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데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데 전쟁은 1793년 프랑스 혁명에 반발하여 방데 지역에서 일어난 반란이다. 이 지역은 다른 프랑스 지역보다 귀족과 가톨릭교회의 영향력이 강했고, 혁명 정부의 종교 탄압, 징병, 증세에 대한 불만이 봉기의 원인이 되었다. 봉기는 초기에는 성공적이었으나, 프랑스 정부군의 대대적인 진압 작전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지역이 초토화되었다. 전쟁은 1795년에 종결되었지만, 방데 전쟁의 성격과 정부군의 행위를 두고 대량 학살 논쟁이 벌어지는 등 프랑스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 이탈리아 전역 (프랑스 혁명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 총재정부가 오스트리아를 굴복시키기 위해 1796년부터 감행한 이탈리아 전역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명성을 드높이고 제1차 대프랑스 동맹 붕괴와 프랑스의 이탈리아 지배 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프랑스의 학살 - 리옹 반란
리옹 반란은 프랑스 혁명 시기인 1793년 리옹에서 일어난 반혁명 봉기로, 혁명 정부에 반대하는 세력의 반발과 급진 자코뱅파의 처형으로 격화되어 중앙 정부의 진압과 '리옹 대학살'로 이어졌다. - 프랑스의 학살 - 사지 사건
1925년 상하이에서 발생한 사지 사건은 영국 경찰의 발포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중국 전역에 반제국주의 운동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중국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 1793년 분쟁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은 1789년부터 1799년까지 프랑스에서 앙시앵 레짐의 모순, 재정 위기, 계몽 사상, 민중의 불만 등으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로, 자유, 평등, 박애라는 혁명 정신을 유럽에 전파했다. - 1793년 분쟁 - 리옹 반란
리옹 반란은 프랑스 혁명 시기인 1793년 리옹에서 일어난 반혁명 봉기로, 혁명 정부에 반대하는 세력의 반발과 급진 자코뱅파의 처형으로 격화되어 중앙 정부의 진압과 '리옹 대학살'로 이어졌다.
방데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명칭 | 방데 전쟁 |
분쟁 위치 | 프랑스 서부: 멘에루아르주, 방데주, 루아르아틀란티크주, Deux-Sèvres (구 프랑스 지방의 앙주, 푸아투, 브르타뉴) |
날짜 | 1793년 3월 3일 — 1796년 7월 16일 |
부분 분쟁 | 프랑스 혁명 전쟁의 일부 |
결과 | 프랑스 공화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제1공화국 |
교전국 2 |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가톨릭 왕당군(방데) |
지원 세력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지휘관 | |
프랑스 공화국 | 장 바티스트 카미유 캔클로 아르망 루이 드 공토 장 앙투안 로시뇰 프랑수아 세베린 마르소 장바티스트 클레베르 프랑수아 조제프 베스터만 장 바티스트 카리에 René François Lecomte 장 레셸 루이 마리 튀레오 토마 알렉상드르 뒤마 라자르 오슈 피에르 오주로 |
방데군 |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자크 카틀리노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모리스 델베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샤를 드 본샹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루이 마리 드 레스퀴르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프랑수아 드 샤레트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장니콜라 스토플레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샤를 드 보몽 도티샹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샤를 에메 드 루아랑 [[File:Drapeau Armée Catholique et Royale de Vendée3.svg|border|20px]] 조르주 카두달 |
병력 규모 | |
프랑스 공화국 | 130,000–150,000명 |
방데군 | 80,000명 |
피해 규모 | |
프랑스 공화국 | 약 30,000명 (군인 사망) |
방데군 | 수만 명 사망 |
민간인 피해 | 방데 지역 주민: 군인 및 민간인 약 170,000명 사망 총 사망자 수: 약 200,000명 |
관련 전투 | |
주요 전투 | 1st Machecoul Jallais 1st Cholet Pont-Charrault 1st Pornic 1st Sables-d'Olonne 2nd Pornic 2nd Sables-d'Olonne 1st Coron Chemillé Aubiers Challans Saint-Gervais Vezins 1st Port-Saint-Pierre 2nd Machecoul 1st Beaupréau 1st Beaulieu-sous-la-Roche 1st Legé Thouars 1st Saint-Colombin 2nd Port-Saint-Père 1st La Châtaigneraie Palluau Fontenay-le-Comte 3rd Machecoul Doué Montreuil-Bellay Saumur 1st Luçon Nantes Parthenay 1st Moulin-aux-Chèvres 1st Châtillon Martigné-Briand Vihiers Ponts-de-Cé 2nd Luçon Château d'Aux 3rd Luçon La Roche-sur-Yon Vertou Chantonnay Vrines 1st Montaigu Tiffauges Coron Pont-Barré 2nd Montaigu Saint-Fulgent Pallet 1st Noirmoutier Treize-Septiers 2nd Moulin-aux-Chèvres 2nd Châtillon 2nd Noirmoutier La Tremblaye 2nd Cholet Virée de Galerne Laval Croix-Bataille Entrames Ernée Fougères Granville Pontorson Avranches Dol Angers La Flèche Pontlieue Le Mans Savenay 2nd Noirmoutier |
2. 역사적 배경
방데는 프랑스 다른 지역보다 지역 귀족들의 권력이 더 오랫동안 지속된 농촌 지역이었다.[6] 알렉시 드 토크빌은 1789년까지 대부분의 프랑스 귀족들이 도시에 살았다고 언급했다. 감찰관의 조사에 따르면 귀족들이 여전히 농민들과 함께 살았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가 방데였다.[7] 고립된 이 봉건적 거점에서 파리 등 프랑스 다른 지역에서 혁명을 주도했던 계급 갈등은 귀족과 동맹을 맺은 가톨릭교회의 제도적 힘에 의해 더욱 억압되었다. 반계몽주의 작가 프랑수아 미녜는 과격한 공화파가 프랑스 가톨릭 교회의 독립성과 영향력을 파괴하려 했고, 방데 주민들은 이를 상상할 수 없는 일로 여겼다고 비난했다.[8]
1791년, 두 명의 파견 의원이 프랑스 혁명 국민의회에 방데가 프랑스 제1공화국에 대항하여 동원되고 있다고 알렸다. 이 소식은 곧 샤를 아르망 튀팽 드 라 루에리 후작이 조직한 것으로 추정되는 왕당파 음모의 폭로로 이어졌다. 이후 방데 반군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공화국에 대한 음모는 테러 시대(1793년~1794년, 실제 반체제 인사와 의심되는 반체제 인사 수천 명이 단두대에 의해 처형된 기간), 교직자 민법(1790년), 그리고 1793년 2월 국민공회가 전 프랑스에 대해 선포한 징병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주장한다.[9][10]
막스 베버가 카이사르파피즘이라고 부른 것처럼, 교직자 민법은 모든 로마 가톨릭 사제들에게 교황청에 대한 충성을 헌법, 그리고 더 나아가 공화국의 점점 더 반교권주의적이고 반가톨릭주의적인 프랑스 국민제헌의회에 옮기도록 요구했다. 160명의 프랑스 주교 중 7명을 제외한 모든 주교가 선서를 거부했고, 본당 사제들 중 약 절반도 마찬가지였다. 반교권주의와 프랑스 혁명 중 프랑스의 탈기독교화 및 프랑스 문화의 강제적 세속화는 방데의 적대 행위를 촉발했으며, 또 다른 촉발 요인은 프랑스 혁명군에 대한 추가적인 대규모 징병이었다. 1793년 3월 징병으로 방데인들이 전국 총 30만 명 중 자치구 할당량을 채워야 한다는 요구는 지역 귀족, 성직자, 그리고 주민들을 분노하게 했고,[9] 그들은 "가톨릭 왕당군"(왕당이라는 단어는 나중에 추가됨)으로 무기를 들고 "무엇보다도 이전 사제들과 함께 교구 교회를 재개방하는 것"을 위해 싸웠다.
방데에서는 도시 거주자들이 혁명을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았지만, 농촌 농민들 사이에서도 혁명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11] 일부 방데 농민들은 교회 소유 농지에서 소작농으로 살았고, 공화당 정부가 모든 교회 토지를 몰수하여 재분배한 후에는 혁명을 압도적으로 받아들였다. 반계몽주의 역사가들은 지역 봉건제가 주로 농민들을 보호해 왔다고 주장해왔다. 그들은 프랑스에 공화주의를 부과하기 위한 100년 이상의 투쟁에서 중산층이 주요 수혜자였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전 교회 토지를 구매한 사람 거의 모두가 부르주아 계급에 속했고, 몰수 및 판매로 인해 이익을 본 농민은 거의 없었다.[12]
1793년 3월, 불평등한 30만 명 징병령에 반발하여 프랑스 전역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대부분은 곧 진압되었지만, 프랑스 서부 방데 지방의 농민들은 군사 경험이 풍부한 귀족들을 지도자로 세우고, 봉기군을 조직하여 카톨릭 왕당군이라 명칭했다. 3월 11일에 마슈쿨에서 발생한 반란군에 의한 공화파 학살을 계기로 공화국은 반란을 철저히 진압하기로 결정했다.[75][76]
쉽게 진압되지 않는 봉기는 국민공회의 위협이 되었다. 1793년 8월, 국민공회는 “방데의 섬멸”을 명시한 법령을 제정하고, 공화국군은 반란 지역을 점차 포위하는 준비를 진행했다.
10월 17일 쇼레 전투의 패배로 본거지를 잃은 약 4만 명의 카톨릭 왕당군 주력군은 약 5만 명의 피난민을 데리고 루아르 강을 건넜다. 공화국군에 쫓기는 카톨릭 왕당군은 반복되는 전투, 기근, 이질, 혹독한 겨울 추위, 탄약 부족 등으로 약화되어 갔고, 1793년 12월 르망, 사브네 전투의 패배로 카톨릭 왕당군 주력군은 궤멸되었고, 조직적인 저항은 종식되었다.
1794년 1월 21일 이후, 국민공회는 지옥군을 조직하고, 방데 지방에서 이전보다 더욱 격렬한 무차별 학살과 방화를 자행했다. 전투는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화하여 오랫동안 비참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방데 측 지도자들은 잇달아 사망했고, 1796년 7월에는 오슈 장군에 의해 진압 선언이 발표되었고, 관용령도 있어 종교적 동기를 가진 농민들의 반란은 종식을 향해 갔다. 하지만, 이번에는 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왕당파 망명 귀족들이 저항을 계속했다.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화해를 진행한 제1집정관 나폴레옹이 1801년에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방데 전쟁의 사망자 수는 양 진영 합쳐 11만 7천 명에서 45만 명으로 추정된다.[77][78][79] 또한, 낭트나 앙제 등의 도시에서는 혁명 정부가 파견한 파견의원의 명령에 따라 1만 5천 명이 총살, 익사, 기요틴형에 처해졌고, 지방에서는 지옥군에 의해 많은 마을이 불타 없어졌으며, 약 2만 명에서 5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80][81][82]
브르타뉴, 메인, 앙주, 노르망디에서 발생한 게릴라 조직 “Chouannerie영어(부엉이당)의 반란”과 결부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란들은 때때로 ‘서부 전쟁 ()’으로 총칭된다.
2. 1. 프랑스 혁명과 방데 지역
프랑스 혁명 초기, 방데 지역은 독실한 가톨릭 신앙을 가진 지역이었다. 이들은 혁명 초기에는 영주권과 십일조 폐지 등을 이유로 혁명에 호의적이었다.[83] 그러나 혁명 정부가 가톨릭 교회와 사제들을 탄압하고, 국왕을 처형하고, 세금을 올리고, 불공평한 30만 징병령을 내리자 상황이 바뀌었다.[83] 특히, 기독교를 부정하는 움직임에 대한 반발이 강했고, 방데 주민 대다수는 교회와 신앙을 지키기 위해 봉기했다.[83]방데는 프랑스 다른 지역보다 지역 귀족들의 권력이 더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농촌 지역이었다.[6] 알렉시 드 토크빌에 따르면 1789년까지 대부분의 프랑스 귀족들이 도시에 살았지만, 감찰관의 조사에 따르면 귀족들이 여전히 농민들과 함께 살았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가 방데였다.[7] 이 지역은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이 강했고, 파리 등 다른 지역에서 혁명을 주도했던 계급 갈등은 상대적으로 적었다.[8]
반계몽주의 작가 프랑수아 미녜는 과격한 공화파가 프랑스 가톨릭 교회의 독립성과 영향력을 파괴하려 했고, 방데 주민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비난했다.[8]
2. 2. 봉기의 원인
1789년 프랑스 혁명 초기에는 혁명에 호의적이었던 방데 지역은 독실한 가톨릭 신앙 지역이었다. 그러나 혁명 정부가 가톨릭 교회와 사제들을 탄압하고, 국왕을 처형하고, 증세를 실시하고, 불공평한 30만 징병을 강요하자 이에 반발하여 봉기하게 되었다.[83]혁명 정부의 종교 탄압은 방데 지역 주민들의 신앙심을 크게 훼손했다. 특히 기독교 부정 운동에 대한 반발은 강했고, 방데에서는 대다수 시민이 교회 제단을 지키기 위해 일어섰다.[83]
1793년 2월, 프랑스 국민공회는 30만 명의 징집병을 모집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징집관들의 도착은 지역 주민들에게 왕정 시대의 징병을 연상시켜 농촌 지역의 저항을 불러일으켰고, 최초의 심각한 반란 징후를 보였다.[13] 1793년 3월 11일 멘에루아르주 쇼레 사람들이 궐기하자 각지의 농민도 봉기하여 불과 10여 일 만에 프랑스 서부의 2/3 이상의 지역에서 소요가 일어났다.[13]
경제적으로도 혁명 이후 방데 지역의 상황은 악화되었다. 증세와 더불어, 혁명 정부의 정책은 방데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루이 16세의 처형은 방데 지역 주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자 왕당파였던 방데인들에게 국왕의 처형은 혁명 정부에 대한 반감을 더욱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 외에도 혁명 정부의 중앙집권적 정책과 지역 자치권 침해에 대한 불만도 봉기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3. 봉기의 전개
1793년 3월, 프랑스 전역에서 불평등한 30만 명 징병령에 반발하는 봉기가 일어났지만 대부분 곧 진압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서부 방데 지방에서는 농민들이 군사 경험이 풍부한 귀족들을 지도자로 세우고 봉기군을 조직하여 '카톨릭 왕당군'이라 칭하며 저항했다. 3월 11일 마슈쿨에서 발생한 Massacres de Machecoul|마슈쿨 학살|반란군에 의한 공화파 학살프랑스어을 계기로 공화국은 반란을 철저히 진압하기로 결정했다.[75][76]
1793년 5월 3일, 앙리 드 라 로슈자끌랭이 이끄는 반란군에게 브레쉬르가 함락되었다.[17]
쉽게 진압되지 않는 봉기는 국민공회에 위협이 되었다. 1793년 8월, 국민공회는 "방데의 섬멸"을 명시한 법령을 제정하고, 공화국군은 반란 지역을 점차 포위하는 준비를 진행했다.
10월 17일 숄레 전투의 패배로 본거지를 잃은 약 4만 명의 카톨릭 왕당군 주력군은 약 5만 명의 피난민을 데리고 루아르 강을 건넜다. 공화국군에 쫓기는 카톨릭 왕당군은 반복되는 전투, 기근, 이질, 혹독한 겨울 추위, 탄약 부족 등으로 약화되어 갔고, 1793년 12월 르망, 사브네 전투의 패배로 궤멸되었고, 조직적인 저항은 종식되었다.
1794년 1월 21일 이후, 국민공회는 '지옥군(L'Armée infernale)'을 조직하고, 방데 지방에서 이전보다 더욱 격렬한 무차별 학살과 방화를 자행했다. 전투는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화하여 오랫동안 비참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1796년 7월에는 루이 라자르 오슈 장군에 의해 진압 선언이 발표되었고, 관용령도 있어 종교적 동기를 가진 농민들의 반란은 종식을 향해 갔지만, 이번에는 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왕당파 망명 귀족들이 저항을 계속했다.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화해를 진행한 제1집정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801년에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방데 전쟁의 사망자 수는 양 진영 합쳐 11만 7천 명에서 45만 명으로 추정된다.[77][78][79] 또한, 낭트나 앙제 등의 도시에서는 혁명 정부가 파견한 파견의원의 명령에 따라 1만 5천 명이 총살, 익사, 기요틴형에 처해졌고, 지방에서는 지옥군에 의해 많은 마을이 불타 없어졌으며, 약 2만 명에서 5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80][81][82]
브르타뉴, 메인, 앙주, 노르망디에서 발생한 게릴라 조직 "Chouannerie|슈아누리|부엉이당영어의 반란"과 결부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란들은 때때로 '서부 전쟁()'으로 총칭된다.
3. 1. 초기 봉기 (1793년 3월)
1789년 프랑스 혁명 초기, 프랑스 서부 방데 지역은 가톨릭 신앙이 독실한 지역이었으나 혁명에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혁명 정부가 가톨릭 교회와 사제들을 탄압하고, 루이 16세를 처형하고, 증세와 불공평한 30만 징병을 실시하자 이에 반발하여 봉기하게 되었다.[13]1793년 3월 11일, 30만 명 동원령에 따라 의용병 추첨이 예정되자 멘에루아르주 숄레 사람들이 봉기했고, 각지의 농민들도 합세하여 10여 일 만에 프랑스 서부 2/3 이상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들은 지방 귀족들을 지도자로 끌어들여 반란군과 합류하여 정부군을 물리치고 방데 지역을 장악했다. 특히, 같은 날 농민들이 마슈쿨을 점령하고 수백 명의 공화파 시민들을 학살한 마슈쿨 학살은 혁명 정부에 큰 위협이 되었다.[75][76]
3월 19일, 국민 공회는 무기를 가진 폭도 전원을 처형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강경 조치를 취했지만, 국경에 병력을 파견한 상태여서 반란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다. 반란군은 스스로를 "가톨릭 왕당군"이라 칭하고, 행상인 출신의 자크 카텔리노를 최고 사령관으로 선출했다.[84]
몇 주 안에 왕당파는 장비는 부족했지만 상당한 규모의 "왕실과 가톨릭 군대"를 형성했고, 2천 명의 비정규 기병과 노획한 포병으로 지원받았다. 이들은 게릴라전을 펼치며 지역 지식과 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했다.[14]
반란은 1793년 3월, 대규모 징병령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2월, 프랑스 국민공회는 각 코뮌에서 미혼 남성 30만 명을 징집하는 것을 승인했다. 징집관들의 도착은 농촌 지역의 저항을 불러일으켰고, 루아르 강 하류, 망주 지방과 방데 보카주 지역에서 상황이 심각해졌다. 섬유 도시 숄레 주변 코뮌의 청년들은 도시를 침략하여 국민공위대 사령관과 혁명 지지 제조업체를 살해했다. 일주일 만에 폭력은 브르타뉴 습지로 확산되었고, 농민들은 3월 11일 마슈쿨을 점령하여 수백 명의 공화파 시민들을 학살했다. 자크 카텔리노와 장 니콜라 스토플레 지휘 아래 많은 농민들이 3월 12일 생플로랑르비에를 점령했다. 3월 중순, 징병에 대한 소규모 반란은 완전한 봉기로 변했다.[15][16]
공화국은 4만 5천 명이 넘는 병력을 파견하여 대응했다. 첫 전투는 3월 19일 밤, 루이 앙리 프랑수아 드 마르세 장군 지휘 하의 공화파 부대가 샹토네 북쪽에서 반군에게 저지당하면서 벌어졌다. 6시간 전투 후, 반군 증원군이 도착하여 공화파 군대를 격파했다. 북쪽에서는 3월 22일 또 다른 공화파 부대가 샬롱쉬르루아르 근처에서 패배했다.
1793년 5월 5일, 투아르로 이어지는 개울 위의 브린 다리에서 주요 충돌이 발생했다. 루이 마리 드 레쉬퀴르가 홀로 다리 위에 나타나 부하들을 독려하여 다리를 건넜고, 샤를 드 봉샹 지휘 하의 기병대가 후방을 공격하여 공화파를 섬멸했다. 앙리 드 라 로슈자끌랭이 이끄는 반란군은 성벽을 기습 공격하여 도시를 점령했고, 공화파 부대는 항복했다. 방데인들은 다량의 무기와 화약을 압수했지만, 포로로 잡힌 공화파 병력을 석방했다.
3. 2. 가톨릭 왕당군의 활동
1789년 프랑스 혁명 초기, 방데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 서부 지역은 혁명에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이후 가톨릭 교회와 사제들에 대한 탄압, 국왕 처형, 증세, 불공평한 30만 모병 등으로 인해 봉기가 일어났다.[83]1793년 3월 11일, 30만 명 동원령에 따라 의용병 추첨이 예정된 날, 멘에루아르주 숄레에서 시작된 봉기는 프랑스 서부 대부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지도자들은 지방 귀족들을 끌어들여 각지의 반란군과 합류, 정부군을 물리치고 방데 지역을 장악했다. 3월 19일, 국민 공회는 강경 조치를 취했지만, 국경에 병력을 파견한 상태라 진압이 어려웠다.
반란군은 스스로를 "가톨릭 왕군"이라 칭하고, 행상인 출신 자크 카텔리노를 최고 사령관으로 선출했다. 이들은 브르타뉴의 게릴라 조직인 슈아네리(Chouannerie, 올빼미 당)와 합류하기 위해 6월 낭트 시를 공격했으나, 낭트 시민과 정부군의 저항으로 철수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카텔리노가 전사하면서 반란 확산은 저지되었지만, 국내 상업과 군사 행동에 차질이 빚어졌다.[84]
1793년 5월 3일, 앙리 드 라 로슈자끌랭이 이끄는 반란군은 브레쉬르를 함락시켰다.[17] 5월 5일, 투아르로 이어지는 브린 다리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루이 마리 드 레쉬퀴르는 홀로 다리 위에 나타나 병사들을 독려하며 다리를 건넜다. 샤를 드 봉샹 지휘하의 기병대가 후방을 공격하여 공화파를 섬멸했고, 앙리 드 라 로슈자끌랭이 이끄는 반란군은 도시를 점령했다. 뱅데인들은 다량의 무기와 화약을 압수하고, 포로로 잡힌 공화파 병력을 석방했다.
1793년 5월 25일, 카톨릭 왕당군은 퐁트네르콩트를 점령했다. 레쉬르는 "왕을 위하여!"를 외치며 용감하게 돌격을 이끌었고, 라 로슈자클랭은 붉은 손수건을 두르고 전투에 임했다. 이후 공화국이 장악한 뱅데 지역 도시는 낭트와 레사블돌론뿐이었다.[18]
1793년 6월 9일, 자크 카텔리노가 지휘하는 반란군은 소뮈르 마을을 점령하고, 50문의 대포를 포함한 막대한 양의 무기를 획득했다. 이는 반란의 정점이었다.[19] 많은 포로가 생겼고, 일부는 반란군 편에 가담했으며, 많은 시민들은 투르로 피했다.[20]
1793년 3월, 30만 명 징병령에 대한 반발로 프랑스 전역에서 봉기가 일어났으나 대부분 진압되었다. 하지만 방데 지방 농민들은 군사 경험이 풍부한 귀족들을 지도자로 삼고, 카톨릭 왕당군을 조직하여 저항했다. 3월 11일 마슈쿨에서 발생한 학살을 계기로 공화국은 반란 진압을 결정했다.[75][76]
1793년 8월, 국민공회는 "방데 섬멸" 법령을 제정하고, 공화국군은 반란 지역을 포위했다. 10월 17일 쇼레 전투 패배 후, 약 4만 명의 카톨릭 왕당군 주력은 약 5만 명의 피난민과 함께 루아르 강을 건넜다. 그러나 반복되는 전투, 기근, 질병, 추위, 탄약 부족 등으로 약화되었고, 1793년 12월 르망, 사브네 전투 패배로 주력군은 궤멸되었다.
1794년 1월 21일 이후, 국민공회는 지옥군을 조직하여 방데 지방에서 무차별 학살과 방화를 자행했다. 전투는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화했고, 1796년 7월 루이 라자르 오슈 장군에 의해 진압 선언이 발표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종교적 동기를 가진 농민들의 반란은 종식되었지만, 외국 지원을 받은 왕당파 망명 귀족들이 저항을 계속했다. 1801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화해를 진행하면서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방데 전쟁의 사망자 수는 양 진영 합쳐 11만 7천 명에서 45만 명으로 추정된다.[77][78][79] 낭트나 앙제 등 도시에서는 혁명 정부 파견의원 명령에 따라 1만 5천 명이 처형되었고, 지방에서는 지옥군에 의해 많은 마을이 불타고 약 2만 명에서 5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80][81][82]
브르타뉴, 메인, 앙주, 노르망디에서 발생한 게릴라 조직 슈아네리(부엉이당)의 반란과 결부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란들은 때때로 ‘서부 전쟁’으로 총칭된다.
4. 혁명 정부의 진압
1793년 8월, 국민공회는 혁명 정부군에 방데 파괴 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은 "전쟁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차없이 섬멸하라"는 것이었다.[75][76] 이에 따라 정부군은 숲, 밭, 집, 교회를 초토화하고, 지역민을 무차별 살해했다.
반란군은 퇴각 후 카텔리노 사망의 영향으로 이탈자가 속출하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다. 영국 해협을 목표로 전진했으나 그랑빌 앞에서 저지당하고 패퇴를 거듭했으며, 식량 부족과 전염병으로 사기가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군의 무차별 공격으로 도망쳐 온 주민들을 포함하여 10만여 명으로 불어났다. 그들은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루아르강을 넘어 북상했으나 사브네 마을 전투에서 괴멸되었다. 포로들은 낭트로 연행되어 루아르강에 떠있는 폐선에 태워져 침몰당했다.
이후에도 정부는 "지옥부대"를 파병하여 학살을 계속했으며, 방데 지방의 반란은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모했다. 1794년, 오슈 장군이 부임하여 포로가 된 농민병과의 면담을 통해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면 왕당파 반란에서 이탈할 것이라는 점을 알고 정책을 변경했다. 이 정책으로 인해 1795년 2월, 방데 반란군은 와해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 6월 15일, 영국의 지원으로 왕당파 부대가 키브롱에 상륙했지만, 방데 반란군은 격퇴당하고 대부분 포로가 되었다. 마지막 생존 지도자 샤레트도 체포되어 총살당했다. 오슈는 1796년까지 방데 지방의 평정을 선언했다. 1801년에는 나폴레옹이 로마 교황과 화해하고, 방데에 대한 여러 복구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이 반란은 완전히 종결되었다.[85]
4. 1. 방데 섬멸 작전
1793년 8월, 국민공회는 "방데의 섬멸"을 명시한 법령을 제정하고, 혁명 정부군에 방데 지역 파괴를 명령했다. 이 명령은 "전쟁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차없이 섬멸하라"는 것이었다.[31] 이에 따라 정부군은 숲, 밭, 집, 교회를 초토화하고 지역민을 무차별 살해했다.1793년 10월 17일 숄레 전투에서 패배한 후,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이 이끄는 주력군(약 2만 5천 명, 수천 명의 민간인 포함)은 루아르강을 건너 그랑빌 항구로 향했다. 그러나 그랑빌은 공화파 군대에 포위되어 있었고, 영국 함대도 보이지 않아 도시 점령에 실패했다. 후퇴하는 동안 반란군은 공화파 군대의 공격, 기아, 질병으로 수천 명이 사망했고, 12월 23일 사브네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패배했다.[32]
사브네 전투 이후, 진위 여부가 논란이 되는 문서에서,[33] 베스테르만 장군은 의회에 "방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당신의 명령에 따라 우리는 그들의 아이들을 말 발굽 아래 짓밟았고, 그들의 여자들을 학살하여 더 이상 도적을 낳지 못하게 했습니다. 저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포로는 단 한 명도 없습니다. 저는 그들을 모두 멸절시켰습니다."라고 보고했다.[35] 그러나 당시 베스테르만의 부대는 수천 명의 뱅데 포로를 수용하고 있었기에, 이 편지는 민간인 학살 명령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었을 것이다.[34][35]
1794년 1월 21일, 국민공회는 '지옥군'을 조직하여 방데 지방에서 더욱 격렬한 무차별 학살과 방화를 자행했다. 이로 인해 전투는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화했고, 이후 오랫동안 비참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1796년 7월, 오슈 장군에 의해 진압 선언이 발표되었고,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화해를 진행한 나폴레옹이 1801년에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하지만, 루이-라자르 오슈는 보수 진영의 인물로서, 농민병과의 면담을 통해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면 왕당파 반란에서 이탈할 것이라는 점을 간파하고 정책을 변경하여 진압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다.
4. 2. 주요 전투 및 사건
1793년 3월 11일, 멘에루아르주 숄레에서 30만 명 동원령에 반대하는 봉기가 발생하여 프랑스 서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방데 지역을 장악한 반란군은 스스로를 "가톨릭 왕당군"이라 칭하고, 자크 카텔리노를 최고 사령관으로 선출했다. 이들은 브르타뉴의 올빼미 당과 연합하기 위해 6월 낭트 시를 공격했으나, 낭트 시민과 정부군의 저항으로 실패하고 카텔리노가 전사했다.[19]
8월 국민 공회는 혁명 정부군에 방데 파괴 명령을 내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섬멸하라는 지시를 내렸다.[31] 정부군은 숲, 밭, 집, 교회를 파괴하고 지역민을 무차별 학살했다. 한편, 반란군은 10월 17일 숄레 전투에서 패배하고, 영국 해협으로 진출하려다 실패한 후, 12월 23일 사브네 전투에서 궤멸되었다.[32]
1793년 6월 9일, 자크 카텔리노가 이끄는 반란군은 소뮈르 마을을 점령하고 50문의 대포를 포함한 막대한 양의 무기를 획득했다.[19] 6월 24일, 낭트 시장에게 항복을 요구했으나, 6월 29일 4만 명의 병력으로 공격을 시작했지만 실패했다.[22]
1793년 10월, 낭트 포위전 실패 후, 장-바티스트 카리에르는 포로들을 집단 총살하거나 함정문이 달린 배에 태워 루아르 강에 빠뜨려 익사시켰다.[23] 이 과정에서 여성 포로들이 알몸으로 남성들과 묶여 죽는, 이른바 공화국 결혼식이 자행되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일부 역사가들은 이를 반혁명 신화로 반박한다.[24][25]

1793년 7월 5일, 샤티용 제1차 전투에서 라 로슈자클랭 후작이 이끄는 2만 명의 방데 왕당파가 프랑수아 조제프 베스테르만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공화파 군대를 격파하고 5,000명의 사상자를 냈다.[26]

1793년 10월, 앙리 드 라 로슈자끌랭이 이끄는 주력군은 그랑빌 항구로 향했으나, 도시가 공화파 군대에 포위되어 있고 영국 함선이 없어 도시 점령에 실패했다. 후퇴하는 동안 기아와 질병으로 수천 명이 사망했고, 12월 23일 사브네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패배했다.[32]
사브네 전투 이후, 베스테르만 장군은 의회에 "방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당신의 명령에 따라 우리는 그들의 아이들을 말 발굽 아래 짓밟았고, 그들의 여자들을 학살하여 더 이상 도적을 낳지 못하게 했습니다."라고 보고했으나, 이는 민간인 학살 명령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었다.[34][35]
1794년 1월 21일 이후, 국민공회는 지옥군을 조직하여 방데 지방에서 더욱 격렬한 무차별 학살과 방화를 자행했다. 전투는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화했고, 1796년 7월 오슈 장군에 의해 진압 선언이 발표되었다. 1801년 나폴레옹이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5. 전쟁의 종결과 영향
1793년 12월 르망, 사브네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카톨릭 왕당군 주력은 궤멸되었고, 조직적인 저항은 종식되었다.[76] 이후 전투는 소규모 게릴라전으로 변화하여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방데 측 지도자들은 잇달아 사망했다. 1796년 7월 오슈 장군에 의해 진압 선언이 발표되었고, 관용령으로 종교적 동기를 가진 농민들의 반란은 종식되었다. 그러나 외국 지원을 받은 왕당파 망명 귀족들이 저항을 계속했다. 1801년 나폴레옹이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화해를 진행하면서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85]
방데 전쟁의 사망자 수는 양 진영 합쳐 11만 7천 명에서 45만 명으로 추정된다.[77][78][79] 낭트와 앙제 등에서는 혁명 정부 파견 파견의원의 명령에 따라 1만 5천 명이 총살, 익사, 기요틴형에 처해졌다. 지방에서는 지옥군에 의해 많은 마을이 불탔으며, 약 2만 명에서 5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80][81][82]
브르타뉴, 메인, 앙주, 노르망디에서 발생한 게릴라 조직 슈아누리(부엉이당)의 반란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란들은 ‘서부 전쟁 ()’으로 총칭되기도 한다.
5. 1. 종결 과정
프랑스 정부는 "지옥부대"를 파견하여 방데 지방에서 비슷한 전략을 계속 펼쳤다. 이로 인해 방데 지방에서의 반란은 소규모 게릴라전 양상으로 바뀌어 계속되었다.[36][37][38] 1794년 반란 진압을 위해 파견된 루이 라자르 오슈는 군 지휘관으로 부임하면서 포로로 잡힌 농민 병사들과 면담했고, 그 결과 농민들이 반란에 참가한 것은 종교적 자유를 위한 것이며, 관용 정책을 취하면 왕당파와 반란에서 이탈할 것이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 정책 변화는 효과를 발휘하여 1795년 2월까지 방데 반란군은 와해되기 시작했다.[84]같은 해 6월 15일, 영국의 지원을 받은 왕당파 부대가 키브롱에 상륙했지만, 격퇴되었고 대부분이 포로가 되어 방데 반란군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84] 게릴라전을 계속하던 마지막 생존 지도자 샤레트도 검거되어 총살되었다.[84] 오슈는 1796년에 방데 지역의 평정을 선언했다.[42]
1801년 나폴레옹은 교황과 화해하고, 방데 지역 부흥과 가톨릭을 위한 많은 정책을 내놓았다. 이로써 방데 반란은 완전히 종결되고, 단절되었던 교황청-프랑스 간의 국교도 재개되었으며 폐지된 십일조도 부활되었다.[85]
5. 2. 전쟁의 결과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 기간 중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지역 사회 파괴를 초래했다. 양측 합쳐 11만 7천 명에서 45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발생했으며,[43][44] 당시 80만 명[77][78][79]이었던 방데 지역은 초토화되었다.1793년 12월 사브네 전투 이후, 공화파는 '초토화 작전'을 시작하여 농장, 농작물, 숲, 마을을 파괴했다.[36][37][38] 특히 여성들은 반혁명적인 아기를 낳는다는 이유로 주요 표적이 되었다.[24] 1794년 1월부터 5월까지 루이 마리 튀로 장군의 ''콜로네 인페르날''(지옥의 기둥)에 의해 2만 명에서 5만 명에 이르는 방데 민간인이 학살되었다.[36][37][38] 앙주에서는 1만 1천 명에서 1만 5천 명의 방데인이 체포되어, 6,500명에서 7,000명이 처형되었고, 2,000명에서 2,200명이 질병으로 사망했다.[40]
1794년 2월, 공공안전위원회는 루이 마리 튀로에게 "마지막 한 사람까지 반란자를 제거하라"고 명령했다.[31] 오슈 장군은 종교의 자유와 재산 보장을 약속하는 화해 정책을 통해 항복한 농민들에게 가축을 돌려주고, 1795년 7월 20일 영국에서 온 망명 귀족 원정대를 섬멸했다.[42] 1796년 7월 16일, 디렉토리는 전쟁의 공식적인 종식을 선포했다.
1801년 나폴레옹은 교황과 화해하고 방데 지역 부흥 정책을 통해 반란을 완전히 종결시켰다.[85]
이 사건은 프랑스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과 반혁명 간의 대립을 상징하는 동시에 검열되지 않은 폭력의 원천이 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 반란을 징병에 대한 반란으로 보기도 한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방데 반란은 집단 학살과 결부되어 논의되기 시작했다.
6. 주요 인물
방데 전쟁은 복잡한 사건으로, 크게 방데 반란군 지도자들과 혁명 정부군 지휘관들로 주요 인물들을 나눌 수 있다.
반란군 지도자들은 대부분 군사 경험이 풍부한 귀족 출신으로, 봉기군을 조직하고 '카톨릭 왕당군'이라 명명했다. 자크 카텔리노가 초대 총사령관을 맡았고,[84] 이후 루이 드 엘베,[84]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이[84] 차례로 최고 사령관직을 이어받았다. 샤레트는[84]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으며, 에티엔 알렉상드르 베르니에는[84] 행정 및 종교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다. 장 니콜라 스토플,[84] 샤를 드 봉샹,[84] 루이 드 레스퀴르,[84] 앙투안 필립 드 라 트레무이,[84] 가스파르 드 마리니[84] 등도 주요 지도자로 활동했다.
혁명 정부군에는 루이 라자르 오슈, 토마 알렉상드르 뒤마, 프랑수아 세브랭 마르소, 장 바티스트 클레베르 등 유능한 지휘관들이 있었다. 프랑수아 조제프 베스테르만은[29] 초기에는 패배했으나, 이후 반란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루이 마리 튀로는 '지옥군'을 이끌며 잔혹한 진압 작전을 펼쳤고, 장 바티스트 카리에는[23] 파견 의원으로 낭트에서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다. 앙투안 조제프 쌍테르,[27] 오귀스탱 튈크,[28] 장-미셸 베이서,[26] 알렉시 샬보[29] 등도 주요 지휘관으로 활동했다.
6. 1. 방데 반란군 지도자
- 자크 카텔리노 : 초대 총사령관[84]
- 루이 드 엘베 : 2대 총사령관[84]
-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 : 3대 최고 사령관
- 샤레트 : 왕당파 군대에서 이탈하여 “하부 방데 군”을 설립했다.[84]
- 에티엔 알렉상드르 베르니에 : 반란의 행정 기관인 최고 평의회 대표이자 종군 사제였다.[84]
- 장 니콜라 스토플[84]
- 샤를 드 봉샹[84]
- 루이 드 레스퀴르[84]
- 앙투안 필립 드 라 트레무이[84]
- 가스파르 드 마리니 : 왕당파 군대 포병 대장이었다.[84]
6. 2. 혁명 정부군 지휘관
- 루이 라자르 오슈
- 토마 알렉상드르 뒤마
- 프랑수아 세브랭 마르소
- 장 바티스트 클레베르
- 프랑수아 조제프 베스테르만: 샤티용 제1차 전투에서 뱅데 왕당파에게 패배했으나, 샤티용 전투에서 저녁에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반란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29]
- 루이 마리 튀로
- 장 바티스트 카리에: 파견 의원으로 낭트에서 포로들을 집단 처형하고, 함정문이 달린 배에 태워 루아르 강에 빠뜨려 익사시키는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다.[23]
- 앙투안 조제프 쌍테르: 비에르 전투에서 뱅데 반란군에게 패배했다.[27]
- 오귀스탱 튈크: 뤼송 전투에서 뱅데 반란군을 상대로 세 차례의 교전에서 모두 승리했다.[28]
- 장-미셸 베이서: 몽타이유 전투에서 뱅데 반란군에게 기습 공격을 당해 패배하고 400명의 사상자를 냈다.[26]
- 알렉시 샬보: 샤티용 전투에서 반란군에게 패배했다.[29]
7. 방데 전쟁의 재해석과 논쟁
프랑스 역사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방데 전쟁은 프랑스 정치에 상당한 영향을 남겼다. 찰스 틸리(Charles Tilly)는 이 사건을 보다 온건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부 지역의 반혁명이 혁명 정부가 특정 통치 방식을 도입하려 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보았다. 이 방식은 귀족과 성직자들의 자율적인 중개자 지위를 약화시키고, 세금, 인력, 복종에 대한 국가의 요구를 지역 사회, 이웃, 가구 수준까지 확대했으며, 지역 부르주아들에게 이전에는 없던 정치적 권력을 부여했다.[75][76]
반란은 혁명과 반혁명 사이의 대립을 상징하며, 검열되지 않은 폭력의 원인이 되었다. '방데(Vendée)'라는 부서 이름은 '뱅주(Venge)'로 바뀌었고, 마을과 도시의 이름도 변경되었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옛 이름을 사용했다. 집단 학살 해석에 대한 논쟁 외에도, 다른 역사가들은 이 반란을 징병에 대한 반란으로 보고, 다른 불만 사항까지 포함되도록 확대되었다고 주장한다.
모나 오주프(Mona Ozouf)와 프랑수아 푸레(François Furet)는 방데 지역이 단일한 사상으로 통합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국가와 도덕적으로 대립하는 지역도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구체제의 몰락이 아닌, 새로운 체제가 지역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원칙과 형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인민들이 혁명에 반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새로운 구역과 부서의 지도, 행정 독재, 그리고 무엇보다도 반대파 성직자들이 그 원인이었다. 반란은 1792년 8월에 처음 발생했지만 즉시 진압되었고, 왕의 처형도 반란을 일으키지 못했다. 강제 징병이 주요 원인이었다.[75][76]
1793년 3월, 불평등한 30만 명 징병령에 반발하여 프랑스 전역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대부분은 곧 진압되었지만, 프랑스 서부 방데 지방의 농민들은 군사 경험이 풍부한 귀족들을 지도자로 세우고 봉기군을 조직하여 카톨릭 왕당군이라 명칭했다. 3월 11일에 마슈쿨에서 발생한 Massacres de Machecoul|마슈쿨 학살프랑스어을 계기로 공화국은 반란을 철저히 진압하기로 결정했다.[75][76]
방데 전쟁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집단 학살과 결부되어 논의되기 시작했다.
7. 1. 집단 학살 논쟁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기의 복잡한 사건으로, 단순한 왕당파와 공화파의 대립을 넘어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특히, 이 사건을 '집단 학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레이날드 세셰르(Reynald Secher) 등 일부 역사학자들은 방데 전쟁을 최초의 현대적 집단 학살로 규정한다.[47] 이들은 공화국 정부와 프랑스 혁명군이 뱅데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총력전과 초토화 작전을 펼쳤으며, 이는 특정 집단을 의도적으로 파괴하려는 행위였다고 주장한다.[47] 피에르 쇼누(Pierre Chaunu)는 이 사건을 최초의 "이데올로기적 집단 학살"이라고 묘사했다.[52][61]
그러나 주류 역사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들은 뱅데 전쟁이 내전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양측 모두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는 점을 강조한다.[50] 또한, 공화국 정부가 뱅데 전체 인구를 멸절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도 지적한다.[44] 미셸 보벨(Michel Vovelle)과 같은 프랑스 혁명 전문가들은 '프랑스 내 프랑스 대량 학살'이라는 주장이 위험한 추정치에서 시작된다고 비판한다.[53]
세셰르의 주장에 대한 비판은 그의 방법론에도 결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44] 예를 들어, 전쟁은 일반적인 뱅데인에 대항한 것이 아니라 왕당파 뱅데인에 대항한 것이었고, 정부는 공화파 뱅데인의 지원에 의존했다는 점, 의회는 왕당파 군대가 패배한 후 작전을 종식시켰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44]
피터 맥피(Peter McPhee)는 뱅데의 평정이 내전 중에 일어난 사건이기 때문에 유엔의 CPPCG 대량 학살 정의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한다.[44]
알렉산드르 솔제니친(Alexander Solzhenitsyn)은 뱅데 봉기 200주년 기념 연설에서 공화파의 대응을 대량 학살이라고 옹호하며, 10월 혁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의 볼셰비키와 프랑스 혁명 동안 자코뱅 클럽의 지도부를 비교했다.[54]
2017년 자크 빌레맹(Jacques Villemain)은 Vendée, 1793–1794 : Crime de guerre ? Crime contre l'humanité ? Génocide ? Une étude juridique프랑스어 (Vendée, 1793–1794: War crime? Crime against humanity? Genocide? A juridical study영어)를 출판하여 헤이그의 국제 사법 재판소 관점에서 뱅데 전쟁을 분석했다.[57] 그는 현대 국제 형사법에 기초하여 프랑스 제1공화국 정부가 전쟁 범죄, 반인륜 범죄, 대량 학살을 저질렀다고 주장한다.[57]
한국의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방데 전쟁은 권력에 의한 무고한 민간인 희생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집단 학살'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당시 프랑스 혁명 정부의 폭력성은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내전 상황의 특수성과 양측의 잔혹 행위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7. 2. 혁명과 폭력의 관계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의 어두운 측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혁명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폭력은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1793년, 공안위원회는 장-바티스트 카리에에게 방데 지역을 "평정"하라는 명령을 내렸고,[31] 이는 대규모 학살로 이어졌다. 장-바티스트 카리에르는 포로들을 집단 총살하거나, 함정문이 달린 배에 태워 루아르 강에 수장시키는 등 잔혹한 방식으로 처형했다.[23] 심지어 남녀를 발가벗겨 묶어 함께 수장시키는 이른바 공화국 결혼식이라는 소문까지 돌았다.[24]
사브네 전투(1793년 12월) 이후, 베스테르만 장군은 의회에 "방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당신의 명령에 따라 우리는 그들의 아이들을 말 발굽 아래 짓밟았고, 그들의 여자들을 학살하여 더 이상 도적을 낳지 못하게 했습니다."라고 보고했다.[32] 이러한 학살은 의회의 명령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었다.[34]
1794년, 루이 마리 튀로 장군의 ''콜로네 인페르날''("지옥의 기둥")은 2만 명에서 5만 명에 이르는 방데 민간인을 학살했다.[36][37][38] 특히 여성들은 반혁명적인 아기를 낳을 것이라는 이유로 주요 표적이 되었다.[24]
이러한 폭력 사태는 혁명 정부가 징병에 반발하는 농민들을 왕당파로 규정하고, 이들을 '섬멸' 대상으로 여겼기 때문에 발생했다.[75][76] 혁명 정부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초토화 작전'을 펼쳤고, 농장 파괴, 농작물과 숲 방화, 마을 파괴 등 무자비한 폭력을 자행했다.[31]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뱅데 봉기 200주년 연설에서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 클럽의 지도부와 10월 혁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의 볼셰비키를 비교하며, 뱅데 반군을 "혁명적 전제주의"에 의해 무자비하게 파괴된 러시아, 우크라이나, 코사크 농민들에 비유했다.[54]
방데 전쟁은 혁명의 이상과 폭력의 현실 사이의 괴리를 보여준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혁명의 정당성은 인정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한 폭력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혁명은 불가피하게 폭력을 수반하는 것인가, 아니면 폭력 없는 혁명은 불가능한 것인가? 이 질문은 여전히 우리에게 깊은 고민을 안겨준다.
7. 3. 종교와 자유의 문제
방데 전쟁은 종교적 신념과 자유를 억압하는 권력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다. 1793년, 프랑스 혁명 정부는 가톨릭 교회를 억압하고, 전통적인 종교적 가치를 부정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에 반발한 방데 지역의 농민들은 가톨릭 신앙을 지키기 위해 봉기했다.[75][76]방데인들은 깃발에 신과 왕을 크게 새겼는데, 이는 그들이 단순한 왕정 복고를 넘어, 자신들의 전통과 신앙을 지키고자 했음을 보여준다. 혁명 정부는 이들의 저항을 왕당파의 음모로 간주했지만, 실제로는 종교적 자유를 억압하는 새로운 체제에 대한 반발이었다.[75][76]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에 깊은 정치적 양극화를 가져왔다. 이 사건은 혁명과 반혁명, 종교와 세속주의, 중앙집권과 지방자치 등 다양한 갈등을 상징하며, 검열되지 않은 폭력의 원천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종교의 자유와 관련된 사회적 갈등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종교적 신념이 억압받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저항과 폭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8. 관련 작품
다음은 방데 전쟁과 관련된 작품들이다.
문학
- 발자크의 소설 『부엉이당(1829)
- 빅토르 위고의 소설 『93년(1874)
- 모리야마 군지로의 『반데 전쟁―프랑스 혁명을 되묻다』(1996년 6월)
- 후지모토 히토미의 『성전 반데』상하 (1997년 2월)
- 오구리 료지의 『반데의 반란 그림자의 프랑스 혁명사』(1996년 3월)
영화
- 『소피 마르소의 사랑, 혁명에 살다』 (프랑스 영화, 일본 개봉 없이 비디오 출시) - 슈아네리(부엉이당) 봉기를 다룬 작품
- ''The War of the Vandée - The Forgotten Martyrs of the French Revolution'' (2012년 미국 영화) - 방데 전쟁 전반부를 모티브로 한 작품
- ''숨겨진 반란(The Hidden Rebellion)'' 다큐멘터리 드라마, 다니엘 라부르댕(Daniel Rabourdin) 제작 및 연출, 2017년 레미 영화상(Remi Film Award) 수상, EWTN(Eternal Word Television Network)에서 방영, DVD로 구매 가능.
- ''뱅데 전쟁(The War of the Vendée)''(2012), 나비스 픽처스(Navis Pictures)의 독립 장편 영화, 짐 머리노(Jim Morlino) 각본 및 연출, 바티칸에서 열린 미라빌레 딕투 국제 가톨릭 영화제(Mirabile Dictu International Catholic Film Festival)에서 "청소년 대상 최우수 영화상"과 마이애미 플로리다에서 열린 요한 바오로 2세 국제 영화제(John Paul II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66][67]
- BBC의 ''빨간 망토(The Scarlet Pimpernel (TV series))'' 시리즈 중 "발렌타인 고티에(Valentine Gautier)"(2002)편
- 텔레비전 프로그램 ''혼블로워(Hornblower (TV series))''의 에피소드 "개구리와 가재(The Frogs and the Lobsters)"
- 스튜디오 카날이 푸이 뒤 푸(Puy du Fou) 테마파크 회사와 공동으로 제작한 관련 영화 ''승리하거나 죽거나(Vaincre ou mourir)''는 2022년에 개봉했다.[68]
음악
- 앨범 ''샹트 라 뱅데 밀리테르 (라 슈아네리)'', 가수 캐서린 가렛(Catherine Garret), 1977년 발매.
- 앨범 ''뱅데 1792–1796'', 몽주아 생드니 합창단(Chœur Montjoie Saint-Denis), 2005년 발매 (2016년 재발매).
- EP ''뱅데 전쟁: 슈앙'', 장-팍 메프레(Jean-Pax Méfret), 2006년 발매.
- 프랑스 블랙/포크 메탈 밴드 ''페이드레츠(Paydretz)''는 뱅데 전쟁과 슈아네리에 관한 음악만을 제작하고 연주한다.
- 라 밴데아나(La Vandeana), 뱅데에 관한 이탈리아 노래.
참조
[1]
서적
« Détruisez la Vendée ! » Regards croisés sur les victimes et destructions de la guerre de Vendée
Centre vendéen de recherches historiques
2007
[2]
서적
Atla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1992
[3]
학술지
La Terreur, part maudite de la Révolution, coll.
2010
[4]
학술지
The French Revolution, the Vendée, and Genocide
https://www.tandfonl[...]
2022-04-10
[5]
서적
Dictionnaire de la Contre-Révolution
Perrin
2011
[6]
서적
Citizens
Penguin Books
2004
[7]
서적
The Old Regime and the Revolution
[8]
서적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1789 to 1814
Scholar's Choice
1826
[9]
서적
Daily Life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10]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1770–1814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1996
[11]
학술지
Civil Constit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southern Anjou
1959
[12]
학술지
Local Conflicts in the Vendée before the rebellion of 1793
1961-09
[13]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Empire: The Quest for a Civic Order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3
[14]
학술지
General Hoche and Counterinsurgency
https://muse.jhu.edu[...]
2003-04
[15]
서적
Le chevalier de Sapinaud et les chefs vendéens du centre
1869
[16]
서적
Dictionary, P–Z
[17]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Group
1989
[18]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1989
[19]
서적
Dictionary, P–Z
[20]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1989
[21]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1989
[22]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1989
[23]
서적
People's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Verso Books
2014
[24]
서적
Crisis in representation: Thomas Paine, Mary Wollstonecraft, Helen Maria Williams, and the rewriting of the French Revolution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7
[25]
서적
La Vendée: 1789–1793
Editions Champ Vallon
1993
[26]
서적
The Napoleonic Wars Data Book
Greenhill
1998
[27]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1989
[28]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F–O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29]
서적
François-Séverin Marceau, 1769–1796
https://books.google[...]
George Bell & Sons
2015-06-25
[30]
서적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Longman
1989
[31]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Empire: The Quest for a Civic Order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3
[32]
서적
The tragedy of an army: La Vendée in 1793
https://archive.org/[...]
Hutchinson & Co.
2011-12-22
[33]
서적
Henri Forestier, général à 18 ans
Éditions du Choletais
1996
[34]
서적
Histoire de la France et des Français
Éditions Bordas
1999
[35]
서적
Contre-Révolution, Révolution et Nation en France, 1789–1799
éditions du Seuil, collection Points
1998
[36]
서적
Les colonnes infernales
Perrin, collection Vérités et Légendes
1993
[37]
서적
La République jacobine
Nouvelle histoire de la France contemporaine
[38]
서적
« Détruisez la Vendée ! » Regards croisés sur les victimes et destructions de la guerre de Vendée
Centre vendéen de recherches historiques
2007
[39]
간행물
Martyrs for the Faith
http://via.library.d[...]
1987-09
[40]
서적
« Détruisez la Vendée ! » Regards croisés sur les victimes et destructions de la guerre de Vendée
Centre vendéen de recherches historiques
2007
[41]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Vendée
http://www.godspy.co[...]
1996
[42]
간행물
Suite de la séance du 28 messidor. Le directoire exécutif au conseil des cinq cents.
https://www.retronew[...]
Le Moniteur Universel
1796-07-21
[43]
뉴스
Vive la Contre-Revolu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7-09
[44]
간행물
Review of Reynald Secher, A French Genocide: The Vendée
http://www.h-france.[...]
2004-03
[45]
서적
Napoleon
[46]
백과사전
Waterloo Campaign, 1815
[47]
서적
A French Genocide: The Vendé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03
[48]
서적
Writing National Histories: Western Europe Since 18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9
[49]
문서
Les héros quasi mythiques de la Vendée ou les dérives de l'imaginaire
1987
[50]
간행물
Interpreting the Terror
2001-09
[51]
간행물
Genocide & the Bicentenary: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revenge of the Vendée
1987
[52]
서적
French Historians 1900–2000: New Historical Writing in Twentieth-Century France
https://books.google[...]
Wiley
2010
[53]
서적
Bourgeoisies de province et Revolution
Presses Universitaires de Grenoble
1987
[54]
서적
The Solzhenitsyn Reader: New and Essential Writings 1947–2005
ISI Books
2008
[55]
웹사이트
Reconnaissance du genocide vendeen
http://www.assemblee[...]
[56]
웹사이트
La proposition de loi sur 'le génocide vendéen', une atteinte à la liberté du citoyen
http://revolution-fr[...]
[57]
웹사이트
Jacques Villemain, Vendée, 1793–1794. Crime de guerre ? Crime contre l'humanité ? Génocide ? Une étude juridique
http://www.lelittera[...]
2018-09-24
[58]
서적
Genocide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Transaction Publishers
1998
[59]
문서
The Vendée uprising
2006
[60]
웹사이트
Mark Levene: Areas where I can offer Postgraduate Supervision
http://www.soton.ac.[...]
2009-02-09
[61]
서적
What is genocide?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2007
[62]
서적
Death By government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1997
[63]
서적
Histoire et dictionna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1789–1799
Robert Laffont, Collection Bouquins
1987
[64]
서적
Guerrilla conflict before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65]
간행물
The French Revolution, the Vendée, and Genocide
2020
[66]
웹사이트
2012 Winners
http://www.mirabiled[...]
Mirabile Dictu International Catholic Film Festival
2017-12-21
[67]
웹사이트
2012 Reel Rose Awards
http://www.jp2filmfe[...]
John Paul I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7-12-21
[68]
웹사이트
Vaincre ou mourir
https://www.imdb.com[...]
2023-01-25
[69]
서적
« Détruisez la Vendée ! » Regards croisés sur les victimes et destructions de la guerre de Vendée
Centre vendéen de recherches historiques
2007
[70]
서적
Pertes militaires, 1792–1830
Atla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1992
[71]
서적
La Terreur, part maudite de la Révolution
Gallimard
[72]
서적
ヴァンデ戦争 フランス革命を問い直す
https://www.ehonnavi[...]
[73]
논문
https://kansai-u.rep[...]
[74]
서적
フランス革命史
白水社
[75]
서적
Blancs et Bleus dans la Vendée déchirée
[76]
서적
« Détruisez la Vendée ! » Regards croisés sur les victimes et destructions de la guerre de Vendée
Centre vendéen de recherches historiques
[77]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Birth of Modernity
http://publishing.c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78]
뉴스
Vive la Contre-Revolution!
https://www.nytimes.[...]
1989-07-09
[79]
리뷰
Review of Reynald Secher, A French Genocide: The Vendée
http://www.h-france.[...]
2004-03
[80]
서적
Les colonnes infernales
Perrin
[81]
서적
La République jacobine
[82]
서적
« Détruisez la Vendée ! » Regards croisés sur les victimes et destructions de la guerre de Vendée
Centre vendéen de recherches historiques
[83]
서적
(제목 추정 불가. 추가 정보 필요)
[84]
서적
(제목 추정 불가. 추가 정보 필요)
[85]
문서
나폴레옹과 교황 비오 7세의 콘코르다트
[86]
논문
프랑스 혁명기의 서부지방 반혁명에 대한 일고찰
단국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