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력은 사물의 형태를 식별하는 능력으로, 시력 검사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시력 검사는 19세기 초에 표준화되기 시작하여, 1888년 에드먼드 란돌트가 란돌트 링을 도입하면서 국제 표준으로 발전했다. 시력은 란돌트 C, E 차트, 스넬렌 시력표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시력의 측정 및 표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시력은 망막, 시신경, 시각 피질 등 시각 생리학적 요소의 영향을 받으며, 동공 크기, 조명, 피험자의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시력의 종류에는 정지 시력, 동체 시력, 심시력, 근거리/원거리 시력, 단안/양안 시력 등이 있다. 시력 회복 훈련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여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지각 - 시각
시각은 빛 에너지를 이용해 형태, 운동, 색깔, 명암 등의 정보를 획득하는 오감 중 하나로, 다양한 이론적 발전과 생리학적 과정을 거쳐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색각, 깊이 지각, 시각 장애, 인공 시각 기술 등 다양한 연구 분야를 포함한다. - 시지각 - 불쾌한 골짜기
불쾌한 골짜기는 로봇이 인간과 유사해질수록 호감도가 증가하지만 특정 시점에서 강한 거부감을 느끼게 되는 현상으로, 인간과 거의 똑같은 로봇의 어색함과 부자연스러움 때문에 발생하며, 진화심리학적 요인으로 설명되고 시각 매체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 안과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안과 - 백내장
백내장은 노화, 외상, 방사선, 특정 질환 및 약물 등으로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 저하, 흐릿한 시야, 눈부심, 왜곡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력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현재 유일한 치료법은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이다. - 징후 - 심박수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신체의 산소 요구량, 자율신경계,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아 변하며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징후 -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여 심혈관 질환과 혈전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물로, 출혈 위험 증가의 부작용이 있어 출혈 위험 예측 도구를 활용하여 신중히 사용해야 하며, 와파린 외에 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과 같은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도 사용된다.
시력 | |
---|---|
시력 | |
개요 | |
정의 | 시력은 눈의 해상도로, 물체의 형태와 세부적인 묘사를 구별하는 능력이다. |
측정 목적 | 시력은 인간의 시각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다른 용어 | 시력은 시각 선명도, 시력의 예민함, 시력의 정밀함과 같은 용어로도 불린다. |
Snellen 시력 | Snellen 시력은 표준 시력의 경험적 측정값이다. |
측정 단위 | 시력은 시각 시스템의 성능을 나타내는 측정 단위이다. |
측정 | |
원리 | 시력은 망막의 중심와에서 가장 좋고, 주변 시력으로 갈수록 떨어진다. |
Snellen 검사 | Snellen 시력 검사는 시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 검사이다. |
![]() | |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조명 | 조명은 시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질병 | 백내장, 황반변성과 같은 질병은 시력에 영향을 미친다. |
굴절 오차 | 근시, 원시, 난시와 같은 굴절 오차는 시력에 영향을 미친다. |
시력의 질 관련 연구 | |
삶의 질 영향 | 시력 저하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해상도 시각 Snellen 차트 |
참고 문헌 | |
외부 링크 |
2. 역사
시력 검사의 역사는 19세기 중반, 독일과 네덜란드의 안과의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843년 독일의 안과의사 하인리히 퀴흘러가 시력 검사 형태를 발명하고, 1862년 네덜란드의 안과의사 허먼 스넬렌이 최초의 시력 차트를 출판했다. 1888년 에드먼드 란돌트가 란돌트 고리를 도입하여 국제 표준이 되었고, 1982년 릭 페리스 등이 LogMAR 차트를 개발하여 시력 측정 방식을 표준화했다. 1984년에는 국제안과학회가 새로운 시력 측정 표준을 승인했다.
1894년 베를린의 테오도르 베르트하임은 주변시의 정확도를 상세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54][55] 1978년 휴 테일러는 "Tumbling E Chart"를 개발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시력 연구에 사용했다.[56][51]
생후 얼마 안 된 아기는 명암을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이며, 눈을 제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력이 발달하여 6세 무렵까지 어른과 비슷한 시력이 완성된다. 이 시기에 눈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약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0세 전후부터는 노안으로 인해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미국 안과학회는 40세에, 그 후 2년마다 눈을 검사할 것을 권장한다.
2. 1. 초기 발전
1843년, 독일의 안과의사 하인리히 퀴흘러(Heinrich Kuechler, 1811–1873)는 최초의 시력 검사 형태를 발명했다. 그는 시력 검사를 표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기억에 의한 암기를 막기 위해 세 가지 읽기 차트를 만들었다.[50][51]1854년, 빈의 에두아르트 예거 폰 야크스탈은 하인리히 퀴흘러가 만든 시력 검사 차트를 개선했다. 그는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등 여러 언어로 된 읽기 샘플을 출판했고, 1854년 빈의 국립 인쇄소에서 사용 가능한 글꼴을 사용하여 시력 측정을 기록했다. 이 글꼴들은 현재 예거 번호로 알려져 있다.[14]
1862년, 네덜란드의 안과의사 허먼 스넬렌은 위트레흐트에서 시력 검사표 글자(Optotypes)에 기반한 최초의 시력 차트인 "Optotypi ad visum determinandum" ("Probebuchstaben zur Bestimmung der Sehschärfe", 시력 측정을 위한 검사 문자)를 출판했다. 그는 표준화된 시력 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스넬렌의 시력 검사표 글자들은 이집트 파라곤 글꼴(즉, 세리프를 사용)로 인쇄되어 오늘날 쓰이는 검사 문자들과는 동일하지 않다.[14][15][16][17]
2. 2. 국제 표준
1888년 에드먼드 란돌트가 란돌트 고리를 도입했는데, 이는 훗날 국제 표준이 되었다.[52][53][18][19] 1909년 이탈리아의 국제 안과학회에서 국제적인 표준 시표로 채택되었다.[45]'''란돌트 환'''(란돌트 씨 환)은 일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표이다. 란돌트 환은 검은색 원환으로, 원환 전체의 직경:원호의 폭:고리가 열린 폭=5:1:1의 크기이다. 시력은 분 단위로 나타낸 시각의 역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5m 거리에서 약 1.45mm의 틈을 식별할 수 있으면 시력 1.0이 된다. 일본에서는 직경 7.5mm, 두께 1.5mm인 원의 일부가 1.5mm 폭으로 잘려 있는 환을 5m 떨어진 곳에서 보고 정확하게 잘린 방향을 알 수 있는 능력을 "시력 1.0"으로 하고 있다.[46]
1982년 국립안연구소의 릭 페리스 등은 LogMAR 차트 레이아웃을 개발하여 ETDRS(Early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Study, 초기 당뇨병성 망막증 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시력 측정 방식을 확립했다. 이 차트들은 이후 모든 임상 연구에 사용되었다.[17]
1984년 국제안과학회(ICO, International Council of Ophthalmology)는 새로운 시력 측정 표준(Visual Acuity Measurement Standard)을 승인했다.
3. 시력의 측정 및 표현
시력은 시각 처리 시스템의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보통 란돌트 고리, 스넬렌 시력 검사표, 또는 E 차트와 같은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시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표현된다.
- 분수: 6/6 (미터법) 또는 20/20 (피트법) 형태로 표시한다. 분자는 피검자와 시력검사표 사이의 거리를, 분모는 정상 시력(6/6)을 가진 사람이 동일한 시표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6/12 시력은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이 12미터에서 볼 수 있는 시표를 피검자는 6미터 거리에서 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소수: 분수를 소수로 변환하여 표현한다. 6/6은 1.0, 6/3은 2.0과 같이 나타낸다.
- LogMAR: LogMAR 척도는 시력의 최소 분해 각(Minimum Angle of Resolution)의 로그 값을 나타낸다.
다음은 시력 척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피트 | 미터 | 10진법 | LogMAR |
---|---|---|---|
20/200 | 6/60 | 0.10 | 1.00 |
20/160 | 6/48 | 0.125 | 0.90 |
20/125 | 6/38 | 0.16 | 0.80 |
20/100 | 6/30 | 0.20 | 0.70 |
20/80 | 6/24 | 0.25 | 0.60 |
20/63 | 6/19 | 0.32 | 0.50 |
20/50 | 6/15 | 0.40 | 0.40 |
20/40 | 6/12 | 0.50 | 0.30 |
20/32 | 6/9.5 | 0.63 | 0.20 |
20/25 | 6/7.5 | 0.80 | 0.10 |
20/20 | 6/6 | 1.00 | 0.00 |
20/16 | 6/4.8 | 1.25 | -0.10 |
20/12.5 | 6/3.8 | 1.60 | -0.20 |
20/10 | 6/3 | 2.00 | -0.30 |
6/6 시력은 허먼 스넬렌이 정한 기준으로, 6미터(또는 20피트) 거리에서 약 1.75mm 간격의 윤곽을 구분할 수 있는 시력을 의미한다.[9] 1분각은 6/6 시력의 시표에서 나타나는 최소 간격이다.
일반적으로 6/6 시력이 정상으로 간주되지만, 이보다 더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들도 많다. 양안시를 가진 건강한 젊은 사람들은 종종 2.0 (6/3) 시력을 얻기도 한다.
시력은 시각적 성능의 척도이며, 안경 처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눈 검사를 통해 최상의 교정 시력을 제공하는 처방을 찾게 된다.
참고로, 갓 태어난 아기는 명암 정도만 구별 가능하며, 6세 무렵까지 시력이 발달하여 어른과 비슷한 수준이 된다. 40세 전후부터는 노안으로 인해 근거리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3. 1. 측정 방법

시력 검사는 시력 검사 또는 시 기능 검사라고도 한다. 시력 검사는 표준화된 조건(조명, 거리 등)에서 수행되며, 피검자는 보이는 기호나 글자를 구두 또는 다른 방법으로 응답한다.
시력 검사에는 시표라고 불리는 표지를 사용한다. 피검자는 시력 측정법에 따라 정해진 일정 거리에서 시표를 확인하고 판별하여 구두(또는 손가락으로 가리키는)로 응답한다.
페르디난트 모노이에가 발명한 시력 검사표나 광학 기기 또는 FrACT와 같은 컴퓨터화된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을 할 수 있다.[12]
올바른 방의 조명, 시력 검사표, 올바른 시청 거리, 응답에 충분한 시간, 오류 허용 등과 같은 표준에 부합하는 시청 조건을 주의해야 한다.[13] 유럽 국가에서는 이러한 조건이 유럽 표준 (EN ISO 8596, 이전의 DIN 58220)에 의해 표준화된다.
여러 시표를 시력별로 배열한 시력표(시력 차트)를 전용 받침대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시력 장치로서 특정 시표를 빛나게 할 수 있는 전광 투영 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카드식이나 휴대식 등의 단독 시표가 사용되기도 하며, 시표를 하나씩 바꾸면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패널 방식도 있다. 최근에는 응답에 방향키가 달린 리모컨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란돌트 고리 등 시표를 사용하여 한쪽 눈 시력을 측정하는 경우, 피검자는 5m 떨어진 위치에 서서 다른 눈을 가림막으로 가리고, 시력 지시봉으로 가리킨 지표(내부 조명의 전광 투영식 시력표의 경우에는 빛나고 있는 시표)에 대해 응답한다. 그리고 반수 이상에 대해 판독 가능한 최소 시표가 시력 값이 된다.
시력을 측정하는 정확한 거리는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고 망막의 옵토타입 크기가 동일하기만 하면 중요하지 않다. 해당 크기는 옵토타입이 눈에 나타나는 각도인 시각으로 지정된다. 6/6 = 1.0 시력의 경우, 스넬렌 차트 또는 란돌트 C 차트의 글자 크기는 5분각의 시각(1분각 = 1도의 1/60)이며, 이는 20피트에서 43포인트 글꼴이다.[10]
시력 측정은 시표를 볼 수 있는 것 이상을 포함한다. 환자는 협조적이어야 하고, 시표를 이해해야 하며, 의사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하는 등 더 많은 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 중 하나라도 빠진다면, 측정 결과는 환자의 실제 시력을 나타내지 못할 것이다.
시력 검사는 주관적인 검사로, 환자가 협조할 의지가 없거나 협조할 수 없는 경우 검사를 수행할 수 없다. 졸리거나, 술에 취하거나, 의식이나 정신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질병이 있는 환자는 최대 시력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눈과 대상이 정지해 있을 때의 시력을 '''정지 시력'''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움직이는 물체를 시선을 떼지 않고 지속적으로 식별하는 능력을 '''동체 시력'''이라고 한다. 동체 시력에는 가로 방향의 움직임을 식별하는 DVA 동체 시력과,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식별하는 KVA 동체 시력이 있다. 구기 종목과 관련된 능력의 많은 부분은 동체 시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며, 훈련을 통해 동체 시력은 향상된다. 동체 시력과 정지 시력은 전혀 다른 것으로 여겨지며, 정지 시력이 높다고 해서 동체 시력이 높은 것은 아니다.
동체 시력은 나이가 들면서 저하되기 때문에, 70세 이상의 운전자가 운전면허증을 갱신할 경우 의무적으로 받게 되는 고령자 교육에서는 운전 적성 검사의 하나로 동체 시력 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3. 2. 시력의 표현
시력은 분수(예: 6/6, 20/20) 또는 소수(예: 1.0)로 표현되며, LogMAR 척도도 사용된다. 6/6 (20/20) 시력은 허먼 스넬렌이 정한 기준으로 표준적인 시력으로 간주되지만, 이보다 더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들도 많다.
6/x 시력 표현에서 분자(6)는 피검자와 시력검사표 사이의 거리(미터)이고, 분모(x)는 6/6 시력을 가진 사람이 동일한 시표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이다. 예를 들어, 6/12 시력은 6/6 시력을 가진 사람이 12미터 떨어진 곳에서 같은 시표를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6/12 시력을 가진 사람이 공간 해상도의 절반을 가지고 있으며, 시표를 식별하려면 두 배의 크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수를 소수로 변환하면 시력을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6/6은 1.0, 6/3은 2.0에 해당하며, 이는 양안시를 가진 건강한 젊은 사람들이 종종 얻는 시력이다. 시력을 소수로 표시하는 것은 유럽 표준에서 요구하는 사항이다.
6/6 시력은 6미터 거리에서 1분각(1.75 mm)으로 분리된 두 윤곽을 구별하는 데 필요한 시력이다. 6/6 문자(예: E)는 세 개의 팔과 그 사이에 두 개의 공간을 가지고 있어 5개의 서로 다른 세부 영역을 제공하므로, 이를 해결하는 능력은 문자 전체 크기의 1/5, 즉 1분각(시각)을 필요로 한다.
Tscherning에 따르면, 인간의 눈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시력을 가지며, 가장 좋은 눈은 2에 가까운 시력을 가진다.[31] 맹금류와 같은 일부 조류는 약 20/2의 시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3. 3. 법적 정의
여러 국가에서는 장애로 간주되는 시력 저하에 대한 법적 기준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주에서는 사회 보장법에서 시각 장애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시정 시력으로 두 눈 모두 스넬렌 시력표에서 6/60 미만이거나 동일한 수준의 영구적인 시력 손실을 초래하는 시각 결함의 조합이 있는 경우 사회 보장법 제95조에 따라 영구적인 시각 장애 기준을 충족한다.[34]
미국에서는 관련 연방 법규에서 시각 장애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35]
> [T]시각 장애"란 시력 교정 렌즈를 사용하여 좋은 눈의 중심 시력이 20/20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시야 범위가 2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시야 제한이 있는 눈은 이 단락의 목적상 중심 시력이 20/200 이하인 것으로 간주한다.
최대교정시력이란 망막에 상이 올바로 맺히게 굴절이상을 교정하여 최대한 잘 나온 시력을 의미한다. 최대교정시력은 국민연금법에 의한 장애연금의 등급 판정 기준이 된다.
4. 시력의 종류
아기는 생후 얼마 안 되어 명암을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이며, 눈을 제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력이 발달하여 6세 무렵까지 어른과 비슷한 시력이 완성된다. 이 시기에 눈을 제대로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약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0세 전후부터는 노안으로 인해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시력은 측정 조건 및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정지 시력과 동체 시력: 정지 시력은 일반적인 시력 검사에서 측정하는 시력이며, 동체 시력은 움직이는 물체를 지속적으로 식별하는 능력이다.
- 심시력: 원근감과 입체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다.
- 중심 시력과 주변 시력: 망막 황반부 중심와에서 보았을 때의 시력을 중심 시력, 그 주변에서 보았을 때의 시력을 주변 시력이라고 한다.[39]
- 나안 시력과 교정 시력: 안경, 콘택트 렌즈 등으로 교정하지 않은 시력을 나안 시력, 교정한 시력을 교정 시력이라고 하며, 나안 시력과 교정 시력을 병기하는 경우에는 교정 시력을 괄호로 묶어 표기한다.[39]
- 단안 시력과 양안 시력: 한쪽 눈으로만 보는 경우의 시력을 단안 시력, 양쪽 눈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의 시력을 양안 시력이라고 한다.[39] 양안 시력은 단안 시력보다 약간 더 좋아지며, 난시가 있는 경우 등에 그 경향이 강해진다.
- 근거리 시력과 원거리 시력: 가까운 거리에서 측정하는 시력을 근거리 시력, 먼 거리에서 측정하는 시력을 원거리 시력이라고 한다.
4. 1. 정지 시력과 동체 시력
Visual acuity영어에는 눈과 대상이 모두 정지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정지 시력과, 움직이는 대상을 지속적으로 식별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동체 시력이 있다.[9]정지 시력은 일반적인 시력 검사에서 측정하는 시력이다. 반면 동체 시력은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쫓아가며 지속적으로 식별하는 능력이다.[9] 동체 시력은 가로 방향 움직임을 식별하는 DVA 동체 시력과 전후 방향 움직임을 식별하는 KVA 동체 시력으로 나뉜다. 구기 종목과 관련된 능력은 동체 시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정지 시력과 동체 시력은 서로 다른 능력으로, 정지 시력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동체 시력이 높은 것은 아니다.[9]
동체 시력은 나이가 들면서 저하되므로, 대한민국에서는 70세 이상 운전자가 운전면허증을 갱신할 때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고령자 교육에서 운전 적성 검사의 일환으로 동체 시력 검사를 실시한다.[9]
4. 2. 심시력
심시력은 원근감과 입체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다. 한국에서는 대형 운전면허 등의 취득 및 갱신 시 심시력 검사(삼간법)가 의무적으로 실시된다.운전면허 시험에서는 '''삼간법'''이 사용된다. 삼간법은 3개의 검고 가느다란 막대를 나란히 놓고, 좌우의 2개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앙의 막대를 피검사자 쪽에서 보면 앞뒤로 왕복하며 움직이게 하여, 3개의 막대가 평행이 되었을 때 스위치나 음성으로 신호를 보내 그 오차를 측정한다. 피검사자로부터 2.5m 거리에 놓인 막대의 움직임으로 검사하지만, 깊이 지각 검사기 자체는 소형화되어 그 거리나 이동은 외형상으로 보이거나 시력 검사를 동시에 실시하는 기종도 있다.
운전면허 시험에서는 오차를 3회 측정하여 평균 2cm 이하면 합격한다. 평균 2cm이므로, 오차가 0cm, 0cm라면 3번째가 6cm여도 합격한다. 시력이 약하거나, 난시 및 부정시를 충분히 교정하지 않은 경우, 또는 이러한 이상이 없더라도 운동 능력 (특히 반사 신경, 민첩성, 손재주)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이 검사에 합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검사에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시험관으로부터 시력 장애 또는 안경 사용자의 경우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도수가 맞지 않는다는 의심을 받게 되지만, 애초에 일반 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삼간법에 의한 심시력 검사 경험을 얻는 일은 거의 없다.
4. 3. 중심 시력과 주변 시력
망막 황반부 중심와에서 보았을 때의 시력을 '''중심 시력'''이라고 하며, 그 주변에서 보았을 때의 시력을 '''주변 시력'''이라고 한다.[39]4. 4. 나안 시력과 교정 시력
안경, 콘택트 렌즈로 교정했을 때의 시력을 '''교정시력'''이라고 하며, 시력 교정을 위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력을 '''나안시력'''이라고 한다.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을 병기하는 경우에는 교정시력을 괄호로 묶어 표기한다.[39] '''보정시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나안시력이 어떤 기준에 미달하더라도 교정시력으로 기준치에 도달하면 프로 야구의 심판이나 경마의 기수 등은 될 수 있다.
4. 5. 단안 시력과 양안 시력
한쪽 눈으로만 보는 경우의 시력을 '''단안 시력''', 양쪽 눈을 동시에 사용하여 보는 경우의 시력을 '''양안 시력'''이라고 부른다.[39] 양안 시력은 단안 시력보다 약간 더 좋아지며, 난시가 있는 경우 등에 그 경향이 강해진다. 양안 시력으로 깊이 시력이 향상된다.4. 6. 근거리 시력과 원거리 시력
원거리 시력은 5m 이상의 거리에서 측정되며, 최소 시각(최소 분리 영역)을 기준으로 한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5m 거리에서 지름 7.5mm, 굵기 1.5mm, 틈새 1.5mm의 란돌트 C 고리가 보이면 시각 1분으로 간주하여 시력 1.0으로 측정한다. 근거리 시력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시각을 통해 판단한다. 일본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근거리 시력표는 30cm용으로 제작되었으며, 원거리 시력표와 마찬가지로 30cm에서 시각 1분을 볼 수 있으면 시력 1.0이 된다.원거리 시력은 5m 거리에서 측정하므로 정시, 근시의 눈은 이론적으로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다. 그러나 원시의 경우 무한대(5m 이상) 거리에서 측정해도 조절 작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반면, 근거리 시력은 30cm 거리에서 측정하므로 3디옵터(D)의 조절이 필요하다. 정시의 눈에서 3D의 조절이 불가능한 상태를 노안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3D의 근시는 이론적으로 30cm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돋보기 없이도 근거리 시력 1.0을 가질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노안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노안 여부는 원거리 교정 시력과 근거리 교정 시력을 모두 측정해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5. 시력 검사표
시력 검사에는 다양한 시력 검사표가 사용된다. 시력은 시각 처리 시스템의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광학 전문가들은 VA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력 검사는 검사를 받는 사람이 스타일화된 문자, 란돌트 고리, 소아 기호, 문맹자를 위한 기호, 표준화된 키릴 문자 또는 인쇄된 차트에서 일련의 시청 거리에서 다른 패턴을 식별하도록 요구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검사 대상(옵토타입)은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기호로 표시되어 최대 대비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6/6 시력(미국 단위계 20/20 시력)이 정상으로 간주된다. 6미터(20피트) 거리에서 6/6 시력을 가진 사람은 약 1.75 mm 간격의 윤곽을 구분할 수 있다.[9] 6/12 시력은 낮은 성능, 6/3 시력은 더 나은 성능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개인은 6/4 또는 그 이상의 시력을 가진다.
6/x 시력에서 분자(6)는 피검자와 차트 사이의 거리(미터)이고, 분모(x)는 6/6 시력을 가진 사람이 동일한 옵토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이다. 6/12 시력은 6/6 시력을 가진 사람이 12미터 떨어진 곳에서 동일한 옵토타입을 식별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공간 해상도의 절반을 가지고 있으며 옵토타입을 식별하려면 두 배의 크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시력을 소수로 표현하면 6/6은 1.0, 6/3은 2.0에 해당하며, 이는 유럽 표준이다. 스넬렌 차트 또는 란돌트 C 차트의 글자 크기는 5분각(1분각 = 1/60도)이며, 20피트에서 43포인트 글꼴이다.[10] 일반적인 옵토타입의 설계에 따라 해결해야 하는 임계 간격은 이 값의 1/5, 즉 1분각이다.
시력은 시각적 성능의 척도이며, 시력을 교정하는 데 필요한 안경 처방과는 관련이 없다. 눈 검사는 최상의 교정된 시각적 성능을 제공할 처방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기는 생후 명암을 구별하며, 눈을 사용함으로써 시력이 발달하여 6세 무렵 어른과 비슷한 시력이 완성된다. 이 시기에 눈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약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0세 전후부터는 노안으로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미국 안과학회는 40세 이후 2년마다 눈 검사를 권장한다.
시력 검사를 '''시력 검사''' 또는 '''시 기능 검사'''라고 한다.
5. 1. 란돌트 고리 (Landolt C)
'''란돌트 환'''(란돌트 C)은 일본에서 정지 시력을 측정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표이다.[45] C자 모양의 고리(환)의 열린 방향을 식별함으로써 두 점이 떨어져 있는 것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 시각을 측정한다. 란돌트 환은 프랑스의 안과 의사 에드문트 란돌트가 1888년에 발표했으며, 1909년 이탈리아의 국제 안과학회에서 국제적인 표준 시표로 채택되어[45] '''국제 표준 란돌트 C 환'''이라고 불린다.란돌트 환은 검은색 원환으로, 원환 전체의 직경:원호의 폭:고리가 열린 폭=5:1:1의 크기이다. 시력은 분 단위로 나타낸 시각의 역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5m 거리에서 약 1.45mm의 틈을 식별할 수 있으면 시력 1.0이 된다. 일본에서는 직경 7.5mm, 두께 1.5mm인 원의 일부가 1.5mm 폭으로 잘려 있는 환을 5m 떨어진 곳에서 보고 정확하게 잘린 방향을 알 수 있는 능력을 "시력 1.0"으로 하고 있다.[46] 일반적인 시력 검사표에는 시력 0.1부터 2.0까지의 란돌트 환이 그려져 있으며, 숫자가 큰 란돌트 환을 식별할 수 있을수록 시력이 좋다. 원점 시력 측정에는 5m 또는 3m 거리를 두고 사용하는 시력 검사표가 사용된다.
근점 시력 측정 역시 같은 원리로, 종이에 인쇄된 시력 검사표가 아니라 기계 내부에 투영된 란돌트 환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5. 2. 기타 시력 검사표
란돌트 고리 이외의 시력 검사표로는 알파벳을 사용하는 스넬렌 시표나 E자 모양만을 사용하는 E 차트 등이 있다.[48]
스넬렌 시표는 주로 미국 등에서 사용되며 알파벳을 사용한다. E 차트는 E자 모양만을 사용하여 문맹자나 유아 등에게 적합하다.[48]
그 외에도 히라가나나 가타카나를 사용한 시력 검사표도 있다.[48] 란돌트 고리와 다른 시표를 조합한 시력표로는 오시마식(히라가나와의 조합), 나카무라식(히라가나・숫자와의 조합), 이시하라식(가타카나와의 조합), 야마지식(물고기 두 마리의 실루엣이 평행으로 늘어선 쌍어 시표와의 조합) 등이 있다.
유아의 경우 란돌트 고리로 응답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유아용 시력표(유아용 이시하라식 시력표 등)에서는 동물 실루엣을 사용한 그림 시표나 검지 손가락 방향을 실루엣으로 한 그림 시표를 사용한다. 그림 시표로 검사가 불가능한 영유아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동일한 명도가 되는 흑백 줄무늬와 회색 판을 동시에 보여주고, 줄무늬와 회색의 구별이 불가능해지는 점을 시력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있다.
6. 시력과 관련된 생리학적 요소
시력은 눈의 신경 요소의 완전성과 뇌의 해석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37] 시력은 시각 처리 시스템의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며, 광학 전문가들은 VA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력 검사 시 란돌트 고리, 소아 기호, 문맹자를 위한 기호, 표준화된 키릴 문자 등의 옵토타입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옵토타입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기호(최대 대비)로 표시되며, 검사 거리는 광학적 무한대에 가깝게 설정되거나 정의된 독서 거리에서 설정된다.
6/6 시력은 6미터 거리에서 1.75mm 간격의 윤곽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9] 이는 6/6 문자(예: E)가 세 개의 팔과 그 사이에 두 개의 공간을 가지고 있어 5개의 서로 다른 세부 영역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능력은 문자의 전체 크기의 1/5을 필요로 하며, 이 경우 1분각(시각)이 된다. 6/6 표준은 정상의 하한선 또는 선별 검사 컷오프로 생각하는 것이 가장 좋다.
6/12 시력은 6/6 시력을 가진 사람이 12미터 떨어진 곳에서 동일한 옵토타입을 식별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공간 해상도의 절반을 가지고 있으며 옵토타입을 식별하려면 두 배의 크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개인은 6/4 또는 그 이상의 시력을 가진다. 6/x 시력 표현에서 분자(6)는 피검자와 차트 사이의 거리(미터)이고, 분모(x)는 6/6 시력을 가진 사람이 동일한 옵토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이다.
시력을 소수로 표현하면 6/6은 1.0, 6/3은 2.0에 해당하며, 이는 양안시를 가진 건강한 젊은 피험자가 종종 얻는 수치이다. 시력을 소수로 표시하는 것은 유럽 표준 (EN ISO 8596, 이전 DIN 58220)에서 요구하는 표준이다. 스넬렌 차트 또는 란돌트 C 차트에서 6/6 = 1.0 시력의 경우, 글자 크기는 5분각의 시각(1분각 = 1/60도)이며, 이는 20피트에서 43포인트 글꼴이다.[10]
시력은 시각적 성능의 척도이며 안경 처방과는 관련이 없다. 눈 검사는 최상의 교정된 시각적 성능을 제공할 처방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6/6 시력 또는 그 이상의 시력을 가진 피험자도 원시, 눈 부상 또는 노안과 같은 문제에 대한 안경 교정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정상적인 시력 발달은 어린 시절 정상적인 시각 입력을 받는 것에 달려 있다. 백내장, 사시, 부동시 등으로 인한 시각적 박탈은 약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시력 감소를 유발한다.
6. 1. 망막의 역할
망막은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중심와는 가장 높은 시력을 제공한다. 망막에는 두 가지 주요 광수용체 세포가 있는데, 간상 세포는 어두운 곳에서의 시력을 담당하고, 원추 세포는 밝은 곳에서의 시력과 색각을 담당한다.[4]주간 시력(즉, 원추 시력)은 중심와에 있는 높은 공간 밀도의 원추 세포에 의해 유지되며, 6/6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시력을 허용한다. 암순응 시력(야간 시력)에서는 원추 세포가 충분한 감도를 갖지 못하고 간상 세포가 시력을 담당한다. 이 때문에 공간 해상도는 훨씬 낮아진다. 이는 여러 개의 간상 세포가 양극 세포로 병합되어 차례로 신경절 세포에 연결되는 간상 세포의 공간 합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해상도의 수용장이 크고 시력은 작아진다. 시야의 가장 중앙(와)에는 간상 세포가 없고, 낮은 조명에서 가장 높은 성능은 주변 시야에서 달성된다.[4]
세부 사항을 분해하기 위해 눈의 광학 시스템은 황반 내부의 중심와에 초점을 맞춘 이미지를 투영해야 한다. 이 영역은 원뿔 세포 광수용체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으므로(중심와의 중심에서 300μm 직경에 존재하는 유일한 종류의 광수용체), 가장 높은 해상도와 최고의 색상 시력을 갖는다.[25]
망막 색소 상피(RPE)는 망막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며, 망막을 통과하는 빛을 흡수하여 망막의 다른 부분으로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RPE는 또한 간상체와 원추체가 광자 감지에 사용하는 화학 물질을 재활용하는 중요한 기능도 한다. RPE가 손상되어 이러한 "떨어짐"을 청소하지 못하면 실명이 발생할 수 있다.[37]
6. 2. 시신경과 시각 피질
망막에서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시신경의 역할이다.[4] 시신경은 뇌 뒤쪽에 위치한 시각 피질과 연결되어 시각 자극을 처리한다. 시각 피질은 후두엽이라고 불리는 대뇌 피질의 일부이다. 시야의 중심 10° (황반의 확장)는 시각 피질의 최소 60%를 차지하며, 이 영역의 뉴런들 대부분은 시력 처리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두 개의 시신경은 눈 뒤쪽의 시신경 교차에서 만난다. 이때 각 눈에서 나온 신경 섬유의 절반 가량이 반대쪽으로 교차하여, 해당 시야를 담당하는 다른 쪽 눈의 섬유와 합쳐진다. 이렇게 결합된 신경 섬유는 시신경로를 형성하며, 이는 양안 시력의 생리적 기반이 된다. 시신경로는 중뇌의 외측 슬상 핵을 거쳐 시신경 방사를 따라 시각 피질로 이어진다.[4]
신경계는 광수용체의 정보를 해석해야 하는데, 망막의 신경절 세포들은 서로 다른 공간 주파수에 맞춰져 있어 위치마다 시력이 다르다. 시각 피질 영역 V1의 패치 크기도 시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중심와에서 가장 크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진다.[4]
6. 3. 광학적 측면
동공의 크기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카메라의 조리개처럼, 동공은 어두운 곳에서는 커져서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고, 밝은 곳에서는 작아져서 빛의 양을 줄인다. 이러한 동공 크기의 변화는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9]눈의 광학적 구조는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각막과 수정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주요 구조물이며, 이들의 굴절력은 망막에 정확한 초점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만약 굴절에 이상이 생기면 근시, 원시, 난시와 같은 굴절 이상이 발생하여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57]
눈의 광학적 구조가 완벽하더라도 시력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눈에는 광학적 수차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는 빛이 망막에 한 점으로 모이지 않고 퍼지게 만들어 시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광학적 수차는 동공이 커질수록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 어두운 곳에서 시력이 다소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론적으로 완벽한 눈은 동공 회절에 의해 제한되는 0.4분각(6/2.6 시력)의 시력을 가질 수 있다. 황반에서 가장 작은 원뿔 세포의 크기가 시야의 0.4분각에 해당하며, 이는 시력의 하한을 설정한다. 0.4분각 또는 6/2.6의 최적 시력은 눈의 광학적 결함을 우회하고 어둡고 밝은 띠 패턴을 망막에 직접 투영하는 간섭계를 사용하여 입증할 수 있다.[9]
요약하자면, 시력은 동공의 크기, 눈의 굴절력, 광학적 수차 등 다양한 광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우리가 세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
7. 시력 회복 (논란)
근시 등으로 맨눈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지 않고 시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시력 회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시력 회복 방법은 집에서 하는 훈련부터 라식이나 드림 렌즈 등의 치료를 통해 실현하는 것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속칭 시력 회복 훈련이라고 불리는 것은 의료 행위가 아니며, 의학적 근거가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그 과정에서 사용되는 핀홀 현상을 이용한 안경 등의 기기도 국가가 인가한 의료기기가 아니다. 의료기기로는 초음파 치료기가 존재하지만, 그 효능·효과는 "가성 근시의 억제 또는 완화"이며, 시력 회복이 목적은 아니다. 건강 보조 식품이나 건강 기구처럼 약사법 및 표시 광고법을 위반하는 선전을 하는 기업도 존재한다.
8. 추가 정보
최대 교정 시력은 안경이나 렌즈 등으로 굴절 이상을 교정하여 망막에 상이 올바르게 맺히도록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시력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인 교정 시력과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최대 교정 시력과 일반적인 교정 시력은 굴절 이상(근시, 난시, 원시 등)을 교정하여 시력을 측정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안경이나 렌즈의 무게 등으로 인해 최대 교정 시력에 맞춘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다.
최대 교정 시력은 안과에서 시험용 교정 렌즈 등을 이용하여 굴절 이상을 교정한 것이므로, 망막이나 시신경에 문제가 없다면 정상 시력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교정 시력보다 더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2009년 이후 법적 신체 등위 판정 기준과 국민연금법에 의한 장애 연금 판정 기준은 굴절 이상 유무와 관계없이 최대 교정 시력을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Visual Science
Butterworth-Heinemann
1997
[2]
문서
[3]
논문
seven myths on crowding and peripheral vision
[4]
논문
Peripheral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 review
[5]
학위논문
On differences between peripheral and foveal pattern mas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6]
논문
A chart demonstrating variations in acuity with retinal position
[7]
문서
[8]
논문
Quality of life impact of eye diseases: a Save Sight Registries study
2022
[9]
간행물
eye, human
[10]
웹사이트
Determining the appropriate font size, and use of colour and contrast for underwater displays - for Defence R & D Canada
https://www.research[...]
2023-12-20
[11]
웹사이트
Software for visual psychophysics: an overview
http://www.visionsci[...]
VisionScience.com
[12]
웹사이트
The Freiburg Visual Acuity Test
http://michaelbach.d[...]
[13]
웹사이트
Visual acuity measurement standard
http://www.icoph.org[...]
International Council of Ophthalmology
2015-05-29
[14]
서적
Probebuchstaben zur Bestimmung der Sehschärfe [Test letters for measuring visual acuity
https://archive.org/[...]
P. W. Van De Weijer
2023-09-12
[15]
서적
Optotypi ad visum determinandum secundum formulam = d/D. Ed. 8, metrico systemate [
https://babel.hathit[...]
Williams and Norgate
2023-09-12
[16]
웹사이트
Herman Snellen
http://www.whonamedi[...]
[17]
웹사이트
Measuring Vision and Vision Loss
http://www.ski.org/C[...]
[18]
논문
Méthode optométrique simple
[19]
논문
Correlation of optotypes with the Landolt Ring – a fresh look at the comparability of optotypes
[20]
논문
Über die indirekte Sehschärfe
[21]
논문
Racial Variations in Vision
[22]
논문
A novel high-frequency visual acuity chart
[23]
웹사이트
The Limits of Human Vision
http://www.swift.ac.[...]
[24]
웹사이트
Visual Acuity of the Human Eye
http://www.ndt-ed.or[...]
2006-05-07
[25]
서적
Vision in Vertebrates
Plenum Press
[26]
문서
[27]
논문
Topography of the layer of rods and cones in the human retina
[28]
서적
Im Auge des Lesers: foveale und periphere Wahrnehmung – vom Buchstabieren zur Lesefreude
Transmedia Stäubli Verlag
2006
[29]
논문
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the fovea on the fundus
[30]
웹사이트
Contrast sensitivity
http://www.lea-test.[...]
2018-07-21
[31]
문서
[32]
뉴스
Sports Vision Testing: An Innovative Approach To Increase Revenues
http://www.optometri[...]
2006-05-01
[33]
웹사이트
Family Accipitridae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10-01-30
[34]
웹사이트
Table 13, Schedule 1B
https://www.legislat[...]
[35]
웹사이트
SSR 90-5c: Sections 216(i)(1)(B) and 223(c)(1) and (d)(1)(B) of the Social Security Act (42 U.S.C. 416(i)(1)(B) and 423(c)(1) and (d)(1)(B)) Disability insurance benefits – Interpreting the statutory blindness provision
https://www.law.corn[...]
1990-11-09
[36]
논문
Visual acuity norms in pre-school children: the Multi-Ethnic Pediatric Eye Disease Study
2009-06
[37]
서적
Clinical Procedures for Ocular Examination
Appleton & Lange
1990
[38]
논문
The Effect of Visual Function on the Batting Performance of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2019-11-14
[39]
논문
Spatial and temporal limits of motion perception across variations in speed, eccentricity, and low vision.
2009-01
[40]
논문
Conjecture on the Visual Estimation of Relative Radial Motion
1971-02-19
[41]
논문
Perceiving visual expansion without optic flow
2001-04-12
[42]
논문
Scaling of relative velocity between vehicles
1996-07
[43]
논문
Looming Threshold Limits and Their Use in Forensic Practice
2012-09
[44]
웹사이트
Corneal transplants becoming more common
https://www.health.h[...]
2022-06-30
[45]
웹사이트
視力検査に用いられるCに似たマーク「ランドルト環」の考案された経緯を調べています。
https://crd.ndl.go.j[...]
2010-10-21
[46]
서적
今さら聞けない科学の常識 : うろおぼえを解消する102項目
講談社
2008-06-20
[47]
웹사이트
視力表を含む眼科医療メーカー(株)ニデックのページ
http://www.nidek.co.[...]
[48]
웹사이트
じっと見るけど案外知られてない?「視力検査表」のお話
https://tenki.jp/sup[...]
2016-10-10
[49]
서적
Dictionary of Visual Science
Butterworth-Heinemann, Boston
1997
[50]
웹사이트
Herman Snellen (www.whonamedit.com)
http://www.whonamedi[...]
[51]
웹인용
Colenbrander A (2001). Measuring Vision and Vision Loss
https://web.archive.[...]
2009-07-10
[52]
문서
Méthode optométrique simple
1888
[53]
문서
Correlation of optotypes with the Landolt Ring – a fresh look at the comparability of optotypes
1994
[54]
문서
Peripheral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 review
http://www.journalof[...]
2011
[55]
문서
Über die indirekte Sehschärfe.
1894
[56]
문서
Racial Variations in Vision
1981
[57]
서적
Clinical Procedures for Ocular Examination.
Appleton & Lange: Norwalk, CT.
199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특검 체포 집행 초읽기…윤은 진단서 내고 "실명 위험·8월 시술"
"더 크고 또렷하게" 눈동자 수술 유행?…자칫 시력 잃을 수도 | JTBC 뉴스
눈감아도 보인다…투시경같은 콘택트렌즈 개발
고1 평균 키 남학생 172.9·여학생 161.3㎝…비만 줄었지만 시력 나빠졌다
비만 학생 줄었지만…‘시력 보호·치아 건강’ 주의보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올해 23회 맞는 대구국제안경전
노안수술·노안렌즈로 돋보기 벗을 수 있을까?
‘조용한 시력 상실’ 황반변성, 자가검사로 ‘적신호’ 놓치지 말라 [건강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