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운산 향사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운산 향사대는 중생대 송림 변동과 대보 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지질 구조이다. 향사 구조는 습곡, 단층 구조를 가지며, 평안 누층군과 같은 지층이 분포한다. 백운산 향사대에는 상동광산이 발달했으며, 대한민국 텅스텐 생산에 기여했다.

2. 지질 구조

백운산 향사대는 중생대 송림 변동과 대보 조산운동을 거쳐 형성된 지질 구조이다. 평안 누층군함백역 부근, 하이원리조트가 있는 사북-고한 지역, 함백산오투리조트 일대에 분포한다. 백운산 향사대의 축은 동쪽으로 침강(plunge)하였으며, 이 때문에 상부의 고한층과 동고층은 동쪽에만 분포한다.[2][3] 백운산 향사대 남쪽에는 상동광산이 있다.

2. 1. 습곡 구조

중생대의 송림 변동에 의해 습곡 구조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쥐라기에서 백악기 초에 걸쳐 일어난 대보 조산운동에 의해 백운산 향사 구조가 형성되었다. 향사 구조의 남익부는 대략 30~50°로 거의 일정하게 북쪽으로 경사하지만, 북익부는 그 경사가 남쪽으로 70°에 달하며 심지어 역전된 곳도 있다. 경사가 역전되면 향사의 북익과 남익부가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 있게 되며 이를 등사습곡(等斜褶曲; isocline)이라 한다.[1]

북익부에서 경사가 역전된 곳에 따라서는 충상단층이 발달하기도 한다. 백운산 향사대를 거의 남-북 방향으로 절단하고 있는 주향 이동 단층들은 대부분 우수향 이동을 하였으며, 이 단층 운동과 수반되어 끌림 습곡 구조(Drag fold)가 발달하고 있다.[1]

김정환, 최원학(1990)의 조사 결과 백운산 향사 구조와 이에 대응되는 무릉담 배사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동-서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구조들은 후에 일어난 조구조운동에 의해 재습곡되었다. 평안 누층군 장성층과 그 하부의 지층들 내에서는 두 방향의 습곡 구조가 발달하지만, 그 상부의 지층들 내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습곡 구조들만이 인지되는 점으로 미루어 백운산 향사 구조는 장성층 퇴적 이후 일어난 조구조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리고 습곡축들은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 시에 회전되었다.[4]

2. 2. 단층 구조

중생대의 송림 변동에 의해 습곡 구조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쥐라기에서 백악기 초에 걸쳐 일어난 대보 조산운동에 의해 백운산 향사 구조가 형성되었다. 백운산 향사대를 거의 남-북 방향으로 절단하고 있는 주향 이동 단층들은 대부분 우수향 이동을 하였으며, 이 단층 운동과 수반되어 끌림 습곡 구조(Drag fold)가 발달하고 있다.[1]

김정환, 최원학(1990)은 백운산 향사 구조와 이에 대응되는 무릉담 배사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동-서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구조들은 후에 일어난 조구조운동에 의해 재습곡되었다. 평안 누층군 장성층과 그 하부의 지층들 내에서는 두 방향의 습곡 구조가 발달하지만, 그 상부의 지층들 내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습곡 구조들만이 인지되는 점으로 미루어 백운산 향사 구조는 장성층 퇴적 이후 일어난 조구조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리고 습곡축들은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 시에 회전되었다.[4]

2. 3. 지층 분포

평안 누층군함백역 부근에서 두위봉 산정부, 하이원리조트가 위치한 사북-고한 지역, 함백산오투리조트 일대에 분포한다. 백운산 향사대의 축은 동쪽으로 침강(plunge)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부의 고한층과 동고층은 동부에만 분포한다.[2][3]

참조

[1] 논문 우리나라 구조지질학 발전의 발자취: 고찰 (Footprints of structural geology in Korea: Review) http://www.jgsk.or.k[...] 2017-02
[2] 논문 백운산 향사대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sm of the Tonggo Formation in the Baekunsan Syncline) https://www.dbpia.co[...] 1993
[3] 논문 Geology of the We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三陟炭田 西部地域의 地質) https://www.dbpia.co[...] 1981-06
[4] 논문 Geological Structures of Jeungsan-Sabuk 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甑山一舍北地域의 地質構造) https://www.dbpia.co[...] 199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