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전역 (프랑스 혁명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전역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와 주변 국가들 간의 전투를 의미하며, 1792년 프랑스의 오스트리아 선전포고로 시작되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어 프랑스 혁명 정부를 타도하려 했으나, 프랑스는 툴롱 포위전에서 나폴레옹의 활약으로 승리하고, 프로이센, 스페인과 강화 조약을 체결하며 우위를 점했다. 1796년, 프랑스는 오스트리아를 공격하기 위해 세 방향에서 공격을 시도했으나, 라인 방면의 실패로 어려움을 겪었다.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원정에서 승리하며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체결,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붕괴시켰다. 이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실패 후,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어 프랑스와 격돌했으나, 나폴레옹의 마렝고 전투 승리와 모로의 호엔린덴 전투 승리로 뤼네빌 조약을 체결하며 전쟁이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 방데 전쟁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1793년부터 1796년까지 프랑스 서부 방데 지역에서 혁명 정부의 정책에 반발한 농민 반란으로 시작된 내전으로, 혁명 정부의 잔혹한 진압과 대량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프랑스 혁명의 폭력성과 종교·정치적 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있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은 영국 지배에 대한 불만으로 아일랜드 통합단원회를 중심으로 가톨릭 해방과 의회 개혁을 요구하며 일어났으나, 프랑스의 지원 실패와 영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고 아일랜드는 영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이탈리아 전역 (프랑스 혁명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이탈리아 전역 |
전체 | 프랑스 혁명 전쟁 |
기간 | 1792년 4월 20일 ~ 1801년 |
장소 | 이탈리아 |
결과 | 프랑스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제1공화국 |
교전국 2 | 신성 로마 제국 러시아 제국 (1799) 오스만 제국 (1799) 모나코 (~1793) 모데나 공국 (~1796) 사르데냐 왕국 (~1796) 교황령 (~1797) 베네치아 공화국 (~1797) 제노바 공화국 (~1797) 몰타 기사단 (1800) 토스카나 대공국 파르마 공국 나폴리 왕국 시칠리아 왕국 |
지원국 | 포르투갈 왕국 (1750) 영국 |
지휘관 | |
프랑스 | 자크 피에르 브리소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폴 바라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앙드레 마세나 조아킴 뮈라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 장 빅토르 마리 모로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루이 가브리엘 쉬셰 장 란 토마 알렉상드르 뒤마 |
대프랑스 동맹 | 프란츠 2세 테셴 공작 카를 파울 크레이 요제프 알빈치 파벨 1세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표트르 바그라티온 니콜라이 카멘스키 표도르 우샤코프 |
2. 배경
2. 1. 프랑스 혁명 전쟁의 개시
1792년 4월 20일, 프랑스의 오스트리아에 대한 선전포고를 시작으로 프랑스와 주변국들 간의 전투가 시작되었다.[1]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헤센 연합군은 롱위(8월 23일)와 베르됭(9월 2일)을 함락시키며 진격했으나, 프랑스는 발미 전투(9월 20일) 승리로 공세로 전환하였다. 프랑스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현 벨기에)로 진출, 저마프 전투(11월 6일)에서 승리하여 남부 네덜란드 전역을 점령했다.1793년, 루이 16세 처형(1월 21일)으로 스페인, 네덜란드,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 잉글랜드 등이 반혁명 입장에 서게 되었다. 잉글랜드를 중심으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고,[1] 이 동맹은 프랑스 혁명 정부 타도를 목표로 했다.
대프랑스 동맹군은 지중해에서 프랑스를 공격했고,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공화국은 라인강에서 공격을, 영국은 해상 봉쇄(5월 31일)로 툴롱 항을 포위했다. 프랑스는 네르빈덴 전투(1793년 3월 18일) 패배와 뒤무리에의 투항으로 열세에 놓였다. 방데방데/Vendée프랑스어 지역과 리옹 등에서 왕당파 반란이 일어났고, 툴롱에서는 왕당파가 영국과 스페인 함대를 입항시키는 등 내우외환을 겪었다. 4월 6일, 혁명 정권은 공안위원회를 조직하고, 8월 23일 징병제를 시행했다.
1793년 말부터 프랑스는 반격하여 동맹군을 국외로 몰아냈다. 12월 19일, 나폴레옹은 툴롱 포위전에서 툴롱 탈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95년 4월 6일, 프로이센과 조약을 체결하고 라인란트를 획득, 5월에는 바타비아 공화국을 건국했다. 스페인도 《제2차 바젤 조약》으로 프랑스와 휴전했다. 프랑스 총재정부 성립(1795년 10월 26일) 후, 프랑스군은 잉글랜드와 오스트리아에 대한 전쟁에 박차를 가하며 북부 이탈리아 정복에 착수했다.[2]
2. 2. 오스트리아 원정 계획
1796년 프랑스 총재정부는 오스트리아를 굴복시키기 위해 세 방향에서 공격을 계획했다. 라인 방면에서는 2개의 군을 주르당과 모로가 이끌었고, 이탈리아 원정군 사령관에는 바라스의 조치에 의해 보나파르트가 발탁되었다. 3개의 군이 티롤에서 합류하여 비엔나를 점령하겠다는 작전이었다.전략은 4월에 시작되었다. 당초 주르당과 모로는 순조롭게 진격했다. 모로는 바이에른을 통과하여, 9월경 티롤의 국경까지 도달했다. 그러나 주르당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테셴 공작 카를에 패배하여 라인강 서쪽으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프랑스 국내에서는, 왕당파의 참여와 영국의 지원을 받아 오래 끌던 방데 반란이 라자르 오슈에 의해 1796년 상반기에 진압되었다. 12월, 오슈는 아일랜드에 원정을 시도했고, 영국 함대의 방해로 인해 상륙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 또한 10월에는 스페인이 프랑스 편에 서서 영국에 선전 포고하였고, 스페인 함대는 1797년 2월 14일 쌍 빈센트 곶 해전에서 존 저비스와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패했다.
3. 전개
3. 1. 제1차 원정 (이탈리아 원정)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원정에서 공격을 개시하여(1796년 3월) 각 방면에서 대프랑스 동맹군을 격파하였다. 최전선에서 프랑스군과 대치 해왔던 사르데냐 왕국을 약 1개월 만에 항복하게 하고, 오스트리아군의 거점 만토바를 포위했다. 뷔름저와 아르비트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은 만토바 탈환을 목표로 반격에 나섰지만, 나폴레옹에게 카스틸리오네 전투(8월 5일), 아르콜 다리 전투(11월 15~17일)에서 패배했다.1797년 1월 14일, 이탈리아 방면에서는 오스트리아가 리볼리 전투에서도 패배하였고, 2월 2일 만토바가 성문을 열였다. 나폴레옹은 티롤에서 비엔나를 향해 진격하였고, 카를 대공도 나폴레옹의 기세를 멈추지 못했다. 오스트리아는 휴전을 제의하였고, 레오벤 조약이 체결(4월 18일)되었다. 그 후 반년간의 협상을 거쳐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체결(10월 17일)했다. 프랑스는 남부 네덜란드를 합병하고, 북부에 치자르피나 공화국 등 위성국을 성립시켰다. 맞 교환으로 오스트리아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합병했다. 오스트리아의 탈락으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고, 영국만이 전쟁을 계속하게 되었다.
3. 2. 이집트 원정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1798년~1801년)은 영국의 인도 지배를 위협하고 프랑스의 동방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이 원정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3. 3. 제2차 대프랑스 동맹 (1799-1800)
1798년 1월부터 스웨덴의 악셀 폰 페르센 백작의 중재 하에 라슈타트 회의가 열렸지만, 메테르니히의 책략으로 오스트리아는 회의를 지연시키며 대프랑스 동맹 재건 시간을 벌었다. 12월,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이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했다.1799년, 북부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수보로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이 합세하여 프랑스군은 열세에 놓였다. 모로는 8월 제노바까지 후퇴했고, 라인 방면에서는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에 프랑스군이 3월 25일 스토케쉬 전투에서 패하며 주르당이 해임되고 마세나가 후임이 되었다. 스위스 방면에서 연합군과 프랑스군이 격돌했지만, 마세나는 9월 25일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연합군을 격파했다. 러시아는 이듬해 프랑스와 화평을 맺었다.
이집트 원정 중이던 나폴레옹은 이집트를 탈출하여 프랑스로 돌아가 11월 9일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를 일으켜 통령정부를 세우고 제1집정에 취임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1800년, 나폴레옹은 알프스산맥을 넘어 북부 이탈리아로 진출, 6월 14일 마렝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에 반격하여 승리했다. 모로가 이끄는 라인 방면군도 12월 3일 호엔린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했다. 1801년 오스트리아는 뤼네빌 조약을 체결하고 프랑스와 강화했다.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속한 국가는 잉글랜드만 남았다. 잉글랜드의 몰타 점령으로 통상권을 침해당한 덴마크, 스웨덴은 지중해 진출에 난색을 표했던 러시아, 프로이센과 제2차 무장 중립 동맹을 결성, 영국과 충돌했다. 1801년 4월 2일, 영국은 코펜하겐 해전에서 덴마크 함대를 격파하고 무장 중립 동맹을 해체시켰다. 이집트에서는 3월 22일 잉글랜드군과 오스만 제국군이 제2차 아부키르 전투에서 승리하여 프랑스군을 항복시켰다.
4. 결과
5. 영향
6. 한국에의 영향
참조
[1]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2]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