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도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도경은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저그대마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했다. 2000년 SBS PKO 왕중왕전 우승, 2002년 게임TV 2차 스타리그 우승 등 다수의 개인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8년부터 KT 롤스터 코치 및 감독을 맡아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 우승을 이끌었으며, 이후 팀 배틀코믹스, APK 프린스, 다나와 e스포츠의 감독을 거쳐 2020년부터 설해원 프린스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 롤스터 - 우정호
    우정호는 KTF 매직엔스 소속으로 프로리그에서 9연승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급성 백혈병 진단 후 투병 중 25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e스포츠계에 큰 슬픔을 안겨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KT 롤스터 - 데프트
    데프트(김혁규)는 LCK와 LPL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팀을 거쳤고 2014년 LCK 스프링 우승, 2015년 MSI 우승, 2016년 LPL 서머 우승, 2018년 LCK 서머 우승, 2022년 롤드컵 우승 등 수많은 업적을 남긴 대한민국의 전설적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감독 - 박외식
    박외식은 워크래프트 III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고 웅진 스타즈 코치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전직 e스포츠 선수이자 감독이었으나, 승부조작 혐의로 한국e스포츠협회에서 영구 제명되어 과거 수상 기록이 모두 삭제되었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감독 - 최우범
    최우범은 전직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삼성 갤럭시의 코치 및 감독을 역임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이끌었고,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 - 김동건 (프로게이머)
    김동건은 2004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삼성전자 칸 등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지도자로 활동하며 여러 팀의 감독을 역임했다.
강도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강도경
그림2014 시즌 우승팀 'KT 롤스터' 공동 인터뷰 (강도경 감독).jpg
국적대한민국
출생지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종족저그
아이디H.O.T-Forever
별명저그대마왕
소속팀고엔고 프린스 (단장)
취미영화보기
특기컴퓨터 다루기
시력1.2 / 1.2
좌우명시간을 아끼자
키보드삼성
마우스MS 휠 구형
일일 연습시간5~10시간

2. 선수 경력

1세대 프로게이머로서 1999년에 데뷔하였다. 주 종족은 저그이며, '저그대마왕'이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0년대 초반 여러 개인 리그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보냈고, 2001년에는 웅진 스타즈의 창단 멤버로 합류하여 2005년까지 활동했다. 2006년 군 입대를 위해 공식 은퇴하였으며, 공군 ACE에서 선수 겸 플레잉코치로 복무한 뒤 2008년 제대하였다. 메이저 개인 리그에서 2회 준우승을 포함하여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2. 1. 프로게이머 데뷔 및 전성기 (1999년 ~ 2003년)

1세대 프로게이머로서, 1999년 상반기에 데뷔하였다. 저그 종족을 주로 사용하며 '저그대마왕'이라는 별명으로 명성을 떨쳤다. 2000년 SBS PKO왕중왕전 개인전에서 우승하였고, 같은 해 KGL리그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01년에는 KPGA투어 리그와 마산 MBC배 4대 천황전에서 연이어 우승컵을 들어 올렸으며, 2002년 게임TV 2차 스타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등 최고의 전성기를 보냈다.

2. 2. 웅진 스타즈 창단 멤버 및 군 복무 (2001년 ~ 2008년)

2001년 웅진 스타즈의 창단 멤버로 합류하여 2005년까지 팀에서 활동했다. 군 입대 문제로 인해 2006년 2월 9일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했으며, 이후 잠시 웅진 스타즈의 코치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공군 사병으로 복무했으며, 2006년 5월 17일 공군 전산특기병으로 선발되어 공군 ACE에서 프로게이머 선수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 2008년 8월 29일 제대하였다.

2. 3. 개인 수상 경력

'''메이저 개인리그 준우승 2회'''[1]

'''1999년~2000년'''

  • 1999년 99 스포츠서울컵 월드게임 챔피언 선발대회 스타크래프트 개인전 부산 본선 우승
  • 1999년 99 스포츠서울컵 월드게임 챔피언 선발대회 스타크래프트 개인전 전국 본선 9위
  • 1999년 99 스포츠서울컵 월드게임 챔피언 선발대회 스타크래프트 단체전 준우승
  • 1999년 Battle Top 9월 결선대회 종합 랭킹 3위
  • 1999년 Battle Top 12월 결선대회 종합 랭킹 부문 3위
  • 2000년 Asia Professional Gamers League 5위
  • 2000년 제1회 게임큐 스타리그 월드 챔피언십 우승
  • 2000년 TTL배 게임 스쿨 단체전 우승
  • 2000년 제1회 KIGL 최우수 선수
  • 2000년 제2회 KIGL 최우수 선수
  • 2000년 SBS 2000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왕중왕전 우승
  • 2000년 Battle Top 4월 아마리그 결선대회 3:3 팀플전 우승
  • 2000년 서울게임 엑스포 2000 프로게이머 32인 초청 최강전 공동 3위
  • 2000년 제 2회 게임큐 스타리그 3위
  • 2000년 아자아자 왕중왕전 컴팩 64강전 우승
  • 2000년 Compaq Korea배 아마추어 최강전 우승
  • 2000년 2000 하나로 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준우승 (2:3 기욤 패트리)
  • 2000년 제1회 KGL MVP(최우수 선수)
  • 2000년 제2회 KGL 스타부문 우승
  • 2000년 제2회 KGL MVP(최우수 선수)
  • 2000년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 2000년 iTV 랭킹전 3위


'''2001년~2003년'''

'''2004년~2009년'''

  • 2004년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3위(한빛 스타즈)
  • 2004년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MVP
  • 2004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Round 우승(한빛 스타즈)
  • 2004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Round 정규리그 MVP
  • 2005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 우승 (한빛 스타즈)
  • 2005년 KTF Bigi KeSPA컵 준우승(한빛 스타즈)
  • 2005년 2005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우정상
  • 2009년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8강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2008년 KT 롤스터의 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스타크래프트 II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하며 팀의 프로리그 우승 등을 이끌었다.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으로 전향하여 팀 배틀코믹스, APK 프린스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배틀그라운드 종목의 다나와 e스포츠 감독을 거쳐 2020년부터 설해원 프린스의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3. 1. KT 롤스터 코치 및 감독 (2008년 ~ 2016년)

2008년 8월 29일 대한민국 공군에서 제대한 후, 같은 해 9월 1일 KT 롤스터의 전략 코치로 선임되었다. 이후 2014년까지 KT 롤스터의 수석 코치를 역임하며 팀의 프로토스 라인을 전담, 우정호, 박재영, 김대엽 등의 선수 성적 향상에 기여했다.

2014년 2월 18일에는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 II 종목 전담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감독으로서 프로리그 통합 우승 1회, 통합 준우승 1회의 업적을 남겼다.

2016년 10월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 II 팀이 해체되면서 팀을 떠나 무소속 신분이 되었다.

코치 및 감독 재임 기간 중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명성적
2010년 4월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우승
2010년 8월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우승
2010년 8월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3위
2011년 8월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우승
2012년 4월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준우승
2013년 7월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3위
2014년 2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우승
2014년 3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2라운드4위
2014년 5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3위
2014년 8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통합우승
2015년 4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2라운드3위
2015년 6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3위
2015년 9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우승
2015년 9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통합4위
2016년 3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1라운드3위
2016년 5월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준우승


3. 2. 팀 배틀코믹스 및 APK 프린스 감독 (2017년 ~ 2018년)

2017년 1월 5일 새롭게 창단한 팀 배틀코믹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같은 해 7월 31일 팀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감독직을 내려놓았다.

이후 같은 해 APK 프린스의 감독으로 2017 LoL KeSPA컵에 참가했지만, 팀은 그리핀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3. 3. 다나와 e스포츠 감독 (2018년 ~ 2019년)

2018년 5월 18일 다나와 e스포츠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의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며, 2019년 5월 3일 1년간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3. 4. 설해원 프린스 단장 (2020년 ~ 현재)

2020년 6월 4일 설해원 프린스 프로게임단의 단장으로 정식 선임되었다.

3. 5. 코치 및 감독 수상 경력


4. 은퇴 이후

2006년 2월 9일 군입대 등의 문제로 공식 은퇴를 선언하였다. 은퇴 이후 잠시 웅진 스타즈의 코치 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군 사병으로 복무하게 된 그는 2006년 5월 17일 공군 전산특기병으로 선발되어 공군 ACE에서 프로게이머 선수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

2008년 8월 29일 제대 후, 같은 해 9월 1일 KT 롤스터의 전략 코치로 선임되었다. 2014년까지 수석 코치를 맡으며 팀의 프로토스 라인을 전담했고, 우정호, 박재영, 김대엽 등의 선수 성장에 기여했다.

2014년 2월 18일에는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 II 전담 감독으로 승격되어, 프로리그 통합 우승 1회와 통합 준우승 1회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6년 10월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 II 팀이 해체되면서 소속 없이 활동하게 되었다.

2017년 1월 5일, 새로 창단된 팀 배틀코믹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같은 해 7월 31일 팀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APK 프린스의 감독으로 2017 LoL KeSPA컵에 참가했지만, 그리핀에게 0-2로 패배하며 16강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18년 5월 18일에는 다나와 e스포츠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감독으로 선임되어 활동하다가 2019년 5월 3일, 1년간의 계약 기간이 만료되었다.

2020년 6월 4일, 설해원 프린스 프로게임단의 단장으로 정식 선임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