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타 폰 주트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타 폰 주트너는 1843년 프라하에서 태어난 오스트리아의 소설가이자 평화 운동가이다. 그녀는 평화주의 소설 《무기를 내려놓으라!》를 출판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오스트리아 평화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1891년 오스트리아 평화 협회를 설립하고, 1905년에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주트너는 국제 사법 재판소 설립을 촉구하고, 헤이그 평화 회의에 참여하는 등 국제적인 평화 운동을 펼쳤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무장 경쟁에 반대하는 활동을 지속했다. 그녀는 여성 참정권 운동에도 기여했으며, 평화를 전쟁과 군국주의에 의해 손상된 자연스러운 상태로 보았다. 1914년 사망했으며, 그녀의 사상은 20세기 평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평화주의자 - 알프레트 헤르만 프리트
    알프레트 헤르만 프리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평화 운동가, 에스페란토 운동가로, 평화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독일 평화 협회 공동 창립 및 『무기를 버려라!』 잡지 발간 등의 활동을 통해 평화 운동에 헌신했으며, 국제 협력과 에스페란토 보급에 기여하여 1911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의 평화주의자 - 마르틴 부버
    마르틴 부버는 '나와 너'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화 철학을 전개하여 실존주의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 유대교 철학자이자 신학자, 교육자로서, 시오니즘 운동과 하시디즘 연구에 기여하고 히브리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 평화주의자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평화주의자 - 묵자
    묵자는 전국 시대의 사상가로, 검소함과 겸애를 강조하며 유교와 대립했고, 전쟁을 반대하며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주의 윤리학을 주창했다.
  •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 아달베르트 슈티프터
    아달베르트 슈티프터는 오스트리아의 소설가로, 자연 묘사와 인간의 조용한 삶을 그린 작품을 주로 발표했으며, 단편집 『습작집』, 『갖가지 돌』, 장편 소설 『늦여름』, 『비티코』 등을 통해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도덕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물을 묘사했다.
  •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 슈테판 츠바이크
    슈테판 츠바이크는 20세기 초 오스트리아 출신의 소설가, 극작가, 전기 작가로, 인간 심리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묘사로 유명하며, 나치 정권의 박해를 피해 망명 생활 중 아내와 함께 자살했고, 《조제프 푸셰》, 《마리 앙투아네트》, 《어제의 세계》 등의 작품을 남겼다.
베르타 폰 주트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르타 폰 주트너
베르타 폰 주트너 (1906년경)
본명베르타 소피 펠리치타스 그레핀 킨스키 폰 브흐니츠 운트 테타우
출생1843년 6월 9일
출생지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사망1914년 6월 21일 (향년 71세)
사망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직업평화주의 운동가, 소설가
배우자아르투어 군다카르 폰 주트너
수상노벨 평화상, 1905년
서명

2. 초기 생애와 배경

베르타 폰 주트너는 1843년 프라하의 킨스키 궁전에서 오스트리아 중장(Feldmarschall-Leutnantde) 프란츠 미하엘 데 파울라 요제프 백작 킨스키 폰 비치니츠 운트 테타우와 그의 아내 소피 빌헬미네 폰 쾨르너 사이에서 태어났다.[3][4][5] 아버지는 저명한 킨스키 가문 출신이었지만, 어머니는 낮은 신분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시인 테오도르 쾨르너의 먼 친척이었다.[6]

"혼혈" 혈통 때문에 오스트리아 고위 귀족 사회로부터 배척받았고, 셋째 아들이라 상속받을 재산도 없었다. 어린 시절 브르노로 이주했고, 사촌 엘비라의 영향으로 문학과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사립 교사들에게서 외국어를 배우고, 아마추어 음악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1864년 바트 홈부르크에서 조지아 귀족인 미그렐리아 공주 에카테린 다디아니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2세를 만났다. 오페라 가수를 꿈꿨으나 무대 공포증으로 실패했다. 1873년 오스트리아 저지대의 하르만스도르프 성((de))에서 주트너 남작 가문의 가정교사로 일하며 아르투어 군다카르 폰 주트너와 사랑에 빠졌으나, 그의 부모님의 반대에 부딪혔다. 1876년 알프레드 노벨의 비서 겸 가정부로 잠시 일하기도 했다.[20]

2. 1. 출생과 가문

베르타 폰 주트너는 1843년 6월 9일 프라하의 킨스키 궁전에서 태어났다.[3] 그녀의 아버지는 오스트리아의 중장(Feldmarschall-Leutnantde) 프란츠 미하엘 데 파울라 요제프 백작 킨스키 폰 비치니츠 운트 테타우(1769-1843)였고, 어머니는 소피 빌헬미네 폰 쾨르너(1815-1884)였다.[4][5] 아버지는 저명한 킨스키 가문 출신이었고, 어머니는 낮은 신분의 무명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시인 테오도르 쾨르너의 먼 친척이었다.[6]

베르타는 평생 동안 "혼혈" 혈통 때문에 오스트리아의 고위 귀족으로부터 배척당했다. 증조부모까지 흠 없는 귀족 혈통을 가진 사람만이 황실에 소개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셋째 아들이었기에 큰 영지나 재정적 자원을 물려받지 못해 불리했다. 베르타는 프라하의 눈의 성모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는데, 이는 귀족에게는 일반적인 선택이 아니었다.

2. 2. 교육과 성장 과정

베르타 폰 주트너는 1843년 6월 9일 프라하의 킨스키 궁전에서 태어났다.[3] 그녀의 아버지는 오스트리아의 중장(Feldmarschall-Leutnantde) 프란츠 미하엘 데 파울라 요제프 백작 킨스키 폰 비치니츠 운트 테타우(1769-1843)였고, 어머니는 소피 빌헬미네 폰 쾨르너(1815-1884)였다.[4][5]

베르타의 어머니는 남편의 동료인 요제프 폰 쾨르너(제국 육군의 기병 대위)의 딸이었고, 시인 테오도르 쾨르너의 먼 친척이었다. 어머니를 통해 베르타는 시인의 조카이자 제4대 오스트리아 대통령을 역임한 테오도르 쾨르너, 에들러 폰 지그링겐과도 친척 관계였다.[6]

베르타가 태어난 직후, 그녀의 어머니는 베르타의 후견인인 란트그라프 프리드리히 미하엘 주 퓌르스텐베르크-타이코비츠(1793-1866) 근처인 브르노로 이사했다. 1855년, 베르타의 이모와 사촌 엘비라가 집에 합류했다.[7] 엘비라는 베르타와 비슷한 나이였고 지적 추구에 관심이 있어 사촌에게 문학과 철학을 소개했다.[8] 독서 외에도 베르타는 사립 교사들의 지도하에 십 대 시절에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뛰어난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이자 가수가 되었다.[9]

1864년, 가족은 바트 홈부르크에서 여름을 보냈다. 베르타는 조지아 귀족인 미그렐리아 공주 에카테린 다디아니와 친해졌고, 그녀와 매우 먼 친척 관계인 러시아 차르 알렉산드르 2세를 만났다.[11][12] 오페라 가수가 되기 위해 1867년 파리에서, 1868년 바덴바덴에서 레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적인 계약을 확보하지 못했다. 그녀는 무대 공포증을 겪었고 공연에서 잘 표현할 수 없었다.[13][14][15]

1873년, 그녀는 오스트리아 저지대의 하르만스도르프 성 (de)에서 15세에서 20세 사이의 카를 자유 남작 폰 주트너의 네 딸의 가정교사이자 친구로 고용되었다. 그녀는 곧 소녀들의 오빠인 남작 아르투어 군다카르 폰 주트너(1850–1902)와 사랑에 빠졌는데, 그는 그녀보다 7살 연하였다. 그들은 약혼했지만 그의 부모의 반대로 결혼할 수 없었다. 1876년, 고용주의 격려로 그녀는 신문 광고에 응했고, 그 결과 파리에서 알프레드 노벨의 비서이자 가정부로 잠시 일하게 되었다.[20]

3. 결혼과 조지아 생활

베르타는 후견인과 사촌이 사망한 후,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고 어머니의 괴팍한 성격에 억눌려 지내다가 1873년 주트너 가문의 가정교사로 일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아르투어 폰 주트너와 사랑에 빠져 비밀 결혼을 하고 러시아 제국 조지아 밍그렐리아 공국으로 이주했다.[22]

조지아에서 부부는 다디아니 가문과의 연줄을 활용하려 했으나, 쿠타이시에서 언어와 음악을 가르치며 어려운 생활을 했다.[23]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하자 남편 아르투어는 전쟁 관련 기사를 썼고, 베르타는 오스트리아 언론에 글을 기고하며 초기 소설 작업을 했다.[24][25]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부부는 작가로서 생계를 유지했다. 1882년 트빌리시로 이주한 후, 베르타는 미하엘 게오르크 콘라트의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에밀 졸라의 자연주의를 옹호하는 글을 썼고, 1883년에는 ''영혼의 목록''(Inventarium einer Seele)을 출판하여 기술 발전에 따른 세계 평화의 불가피성을 주장했다.[25]

1884년 어머니 사망 후, 부부는 조지아 서사시 ''표범 가죽을 입은 기사'' 번역에 참여했으나, 불가리아 위기로 인한 반 오스트리아 정서 때문에 1885년 오스트리아로 돌아왔다.[25]

3. 1. 아르투어 폰 주트너와의 만남과 결혼

2013년 하르만스도르프 성


베르타는 1873년, 자유 남작 카를 폰 주트너 가문의 네 딸의 가정교사이자 친구로 고용되었다.[17] 주트너 가문은 1년 중 3계절을 비엔나 이네레 슈타트에서 보냈고, 여름에는 오스트리아 저지대의 하르만스도르프 성에서 보냈다.[18] 그녀는 네 명의 어린 제자들과 좋은 관계를 맺었고, 제자들은 그녀의 체격 때문에 "불로트"(뚱뚱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는데, 훗날 그녀는 이를 "B. Oulot"이라는 필명으로 사용하게 된다.[18][19]

그녀는 곧 소녀들의 오빠이자 그녀보다 7살 연하인 아르투어 군다카르 폰 주트너|아르투어 군다카르 폰 주트너de(1850–1902) 남작과 사랑에 빠졌다. 그들은 약혼했지만, 그의 부모의 반대로 결혼할 수 없었다. 1876년, 고용주의 격려로 그녀는 신문 광고에 응했고, 그 결과 파리에서 알프레드 노벨의 비서이자 가정부로 잠시 일하게 되었다.[20] 고용된 몇 주 동안 그녀와 노벨은 우정을 쌓았고, 노벨은 구애를 했을 수도 있다.[21] 그러나 그녀는 아르투어에게 헌신했고, 곧 비엔나로 돌아와 굼펜도르프의 성 아에기드 교회에서 비밀리에 그와 결혼했다.[22]

3. 2. 조지아에서의 삶과 문학 활동

알프레드 노벨의 비서로 잠시 일한 후, 주트너는 남편과 함께 러시아 제국 서부 조지아 밍그렐리아 공국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과거 통치 가문인 다디아니 가문과의 연줄을 활용하려 했지만, 쿠타이시에서 현지 귀족 자녀들에게 언어와 음악을 가르치며 어려운 생활을 했다.[23]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발발 후, 남편 아르투어는 전쟁 관련 기사를 노이에 프라이에 프레스에 기고했고, 주트너는 오스트리아 언론에 글을 기고하며 초기 소설 작업을 했다.[24][25]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부부는 작가로서 생계를 유지하기 시작했다. 아르투어는 주로 지역적인 주제를 다룬 반면, 주트너는 조지아 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은 글을 썼다.[25] 1882년 에카테리네 다디아니(Ekaterine Dadiani) 사망 후, 트빌리시로 이주하여 다양한 일을 하며 글쓰기에 집중했다. 주트너는 미하엘 게오르크 콘라트의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에밀 졸라의 자연주의를 옹호하는 글을 썼고, 1883년에는 기술 발전에 따른 세계 평화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는 ''영혼의 목록''(Inventarium einer Seele)을 출판했다.[25]

1884년 어머니 사망 후, 부부는 조지아 서사시 ''표범 가죽을 입은 기사'' 번역 작업에 참여했지만, 불가리아 위기로 인해 조지아 내 반(反) 오스트리아 정서가 고조되자 1885년 5월 오스트리아로 돌아와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의 하르만스도르프 성에서 살았다.[25]

4. 평화 운동의 시작

베르타 폰 주트너는 오스트리아로 돌아온 후 저널리즘 활동을 계속하며 평화와 전쟁 문제에 집중했다. 프랑스 철학자 에르네스트 르낭과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1880년 호지슨 프랫이 설립한 국제 중재 및 평화 협회의 영향을 받았다.

1896년의 주트너


주트너는 귀족 사회의 인맥과 알프레드 노벨과 같은 부유한 개인과의 친분을 이용하여 국제적인 국가 원수들에게 접근하고,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인기를 얻었다. 작품의 재정적 성공을 높이기 위해 초기에는 남성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자신의 메시지를 대중에게 알리거나 자신의 책, 행사 및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종종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37] 그녀는 평화주의 외에도 종교와 성(性) 문제에 대해서도 글을 썼다.

4. 1. 《무기를 내려놓으시오!》 출간과 반향

1889년, 주트너는 평화주의 소설 《Die Waffen nieder!》(번역: "무기를 내려놓으시오!")를 출판하여 평화 운동의 주요 인물이 되었고, 오스트리아 평화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33] 이 책은 37판이 출판되었고 12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국제 의회 연합 창설을 목격했고, 1891년 노이에 프라이에 프레세 사설에서 오스트리아 ''게젤샤프트 데어 프리덴스프레운데''(평화의 친구들) 평화주의 단체 설립을 촉구했다. 주트너는 이 단체의 회장이 되었고, 이듬해 독일 평화 협회도 설립했다. 1892년부터 1899년까지는 자신의 책 이름을 딴 국제 평화주의 저널 《Die Waffen nieder!》의 편집자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33] 1897년,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게 국제 사법 재판소 설립을 촉구하는 서명 명단을 제출했고, 테오도르 헤르츨의 도움으로 1899년 제1차 헤이그 협약에 참여했다. 헤르츨은 시온주의 신문 디 벨트의 특파원 자격으로 그녀의 여행 경비를 지불했다.[33]

레프 톨스토이는 주트너의 소설을 해리엇 비처 스토의 작품과 비교하며, 두 작가 모두 이상주의적 목적을 위해 오락을 활용했다고 평가했다.[38]

5. 평화 운동의 확장과 국제적 활동

베르타 폰 주트너는 1902년 남편이 사망한 후 하르만스도르프 성을 팔고 비엔나로 돌아왔다. 1904년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여성 회의에서 연설했고, 7개월 동안 미국을 여행하며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 평화 회의에 참석하고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만났다.

알프레드 노벨과의 개인적인 만남은 짧았지만, 1896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폰 주트너가 그의 유언에서 평화상을 포함하기로 한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1905년 12월 10일, 베르타 폰 주트너는 전쟁에 기반한 국제 질서 구축에 도움을 준 토비아스 아세르(1838–1913)와 함께 다섯 번째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1906년 4월 18일 크리스티아니아에서 열렸다.

마르그리트 마틴의 상상화와 1912년 베르타 폰 주트너의 사진. 승리한 주트너가 "국제 평화 조약 / 영국 / 프랑스 / 미국"이라고 적힌 두루마리를 들고 있다. 한쪽 구석에는 "전쟁"이라고 적힌 패배한 전사의 모습이 웅크리고 있다. 부러진 칼과 방패가 땅에 놓여 있고, 부서진 군함들이 얽혀 있다. 상단에는 1912년 10월 20일 ''세인트루이스 포스트-디스패치''의 신문 헤드라인이 있다.


1908년 런던에서 열린 국제 평화 회의에 참석하여 훗날 주트너의 첫 번째 전기를 쓸 캐롤라인 플레이네를 처음 만났다.[35]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주트너는 국제 무장에 반대하는 운동을 계속했다. 1911년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의 자문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36] 1914년 6월 21일 으로 사망했고, 7일 후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9월에 열릴 예정이었던 평화 회의는 열리지 못했다.

주트너의 평화주의이마누엘 칸트, 헨리 토머스 버클, 허버트 스펜서, 찰스 다윈, 레프 톨스토이(톨스토이는 ''무기를 내려놓아라!''를 칭찬했다)의 저작에 영향을 받았다. 평화전쟁군국주의에 의해 손상된 자연스러운 상태로 간주하여 평화를 위한 권리는 국제법에 따라 요구될 수 있으며, 진화론적 다윈주의적 역사관의 맥락에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트너는 존경받는 저널리스트였으며, 한 역사가가 그녀를 "가장 통찰력 있고 능숙한 정치 평론가"라고 묘사했다.[37]

덴하흐(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는 1899년에 제1회, 1907년에 제2회를 개최했다. 1903년에는 "국제 평화 연구회"를 개설(모나코)했다. 1904년 처음 미국을 방문하여 보스턴 세계 평화 회의에 참석하고 워싱턴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을 알현했다. 1912년에는 두 번째로 미국을 방문했다.

자서전 『무기를 버려라』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평화주의"라는 말을 소개했다.[49]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페미니스트들은 보수파와 급진파 모두 전쟁을 시민임을 증명할 기회로 여겼다.[49] 가족의 남성이 전사하거나 부상병이 되어 돌아오면서 많은 가정이 경제적으로 곤궁해졌다. 이러한 여성들을 돕기 위해 게르트루트 보이머(Gertrud Bäumer 1873년-1954년)Gertrud Bäumer|게르트루트 보이머de와 보수파 여성 운동 대표 헤드비히 헤일(Hedwig Heyl 1850년-1934년)이 협력하여 전국 부인 봉사단(NFD)을 설립, 수프 식당, 주택 및 보건 마련, 임산부 간호 및 생활 지원, 육아와 부업 알선 등을 조직했다.[49]

1915년 헤이그 국제 여성 평화 회의에서 참가자 중 반전파인 아니타 아우크스부르크(Anita Augspurg 1857년–1943년)와 리다 구스타바 하이만(Lida Gustava Heymann 1868년–1943년)은 전쟁에 격렬히 항의했다.[49] 같은 해 베른 국제 사회주의 여성 회의에 참석한 클라라 체트킨(1857년–1933년)은 프롤레타리아 여성 운동의 입장에서 전쟁을 비난하여 체포 구금되었고, 출소 후에도 당국의 감시를 받았다.[49]

5. 1. 오스트리아 평화 협회 설립과 활동

베르타 폰 주트너는 오스트리아로 돌아온 후 저널리즘 활동을 계속하며 평화와 전쟁 문제에 집중했다. 프랑스 철학자 에르네스트 르낭과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1880년 호지슨 프랫이 설립한 국제 중재 및 평화 협회의 영향을 받았다.

1889년, 주트너는 자신의 평화주의 소설 ''Die Waffen nieder!''(번역: "무기를 내려놓아라!")를 출판하며 평화 운동의 주요 인물이 되었고, 이로 인해 오스트리아 평화 운동의 선구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책은 37판으로 출판되었고 12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국제 의회 연합의 창설을 목격했고, 1891년 ''노이에 프라이에 프레세'' 사설에서 오스트리아 ''게젤샤프트 데어 프리덴스프레운데''(평화의 친구들) 평화주의 단체의 설립을 촉구했다.[33] 주트너는 회장이 되었고, 이듬해 독일 평화 협회도 설립했다. 그녀는 1892년부터 1899년까지 자신의 책에서 이름을 따온 국제 평화주의 저널 ''Die Waffen nieder!''의 편집자로 국제적으로 알려졌다. 1897년, 그녀는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게 국제 사법 재판소의 설립을 촉구하는 서명 명단을 제출했고, 테오도르 헤르츨의 도움을 받아 1899년 제1차 헤이그 협약에 참여했다. 헤르츨은 시온주의 신문 디 벨트의 특파원 자격으로 그녀의 여행 경비를 지불했다.[33]

5. 2. 헤이그 평화 회의 참여와 비판

1899년, 테오도르 헤르츨의 도움으로 제1차 헤이그 협약에 참여했다. 헤르츨은 시온주의 신문 디 벨트의 특파원 자격으로 그녀의 여행 경비를 지불했다.[33] 1907년, 폰 주트너는 제2차 헤이그 평화 회의에 참석한 유일한 여성이었다. 폰 주트너는 1907년 회의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고, 다가올 전쟁을 경고하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34]

> (...) 우리 유럽이 폐허와 실패의 전시장으로 전락할 것인가, 아니면 이 위험을 피하고 더 빨리 안전한 평화와 법의 시대에 진입하여 상상할 수 없는 영광의 문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의 많은 측면이 제2차 헤이그 회의에서 논의되어야 할 내용이며, 해상에서의 전쟁법 및 관행, 항구, 도시 및 마을의 폭격, 기뢰 부설 등에 관한 제안된 주제가 아닙니다. 이 의제의 내용은 전쟁을 받아들이는 기존 사회 구조의 지지자들이 전쟁의 성격을 수정하기 위해 평화 회의에 오지만, 기본적으로 현재 시스템을 유지하려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무렵, 그녀는 세계 평화의 또 다른 독일 챔피언인 안나 B. 에크스타인과 교류했는데, 에크스타인은 제2차 헤이그 평화 회의의 의제에 영향을 미쳤다.[35]

6. 노벨 평화상 수상과 말년

베르타 폰 주트너는 1905년 12월에 노벨 평화상 수상이 승인되었고, 1906년 봄에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를 방문하여 상을 받았다.[50]

6. 1. 노벨 평화상 수상(1905년)

1905년 12월에 주트너의 노벨 평화상 수상이 승인되었다. 주트너는 1906년 봄,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를 방문하여 상을 받았고[50],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종단하며 강연 여행을 했다.

7. 사상과 신념

주트너는 생계를 위해 원치 않는 글을 써야 할 때도 있었지만, 그러한 글에서도 평화와 관용이라는 그녀의 정치적 이상은 드러났다. 귀족 사회와의 인맥, 알프레드 노벨과 같은 부유한 개인과의 친분을 통해 자신의 이상을 홍보하고 작품의 인기를 높였다. 초기에는 남성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자신의 메시지를 알리고 책, 행사,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저널리스트로도 활동했다.

해리엇 비처 스토와 주트너는 이상주의적 목적을 위해 오락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38] 주트너에게 평화와 모든 개인에 대한 수용은 가장 중요한 이상이었다.

주트너는 평화주의 외에도 종교와 성(性) 문제에 대해서도 글을 썼다. 그녀는 일부 종교적 관습의 과장된 화려함을 비판하고,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종교를 이용하는 것을 비판했다. 《무기를 버려라》에서는 황제 부부가 가난한 사람들의 발을 씻겨주는 의식을 "정말로 가짜 세족식"[39]이라고 묘사하며 종교적 위선을 지적했다. 또한, 전쟁을 신의 뜻으로 포장하고 종교를 전쟁의 구실로 삼는 것을 비판하며, 이는 국가를 개인보다 우선시하고 전쟁에서의 죽음을 미화한다고 주장했다.

주트너 부부는 종교적 차이에 따른 분열과 갈등을 거부했다.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남편 아르투어는 반유대주의에 반대하는 연맹을 설립했다.[40] 주트너는 "종교는 이웃에 대한 사랑이지 이웃에 대한 증오가 아니다."라며 모든 신앙에 대한 포용을 촉구했다.[32]

폰 주트너는 여성 해방 운동의 지도자로 여겨진다.[41] 그녀는 여성이 침묵해야 했던 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냈지만, 여성 참정권 운동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다. 대신 국제 평화 운동에서 다른 여성들과 협력하는 데 집중했지만, 여성 참정권 운동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04년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여성 회의'에 주요 참가자로 참여하기도 했다.[34]

폰 주트너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협력해야 평화를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성 평등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인류의 지속적인 고귀함을 위한 과제는 남녀가 공정하고 평등하게 협력해야만 달성할 수 있다"라고 썼다.[34]

《무기를 버려라》에서 주인공 마르타는 아들이 전쟁에 대한 남성적인 관념을 배우는 것을 반대하고, 재혼을 강요받는 등 여성적인 틀에 갇히는 것에 저항한다.[39] 또한, 틸링이라는 등장인물은 남성 역시 "자기 보존 본능", "동정심", "감상주의"를 억눌러야 하는 남성적인 틀에 갇혀 있음을 보여준다.[39]

7. 1. 평화주의

베르타 폰 주트너는 오스트리아로 돌아온 후 저널리즘 활동을 계속하며 평화와 전쟁 문제에 집중했다. 프랑스 철학자 에르네스트 르낭과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1880년 호지슨 프랫이 설립한 국제 중재 및 평화 협회의 영향을 받았다.

1889년, 주트너는 평화주의 소설 ''Die Waffen nieder!''(번역: "무기를 내려놓아라!")를 출판하여 평화 운동의 주요 인물이 되었고, 오스트리아 평화 운동의 선구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책은 37판 출판되었고 12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국제 의회 연합의 창설을 목격했고, 1891년 ''노이에 프라이에 프레세'' 사설에서 오스트리아 ''게젤샤프트 데어 프리덴스프레운데''(평화의 친구들) 평화주의 단체의 설립을 촉구했다. 주트너는 회장이 되었고, 이듬해 독일 평화 협회도 설립했다. 1892년부터 1899년까지 자신의 책에서 이름을 따온 국제 평화주의 저널 ''Die Waffen nieder!''의 편집자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897년,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에게 국제 사법 재판소 설립을 촉구하는 서명 명단을 제출했고, 테오도르 헤르츨의 도움을 받아 1899년 제1차 헤이그 협약에 참여했다. 헤르츨은 시온주의 신문 디 벨트의 특파원 자격으로 그녀의 여행 경비를 지불했다.[33]

1902년 남편이 사망한 후, 주트너는 하르만스도르프 성을 팔고 비엔나로 돌아왔다. 1904년 베를린에서 국제 여성 회의에서 연설했고, 7개월 동안 미국을 여행하며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 평화 회의에 참석하고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만났다.

알프레드 노벨과의 개인적인 만남은 짧았지만, 1896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서신을 주고받았고, 폰 주트너가 그의 유언에서 평화상을 포함하기로 한 그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베르타 폰 주트너는 1905년 12월 10일, 평화가 아닌 전쟁에 기반한 국제 질서 구축에 도움을 준 동료 법학자 토비아스 아세르(1838–1913)와 함께 다섯 번째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1906년 4월 18일 크리스티아니아에서 열렸다.

1907년, 폰 주트너는 제2차 헤이그 평화 회의에 참석한 유일한 여성이었다. 이 회의는 주로 전쟁법과 관련된 것이었다. 폰 주트너는 1907년 회의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고, 다가올 전쟁을 경고했다. 그녀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유럽이 폐허와 실패의 전시장으로 전락할 것인가, 아니면 이 위험을 피하고 더 빨리 안전한 평화와 법의 시대에 진입하여 상상할 수 없는 영광의 문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의 많은 측면이 제2차 헤이그 회의에서 논의되어야 할 내용이며, 해상에서의 전쟁법 및 관행, 항구, 도시 및 마을의 폭격, 기뢰 부설 등에 관한 제안된 주제가 아니다. 이 의제의 내용은 전쟁을 받아들이는 기존 사회 구조의 지지자들이 전쟁의 성격을 수정하기 위해 평화 회의에 오지만, 기본적으로 현재 시스템을 유지하려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de [34]

이 무렵, 그녀는 세계 평화의 또 다른 독일 챔피언인 안나 B. 에크스타인과 교류했는데, 에크스타인은 제2차 헤이그 평화 회의의 의제에 영향을 미쳤다. 1년 후 그녀는 런던에서 열린 국제 평화 회의에 참석했는데, 여기서 그녀는 훗날 주트너의 첫 번째 전기를 쓸 영국 반전 운동가 캐롤라인 플레이네를 처음 만났다.[35]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주트너는 국제 무장에 반대하는 운동을 계속했다. 1911년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의 자문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36] 그녀는 생애 마지막 몇 달 동안 으로 고통받으면서 1914년 9월에 열릴 예정이었던 다음 평화 회의를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1914년 6월 21일 암으로 사망했고, 7일 후 그녀의 조국의 왕위 계승자인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회의는 열리지 못했다.

주트너의 평화주의이마누엘 칸트, 헨리 토머스 버클, 허버트 스펜서, 찰스 다윈레프 톨스토이(톨스토이는 ''무기를 내려놓아라!''를 칭찬했다)의 저작에 영향을 받았으며, 평화전쟁군국주의의 인간적 일탈에 의해 손상된 자연스러운 상태로 간주했다. 그 결과, 그녀는 평화를 위한 권리는 국제법에 따라 요구될 수 있으며, 진화론적 다윈주의적 역사관의 맥락에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트너는 존경받는 저널리스트였으며, 한 역사가가 그녀를 "가장 통찰력 있고 능숙한 정치 평론가"라고 묘사했다.[37]

7. 2. 종교와 성에 대한 관점

베르타 폰 주트너는 작품에서 종교와 성(性)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자주 다루었다.

종교에 관해서는 두 가지 주요 문제를 제기했다. 첫째, 일부 종교적 관습의 화려함과 웅장함을 비판했다. 《무기를 버려라》에서는 황제 부부가 가난한 사람들의 발을 씻겨주는 의식을 묘사하며, 이를 "정말로 가짜 세족식"[39]이라고 지적했다. 둘째, 전쟁을 하느님의 뜻으로 정당화하고 종교를 전쟁의 명분으로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 그녀는 이러한 논리가 국가를 개인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전쟁에서의 죽음을 미화한다고 주장했다.

주트너 부부는 종교적 차이에 따른 분열과 싸움에 반대했다.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남편 아르투어는 반유대주의에 반대하는 연맹을 설립했다.[40] 주트너는 "종교는 이웃에 대한 사랑이지 이웃에 대한 증오가 아니다."라며 모든 신앙에 대한 포용을 촉구했다.[32]

폰 주트너는 여성 해방 운동의 지도자로 여겨지기도 한다.[41] 그녀는 여성이 침묵해야 했던 사회에서 목소리를 높였지만, 여성 참정권 운동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국제 평화 운동의 다른 여성들과 협력하는 데 집중했지만, 여성 참정권 운동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04년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여성 회의'에 주요 참가자로 참여하기도 했다.[34]

폰 주트너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협력해야 평화를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그녀는 성 평등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인류의 지속적인 고귀함을 위한 과제는 남녀가 공정하고 평등하게 협력해야만 달성할 수 있다"라고 썼다.[34]

《무기를 버려라》에서 주인공 마르타는 아들이 전쟁에 대한 남성적인 관념을 배우는 것을 반대하고, 재혼을 강요받는 등 여성적인 틀에 갇히는 것에 저항한다.[39] 또한, 틸링이라는 등장인물은 남성 역시 "자기 보존 본능", "동정심", "감상주의"를 억눌러야 하는 남성적인 틀에 갇혀 있음을 보여준다.[39]

8. 유산과 영향

주트너는 생전에 경제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지만, 그녀의 업적은 평화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190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또한 여러 동전과 우표에 기념되었다.

종류내용
2008 유럽 탈러마르틴 루터, 안토니오 비발디, 제임스 와트와 함께 주트너를 주요 모티프로 선정.
10유로 은화노벨상 수상 100주년을 기념하여 독일에서 발행.[42]
오스트리아 유로 동전의 2유로 동전주트너의 초상이 새겨짐.
구 오스트리아 1,000 실링 지폐주트너의 초상이 등장.
우표1965년 오스트리아 우표와 2005년 독일 우표에 기념됨.
구글 두들2019년 12월 10일, 구글은 그녀를 구글 두들로 기념.[43]
동상비엔나와 그라츠에 그녀를 기리는 동상이 있음.



노르디스크 영화사(위키데이터)는 1914년에 《Die Waffen nieder》(가제 《무기를 버려라》)를 발표했다. 홀거 마드센 감독, 제작 보조는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였다.[54][55]

주트너를 주역으로 한 1952년 영상 작품은 《No Greater Love》(원제는 《Herz der Weltde》)이다.[56]

2014년에는 전기 드라마 《Eine Liebe für den Frieden – Bertha von Suttner und Alfred Nobelde》이 ORF・Degeto・BR의 합작으로 제작되었다. 이 드라마의 원안은 아르헨티나 극작가 에스터 빌라르의 희곡 『Mr. & Mrs. Nobel』이다.

9. 대표 저서


  • Das Maschinenalter entsteht|다스 마쉬넨알터 엔트슈테트de (1889년)
  • Die Waffen nieder!|디 바펜 니더!de (1889년) → 무기를 내려놓으시오!
  • Einsam und arm|아인잠 운트 아름de (1896년 드레스덴)
  • Die Haager Friedenskonferenz|디 하거 프리덴스콘페렌츠de (1900년 라이프치히)
  • Die Entwicklung der Friedensbewegung|디 엔트비클룽 데어 프리덴스베베궁de (1907년 라이프치히)
  • Randglossen zur Zeitgeschichte|란트글로센 추어 차이트게쉬히테de (1892년-1900년, 1907년-1914년)
  • Rüstung und Überrüstung|뤼스퉁 운트 위버뤼스퉁de (1909년 베를린)
  • Der Menschheit Hochgedanken|데어 멘쉬하이트 호흐게당켄de (1911년 베를린)
  • Die Barbarisierung der Luft|디 바바리지룽 데어 루프트de (1912년 베를린) → 하늘의 만행[53]

참조

[1] 문서 Gräfin Kinsky von Wchinitz und Tettau
[2] 웹사이트 List of female recipients of the Nobel Prize https://www.nobelpri[...]
[3] 문서 Hamann, p. 1
[4] 문서 Hamann, p. 2
[5] 웹사이트 Biographical Dictionary of All Austrian General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ary and Napoleonic Wars, 1792–1815: Kinsky von Wchinitz und Tettau, Franz de Paula Joseph Graf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6] 문서 Kempf, pp. 7–8
[7] 문서 Playne, p. 16
[8] 문서 Hamann p. 5
[9] 문서 Hamann pp. 9–10
[10] 문서 Hamann pp. 5–6
[11] 문서 Hamann p. 11
[12] 웹사이트 Bertha - Gräfin Kinská z Vchynic a Tetova https://www.genealog[...]
[13] 문서 Playne, p. 29
[14] 문서 Kemf, p. 9
[15] 문서 Hamann p. 13
[16] 문서 Hamann p. 15
[17] 문서 Playne, p. 28
[18] 문서 Hamann pp. 18–19
[19] 문서 Playne, p. 45
[20] 문서 Hamann, p. 24
[21] 문서 Hamann, p. 26
[22] 문서 Hamann, p. 27
[23] 문서 Hamann pp. 30–31
[24] 문서 Hamann, pp. 32–33
[25] 문서 Hamann, pp. 34–37
[26] 문서 Hamann, p. 37
[27] 문서 Kempf, pp. 15–16
[28] 문서 Hamann, pp. 40–41
[29] 문서 Hamann, pp. 42–43
[30] 문서 Suttner could not recall the journalist's full name when writing her memoirs, and his identity is unknown.
[31] 문서 Hamann, p. 45
[32] 서적 Memoirs of Bertha Von Suttner: The Records of an Eventful Life. Authorized Translation Nabu Press
[33] 간행물 Theodor Herzl and bertha von Suttner: Criticism, collaboration and utopianism
[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men's Day: Janne Nijman puts the spotlight on peace activist Bertha von Suttner (1843 - 1914) https://www.asser.nl[...] 2019-03-08
[35] 웹사이트 Playne, Caroline Elizabeth (1857–1948) http://www.oxforddnb[...]
[36] 간행물 Suttner, Bertha https://archive.org/[...]
[37] 서적 Bertha von Suttner Pergamon
[38] 논문 Bertha von Suttner as Author: The Harriet Beecher Stowe of the Peace Movement 1991-01
[39] 서적 Lay Down Your Arms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40] 서적 All her Paths were Peace: The Life of Bertha von Suttner Thomas Nelson Publishers
[41] 논문 Bertha von suttner's spiritual daughters: the feminist pacifism of Anita Augspurg, Lida Gustava Heymann, and Helene Stöcker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Women at The Hague, 1915 1995
[42] 웹사이트 100 years of the Nobel Prize awarded to Bertha von Suttner, 10 Euro silver coin 2005, Proof https://www.stamps-s[...] 2022-07-04
[43] 웹사이트 Celebrating Bertha von Suttner https://doodles.goog[...] 2019-12-10
[44] 논문 Film As Antiwar Propaganda
[45] 웹사이트 Ned med Vaabnene https://www.imdb.com[...] 1915-09-18
[46] 웹사이트 Herz der Welt https://www.imdb.com[...] 1952-02-29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웹사이트 100 years of the Nobel Prize awarded to Bertha von Suttner, 10 Euro silver coin 2005, Proof https://www.stamps-s[...] 2022-07-04
[52] 웹사이트 ベルタ・フォン・ズットナーを称えて/Celebrating Bertha von Suttner https://www.google.c[...] Google 2023-02-18
[53] 서적
[54] 논문 Film As Antiwar Propaganda
[55] 웹사이트 Ned med Vaabnene tt0004387 2023-02-18
[56] 웹사이트 Herz der Welt tt0043635 2023-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