듭했다. 1962년 수정본을 출간하면서 "결정본"이라고 명시했지만, 1968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전집을 출간하면서 다시 한번 《발코니》를 수정했다. 주네는 거의 강박에 가까울 정도로 작품을 수정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마르크 바르베자의 회사인 L'Arbalète는 1956년 6월 《발코니》의 첫 번째 버전을 출판했다. 화가 알베르토 자코메티는 희곡을 바탕으로 여러 석판화를 제작하여 표지에 실었다.[18] 주네는 이 버전을 당시 그의 연인이었던 젊은 배우 피에르 졸리에게 헌정했다.[19] 주네는 1959년 10월 말과 1960년 5월에 희곡을 다시 쓰기 시작했고, 후자는 피터 브룩의 연출로 최근 공연된 것에 의해 촉발되었다.[20] 그는 1961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세 번째 버전을 작업했으며, 이 기간 동안 그는 또한 프리드리히 니체의 《비극의 탄생》(1872)을 읽었다.[21]

4. 초연과 논란

Le Balcon프랑스어 (발코니)의 초연은 1957년 영국에서 피터 자덱의 연출로 이루어졌다.[22] 이 공연은 영국 궁내부 장관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립 극장 클럽" 형태였던 Arts Theatre Club에서 진행되었으나, 검열관은 예수, 성모, 무염시태, 성 테레사에 대한 언급과 혁명 실패자 로제르의 거세 묘사를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23] 주네는 초연 당일 피터 자덱이 자신의 희곡을 "살해하려 했다"고 비난하며 공연을 방해하려 했으나, 경찰에 의해 저지당했다.[25] 그는 폴리 베르제르 스타일의 연출에 반대했다.[11]

프랑스 검열 당국의 반대로 프랑스 초연은 1960년 피터 브룩의 연출로 김나제 극장에서 이루어졌다.[29] 피터 브룩은 앙투안 극장에서 먼저 공연을 기획했으나, 파리 경찰의 협박으로 무산된 경험이 있었다.[28] 피터 브룩의 프로덕션은 회전 무대를 사용하고, 혁명가들이 나오는 카페 장면을 삭제했으며, 배우들이 거친 단어를 말하기를 거부하여 일부 대사가 생략되었다.[11] 주네는 이러한 연출 방식에 반대했다.[30] 루시앙 골드만은 피터 브룩자연주의적 연출이 연극의 상징성을 훼손하고, 세트 변화의 축소가 극의 구조를 왜곡한다고 비판했다.[32]

초연 이후 Le Balcon프랑스어는 전 유럽에서 공연되며 문제작으로 떠올랐다. 주요 공연은 다음과 같다.


  • 1959년 베를린 Schlosspark-Theater (연출: 한스 리에차우): 컬러 TV 세트 활용.[11]
  • 1961년 비엔나 폴크스 극장 (연출: 레온 엡)[33]
  • 1962년 슈테티셰 뷔넨 프랑크푸르트 (연출: 에르빈 피스카토르)[34]
  • 1967년 로테르담 (연출: 로제 블린)[35]
  • 1967년 옥스퍼드 플레이하우스 (연출: 미노스 볼라나키스): 멜린엑스를 사용한 무대 디자인.[36][37]
  • 1969년 상파울루 (연출: 빅토르 가르시아): 관객을 현기증 나는 발코니에서 내려다보게 하는 파격적인 연출. 제네에게 극찬받음.[39]
  • 1969년 마르세유, 1975년 파리 (연출: 앙투안 부르셀리에)[41]
  • 1971년, 1987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44][45]
  • 1976년 밀라노 피콜로 극장 (연출: 조르조 스트렐러)[33]
  • 1979년 뉴욕 (연출: 리처드 셰크너)[33]
  • 1981년 런던 인터내셔널리스트 극장: 1981년 브릭스턴 폭동 당시 다인종 배우들로 구성된 프로덕션 선보임.[48]
  • 1982년 핀란드 방송 회사: 텔레비전 각색 제작.[51]
  • 1985년 코미디 프랑세즈: 최초로 Le Balcon프랑스어 무대화.[52]
  • 1986년 미국 레퍼토리 극장 (연출: 조앤 아칼라이티스): 중앙 아메리카 공화국을 배경으로 한 현대적인 각색.[53]


주네는 피터 자덱과 피터 브룩의 연출에 모두 불만을 표하며, 1962년 자신의 연출론을 담은 '어떻게 <발코니>를 공연해야 하나'라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5. 영향 및 평가

《발코니》는 장 주네가 절필 선언 후 5년 만에 발표한 희곡으로, 그의 작품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온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0] 이전까지 자전적 소재에 집중했던 주네는 이 작품을 기점으로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10]

《발코니》는 권력, 혁명, 환상과 현실, 인간의 욕망 등 복잡한 주제를 다루며, 다양한 해석과 비평을 낳았다.[10] 특히 루시앙 골드만은 이 작품을 기술관료제의 부상과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좌절을 다룬 사실주의 작품으로 평가했다.[62][63] 그는 제네가 등장인물들의 경험을 통해 20세기 주요 정치, 사회적 격변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63]

반면 캐롤 로젠은 《발코니》를 앙토냉 아르토의 잔혹극 전통을 잇는 작품으로 보았다.[69] 그녀는 이르마의 매춘부를 "실제 사회 현상의 무형의 그림자"이자 "진실에 기반한 무력함의 아르토적 이중성"이라고 해석했다.[70]

골드만과 로젠의 상반된 평가 외에도, J. L. 스타이언은 《발코니》에서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소외 효과를 감지하며, 이 작품을 "인간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정치적 검토"로 해석했다.[74] 그는 제네의 연극이 "날카로운 지적 우위, 충격적인 명석함"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24]

《장 즈네: 공연과 정치》의 편집자들은 제네의 연극이 "연극적 틀 자체의 가치와 지위"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고 주장하며, 포스트모던 연극의 관점에서 《발코니》를 이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75] 그들은 이 작품이 "혁명이 어떻게 대중 매체 조작을 통해 전유되는지"를 보여준다고 해석한다.[75]

6. 각색

발코니》는 패트릭 매기, 시릴 큐잭, 패멀라 브라운이 출연하고 하워드 색클러가 지휘한 오디오북으로 각색되어, 1967년 캐드몬 레코드에서 LP로 발매되었다.[60]

참조

[1] 서적 Savona 1983
[2] 서적 Savona 1983
[3] 서적 Savona 1983
[4] 서적 Genet 1962
[5] 서적 White 1993
[6] 간행물 L'Âne 1983-07
[7] 서적 Savona 1983
[8] 서적 Rosen 1992
[9] 서적 Styan 1981
[10] 서적 Savona 1983
[11] 서적 Savona 1983
[12] 서적 Wright and Hands 1991
[13] 서적 Dichy 1993
[14] 서적 White 1993
[15] 기사 Arts magazine 1957-05
[16] 서적 White 1993
[17] 서적 White 1993
[18] 서적 Dichy 1993
[19] 서적 White 1993
[20] 서적 Dichy 1993
[21] 서적 Dichy 1993
[22] 서적 Genet 1962
[23] 서적 Dichy 1993
[24] 서적 Styan 1981
[25] 서적 Dichy 1993
[26] 웹사이트 White http://www.lortel.or[...] 1993
[27] 웹사이트 White http://www.lortel.or[...] 1993
[28] 서적 Brook 1987
[29] 서적 White 1993
[30] 서적 Savona 1983
[31] 서적 Dichy 1993
[32] 서적 Goldmann 1960
[33] 서적 Savona 1983
[34] 서적 Savona 1983
[35] 서적 Savona 1983
[36] 서적 Chapman (2008, 196–197) and White (1993, 523)
[37] 서적 Ronald Bryden, quoted by Chapman (2008, 197)
[38] 서적 Savona (1983, 72), Dichy (1993, xxix), and White (1993, 621–622)
[39] 서적 White (1993, 621–622)
[40] 서적 Mostaço, 1986, pp. 49–54
[41] 서적 Savona (1983, 72) and White (1993, 594)
[42] 서적 White (1993, 594, 672)
[43] 서적 White (1993, 594)
[44] 서적 Wright and Hands (1991, viii–ix)
[45] 서적 Wright and Hands (1991, x)
[46] 웹사이트 the Internet Off-Broadway Database website http://www.lortel.or[...] 2007-09-17
[47] 서적 Savona (1983, 72–73)
[48] 뉴스 Christopher Hudson https://archive.org/[...] The Standard 1981-07-03
[49] 웹사이트 Where to go https://archive.org/[...] 1981-07
[5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BBC French Service https://archive.org/[...]
[51] Citation Parveke https://www.imdb.com[...] 2000-01-01
[52] 서적 Dichy (1993, xxxiv) and White (1993, 727)
[53] 웹사이트 The Balcony https://americanrepe[...] American Repertory Theater 2020-03-12
[54] 서적 Holmberg (1986, 43)
[55] 서적 Rich (1986)
[56] 서적 Gussow (1990)
[57] 서적 Bruckner (1999)
[58] 서적 Lavery, Finburgh, and Shevtsova (2006, 3)
[59] 웹사이트 theatre's programme http://www.canalcast[...]
[60] 웹사이트 WorldCat.org listing https://www.worldcat[...]
[61] 서적 Goldmann (1960, 125)
[62] 서적 Goldmann (1960, 125–126)
[63] 서적 Goldmann (1960, 128)
[64] 서적 Goldmann (1960, 129)
[65] 서적 Goldmann (1960, 126)
[66] 서적 Goldmann (1960, 127)
[67] 서적 Goldmann (1960, 123, 130)
[68] 서적 Goldmann (1960, 129)
[69] 서적 Goldmann (1960, 125, 130) and Rosen (1992, 516)
[70] 서적 Rosen (1992, 517)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