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체트 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체트병은 혈관의 자가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1936년 터키의 피부과 의사 훌루시 베체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질환은 구강 궤양, 생식기 궤양, 피부 병변, 눈의 염증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며, 중동 및 실크로드 주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베체트병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LA-B51 유전자와의 연관성이 높다. 진단은 임상 증상과 피부 반응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증상 완화와 면역계 조절에 초점을 맞춘다. 눈 침범이 심각한 경우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관해와 재발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가 면역 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활막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질병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진단에는 류마티스 인자와 항CCP 항체가 사용되고 메토트렉세이트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자가 면역 질환 - 크론병
크론병은 위장관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면역계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복통, 설사,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 요법, 영양 요법,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완치 치료법은 없다.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 염증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염증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베체트 병 | |
---|---|
질병 개요 | |
이름 | 베체트 병 |
영어 이름 | Behçet's disease, Behçet's syndrome |
기타 이름 | 베체트 증후군 모bus 베체트 (Morbus Behçet) 실크 로드 병 |
임상 정보 | |
분야 | 류마티스학 면역학 |
증상 | 입 안의 궤양 생식기 궤양 눈의 염증 관절염 만성 피로 |
합병증 | 실명 관절 염증 혈전 동맥류 |
발병 연령 | 20대 ~ 40대 |
지속 기간 | 장기적 |
원인 및 진단 | |
원인 | 알려지지 않음 |
진단 | 증상 기반 |
감별 진단 | 반응성 관절염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스위트 증후군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해당 사항 없음 |
약물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 억제제 |
예후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전되는 경우가 많음 |
빈도 및 통계 | |
빈도 | 희귀 (미국, 유럽), 더 흔함 (중동, 아시아) |
식별 정보 | |
DiseasesDB | 1285 |
ICD-9 | , |
OMIM | 109650 |
MeSH ID | D001528 |
이미지 | |
![]() |
2. 역사
최초의 현대적 공식 설명은 H. 플래너와 F. 레메노프스키가 1922년 ''피부과학 및 매독 아카이브''에 게재하였다.[49] 베체트병은 1924년 환자 한 명에게서 세 가지 주요 증상을 처음 인지하고 1936년 ''피부 및 성병 저널''에 이 질병에 대한 연구를 보고한 터키인 피부과 의사이자 과학자인 훌루시 베체트(1889–1948)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9][50] 이 명칭(''모르부스 베체트'')은 1947년 9월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피부과학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이 질병의 증상은 히포크라테스가 기원전 5세기에 그의 저서 ''역병론''(3권, 사례 7)에서 기술했을 수 있다.[51]
베체트 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로 혈관의 자가 염증 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11] 이 질환은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환자 자신의 면역 체계가 자신의 신체를 공격하는 과도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주된 손상 기전이다. 특히, Th17로 알려진 T 세포의 하위 집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12]
일부 자료에서는 베네딕토스 아다만티아데스의 연구에 대해 "아다만티아데스 증후군" 또는 "아다만티아데스-베체트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52] 그러나 현재 세계 보건 기구/ICD-10 표준은 "베체트병"이다. 1991년, 사우디 아라비아 의료 연구원들은 베체트병의 신경학적 연관성을 설명하는 신경베체트병을 기술했으며,[53] 이는 이 질병의 가장 파괴적인 징후 중 하나로 여겨진다.[54] 그 기전은 면역 매개 또는 혈전성일 수 있다.[55] 이 용어는 적어도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6] 튀르키예 의사 훌루시 베체트에 의한 1937년 보고가 최초이며[57],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역사학자에 따르면, 히포크라테스의 저서에 이 질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있다고 한다.[58]
3. 원인
베체트 병에서 면역 체계가 왜 이러한 이상 반응을 보이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환자의 직계 가족에서 발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전의 감염이 베체트 병의 자가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열충격 단백질(HSP)은 일부 박테리아에 존재하며 면역 체계에 "위험 신호"로 작용한다. 그러나 일부 HSP는 박테리아와 인간 사이에서 유사성을 공유한다.[13] ''S. sanguinis'' 및 ''S. pyogenes''를 포함한 ''Streptococci''와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생성된 HSP를 표적으로 하는 항-HSP60 및 항-HSP65 항체는 인간 HSP를 표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포도막염 및 뇌 실질 신경-베체트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과 관련된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14]
염색체 7의 장완(7q36.1)에 있는 GIMAP ("면역 관련 단백질의 GTPase") 유전자군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었다.[15] 베체트병과 관련된 단일 염기 다형성의 유전자 위치는 ''GIMAP1'', ''GIMAP2'' 및 ''GIMAP4''를 포함한다.[15]
3. 1. 유전적 요인
HLA-B51과 베체트 병의 발병과의 관련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있다고 해서 이 질환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것이 없어도 이 질환이 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61] 다른 교원병에서도 마찬가지지만, HLA와의 유전적 관련성은 HLA-B51과 연쇄 불평형에 있는 진짜 원인 유전자 다형성을 나타낼 뿐일지도 모르며, HLA-B52도 관련성이 시사되고 있다.
TYK2, Jak2 상류의 IL-12 수용체, IL-23 수용체에서의 SNP 변이도 보고되고 있다.[62]
3. 2. 환경적 요인
베체트 병의 발병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특히 실크로드 주변 지역에서 이 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의 특정한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베체트 병 환자들이 마이코박테리움(결핵균 등)의 열 충격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열 충격 단백질에 대한 molecular mimicry|분자 모방영어이 베체트 병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던 실크로드 지역의 특성상 특정 유전 인자가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동, 아시아에서 일본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HLA-B51 양성 환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61] HLA-B51과 베체트 병 발병 사이의 강한 연관성이 알려져 있지만, HLA-B51을 가진 모든 사람이 베체트 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HLA-B51이 없어도 베체트 병에 걸리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다른 교원병과 마찬가지로, HLA-B51과의 유전적 연관성은 실제 원인 유전자 다형성을 나타낼 뿐일 가능성도 있으며, HLA-B52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체트 병 환자의 홍반 부위 조직에서는 호중구 침윤과 phospho-STAT-3 양성 세포가 관찰되어, Jak-Stat 경로의 관여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TYK2, Jak2 상류의 IL-12 수용체, IL-23 수용체에서의 SNP 변이도 보고되었다.[62]
편도염이 베체트 병 발병의 계기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63], 구강 아프타를 유발하는 경우에는 Streptococcus sanguinis|Streptococcus sanguinis영어라는 그람 양성 구균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고 있다.[64]
4. 병인
베체트병의 병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로 혈관의 자가 염증이 특징이다.[11] 주된 손상 기전은 자가 면역이며, 이는 환자 자신의 신체를 공격하는 과도한 면역 체계와 관련이 있다. Th17로 알려진 T 세포의 하위 집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12]
이전의 감염이 베체트병에서 나타나는 자가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열충격 단백질(HSP)은 일부 박테리아에 존재하며 면역 체계에 "위험 신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부 HSP는 박테리아와 인간 사이에서 유사성을 공유한다.[13] ''S. sanguinis'' 및 ''S. pyogenes''를 포함한 ''Streptococci''와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생성된 HSP를 표적으로 하는 항-HSP60 및 항-HSP65 항체는 인간 HSP를 표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포도막염 및 뇌 실질 신경-베체트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과 관련된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14]
염색체 7의 장완(7q36.1)에 있는 GIMAP ("면역 관련 단백질의 GTPase") 유전자군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었다.[15] 베체트병과 관련된 단일 염기 다형성의 유전자 위치는 ''GIMAP1'', ''GIMAP2'' 및 ''GIMAP4''를 포함한다.[15]
베체트병은 중동과 중앙아시아의 실크로드 주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져 '실크로드병'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이 질환은 이러한 지역 출신 사람들만 겪는 것은 아니다. 많은 혈청학적 연구에서 이 질환과 HLA-B51 간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HLA-B51은 중동에서 시베리아 남동부까지에서 더 자주 발견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B51의 발생률이 일반 인구보다 3배 더 높았다. 그러나 특정 SUMO4 유전자 변이가 관여하는 경우에는 B51이 질병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HLA-B27이 존재할 때 증상이 더 가볍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베체트병으로 이어지는 유사한 감염 기원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특정 균주의 ''S. sanguinis''가 상동 항원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혈관염으로 인해 시신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면 베체트병에서 급성 시신경병증과 진행성 시신경 위축증이 발생할 수 있다. 베체트병에서 중추신경계(CNS) 침범은 가장 흔하게 경막 정맥동 혈전증으로 인한 뇌내 고혈압과 그에 따른 이차적 시신경 위축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베체트병은 눈, 구강, 피부, 외음부 외에도 중추·말초 신경, 소화관, 관절, 혈관을 침범하는 전신성 질환이다. 구강 점막, 피부, 눈, 외음부에서 만성 염증이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급성 염증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며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난치성 질환이다.
베체트병은 일본, 중국, 한국 및 중동, 지중해 연안에 많아 "실크로드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59] 일본 국내 베체트병 환자 수는 약 2만 명으로, 30대 후반에 가장 많이 발병한다.[60]
본 질환의 병태는 바늘 반응으로 대표되는 호중구의 이상 활성화가 병태의 중심이 되는 혈관염이다. 그 외 호중구 외에 혈관 인자, 림프구 인자도 병태에 관여한다. 성인 스틸병, 크론병, 통풍, 가성 통풍 등과 함께 자가염증 증후군이라는 질환 개념으로 묶이기도 한다.
5. 증상
베체트병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개인마다 증상의 종류와 정도가 다르고, 재발과 완화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증상으로는 구강 궤양, 피부 병변, 눈 병변, 생식기 궤양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관절, 소화기, 신경계, 혈관계 등 다양한 부위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증상 외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폐 침범(객혈, 흉막염, 기침, 열), 신장 침범(사구체신염, 신장 아밀로이드증, IgA 신병증), 중추신경계 침범(만성 수막뇌염, 무균성 수막염, 유기적 뇌 증후군), 심혈관계 침범(대동맥판 역류, 심근 경색) 등이 있다.
5. 1. 주요 증상
베체트병 환자는 거의 모두 입안에 통증을 동반한 궤양 증상을 보인다.[4] 이는 흉터가 남지 않는 아프타성 궤양과 같은 구강 병변이다.[4] 구강 병변은 염증성 장 질환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하며 재발할 수 있다.[4] 통증을 동반한 생식기 궤양은 주로 항문, 음문, 음낭 주변에 발생하며 환자의 75%에서 흉터를 남긴다.[4] 또한, 환자는 결절성 홍반, 피부 농포 혈관염 및 괴저성 농피증과 유사한 병변을 보일 수 있다.[4]
눈의 염증은 질병 초기에 발생하여 20%의 경우 영구적인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눈의 침범은 후포도막염, 전포도막염, 망막혈관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전포도막염은 눈의 통증, 결막 충혈, 전방축농, 시력 저하로 나타나고, 후포도막염은 통증 없는 시력 저하 및 비문증으로 나타난다. 이 증후군의 드문 형태의 눈 침범은 망막혈관염으로, 비문증 또는 시야 결손과 함께 통증 없는 시력 저하로 나타난다.[4]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침범은 드물며, 일반적으로 진행성 시신경 위축 및 시력 상실로 나타난다. 그러나 급성 시신경병증(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5] 시신경 위축은 시력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베체트병은 원발성 또는 이차성 시신경 침범을 초래할 수 있다. 경막정맥동 혈전증의 결과로 나타나는 유두부종과 망막 질환으로 인한 위축은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위축의 이차적인 원인으로 특징지어졌다.
급성 시신경병증의 징후와 증상에는 한쪽 또는 양쪽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증 없는 시력 상실, 시력 저하, 색각 저하, 상대 구심성 동공 반응 결손, 중심 암점, 시신경 유두 부종, 황반 부종, 또는 후구 통증이 있다. 이러한 증상이 동시성 점막 피부 궤양과 함께 발생하면 베체트병에서 급성 시신경병증을 의심하게 한다. 진행성 시신경 위축은 시력 또는 색각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두개내 고혈압과 유두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6]
상공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눈의 충혈과 경미한 통증을 유발한다.[7]
위장관계 증상으로는 복통, 메스꺼움, 혈변 동반 또는 미동반 설사 등이 있으며, 이는 종종 말단 회장과 회맹판막을 포함한다.[4] 베체트병 환자 중 일부는 복부 압통, 팽만감, 일반적인 복부 불편감을 경험한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유사할 수 있으며, 더 심각한 경우에는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베체트병은 말단 회장과 회맹판막에 궤양을 유발한다. 궤양은 아프타성일 수도 있고, 언더마이닝(undermining)을 동반한 전형적인 천공성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최대 5cm에 이르는 선형 및 균열 궤양이 나타날 수 있다. 생검 결과 호중구성 염증 침윤을 동반한 혈관염(정맥염 또는 소정맥염)이 나타난다. 식도, 위, 대장의 침범은 드물다.
; 눈 증상
: 일본에서는 포도막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재발이라는 이 질환의 특징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며, 환자는 갑자기 시력을 잃거나, 다시 개선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자각한다. 포도막염이 심할 경우 육안으로 전방에 고이는 농을 확인할 수 있다.
; 구강 점막 증상
: 통증성 구내염(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무통성 구내염과 대조적으로 특히 강조됨)이 특징이지만, 일반적인 원인에 의한 아프타성 구내염과의 감별은 쉽지 않다. 거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난다.
; 외음부 증상
: 외음부, 즉 음경이나 음낭, 대음순, 소음순 등에 궤양이 나타난다. 이는 특징적이며, 종종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자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거나, 진단의 계기가 된다.
; 피부 증상
: 본 질환에 특징적인 피부 소견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결절성 홍반, 혈전성 정맥염, 모낭염양 발진이 동반된다. 결절성 홍반은 종종 병세와 일치하여 악화와 관해를 반복한다. 피부의 과민성이 매우 항진되어 있는 것이 본 질환의 특징이며, 종종 면도 후 얼굴이 새빨갛게 부어오른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채혈한 후, 바늘을 꽂았던 부위가 새빨갛게 부어오르는 바늘 반응이 나타난다.
5. 2. 부증상
눈의 염증성 질환은 질병 초기에 발생하여 20%의 경우 영구적인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눈의 침범은 후포도막염, 전포도막염, 또는 망막혈관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전포도막염은 눈의 통증, 결막 충혈, 전방축농, 시력 저하로 나타나고, 후포도막염은 통증 없는 시력 저하 및 비문증으로 나타난다. 이 증후군의 드문 형태의 눈 침범은 망막혈관염으로, 비문증 또는 시야 결손의 가능성과 함께 통증 없는 시력 저하로 나타난다.[4]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침범은 드물며, 일반적으로 진행성 시신경 위축 및 시력 상실로 나타난다. 그러나 급성 시신경병증(구체적으로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5] 시신경 위축은 시력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베체트병은 원발성 또는 이차성 시신경 침범을 초래할 수 있다. 경막정맥동 혈전증의 결과로 나타나는 유두부종과 망막 질환으로 인한 위축은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위축의 이차적인 원인으로 특징지어졌다.
급성 시신경병증의 징후와 증상에는 한쪽 또는 양쪽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증 없는 시력 상실, 시력 저하, 색각 저하, 상대 구심성 동공 반응 결손, 중심 암점, 시신경 유두 부종, 황반 부종, 또는 후구 통증이 있다. 이러한 증상이 동시성 점막 피부 궤양과 함께 발생하면 베체트병에서 급성 시신경병증을 의심하게 한다. 진행성 시신경 위축은 시력 또는 색각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두개내 고혈압과 유두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6]
상공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눈의 충혈과 경미한 통증을 유발한다.[7]
후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명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음 증상들이다. 자연적으로 관해되는 경우는 드물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 '''관절 증상''': 비미란성, 비대칭성 관절염을 보이며, 다발 관절염보다는 단관절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전신성 홍반 루푸스와도 유사하지 않다.
- '''부고환염''': 빈도가 높고, 특징적인 증상으로 꼽힌다.
- '''소화기 병변''': 염증성 장 질환과 혼동할 수 있는 점혈변, 수양성 설사, 심한 복통, 대장 궤양을 유발한다. 병변은 회맹부에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혈관 병변''': 정맥 병변이 많으며, 심부 정맥 혈전증이나 바드-키아리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동맥 병변은 그보다 적지만 극적인 임상 양상과 함께 잘 알려져 있으며, 대동맥염을 일으키거나, 폐동맥염으로 대량의 객혈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혈관 병변에 따른 뇌혈관 질환이나 심근 경색도 보고되고 있다.
- '''신경 병변''': 뇌신경의 국소 증상, 수막염에서 정신 증상, 심지어 말초 신경 장애까지 다양한 병변이 나타나며, 전신성 홍반 루푸스의 중추신경계 루푸스에 못지않게 다채롭다. 한편 혈관 병변이 원인으로 보이는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마비나 감각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5. 3. 기타 증상
후포도막염, 전포도막염, 망막혈관염과 같은 눈의 염증성 질환은 베체트병 초기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20%의 환자에게서 영구적인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4] 전포도막염은 눈의 통증, 결막 충혈, 전방축농, 시력 저하를 유발하고, 후포도막염은 통증 없이 시력이 저하되거나 비문증(날파리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보인다. 망막혈관염은 드물게 나타나지만, 비문증이나 시야 결손과 함께 통증 없는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4]시신경 침범은 드물지만, 진행성 시신경 위축 및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급성 시신경병증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5] 시신경 위축은 시력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5] 베체트병은 원발성 또는 이차성 시신경 침범을 유발할 수 있는데, 경막정맥동 혈전증으로 인한 유두부종과 망막 질환으로 인한 위축은 이차성 시신경 위축의 원인으로 꼽힌다.
급성 시신경병증의 증상으로는 한쪽 또는 양쪽 눈에 나타나는 통증 없는 시력 상실, 시력 저하, 색각 저하, 상대 구심성 동공 반응 결손, 중심 암점, 시신경 유두 부종, 황반 부종, 후구 통증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이 점막 피부 궤양과 함께 나타나면 베체트병의 급성 시신경병증을 의심해야 한다. 진행성 시신경 위축은 시력 또는 색각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두개내 고혈압과 유두 부종이 나타날 수도 있다.[6]
상공막염은 시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눈의 충혈과 경미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7]
위장관계 증상으로는 복통, 메스꺼움, 혈변 동반 또는 미동반 설사 등이 있으며, 종종 말단 회장과 회맹판막을 포함한다.[4] 일부 환자는 복부 압통, 팽만감, 일반적인 복부 불편감을 겪기도 한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유사하며, 심한 경우에는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베체트병은 말단 회장과 회맹판막에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폐 침범은 객혈, 흉막염, 기침, 열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심한 경우 폐동맥 출구에 동맥류가 발생하여 파열될 수 있다. 이는 심각한 혈관 허탈과 폐 출혈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다.[4] 폐동맥 혈전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관절염은 환자의 절반 정도에서 나타나며, 주로 하지의 큰 관절에 비미란성 다발성 관절염 또는 핍관절염의 형태로 나타난다.[4]
베체트병은 드물게 신장 침범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구체신염, 신장 아밀로이드증, IgA 신병증, 혈관 질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 등으로 인한 약물 부작용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신경베체트병으로 불리는 중추신경계(CNS) 침범은 만성 수막뇌염으로 가장 자주 발생한다. 병변은 뇌간, 기저핵 및 반구 심부 백질에서 발생하며, 다발성 경화증과 유사할 수 있다.
신경학적 침범은 무균성 수막염에서 경막 정맥동 혈전증과 같은 혈관 혈전증, 혼란, 발작, 기억 상실을 나타내는 유기적 뇌 증후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갑작스러운 청력 손실(감각신경성)이 동반되기도 한다.[4]
만성적인 대동맥판 역류는 대동맥 기저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8] 드물지만, 급성 관상 동맥 혈전증을 동반한 심근 경색이 보고되기도 했다.[9]
혈관 문제는 동맥 병변이 있는 환자의 7~29%에서 관찰되며, 가장 흔한 동맥 병변은 폐쇄 또는 협착, 그리고 동맥류 또는 가성 동맥류이다.[10]
그 외에도 심장 병변, 폐 병변, 신장 병변, 아밀로이드증, 난청[65]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6. 진단
베체트병은 특정한 병리학적 검사나 기술로 진단하기 어렵지만, 국제 연구 그룹의 진단 기준은 임상 기준과 피부 반응 검사를 포함하여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이다.[4][21] 단순 헤르페스와 같이 점막 피부 병변을 유발하는 질병과 유사하므로, 구강 병변의 일반적인 원인을 모두 배제할 때까지 임상적 의심을 유지해야 한다.
시력 저하나 색각 손실이 점막 피부 병변 또는 전신 베체트병 증상과 동반되면 시신경 침범을 의심해야 하며, 이전에 진단되지 않은 경우 안과 검사 외에 베체트병 검사를 즉시 실시해야 한다. 베체트병의 진단은 구강 및 생식기 궤양, 결절성 홍반, 여드름 또는 모낭염과 같은 피부 병변, 안구 염증 소견 및 피부 반응 검사 반응을 포함한 임상 소견을 기반으로 한다. 염증 지표인 ESR, CRP 등이 상승할 수 있다.
완전한 안과 검사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세극등 검사
- 신경 손실을 감지하기 위한 광학 단층 촬영법
- 시야 검사
- 시신경 유두 위축 및 망막 질환을 평가하기 위한 안저 검사
- 안저 혈관 조영술
- 시유발 전위 검사 (잠복기 증가를 나타낼 수 있음)
급성 시신경병증이 있는 일부 환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MRI)에서 시신경 조영 증강이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검사 결과가 시신경병증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뇌척수액(CSF) 분석은 백혈구 증가증 유무에 관계없이 단백질 수치 상승을 나타낼 수 있다. 두개 내 고혈압 및 시신경 위축의 원인으로 경막 정맥동 혈전증을 식별하기 위해 혈관 조영술을 포함한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국제 연구 그룹의 지침에 따르면, 환자가 베체트병으로 진단받기 위해서는 12개월 동안 최소 3번 이상 구강 궤양(아프타성 궤양)이 있어야 하며, 다음 4가지 특징적인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있어야 한다.
- 눈 염증 (홍채염, 포도막염, 망막 혈관염, 유리체 내 세포)
- 생식기 궤양 (항문 궤양 포함, 생식기 부위의 반점, 남성의 고환 부종 또는 부고환염)
- 파지 반응 (바늘로 찌른 후 24~48시간 이상, 2mm 이상 크기의 구진). 파지 검사는 특이도가 95~100%이지만, 미국 및 유럽 환자에서는 종종 음성 결과가 나타난다.[4]
- 피부 병변 (구진-농포, 모낭염, 결절성 홍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사춘기 이후의 여드름)
국제 연구 그룹에서 제시한 포괄적인 기준에도 불구하고, 모든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진단을 즉시 내릴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의사가 이 질병에 대한 잠정적인 진단을 내릴 때 의존할 수 있는 일련의 임상 소견이 있으며, 다음은 그 소견들이다.
- 관절염/관절통
- 염증성 심혈관 문제
- 성격 변화, 정신병
- 심부 정맥 혈전증
- 부고환염
- 극심한 피로 – 만성 피로
- 가슴 및 폐의 염증 문제
- 입 궤양
- 신경계 증상
- 청력 또는 균형 문제
- 위 또는 장 염증
- 표재성 혈전정맥염
- 베체트병 진단을 받은 가족 구성원
위의 증상 중 눈, 입, 피부, 외음부의 네 가지 주요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를 '''완전형 베체트병''', 주요 증상 중 3가지 또는 주요 증상 2가지와 부증상 2가지, 또는 눈 병변을 포함하는 주요 증상 2가지와 부증상 2가지를 보이는 경우를 '''불완전형 베체트병'''이라고 한다.
또한, 완전형 소견이 갖춰지지 않더라도 심한 장 증상, 혈관염 증상, 신경 증상을 보이며 명백히 베체트병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경우를 각각 '''장 베체트'''[66], '''혈관 베체트'''[67], '''신경 베체트'''[68]라고 칭하며, 이러한 '''특수형 베체트병'''은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증상은 베체트병 발병 후 4~5년이 지나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드물게 두통이나 수막 자극 징후를 초기 증상으로 하는 급성형 신경 베체트가 나타나기도 한다.
7. 치료
현재 베체트 병의 치료법은 증상 완화, 염증 감소, 면역계 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4] 심각한 경우에는 다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며,[23] IVIG를 사용하기도 한다.[75][76][77]
눈의 염증은 질병 초기에 발생하여 20%의 경우 영구적인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눈의 침범은 후포도막염, 전포도막염, 또는 망막혈관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전포도막염은 눈의 통증, 결막 충혈, 전방축농, 시력 저하로 나타나고, 후포도막염은 통증 없는 시력 저하 및 비문증으로 나타난다. 망막혈관염은 통증 없는 시력 저하와 함께 비문증 또는 시야 결손이 나타날 수 있다.[4]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침범은 드물며, 일반적으로 진행성 시신경 위축 및 시력 상실로 나타난다. 급성 시신경병증(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5] 시신경 위축은 시력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베체트병은 원발성 또는 이차성 시신경 침범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경막정맥동 혈전증으로 인한 유두부종과 망막 질환으로 인한 위축은 이차성 원인으로 특징지어진다.
급성 시신경병증의 징후와 증상에는 한쪽 또는 양쪽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증 없는 시력 상실, 시력 저하, 색각 저하, 상대 구심성 동공 반응 결손, 중심 암점, 시신경 유두 부종, 황반 부종, 또는 후구 통증이 있다. 이러한 증상이 점막 피부 궤양과 함께 발생하면 베체트병에서 급성 시신경병증을 의심하게 한다. 진행성 시신경 위축은 시력 또는 색각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두개내 고혈압과 유두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6]
상공막염은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눈의 충혈과 경미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7]
현재 치료는 증상 완화, 염증 감소, 면역 체계 조절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베체트 병과 관련된 구강 궤양 치료에 대한 증거의 질은 좋지 않다.[22]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은 심각한 질병 증상에 자주 사용된다.[23] 항-TNF 요법 (예: 인플릭시맙)은 포도막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25] 에타너셉트는 피부 및 점막 증상에 유용할 수 있다.[26] 아프레밀라스트는 구강 궤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27]
인터페론 알파-2a는 생식기 및 구강 궤양[28]과 안구 병변에 효과적인 대체 치료법이 될 수 있다.[29] 아자티오프린은 인터페론 알파-2b와 함께 사용될 때 효과가 있으며,[30] 콜키신은 일부 생식기 궤양, 결절성 홍반 및 관절염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31] 벤자틴 페니실린은 새로운 관절염 발작을 줄일 수 있다.[32]
탈리도마이드는 면역 조절 효과로 인해 사용되기도 한다.[33] 댑손과 레바미피드는 피부점막 병변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34][35]
베체트 병의 급성 시신경병증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은 확립되지 않았지만,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필수적이다. 사이클로스포린, 안구 주위 트라이암시놀론, 정맥 내 메틸프레드니솔론 투여 후 경구용 프레드니손에 대한 반응이 보고되었지만, 치료에도 불구하고 재발하여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인터페론-알파 및 종양 괴사 인자 길항제와 같은 면역 억제제는 안구 베체트 병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지만 완전히 되돌릴 수는 없으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증상이 눈의 전방으로 제한되면 예후가 개선된다. 후방 침범, 특히 시신경 침범은 불량한 예후 지표이다. 이차성 시신경 위축은 종종 비가역적이다. 면역 조절제 및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두개 내 고혈압의 경우 시신경 위축을 예방하기 위해 요추 천자 또는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정맥 내 면역 글로불린 요법(IVIg)은 심각하거나[36] 복잡한 경우의 치료법이 될 수 있다.[37][38]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인플릭시맙은 중증 베체트 증후군 환자의 완전 반응 달성 가능성을 사이클로포스파미드보다 개선했다.[39]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부작용(주로 감염)은 인플릭시맙 투여 환자의 29.6%,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투여 환자의 64%에서 보고되었다. 심각한 부작용은 각각 환자의 15%와 12%에서 발생했다.[40]
베체트병의 동맥 증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혈관벽의 폐쇄성 내막염으로 인해 문합부 가성 동맥류 형성 가능성이 높고, 혈관조영술 또는 혈관 내 치료의 경우 천자 부위에 가성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조기 이식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염증이 최고조에 달하는 급성 및 활동기에는 침습적 치료를 해서는 안 된다. 질병의 활동성 평가는 재발하는 증상, ESR(적혈구 침강 속도) 및 CRP(C-반응 단백질)의 혈청 수치를 기반으로 한다.
혈관 내 치료는 개방 수술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합병증이 적고, 회복 시간이 빠르며, 집중 치료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동시에 개통률과 시술 성공률이 유사하다. 그러나 베체트병에서의 혈관 내 치료의 장기적인 결과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피부 증상 등 경도의 병태나 관해기에는 콜히친 등을 사용하지만,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 병변이나 중대한 안(眼) 병변 등에서는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제제나 사이클로스포린 등의 면역억제제를 포함한 강력한 치료를 실시한다. 장기 병변을 일으킨 경우나 특수형 베체트병의 경우에는 관해 후에도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계속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난치성 망막 포도막염에 대해 분자 표적 치료제 중 하나인 항(抗) 인간 TNFα 단클론 항체 제제 인플릭시맙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소화관 베체트병에 대해서는 휴미라를 처방하기도 한다. 인플릭시맙은 2007년 일본에서 승인되었으며, 최근 베체트병 진료의 최대 진보로 여겨진다.[69]
8. 예후
눈의 염증성 질환은 질병 초기에 발생하여 20%의 경우 영구적인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눈의 침범은 후포도막염, 전포도막염, 또는 망막혈관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전포도막염은 눈의 통증, 결막 충혈, 전방축농, 시력 저하로 나타나고, 후포도막염은 통증 없는 시력 저하 및 비문증으로 나타난다. 이 증후군의 드문 형태의 눈 침범은 망막혈관염으로, 비문증 또는 시야 결손의 가능성과 함께 통증 없는 시력 저하로 나타난다.[4]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침범은 드물며, 일반적으로 진행성 시신경 위축 및 시력 상실로 나타난다. 그러나 급성 시신경병증(구체적으로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5] 시신경 위축은 시력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베체트병은 원발성 또는 이차성 시신경 침범을 초래할 수 있다. 경막정맥동 혈전증의 결과로 나타나는 유두부종과 망막 질환으로 인한 위축은 베체트병에서 시신경 위축의 이차적인 원인으로 특징지어졌다.
급성 시신경병증의 징후와 증상에는 한쪽 또는 양쪽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증 없는 시력 상실, 시력 저하, 색각 저하, 상대 구심성 동공 반응 결손, 중심 암점, 시신경 유두 부종, 황반 부종, 또는 후구 통증이 있다. 이러한 증상이 동시성 점막 피부 궤양과 함께 발생하면 베체트병에서 급성 시신경병증을 의심하게 한다. 진행성 시신경 위축은 시력 또는 색각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두개내 고혈압과 유두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6]
상공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눈의 충혈과 경미한 통증을 유발한다.[7]
혈관염으로 인해 시신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면 베체트병에서 급성 시신경병증과 진행성 시신경 위축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보고된 급성 시신경병증 사례의 조직학적 평가에서 망막 변화 없이 시신경의 축삭 부분이 섬유성 별세포로 대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베체트병에서 중추신경계(CNS) 침범은 가장 흔하게 경막 정맥동 혈전증으로 인한 뇌내 고혈압과 그에 따른 이차적 시신경 위축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요 증상과 관련해서는 관해와 재발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으며, 10년 정도 지나면 병의 기세가 꺾여 20년 정도가 지나면 거의 재발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눈 병변의 경우 치료가 늦어지면 실명하는 경우도 있으며, 젊은 층의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부증상, 특히 이를 주된 병태로 하는 특수형 베체트병에서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9. 역학
이 증후군은 미국,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드물지만 아시아에서는 흔하게 나타나, 이 지역에 고유한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1] 과거 치명적인 감염원에 노출된 것이 이러한 지역에서 베체트병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 요인을 고정시켰을 수 있다는 이론이 제기되었다.[42] 미국에서는 약 15,000명에서 20,000명이 이 질환으로 진단받았다. 영국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약 1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3]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자주 발병한다.[44]
역학 연구에서 베체트병 환자의 56%가 평균 30세에 눈 관련 증상을 보였다.[45] 눈 관련 증상은 환자의 8.6%에서 베체트병의 첫 번째 징후였다.[45] 시신경 침범을 동반한 눈 베체트병은 드물게 보고된다. 눈 베체트병 환자 중, 시신경 위축 및 시신경 유두 창백 소견은 각각 17.9%와 7.4%의 빈도로 확인되었다. 다른 안저 소견으로는 혈관 외피(23.7%), 망막 출혈(9%), 황반 부종(11.3%), 망막 분지 정맥 폐쇄(5.8%), 망막 부종(6.6%) 등이 있다. 그러나 시신경 위축은 눈 베체트병 환자의 54%와 영구적인 시력 손상을 보인 환자에서 시력 손상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ehçet's Syndrome
https://rarediseases[...]
2015
[2]
웹사이트
Fast Facts About Behçet's Disease
https://www.niams.ni[...]
2014-11
[3]
서적
Oxford Textbook of Vasculiti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
[4]
서적
MKSAP 15 Medical Knowledge Self-assessment Program: Rheumatology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5]
논문
Access : A case of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ssociated with Behçet's disease : Eye
Nature.com
2011-01-07
[6]
서적
Behçet syndrome
Springer
[7]
웹사이트
Episcleriti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7-02
[8]
서적
Step-up to medicin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08-23
[9]
논문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recurrent ventricular arrhythmias in Behcet's syndrome
https://linkinghub.e[...]
1982
[10]
논문
Aneurysmal coronary artery disease: An overview
Glob Cardiol Sci Pract.
2017-10
[11]
웹사이트
Behcet Disease: Overview – eMedicine Dermatology
http://emedicine.med[...]
2009-03-28
[12]
간행물
Behçet's syndrome: a critical digest of the recent literature
2012
[13]
논문
Innate and Adaptive Responses to Heat Shock Proteins in Behcet's Disease
2013
[14]
논문
Behçet's disease and antibody titers to various heat-shock protein 60s
1999-06
[15]
논문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s GIMAP as a novel susceptibility locus for Behcet's disease.
2013-09-01
[16]
논문
Close association of HLA-Bw51 with Behçet's disease
1982-09
[17]
논문
The genetics of Adamantiades–Behcet's disease
[18]
논문
SUMO4 gene polymorphisms in Chinese Ha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2008-10
[19]
논문
Human leukocyte antigen B27 and B51 double-positive Behçet uveitis
2007-10
[20]
논문
Role of IL-12B promoter polymorphism in Adamantiades-Behcet's disease susceptibility: An involvement of Th1 immunore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Sanguinis antigen
2006-07
[21]
논문
Criteria for diagnosis of Behçet's disease
1990-05
[22]
논문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oral ulcers in Behçet's disease
2014-09-25
[23]
간행물
CMDT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07, Chapter 20, page 872
[24]
논문
Effect of infliximab on sight-threatening panuveitis in Behcet's disease
[25]
논문
Behçet's disease: a new target for anti-tumour necrosis factor treatment
[26]
논문
Short-term trial of etanercept in Behcet's disease: a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27]
웹사이트
Search Orphan Drug Designations and Approvals
https://www.accessda[...]
2019-11-19
[28]
논문
Interferon alfa-2a in the treatment of Behcet diseas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and double-blind study
[29]
논문
Human recombinant interferon alpha-2a for the treatment of Behçet's disease with sight-threatening posterior or panuveitis
[30]
논문
Interferon alpha combined with azathioprine for the uveitis of Behcet's disease: an open study
[31]
논문
A double-blind trial of colchicine in Behcet's syndrome
[32]
논문
Pharmacotherapy for Behcet's syndrome
1998-04-27
[33]
논문
Thalidomide in the treatment of the mucocutaneous lesions of the Behcet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34]
논문
Efficacy of rebamipide as adjunctiv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oral aphthous ulcers i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35]
논문
Dapsone in Behcet's disease: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36]
논문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for resistant ocular Behçet's disease
2001-11
[37]
논문
Optimal use of ivig in a patient with Behçet syndrome and common variable immunodeficiency
2012-07
[38]
논문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Behçet's syndrome
1998-12
[39]
웹사이트
Infliximab bests cyclophosphamide as first-line treatment of severe Behçet’s syndrome
https://www.healio.c[...]
2024-11-18
[40]
논문
Infliximab versus Cyclophosphamide for Severe Behçet’s Syndrome
https://evidence.nej[...]
2024-10-22
[41]
웹사이트
Behcet's Syndrome: MedlinePlus
https://www.nlm.nih.[...]
2016-09-19
[42]
논문
The origin of Behçet's disease geoepidemiology: possible role of a dual microbial-driven genetic selection.
2014
[43]
웹사이트
Behçet's disease – NHS Choices
http://www.nhs.uk/Co[...]
2016-09-19
[44]
논문
Number VII Behçet's disease (Adamantiades syndrome)
2006-03
[45]
논문
Ocular involvement in Adamantiades-Behçet's disease in Berlin, Germany
2009-05
[46]
논문
The clinical course of Behçet's disease in pregnancy: A retrospectiv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47]
논문
Behcet's disease and pregnancy
[48]
웹사이트
Behçet's disease – Treatment
http://www.nhs.uk/Co[...]
National Health Service
2012-08-22
[49]
문서
WhoNamedIt
[50]
논문
Über rezidivierende, aphtöse, durch ein Virus verursachte Geschwüre am Mund, am Auge und an den Genitalien
[51]
논문
Behçet's disease: from Hippocrates to the third millennium
2003-04-29
[52]
문서
Sur un cas d'iritis à hypopyon récidivant
Paris
1931
[53]
논문
Saudi Arabia
[54]
논문
Neuro-Behçet's Disease: NBD
http://www.neurograp[...]
[55]
논문
Neuro-Behçet's disease: epidem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2009-02
[56]
논문
Neuro-Behçet's disease: report of three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1990-03
[57]
문서
Über rez idivierende, aphthose, durch ein virus verursachte Geschwure am Munde, am Auge und an Genitalien
1937
[58]
문서
Description of Behçet's syndrome in the hippocratic third book of endemic diseases
1956
[59]
웹사이트
ベーチェット病
https://www.gifu-np.[...]
2022-11-16
[60]
웹사이트
ベーチェット病
https://www.gifu-np.[...]
2022-11-16
[61]
문서
医薬の門
2011
[62]
문서
2010
[63]
논문
扁桃炎を契機に発症したベーチェット病例
耳鼻咽喉科臨床学会
2005
[64]
문서
2011
[65]
논문
ベーチェット病と難聴
日本聴覚医学会
1996
[66]
논문
消化管ベーチェット病の診断と治療
日本消化器内視鏡学会
2012
[67]
논문
榎声で初発した血管型ベーチェット病例
耳鼻咽喉科臨床学会
1998
[68]
논문
神経ベーチェット病と考えられた1例
日本皮膚科学会大阪地方会
2000
[69]
웹사이트
厚生労働省研究補助金 ベーチェット研究班公式サイト - 患者様向け情報:ベーチェット病とは - 新しい治療
http://www-user.yoko[...]
[70]
논문
Acute Febrile Neutrophilic Dermatosis (Sweet Syndrome)
https://doi.org/10.1[...]
1975-11-01
[71]
논문
Neuro-Sweet diseas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riteria for diagnosis
https://doi.org/10.1[...]
2005-05-23
[72]
논문
Neuro-Behçet Disease, Neuro-Sweet Disease, and Spectrum Disorders
https://doi.org/10.2[...]
2022-02-15
[73]
웹인용
Glossary,
http://medicalcenter[...]
2009-03-28
[74]
간행물
CMDT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07, Chapter 20, page 872
[75]
저널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for resistant ocular Behçet's disease
2001-11
[76]
저널
Optimal use of ivig in a patient with Behçet syndrome and common variable immunodeficiency
https://archive.org/[...]
2012-07
[77]
저널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Behçet's syndrome
199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