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벤치 클리어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치 클리어링은 스포츠 경기 중 선수나 코칭스태프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야구, 아이스하키, 농구, 축구 등에서 나타난다. 야구에서는 빈볼 시비, 판정 시비, 고의적인 자극 등이 원인이 되며, 아이스하키는 격렬한 신체 접촉, 농구는 거친 파울 등이 원인이 된다. 벤치 클리어링은 선수들의 퇴장, 벌금, 출장 정지 등의 징계를 초래하며, 심각한 경우 선수 생명을 위협하는 부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논란 - 피트 로즈
    피트 로즈는 "찰리 허슬"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미국의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이자 감독으로, 메이저리그 최다 안타 기록을 세웠으나 야구 도박 스캔들로 영구 추방되어 명예의 전당 입성이 좌절되었다.
  • 야구 논란 - 마크 맥과이어
    마크 맥과이어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뛰어난 장타력으로 활약하며 신인왕 수상과 홈런 경쟁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 논란으로 업적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한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벤치 클리어링
개요
이름벤치 클리어링 (Bench-clearing brawl)
발생 상황스포츠 경기 중 선수, 코치, 때로는 관중까지 참여하는 집단 난투극
주요 원인선수 간의 감정적인 충돌
심판 판정에 대한 불만
상대 팀에 대한 적대감
특징경기 흐름을 완전히 중단시킴
부상 발생 가능성 높음
선수 및 팀에 대한 징계로 이어질 수 있음
역사
발생 시기스포츠 역사 초창기부터 발생
주요 사례198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난투극
200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난투극
200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난투극
규정 및 제재
규칙대부분의 스포츠 리그에서 벤치 클리어링은 엄격히 금지됨
제재퇴장
출장 정지
벌금
심한 경우 팀 전체에 대한 징계
추가 정보
관련 용어집단 난투극
난투극
벤치 멤버 전원 출동

2. 스포츠에서의 벤치 클리어링

벤치 클리어링은 주로 야구, 아이스하키, 농구 등 격렬한 신체 접촉이나 신경전이 잦은 팀 스포츠에서 선수들이 흥분하여 벤치나 지정된 구역(불펜, 페널티 박스 등)을 비우고 경기장으로 뛰쳐나오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경기 중 선수 간의 물리적 충돌, 빈볼이나 위험한 반칙, 심판 판정에 대한 불만, 상대 선수나 코칭스태프의 모욕적인 언행이나 자극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3][2]

스포츠 경기는 규칙 안에서의 경쟁이지만, 격렬한 신체 접촉이 동반되는 종목에서는 선수 간 감정이 격해지기 쉽다. 벤치 클리어링은 이러한 감정적 충돌이 규칙의 범위를 벗어나 집단적인 물리적 대치나 난투로 이어지는 양상으로 나타나며,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로 간주된다. 대부분의 경우 선수들은 서로 밀치거나 고함을 지르는 등 위협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실제 주먹다짐과 같은 심각한 폭력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격렬한 몸싸움 과정에서 선수들이 부상을 입을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대부분의 프로 스포츠 리그에서는 경기 질서 유지와 선수 보호를 위해 벤치 클리어링 발생 시 엄격한 규정을 적용한다. 난투극에 직접 가담한 선수뿐만 아니라, 싸움에 참여하기 위해 벤치를 이탈한 선수에게도 퇴장, 벌금, 출장 정지 등의 중징계를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7][8][9][10] 특히 싸움에 참여하기 위해 가장 먼저 벤치를 뛰쳐나온 선수에게는 가중 처벌이 내려지기도 한다.

교육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학생 스포츠, 특히 미국의 고등학교 스포츠에서는 벤치 클리어링을 더욱 엄격하게 금지한다. 전미 주 고등학교 협회 연맹(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 규정에 따라 싸움에 가담하기 위해 벤치를 벗어난 선수는 즉시 퇴장당하며, 싸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경우 자동 출장 정지 처분을 받는다. 학교 차원에서도 추가적인 징계가 내려질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형사 고발이나 학교 팀 전체에 대한 제재로 이어질 수도 있다.[12]

2. 1. 야구

야구에서는 주로 상대 선수의 빈볼이나 사구, 판정 시비, 고의적인 자극, 또는 주루 플레이 중 과도한 충돌 등으로 인해 선수 간의 갈등이 발생했을 때, 덕아웃이나 불펜에 있던 선수들이 그라운드로 뛰쳐나오는 상황을 벤치 클리어링이라고 한다.[3][2] 특히 타자가 사구를 맞고 투수가 있는 마운드로 돌진하는 경우가 흔하다.



벤치 클리어링 상황에서 선수들이 실제로 주먹을 휘두르며 싸우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서로 밀치거나 언쟁을 벌이는 수준에서 그치기 때문에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양 팀의 불펜 투수들이 종종 불펜에서부터 달려와 합류하는데, 이는 보통 싸움이 거의 끝나갈 무렵이며, 갈등 심화보다는 동료 지원의 의미가 강하다.

다른 팀 스포츠와 달리 야구는 공격팀과 수비팀의 필드 위 선수 수가 다르다. 공격팀은 최대 7명(타자, 주자, 대기 타자, 베이스 코치)인 반면, 수비팀은 9명이다. 따라서 선수들이 덕아웃을 비우고 나오는 행위는 양 팀의 수적 균형을 맞추고 상황 악화를 막는 효과가 있어 어느 정도 용인된다. 대부분 감독이나 심판이 개입하여 질서를 회복시키고 경기를 재개한다. 예외적으로 10센트 맥주 나이트 사건처럼 홈 팀 선수들이 난입한 관중으로부터 원정 팀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 덕아웃을 비운 사례도 있다.[5]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의 심각성에 따라 심판은 난투극 가담자를 퇴장시킬 수 있다. 모든 참가자를 퇴장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사태를 유발하거나 폭력을 행사한 선수들은 종종 퇴장당한다.[6] 벌금이나 출장 정지 같은 추가 징계는 보통 경기 후에 결정된다.

벤치 클리어링 중에는 배트나 공 같은 도구를 "흉기"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불문율이 있다. 대부분 노려보거나 밀치는 정도에 그치지만, 과거 일본 프로야구에서는 배트로 상대 선수를 가격하거나(에노모토 키하치 사례), 배트를 던지고 몸싸움을 벌이는(기요하라 가즈히로 사례) 등 심각한 폭력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심판에게 불만을 품고 공을 던진 사례(발비노 갈베스)도 있었다.

난투극의 결과로 선수가 부상을 당하거나, 폭력을 행사한 선수가 손가락 골절 등으로 선수 생명에 위협을 받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위험성, 사구 감소 추세, 선수 간 교류 증가, 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등으로 인해 현대 야구에서는 벤치 클리어링 발생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13][14]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난투극의 중심이 된 선수뿐 아니라 폭력 행위를 한 선수 모두에게 여러 경기의 출장 정지 처분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다. 과거 가장 많은 퇴장자를 낸 난투극은 1984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경기로, 양 팀 합쳐 16명이 퇴장당했다.

반면, 교육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학생 야구(특히 고교 야구나 대학 야구)에서는 난투극이 발생하면 대회 출전 금지나 장기 출장 정지, 심하면 몰수 경기 등 심각한 처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17]

2. 1. 1. 한국 프로야구의 벤치 클리어링 사례

(내용 없음)

2. 2. 아이스하키

숀 손턴(Shawn Thornton)이 웨이드 브룩뱅크(Wade Brookbank)와 싸우고 있다.


아이스 하키의 싸움은 비공식적이지만 스포츠의 일부로 자리 잡았는데, 특히 벌칙 규정이 상대적으로 관대한 북미 지역에서 더욱 그렇다. 일반적으로 일대일 싸움이 벌어지면, 심판은 싸움이 끝날 때까지 지켜본 후 두 선수 모두에게 5분간 페널티 박스 퇴장을 명령한다.

그러나 선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얼음 위에서 싸움을 시작하는 상황, 즉 라인 난투극(벤치 클리어링)은 고립된 싸움을 넘어선 격화된 상황으로, 아이스 하키의 폭력으로 간주되어 엄격히 금지된다. 이러한 규칙을 위반하는 선수들은 게임 퇴장 페널티와 출장 정지 등 더 심각한 징계를 받게 된다. 벤치 클리어링은 주로 위험한 가격 행위(히트), 경기 중단 후 과도한 신경전, 경기 중단 휘슬 후 고의적인 슛, 골키퍼에 대한 공격, 그리고 선수 간의 폭력적인 충돌이 잦았던 경기에서 누적된 감정적 대립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내셔널 하키 리그(NHL)에서는 경기 중 페널티 외에도, 난투극에 가담하기 위해 벤치나 페널티 박스에서 가장 먼저 뛰쳐나온 선수에게 자동으로 10경기 출장 정지와 10000USD의 벌금을 부과한다.[7] 이 첫 번째 선수를 제외한 다른 가담 선수들에게는 각각 자동 5경기 출장 정지와 5000USD의 벌금이 부과된다.

국제 아이스 하키 연맹(IIHF)의 규정은 더욱 엄격하다. 싸움이 벌어지는 동안 벤치를 먼저 떠난 선수에게는 이중 마이너 페널티(2분씩 총 4분 퇴장)와 게임 퇴장 페널티가 주어지며, 싸움에 가담한 다른 선수들에게도 퇴장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8] 싸움 도중 페널티 박스를 떠난 선수에게는 마이너 페널티와 게임 퇴장 페널티가 주어진다.[9] 이러한 규정 외에도 싸움에 직접 참여한 모든 선수는 추가적인 페널티를 받을 수 있다.[10]

주목할 만한 벤치 클리어링 사례로는 1987년 세계 주니어 아이스 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벌어진 캐나다와 소련 간의 경기, 일명 피에슈타니 난투극이 있다. 경기는 초반부터 거칠게 진행되었고, 2피리어드 6분 7초를 남기고 파벨 코스티치킨과 테오렌 플뢰리 사이의 싸움이 발단이 되어 양 팀 선수 전원이 20분간 격렬한 난투극을 벌였다. 심판진이 경기장 조명을 끄는 등 상황을 진정시키려 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IIHF는 경기를 무효로 선언했다. 이 사건으로 양 팀 모두 토너먼트에서 실격 처리되었으며, 특히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캐나다는 금메달을 놓치게 되었다. 캐나다 팀은 이 결정에 반발하며 토너먼트 종료 행사에 불참했고, 소련 팀 역시 행사 참여가 금지되었다.

KHL에서도 대규모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아반가르드 옴스크와 비탸즈 체호프의 경기에서는 1피리어드가 시작된 지 불과 3분 34초 만에 골키퍼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이 싸움을 시작했다. 심판진은 총 33명의 선수와 양 팀 코치를 퇴장시켰고, 경기를 계속할 수 있는 선수가 단 4명밖에 남지 않아 경기는 그대로 중단되었다. 이 사건으로 관련 팀과 선수들에게 총 560만 러시아 루블(RUB) (19.1만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고, 7명의 선수가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으며, 경기는 양 팀 모두 5-0 몰수패로 처리되었다.[11]

2. 3. 농구

농구에서도 선수 간의 충돌이나 거친 파울, 심판 판정에 대한 불만 등이 원인이 되어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할 수 있다. NBA(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에서는 벤치 클리어링에 대해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고 있으며, 싸움 도중 벤치를 떠나 코트로 나서는 선수에게는 자동적으로 출장 정지 처분을 내린다. 대표적인 사례로 2004년 인디애나 페이서스디트로이트 피스턴스 간의 경기에서 발생한 벤치 클리어링(팰리스의 난투)이 있다. 이 사건은 선수뿐만 아니라 관중까지 난투극에 가담하면서 NBA 역사상 최악의 폭력 사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2. 4. 기타 스포츠

벤치 클리어링과 유사한 난투는 야구 외 다른 스포츠에서도 발생하며, 각 종목 관계자들은 이를 엄격히 단속하는 추세이다.

== 농구 ==

농구는 신체 접촉이 많고 고의적인 위험한 파울이 발생할 수 있어 난투가 비교적 자주 일어난다. NBA에서는 1995년, 벤치를 떠나 난투에 참여하는 선수에 대한 벌칙을 벌금 500USD에서 자동 1경기 출장 정지로 강화했다. 대부분의 NBA 스타 선수들이 선수 시절 한 번 이상 난투를 경험했을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하며, 난투 관련자에게는 페널티가 부과된다.

후보 선수나 코치는 경기 중 벤치를 벗어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어기고 난투에 가담하면 퇴장당할 수 있다. 일본 JBL 플레이오프에서는 2000년 미쓰비시 전기와 토요타 자동차의 경기 중 발생한 난투에서 미쓰비시의 후보 선수 전원이 벤치를 이탈하여 퇴장당했고, 결국 몰수 경기로 처리된 사례가 있다. B 리그에서도 지바 제츠와 알바르크 도쿄 경기 중 알바르크 선수들의 도발로 난투가 벌어졌는데, 벤치에서 말리러 들어간 지바 선수들까지 퇴장당했다. 이 중에는 부상으로 경기에 뛸 수 없는 상태였던 선수 2명도 벤치를 벗어났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았다.

가장 악명 높은 사례는 2004년 11월 19일 더 팰리스 오브 오번힐스에서 열린 페이서스와 피스톤스의 경기에서 발생한 팰리스의 난투이다. 론 아테스트가 벤 월러스에게 한 파울이 발단이 되어 선수들과 팬들까지 뒤엉킨 대규모 난투로 번졌고, 프로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사건 중 하나로 꼽힌다. 경기는 종료 1분여를 남기고 중단되었으며, NBA는 아테스트에게 시즌 잔여 73경기 출장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리는 등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처벌을 내렸다.

== 미식축구 ==

미식축구에서는 벤치 클리어링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모든 수준의 경기에서 싸움 도중 벤치를 떠난 선수는 즉시 퇴장당하고 리그 차원의 추가 징계를 받는다. 선수들이 착용하는 보호 장비 때문에 난투가 벌어지면 부상 위험이 매우 크다는 점도 발생 빈도를 낮추는 요인이다. 심판들은 싸움이 번지기 전에 즉시 개입하며, 심판에게 신체 접촉을 하는 선수는 퇴장 및 추가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난투와 관련된 반칙은 볼 위치를 크게 이동시켜 팀의 승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선수들이 자제하는 경향이 있다.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대학 미식축구에서 마이애미 대학교와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 간의 경기가 있다. 두 크로스타운 라이벌 학교 간의 거친 신경전이 격렬한 난투로 이어져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에 심각한 징계가 내려졌다. 최근에는 2024년 미시간 대학교와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간의 라이벌전 "The Game" 종료 후, 미시간 선수들이 승리 세리머니로 상대 팀 로고 위에 깃발을 꽂으려다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했다. 이 난투에는 수십 명의 선수가 연루되었고, 경찰이 개입하여 후추 스프레이까지 사용하며 진압해야 했다.

== 레전드 풋볼 리그 ==

레전드 풋볼 리그(구 린제리 풋볼 리그)에서도 최소 두 차례의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했다. 2009년 마이애미 칼리엔테와 뉴욕 매제스티 간의 난투는 매제스티 팀의 운영 중단으로 이어졌다. 2011년 12월 9일에는 토론토 트라이엄프와 필라델피아 패션 간의 경기에서도 난투가 벌어졌다. 당시 토론토는 이미 선수들의 대량 이탈로 대체 선수를 기용하고 있던 상황이어서 징계 수위에 관심이 쏠렸으나, 구체적인 처벌 내용은 불분명하다.

== 축구 및 럭비 ==

축구나 럭비와 같은 풋볼 계열 스포츠는 경기 내내 격렬한 신체 접촉이 이어지기 때문에 난투극의 잠재적 요인이 많다. 하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복 행위나 난투극을 일으킨 선수는 즉시 퇴장당하며, 교체 선수 투입도 불가능하다. 나아가 여러 경기 또는 수개월 이상의 출장 정지라는 무거운 징계가 일반적이어서, 장기간의 출장 정지는 선수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실제 난투극 발생은 드물다. 선수의 결장은 팀 전력에 큰 손실을 주기 때문에, 동료 선수들은 싸움에 가담하기보다 말리거나 방어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2022년 FIFA 월드컵 8강전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에서는 레안드로 파레데스가 나단 아케에게 파울을 한 뒤 공을 네덜란드 벤치 쪽으로 강하게 차면서 양 팀 선수들이 엉키는 소규모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하기도 했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당시 잉글랜드데이비드 베컴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디에고 시메오네의 거친 플레이에 넘어진 뒤 발길질로 보복하여 즉시 퇴장당했다. 이 사건으로 잉글랜드는 수적 열세 속에서 패배했고, 베컴은 자국 언론으로부터 '''"10명의 용감한 사자와 1명의 바보"'''라는 비난을 받으며 전범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

선수들 간의 난투보다 오히려 특정 팀을 열성적으로 응원하는 팬(서포터)들 사이에서 경기장 안팎의 난투극이 더 자주 발생하는데, 이러한 과격한 팬들을 "훌리건"이라고 부른다.

== 아이스하키 ==

난투극을 벌이는 아이스하키 선수(스티브 베르니에와 브래드 페렌스), 난투를 제지하는 심판


아이스하키에서도 난투극이 종종 발생한다. 규칙상으로는 난투나 과격한 행위가 금지되어 있고 페널티 대상이지만, 특히 프로 리그에서는 선수 간의 1대1 싸움이 벌어지면 심판이나 다른 선수들이 잠시 지켜보는 경향이 있다. 어느 정도 싸움이 진행된 후 심판이 개입하여 양 선수에게 5분간 퇴장(메이저 페널티)을 부과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선수들은 스틱 등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맨주먹으로 싸우는 것이 암묵적인 규칙처럼 여겨진다. 이러한 1대1 싸움을 경기의 일부로 즐기는 팬들도 있지만, 폭력적인 장면에 눈살을 찌푸리는 시선도 존재한다.

여러 선수가 엉키는 대규모 난투가 발생할 조짐이 보이면 심판들은 이를 미리 방지하려고 노력한다. 난투는 보통 빙판 위에 있는 선수들 사이에서만 벌어지며, 벤치에 있던 선수가 싸움에 가담할 경우 해당 선수는 여러 경기 출장 정지와 같은 중징계를 받고 팀에게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닛코 고베 아이스벅스와 창춘 푸아오의 경기에서 창춘 선수의 격분으로 난투가 벌어졌는데, 닛코 고베는 빙판 위 선수 6명만 참여한 반면 창춘은 벤치 선수 전원이 가담하여 매치 페널티를 받았다. 이에 항의하며 경기가 중단되어 결국 몰수 경기(닛코 고베 승)로 처리된 사례가 있다.

== 기타 ==

호주의 노던 테리토리 풋볼 리그는 2010년, 난투에 참여하기 위해 벤치를 벗어난 선수는 즉시 퇴장시키고, 난투 관련 벌금을 25% 인상하며 자동 1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내리는 규칙을 도입했다.

3. 벤치 클리어링의 원인과 결과

벤치 클리어링은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여러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원인야구에서는 주로 상대 선수에 의한 빈볼이나 위협구, 사구, 혹은 심판의 판정 시비, 상대 팀 선수나 코칭스태프의 고의적인 자극 등이 원인이 된다.[3][2] 타자가 사구를 맞고 고통이나 위험을 느껴 투수에게 항의하거나 마운드에 돌진하는 경우, 또는 주루 플레이 중 주자와 야수 간의 과도한 신체 접촉이나 충돌이 발생했을 때[3] 양 팀 선수들이 덕아웃이나 불펜에서 뛰쳐나와 벤치 클리어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심판 판정에 대한 불만이나 격앙된 감정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이스하키에서는 위험한 히트, 휘슬이 울린 후의 거친 플레이나 슛, 골키퍼에 대한 공격, 선수 간의 폭력 사태가 누적된 경쟁 심리 등이 난투극의 원인이 된다. 축구에서는 거친 반칙에 대한 보복 행위가, 농구에서는 고의적이고 위험한 파울이 난투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직접적인 원인 외에도 선수 개인의 감정 조절 실패, 팀 간의 지나친 경쟁 심리, 승리 지상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벤치 클리어링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벤치 클리어링은 대부분 선수들이 서로 밀치거나 언쟁하는 수준에서 끝나지만, 때로는 심각한 난투극으로 번져 선수 부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주먹이나 발길질이 오가거나, 드물게는 배트와 같은 도구가 사용되어 큰 부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난투극 중 상대 선수에게 배트로 맞아 부상을 입거나(1968년 에노모토 키하치 사례), 주먹을 휘두르다 손 골절상을 입어 선수 생명에 영향을 받은 경우(1968년 진 바키 사례, 1994년 댄 글래든 사례), 상대 선수에게 밀쳐지거나 폭행당해 부상을 입는 경우(1994년 나카니시 치카시, 1994년 요다 고, 2003년 아오키 하야토, 2008년 호소카와 도루 사례 등)가 발생했다.

벤치 클리어링에 가담한 선수들은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의 심각성에 따라 심판으로부터 퇴장 조치를 받을 수 있으며[6], 이후 리그 규정에 따라 벌금이나 출장 정지 등의 징계를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내셔널 하키 리그(NHL)에서는 벤치나 페널티 박스에서 난투에 참여하기 위해 가장 먼저 나온 선수에게 자동 10경기 출장 정지와 1만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7] 심각한 폭력 사태의 경우, 스포츠 경기 중 사건으로는 이례적으로 형사 사건으로 비화되기도 한다(요코하마 스타디움 심판 집단 폭행 사건).

또한, 벤치 클리어링은 경기 중단을 야기하고 관중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때로는 팬들의 난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예: 10센트 맥주 나이트[5]). 선수 부족으로 몰수 경기가 선언되는 경우도 있다(피에슈타니 난투극, 미쓰비시 전기-토요타 자동차 농구 경기).

다만, 최근에는 선수 부상 위험에 대한 인식 증가, 국제 경기나 교류전 등을 통한 타 구단 선수들과의 교류 확대, 폭력을 기피하는 사회적 분위기 변화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격렬한 난투극의 발생 빈도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13] 때로는 선수들이 진심으로 싸우기보다는 형식적으로 모여 소동을 벌이는 수준에 그치기도 한다.[14] 특히 교육적 측면을 중시하는 학생 스포츠에서는 난투극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발생 시 매우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17]

4. 벤치 클리어링 방지 대책

벤치 클리어링과 같은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의 심각성에 따라 심판은 난투극 가담자를 퇴장시킬 수 있다. 모든 선수가 연루되는 특성상 전원 퇴장은 드물지만, 사태를 유발한 선수는 퇴장당하는 경우가 많다.[6] 또한, 사건 이후 벌금이나 출장 정지와 같은 징계가 내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6]

특히 학교 스포츠에서는 더욱 엄격한 규정이 적용된다. 전미 주 고등학교 협회 연맹( 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eng ) 규정에 따르면, 경기 중 싸움에 가담하기 위해 벤치를 벗어나는 것만으로도 자동 퇴장이며, 싸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자동 출장 정지 처분을 받는다.[12] 학교 자체적으로도 활동 자격 박탈, 학업 관련 출장 정지, 심하면 퇴학과 같은 더 무거운 처벌을 내릴 수 있다.[12]

사안이 심각할 경우, 가담 선수나 코치는 폭행죄 등으로 형사 고발될 수도 있으며,[12] 소속 학교나 팀 전체가 주 체육 협회로부터 경고, 경기 몰수, 경비 지원 중단, 장기간 출장 정지, 시즌 전체 취소, 대회 참가 금지, 심지어 학교 체육 프로그램 전체 중단과 같은 강력한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12] 이러한 강력한 처벌 규정들은 벤치 클리어링과 같은 폭력 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 작용한다.

5. 한국 사회와 벤치 클리어링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법안 심의 등을 둘러싸고 정당 간의 물리적 충돌, 즉 난투극이 벌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서방 언론 등에서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일각에서는 국회에서의 난투극과 같은 문제들이 한국의 G7 정상회의 정식 회원국 가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도 제기되었다.[18][19][20]

제6공화국 시기 이명박 대통령은 국회 내 폭력 사태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해머나 체인톱 등이 등장하는 국회 상황을 세계 각국 정상들이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21]

이러한 국회 내 물리적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2년 5월, 국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개정안은 소위 '''국회선진화법'''으로 불리며, 국회의장의 직권 상정을 통한 다수당의 일방적인 법안 처리나 이를 저지하기 위한 야당의 물리력 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2] 개정된 국회법은 여야 간 이견이 큰 법안을 본회의에 상정하기 위해서는 재적 의원 5분의 3 이상의 동의를 얻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국회선진화법 도입 이후, 법안 처리 절차가 지연되는 부작용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14년 7월 임시국회에서는 단 한 건의 법안도 처리되지 못했으며, 이후 9월 정기국회에서 90여 개의 법안이 한꺼번에 처리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23]

6. 각국의 벤치 클리어링 사례

'벤치 클리어링'은 본래 야구 용어지만, 넓은 의미에서 다른 스포츠정치 분야에서 발생하는 집단적인 충돌이나 난투극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 스포츠 ===

축구, 럭비와 같이 격렬한 신체 접촉이 많은 경기에서는 난투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를 막기 위해 보복 행위나 난투극을 벌인 선수는 즉시 퇴장당하고 교체 선수 투입도 불가능하며, 심한 경우 여러 경기 또는 몇 달간 출장 정지 징계를 받는다. 장기간의 출장 정지는 선수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어 실제 난투극은 드물다. 팀 동료들도 가담하기보다는 말리거나 방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99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잉글랜드데이비드 베컴디에고 시메오네의 거친 플레이에 보복 행위를 하여 퇴장당했고, 자국 언론으로부터 '10명의 용감한 사자와 1명의 바보'라는 비난을 받으며 전범 취급을 받기도 했다. 오히려 선수들 간의 충돌보다는 특정 팀을 응원하는 서포터들, 소위 훌리건이라 불리는 이들이 경기장 안팎에서 난투극을 벌이는 경우가 더 잦다.

아이스하키에서도 난투극이 종종 발생한다. 규칙상으로는 금지되어 있고 페널티 대상이지만, 특히 프로 리그에서는 선수 간 1대1 난투가 벌어지면 심판이나 다른 선수들이 잠시 지켜보는 경향이 있다. 어느 정도 싸움이 진행된 후, 심판은 양 선수에게 5분간 퇴장(메이저 페널티)을 부과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장비 없이 맨손으로 싸우는 것이 암묵적인 규칙처럼 여겨진다. 이를 '공정한 싸움'이라며 즐기는 팬들도 있지만, 폭력적인 장면에 눈살을 찌푸리는 이들도 있다.

여러 선수가 얽히는 난투극이 벌어질 조짐이 보이면 심판은 이를 막으려 한다. 난투극은 보통 빙판 위의 선수들 사이에서만 벌어지며, 벤치에 있던 선수가 가담하면 해당 선수는 여러 경기 출장 정지 등 무거운 징계를 받고 팀에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닛코 고베 아이스벅스와 창춘 푸아오의 경기에서는 창춘 선수의 격분으로 난투극이 벌어졌는데, 닛코 고베는 빙판 위 6명만 참여했지만 창춘은 벤치 선수 전원이 가담하여 매치 페널티를 받았고, 이에 항의하다 몰수패(닛코 고베 승리, 스코어 0-0)를 당한 사례가 있다.

=== 정치 ===

==== 일본 ====

경찰법 개정 심의 중 벌어진 일본 중의원의 난투극 (1954년 6월 3일)


일본 국회에서는 특히 강행 채결 시 난투극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수당이 심의 중단 및 표결을 강행하려 하면, 소수당 의원들이 의장석이나 위원장석으로 몰려가 물리력으로 이를 저지하려 하고, 다수당 의원들이 이를 막으면서 몸싸움이 벌어진다(위시도 위원장 보호에 가담). 하지만 이는 표결 선언을 막아 무효화하려는 목적이 크기 때문에, 상대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소수당의 이러한 저지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다수당의 뜻대로 의안이 가결된다. 이러한 여야 간의 충돌에 대해 형사 고소가 이루어진 적은 없어, 일종의 정치적 퍼포먼스로 보는 시각도 있다. 난투극에 연루된 의원에 대해 징벌 동의가 제출되는 등, 국회 운영의 주도권 싸움에 이용되기도 한다.

난투극에는 해당 원(중의원, 참의원)의 의원과 위시 집행 임무를 맡은 위시만 참여한다는 불문율이 있으며, 다른 원 의원이나 비서 등이 가담하면 문제가 된다. 의장은 기동대 등 경찰관을 투입할 법적 권한이 있지만, 실제 투입 시 비판을 받는다. 난투극은 주로 의사당 안에서 벌어지지만, 야당 의원들이 본회의 표결을 막기 위해 의장의 의사당 입장을 물리력으로 저지하려 하고, 여당 의원들이 이를 뚫으려 하면서 의사당 밖에서 벌어지기도 한다.

이런 국회는 '난투 국회'라며 조롱받기도 하는데, 특히 1954년 경찰법 개정을 둘러싼 중의원 본회의에서의 충돌이 유명하다. 이 시기 난투극이 잦아 관련 국회 직원에게 속칭 '난투 수당'이라는 특별 수당이 지급되기도 했으나, 정부 예산 삭감과 난투극 감소 추세에 따라 2005년 폐지가 결정되었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회에서도 과거 법안 심의 등을 둘러싸고 여러 차례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여 외신에 보도되는 등 국제적인 조롱거리가 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G7 정상회의 정식 참가국에 포함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국회 난투를 비롯한 민도 저하가 거론되기도 한다[18][19][20]. 제6공화국 대통령 이명박은 이러한 상황을 우려하며 '''"해머체인톱 등을 국회에 들고 가는 모습을 본 세계 각국 정상들이 뭐라고 하겠는가"'''라고 의원들에게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21]

이러한 사태를 개선하기 위해 2012년 5월,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제한하고 다수당의 일방적인 강행 처리와 이를 막기 위한 물리력 동원을 방지할 목적으로 국회법이 개정되었다. 소위 '국회선진화법'으로 불리는 이 법은[22] 여야 간 이견이 큰 법안의 본회의 상정 요건을 재적 의원 5분의 3 이상 찬성으로 강화했다. 그러나 이 법 개정 이후, 법안 처리가 지연되는 부작용도 나타나 2014년 7월 임시국회에서는 단 한 건의 법안도 처리되지 못했고, 이어진 9월 정기국회에서 90여 개의 법안이 한꺼번에 처리되는 일도 있었다[23]

==== 대만 ====

중화민국 (대만)의 입법원에서도 입법위원들 간의 난투극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언론에 자주 보도된다. 과거 이그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하는 등, 한국과 마찬가지로 국제 사회의 조롱 대상이 되기도 했다.

7. 벤치 클리어링 관련 논란

중화민국(대만)의 입법원에서도 입법위원들 간의 물리적 충돌이 자주 발생하여 언론에 보도되곤 한다. 이러한 정치적 폭력 사태는 과거 이그노벨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oston Red Sox 7, Tampa Bay Rays 1 https://www.retroshe[...] 2020-10-24
[2] 웹사이트 10 Most Epic MLB Bench-clearing Brawls in the Past 30 Years https://detroitsport[...] 2020-10-24
[3] 뉴스 MLB issues suspicion and fine to Rougned Odor for punching Jose Bautista https://www.nbcsport[...] 2020-10-24
[4] 웹사이트 Texas Rangers 5, Seattle Mariners 0 https://www.retroshe[...] 2020-10-24
[5] 웹사이트 Forty years ago, 10-cent beer makes memories https://www.mlb.com/[...] 2020-10-24
[6] 간행물 The Official Baseball Rules http://mlb.mlb.com/m[...] 2013-04-06
[7] 문서 'Rule 70.10 – Leaving the Players'' or Penalty Bench' http://www.nhl.com/i[...]
[8] 문서 IIHF Rule Book 2006–2010 http://www.iihf.com/[...]
[9] 문서 IIHF Rule Book 2006–2010 http://www.iihf.com/[...]
[10] 문서 IIHF Rule Book 2006–2010 http://www.iihf.com/[...]
[11] 뉴스 Ice hockey-Russian clubs handed heavy fines after mass brawl https://www.reuters.[...] Reuters
[12] 간행물 NFHS Resource Library http://www.nfhs.org/[...] 2013-04-06
[13] Youtube プロ野球から激しい乱闘が消えた理由 https://www.youtube.[...]
[14] 웹사이트 「最近のは”もどき”」近年のNPBでの”乱闘”にレジェンド捕手が見解「言わば死球は強打者の証」とも https://cocokara-nex[...] 2023-06-05
[15] 문서 これとは別に中日球団からは減俸100万円と厳重戒告の処分が科された。
[16] 문서 この試合の7回表に和田が打席に立った際、3球目の投球前に和田が3度にわたってバッターボックスを外し、特に3度目はメイが投球モーションに入った後に和田がタイムを要求したため、立腹したメイがその投球モーションから和田の頭部付近にビーンボールを投じたもの。危険球のルール適用がないタイム中の行為であること、メイが試合後に「和田に対する報復として行った」と自ら言及したことがこの処分の背景にある(「日本プロ野球『事件史』」(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刊、2002年)、P132)。なお、メイは阪神在籍中の1999年7月18日の阪神対巨人戦(阪神甲子園球場)で審判へ暴力を振るって2週間の出場停止処分を科された前歴がある。
[17] 문서 試合中に発生したわけではないがリンゴ事件や八十川ボーク事件などもある
[18] 뉴스 海外メディア「経済再生法案が国会の乱闘劇で漂流」(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03-11
[19] 뉴스 国会議員の乱闘劇、海外で笑い話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07-24
[20] 뉴스 【写真】メディア法、乱闘劇の中で国会本会議通過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07-23
[21] 뉴스 MB「ハンマー動員した国会、G20にどう見られるだろう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01-16
[22] 웹사이트 機能不全国会を支える「国会後進化法」、このままにしていいのか:東亜日報 http://japanese.dong[...] 2017-09-20
[23] 웹사이트 【緊急再掲・韓国乱闘国会】(3完)暴力がやんだ途端、機能不全(動画あり)(1/2ページ) - 産経ニュース https://www.sankei.c[...] 2017-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