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마이스터돌고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이스터돌고래는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돌고래로, 남아메리카 연안 해역에 주로 서식한다. 몸길이는 약 1.5m, 몸무게는 50~75kg이며, 짙은 회색을 띤다. 주로 단독 또는 쌍으로 관찰되며, 멸치, 대구, 고등어 등을 먹는다. 어망에 걸려 잡히는 혼획과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먹이 부족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위협받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혼획 저감 장치 개발 및 보급, 불법 포획 단속 등을 통해 버마이스터돌고래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쇠돌고래속 - 바키타
    바키타는 멕시코 캘리포니아만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쇠돌고래과 고래로, 검은 눈테 무늬가 특징이며 극심한 혼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쇠돌고래속 - 안경돌고래
    안경돌고래는 눈 주위 검은색 무늬가 특징이며 남극권에 분포하고 물고기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생태 정보가 부족하고 혼획으로 위협받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 종이다.
  • 우루과이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우루과이의 포유류 - 액시스사슴
    액시스사슴은 사슴과의 포유류로, 인도 점박이 사슴 또는 치탈이라고도 불리며, 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흰색 반점이 있는 적갈색 털을 가진다.
  • 1865년 기재된 포유류 - 낫돌고래
    낫돌고래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흰색, 검은색, 회색의 체색을 가진 해양 포유류로, 어류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하고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회유 경로를 가진다.
  • 1865년 기재된 포유류 - 이색사향땃쥐
버마이스터돌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 자란 수컷 버마이스터돌고래
다 자란 수컷 버마이스터돌고래
평균적인 사람과 비교한 크기
평균적인 사람과 비교한 크기
학명Phocoena spinipinnis
명명자Burmeister, 1865
한국어 이름코하리일카
영어 이름Burmeister's Porpoise
버마이스터돌고래 분포 지역
보존 상태준위협 (IUCN3.1)
CITES 부록 II
이명Australophocaena spinnipinnis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고래우제목
아목이빨고래아목
상과참돌고래상과
쇠돌고래과
쇠돌고래속
기타
MSW314300121

2. 형태

사람과의 크기 비교


버마이스터돌고래는 사후 촬영된 사진이 많아 흔히 검은색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과거에는 '''검은돌고래'''라고 불리기도 했다.[4] 그러나 살아있는 개체는 일반적으로 짙은 회색을 띠며, 사후 몇 분 만에 검은색으로 변한다. 몸 아랫부분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더 밝은 회색 반점이 있다.

성체의 몸길이는 약 150cm이고, 몸무게는 50kg~75kg이다. 기록된 가장 무거운 개체는 105kg의 암컷이었다.

눈 바로 앞에 위치한 분기공 주변에는 얕은 홈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모양과 위치가 독특한데, 일반적인 고래류와 달리 곡선이 아닌 삼각형 모양이며 위쪽보다는 뒤쪽을 향해 뻗어 있다. 또한 몸길이의 약 3/4 지점에 위치하여 다른 돌고래쇠돌고래보다 훨씬 뒤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등지느러미의 특징은 태평양 지역에서 서식지가 겹치고 크기가 비슷한 칠레돌고래와 버마이스터돌고래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3. 분포 및 서식지

버마이스터돌고래는 남아메리카 연안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서식지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1] 전체 개체수는 최소 수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1]

서식 범위는 페루 북부의 태평양 연안에서 시작하여 티에라델푸에고를 지나 브라질 남부의 대서양 연안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1] 주로 연안의 만, 해협, 피오르 등에서 자주 발견되며, 일반적으로 대륙붕 해역에 서식한다.[1] 하지만 해안에서 50km 떨어진 바다나, 칠레 남부의 민물인 발디비아강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1] 또한, 1000m 깊이의 심해에서 발견된 사례도 있다.[1]

4. 생태 및 행동

버마이스터돌고래는 관찰하기 어려운 동물이다. 내성적인 성격으로 보이며, 해수면 가까이 헤엄칠 때도 몸의 일부만 드러내고, 배가 접근하면 빠르게 멀어진다.[1][2] 일반적으로 단독 또는 쌍으로 관찰되지만, 때때로 더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1][2] 칠레에서는 70마리 규모의 큰 무리가 관찰된 적이 있다.[1][2]

주된 먹이는 멸치, 대구, 고등어, 정어리, 메를루사와 같은 다양한 원양어류 및 어류이다.[1][2]

5. 보존 상태

IUCN은 버마이스터돌고래를 멸종 위기 종 적색 목록에서 취약근접종(Near Threatened)으로 분류하고 있다.[1] 그러나 이 종의 장기적인 생존 전망은 아직 불확실하다.[1]

다른 돌고래들처럼 버마이스터돌고래에게 가장 큰 위협은 어망에 의한 혼획이다.[1][3] 이러한 혼획은 특히 우루과이, 페루, 칠레 해역에서 자주 발생한다. 페루에서는 연간 약 2,000마리가 혼획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가장 많은 수치이다.[4] 페루에서 혼획된 돌고래는 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1] 과거 1990년대 후반까지는 식용이나 미끼, 혹은 상어의 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작살 등으로 포획되기도 했다.[1]

심각한 엘니뇨 현상 또한 버마이스터돌고래의 생존을 위협한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훔볼트 해류의 생태계가 교란되어 주요 먹이인 멸치 등이 사라지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버마이스터돌고래를 포함한 많은 해양 포유류가 다른 먹이를 찾지 못하면 굶주리게 된다.[5] 실제로 1997년 엘니뇨 발생 당시 페루 해변에서 좌초된 버마이스터돌고래들이 발견되기도 했다.[5]

국제적인 보호 노력의 일환으로, 버마이스터돌고래는 이동성 야생동물 종의 보존에 관한 협약(CMS)의 부속서 II[6]에 등재되어 있다. 이는 해당 종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거나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보호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종들을 대상으로 한다.[6]

참조

[1] 간행물 Phocoena spinipinnis 2021-11-12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Where small can have a large impact: Structure and characterization of small-scale fisheries in Peru 2010
[4] 문서 Aspects of the biology of Burmeister's Porpoise from Peru Report of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Special Issue 16.
[5] 서적 Porpoises https://archive.org/[...] Voyageur Press
[6] 웹사이트 Appendix II http://www.cms.int/d[...]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CMS)
[7] 저널 Phocoena spinipinnis http://www.iucnredli[...] IUCN 2012
[8] 문서 MSW3 Cetac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