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더 러피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더 러피안은 19세기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1850년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따라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도 찬반을 결정하는 선거가 실시되자, 미주리에서 온 무장 세력들이 투표를 방해하고 자유주 지지자들에게 폭력을 행사했다. 이들은 투표소 점거, 불법 투표, 자유주 정착민들에 대한 만행을 저질렀고, 이러한 폭력은 '피의 캔자스'라는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보더 러피안의 만행은 남북 전쟁으로 이어지는 지역적 긴장을 심화시켰고, 결국 1861년 캔자스가 자유주로 연방에 가입하면서 그들의 활동은 종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의 캔자스 - 오사와토미 전투
    오사와토미 전투는 1856년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찬반 세력 간에 벌어진 전투로, 자유주 지지자들이 패배하고 친노예 세력의 약탈로 이어졌으며, 캔자스 지역의 폭력을 격화시켰다.
  • 피의 캔자스 - 포타와토미 학살
    1856년 존 브라운과 그의 지지자들이 캔자스 준주에서 친노예제 정착민 5명을 살해한 포타와토미 학살은 로렌스 약탈 등에 대한 보복이자 "피 흘리는 캔자스" 시대를 격화시킨 사건으로, 존 브라운의 역할과 동기에 대한 논쟁과 함께 긍정적 평가와 테러 행위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보더 러피안
개요
1856년 로렌스를 약탈하는 국경 러피언
1856년 로렌스를 약탈하는 국경 러피언
활동 시기1854년 ~ 1860년대
활동 지역캔자스 준주와 미주리주 국경 지대
이념노예제 찬성론
주권 재민
인종차별
목표캔자스 준주에 노예제를 합법화
캔자스 준주를 노예주로 편입
구성원주로 미주리주 출신의 노예제 옹호론자
활동투표 조작
폭력 행사
약탈
테러
배경
원인캔자스-네브래스카 법
주권 재민 원칙 적용
노예제 찬반 세력 간의 갈등 심화
관련 사건블리딩 캔자스
로렌스 약탈
포타와토미 학살
결과
영향캔자스 준주의 정치적 불안정 심화
노예제 찬반 갈등 격화
미국 남북 전쟁의 전조
기타
관련 용어제이호커 (반노예제 세력)
자유주
노예주

2. 용어의 기원 및 의미

"보더 러피안"은 캔자스 노예 문제와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이다. 이들은 리볼버와 보위 나이프로 무장하고 캔자스 노예제도에 대한 논쟁에 강제로 간섭했다.[2][3] 당시 많은 캔자스 정착민들은 노예제도에 반대했지만, 노예제도 옹호자들은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려 했다. 선거가 열리면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점거하고, 자유주 사람들의 투표를 막고, 불법적으로 투표하여 캔자스 거주민이라고 허위 진술했다.[23][7]

1856년 런던 타임스 통신원은 캔자스에서 유권자들이 보더 러피안들에게 조롱과 괴롭힘을 당하는 ''보위 나이프 투표''가 여러 번 발생했다고 보도했다.[4] 뉴잉글랜드 이민 지원 회사는 "성경"이라고 표시된 상자에 샤프스 소총을 캔자스 준주로 운송했다.[5][6]

보더 러피안들은 미주리에서 활동하며 캔자스에서 투표하고 총을 쐈지만, 미주리에서 잠을 잤다고 한다.[8] 이들은 준주 선거에 간섭했을 뿐만 아니라 자유주 정착민들에게 만행을 저지르고 그들의 재산을 파괴했다. 이러한 폭력은 "피의 캔자스"라는 구절의 기원이 되었다. 그러나 정치적 살인과 폭력은 양측 모두 자행했다.[9][10][11]

연방 정부는 폭력을 막기 위해 개입하지 않았고,[12] 1856년 5월 캔자스주 로렌스 약탈과 같은 사건들이 발생했다. 미국 상원의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 (민주당-미주리)은 폭도들을 선동하기도 했다.[13][14] 보더 러피안들은 점점 더 격렬해지는 지역적 긴장에 기여하여 결국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이어졌다.[15]

2. 1. 용어의 기원

1913년판 웹스터 사전은 19세기 단어 ruffian영어을 "불한당, 악당 또는 원칙 없고, 사기성이 있으며, 잔혹하고 믿을 수 없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보더 러피안"이라는 용어는 캔자스주 로렌스에서 발행된 신문인 ''헤럴드 오브 프리덤''(Herald of Freedom)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57년 10월 8일, 이 신문은 리더 주지사가 침략자들을 "보더 러피안"이라고 지칭하며, 그들의 지도자는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과 B. F. 스트링펠로우라고 보도했다.[1]

3. 역사적 배경: 피의 캔자스

보더 러피안의 역사는 1854년부터 1859년까지 캔자스에서 일어난 일련의 폭력적인 내전 대립인 피의 캔자스 또는 국경 전쟁과 얽혀 있다.[24]

3. 1.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

캔자스 준주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법은 그 지역에서 노예제도에 대한 연방의 금지를 폐지한 법안이었다. 대신, 지역에서 선출된 주 의회가 자유주와 노예주 여부를 결정하게 한 것이다.[52]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이 1820년미주리 타협을 폐지하고 캔자스 주민들이 노예 제도에 대해 투표할 수 있게 되자, 노예 제도 논쟁의 양측 반대 세력은 자신들의 대의 명분을 지지하기 위해 정착민들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이 당시, 캔자스의 많은 정착민들이 노예제도를 반대했다. 그러나 노예제도 옹호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강행하려 했다.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못하게 하고, 그들 자신이 불법적인 선거를 했다. 그들 자신은 미주리에서 온 사람들로 투표권 자체가 없었다.[52][53]

1855년 1월에서 2월 사이에 실시된 첫 번째 준주 인구 조사는 8,601명의 인구를 기록했고, 그중 2,905명이 투표 자격을 얻었으며, 준주에는 192명의 노예가 있었다.[25][26]

3. 2. 노예제 찬반 세력의 대립

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의해 캔자스 준주가 설립되었다. 이 법은 캔자스 지역에서 노예제도에 대한 연방의 금지를 폐지하고, 지역에서 선출된 주 의회가 자유주와 노예주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였다.[52]

당시 캔자스의 많은 정착민들은 노예제도를 반대했지만, 노예제도 옹호자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강행하려 했다.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막고, 불법적인 선거를 했다. 이들은 미주리에서 온 사람들로 투표권 자체가 없었다.[52][53]

보더 러피안들은 프리 스테이트(자유주) 개척민들에게 무차별 폭력을 가했다. 농장을 불태우고, 때로는 프리 스테이트 사람들을 살해하기도 했다.

가장 악명 높았던 사건은 보더 러피안이 캔자스 로렌스를 두 번이나 기습한 사건이었다. 1855년 12월 1일, 보더 러피안으로 구성된 소수의 무리가 로렌스를 포위했지만, 결국 격퇴되었다. 이것이 와카루사 전쟁으로, 거의 피를 보지 않은 전쟁이었다.

1856년 5월 21일, 더 큰 규모의 보더 러피안과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이 로렌스를 함락하고 약탈을 자행했다. 이 사건이 로렌스 약탈 사건이다.[52]

프리 스테이트 주민들도 반격을 가했다. 제이호크스(또는 레드레그즈, 레드레거즈)로 알려진 프리 스테이트 민병대가 노예제도 찬성 개척민들을 습격하여, 보더 러피안 동조자들을 심문했다. 가장 악명 높았던 존 브라운은 오사와토미에서 5명의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을 살해했다.[52]

3. 3. 폭력 사태의 발생

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의해 캔자스 준주가 설립되었다. 이 법은 해당 지역에서 노예제도에 대한 연방 정부의 금지를 폐지하고, 지역에서 선출된 주 의회가 자유주와 노예주 중 어느 쪽을 선택할지 결정하도록 했다.[52]

당시 캔자스의 많은 정착민들은 노예제도에 반대했지만, 노예제 옹호자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강행하려 했다.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막는 등 불법적인 선거를 자행했다. 이들은 미주리에서 온 사람들로 투표권 자체가 없었다.[52][53]

보더 러피안들은 프리 스테이트(자유주) 개척민들에게 무차별 폭력을 행사했다. 농장을 불태우거나, 때로는 프리 스테이트 사람들을 살해하기도 했다.

보더 러피안이 캔자스 로렌스를 두 번이나 기습한 사건은 가장 악명 높은 사례였다. 1855년 12월 1일, 보더 러피안으로 구성된 소규모 무리가 로렌스를 포위했지만 격퇴되었다. 이는 와카루사 전쟁으로, 거의 유혈 사태 없이 끝났다.

이듬해 1856년 5월 21일, 더 큰 규모의 보더 러피안과 노예제 찬성론자들이 로렌스를 함락하고 약탈을 자행했는데, 이를 로렌스 약탈 사건이라고 한다.[52]

프리 스테이트 주민들도 가끔씩 반격을 가했다. 제이호크스(또는 레드레그즈, 레드레거즈)로 알려진 프리 스테이트 민병대는 노예제 찬성 개척민들을 습격하여 보더 러피안 동조자들을 심문했다. 가장 악명 높은 존 브라운은 오사와토미에서 5명의 노예제 찬성론자들을 살해했다.[52]

4. 보더 러피안의 만행

보더 러피안은 1850년대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도 찬성을 위해 폭력과 불법 행위를 자행한 미주리 주민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캔자스를 노예주로 만들기 위해 무력 개입, 불법 선거, 폭력 행위 등을 일삼았다.

캔자스 준주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이 법은 주민 투표를 통해 자유주와 노예주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52] 당시 캔자스 주민 대다수는 노예제도에 반대했지만, 노예제 옹호론자들은 자신들의 뜻을 강요하려 했다.[52]

"보더 러피안"이라는 용어는 1857년 캔자스 주 로렌스에서 발행된 신문 ''헤럴드 오브 프리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 이들은 리볼버와 보위 나이프로 무장하고 캔자스 노예제도 논쟁에 강제로 간섭했다.[2][3] 런던 타임스 특파원은 보더 러피안들이 유권자들을 조롱하고 괴롭히는 ''보위 나이프 투표''가 여러 번 있었다고 보도했다.[4]

보더 러피안들은 미주리에서 활동했다. 그들은 캔자스에서 투표하고 총을 쐈지만, 미주리에서 잠을 잤다고 한다.[8] 이들은 준주 선거에 간섭했을 뿐만 아니라 자유주 정착민들에게 만행을 저지르고 재산을 파괴했다. 이러한 폭력은 "피의 캔자스"라는 표현의 기원이 되었다.[9][10][11]

연방 정부는 이러한 폭력을 막기 위해 개입하지 않았다.[12] 미국 상원의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은 폭도들을 선동하여 캔자스주 로렌스 약탈과 같은 사건을 일으켰다.[13][14]

보더 러피안들의 만행은 지역적 긴장을 고조시켜 결국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했다.[15]

4. 1. 불법 선거 개입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막았으며, 미주리에서 온 이들은 투표권 자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적인 선거를 했다.[52][53]

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따라 1854년 11월 29일에 보더 러피안들은 친노예제 지역 대표로 존 W. 휘트필드를 의회에 선출했다. 그러나 의회 조사 결과 투표의 60%가 불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33]

1855년 3월 30일, 보더 러피안들은 친노예제 지역 입법부를 선출했고, 이 입법부는 노예제에 반대하는 발언에 대해 가혹한 처벌을 도입했다.[34] 프리 스테이터들은 이 입법부가 보더 러피안들의 대거 참여로 인해 지역 내 유권자 수보다 두 배나 많은 투표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짜 입법부라고 불렀다. 공정한 선거를 보장하지 못한 결과, 캔자스에는 친노예제와 자유 주, 두 개의 지역 정부가 세워졌으며, 각 정부는 전체 지역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했다.[33]

1857년, 캔자스의 친노예제 세력은 미래의 캔자스 주를 위한 리콤턴 헌법을 제안했다. 그들은 추가적인 사기와 폭력을 동원하여 리콤턴 헌법을 채택하려 했지만, 당시 자유 스테이터가 너무 많았고, 미국 의회는 이를 확정하는 것을 거부했다.[7]

미주리 유권자들이 캔자스 해안으로 미주리 강을 건너는 모습, 길버트 골 작품

4. 2. 폭력 행위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방해했으며, 스스로 불법적인 투표를 했다. 이들은 미주리에서 온 사람들이라 투표권 자체가 없었다.[52][53]

보더 러피안들은 프리 스테이트(자유주) 개척민들에게 무차별 폭력을 가했다. 농장을 불태우고, 때로는 프리 스테이트 사람들을 살해하기도 했다.

가장 악명 높았던 사건은 보더 러피안들이 캔자스 로렌스를 두 번이나 기습한 사건이었다. 1855년 12월 1일, 소수의 보더 러피안 무리가 로렌스를 포위했지만, 결국 격퇴되었다. 이는 와카루사 전쟁으로, 거의 피를 보지 않은 전쟁이었다.

1856년 5월 21일, 더 큰 규모의 보더 러피안과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이 로렌스를 함락하고 약탈을 자행했다. 이 사건은 로렌스 약탈로 알려져 있다.[52]

프리 스테이트 주민들도 가끔씩 반격을 가했다. 제이호커스(또는 레드레그즈, 레드레거즈)로 알려진 프리 스테이트 민병대는 노예제도 찬성 개척민들을 습격하고, 보더 러피안 동조자들을 심문했다. 가장 악명 높았던 존 브라운은 오사와토미에서 5명의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을 살해했다.[52]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캔자스로 진입


대포를 든 보더 러피안들이 캔자스주 로렌스를 향해 행진


칼을 든 신원 불명의 보더 러피안 두 명

5. 보더 러피안의 지도자와 추종자들

보더 러피안은 프리 스테이트(노예제 반대) 개척민들에게 무차별 폭력을 가했다. 농장을 불태우고, 때로는 사람들을 살해하기도 했다. 특히 보더 러피안이 캔자스 로렌스를 두 번이나 기습한 사건은 악명이 높았다. 1855년 12월 1일, 소수의 보더 러피안 무리가 로렌스를 포위했지만, 곧 물러났다. 이는 와카루사 전쟁으로, 거의 피를 보지 않은 전쟁이었다. 이듬해 1856년 5월 21일, 더 큰 규모의 보더 러피안과 노예제 찬성론자들이 로렌스를 함락하고 약탈했는데, 이를 로렌스 약탈 사건이라고 한다.[52]

프리 스테이트 주민들도 반격을 가했다. 제이호크스(또는 레드레그즈, 레드레거즈)로 알려진 프리 스테이트 민병대가 노예제 찬성 개척민들을 습격하여 보더 러피안 동조자들을 심문했다. 존 브라운은 오사와토미에서 5명의 노예제 찬성론자들을 살해하기도 했다.[52]

보더 러피안 지도자들의 주요 목적은 자유 주 주민들을 몰아내고 캔자스에 노예제를 확립하는 것이었지만, 일반 러피안들은 도시를 습격하고, 집을 뒤지고, 말을 훔치는 등 거친 행동을 즐겼다. 캔자스 동부 지역의 도시와 시골은 자주 습격당했고, 토지 소유권을 가진 자유 주 사람들은 쫓겨났으며, 선거는 방해받았고, 폭력 범죄가 발생했다. 북부와 남부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을 때 많은 이들이 부시와커 또는 게릴라가 되었다.[22]

캔자스와 미주리 양쪽 모두 폭력적인 전투원들이 있었기 때문에 캔자스-미주리 국경의 정착민들은 중립을 지키기 어려웠다.[23]

5. 1. 주요 지도자

보더 러피안은 조직적인 집단을 구성하지 않았다. 그들은 회의를 한 적이 없고, 지정된 지도자도 없었으며, 그들에게 단체로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한 사람도 없었다.[16]

보더 러피안은 다음과 같은 정치인들의 수사에 의해 움직였다.[16]

인물설명
데이비드 라이스 아치슨
벤자민 프랭클린 스트링펠로우
존 H. 스트링펠로우친노예 신문인 스쿼터 소버린(Atchison, Kansas)의 편집자이며, 제1차 캔자스 자치 의회의 하원의장, 소위 사기 의회
토마스 존슨 목사감리교 목사[17]
새뮤얼 J. 존스친노예 신문 편집자[18]
다니엘 우드슨친노예 신문 편집자[19]



특히 아치슨은 북부인들을 "흑인 도둑"과 "노예 폐지론자 폭군"이라고 불렀다. 그는 미주리 주민들에게 그들의 제도를 "총검과 피로" 방어하고, 필요하다면 "그 지역의 모든 빌어먹을 노예 폐지론자를 죽이라"고 격려했다.[20]

5. 2. 추종자들의 동기

캔자스 준주는 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이 법은 캔자스 지역에서 노예제도에 대한 연방의 금지를 폐지했다. 대신, 지역에서 선출된 주 의회가 자유주와 노예주 여부를 결정하게 했다.[52]

당시 캔자스의 많은 정착민들은 노예제도를 반대했지만, 노예제도 옹호자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강행하려 했다.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못하게 하고, 그들 자신이 불법적인 선거를 했다. 이들은 미주리에서 온 사람들로 투표권 자체가 없었다.[52][53]

보더 러피안은 조직적인 집단을 구성하지 않았다. 회의를 한 적이 없고, 지정된 지도자도 없었으며, 단체로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한 사람도 없었다.

보더 러피안은 데이비드 라이스 아치슨, 벤자민 프랭클린 스트링펠로우, 친노예 신문인 ''스쿼터 소버린''(Atchison, Kansas)의 편집자이자 제1차 캔자스 자치 의회의 하원의장이었던 존 H. 스트링펠로우, 소위 사기 의회와 같은 정치인들의 수사에 의해 움직였다.[16] 또한 감리교 목사인 토마스 존슨 목사,[17] 새뮤얼 J. 존스와 다니엘 우드슨 같은 친노예 신문 편집자들의 선동도 영향을 미쳤다.[18][19] 특히 아치슨은 북부인들을 "흑인 도둑"과 "노예 폐지론자 폭군"이라고 불렀으며, 미주리 주민들에게 그들의 제도를 "총검과 피로" 방어하고, 필요하다면 "그 지역의 모든 빌어먹을 노예 폐지론자를 죽이라"고 격려했다.[20]

일반 보더 러피안 중 노예를 실제로 소유한 사람은 거의 없었는데, 대부분 너무 가난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양키와 노예 폐지론자에 대한 증오, 그리고 근처에 사는 자유 흑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행동했다. 캔자스 노예제는 소규모였으며 주로 가구 단위로 운영되었다.[21] 역사가 데이비드 M. 포터에 따르면, 대부분의 캔자스인들은 토지 소유권에 주로 관심을 가졌고, 노예 문제에 대해 별로 신경 쓰지 않는 지역에서 긴장과 폭력이 발생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33]

프랭크 W. 블랙마의 캔자스 역사 백과사전은 보더 러피안 사이의 일반 구성원들이 그들이 불린 방식과 그들이 하는 일 모두에 대해 자부심을 가졌다고 요약한다.

캔자스의 공정한 하녀, 자유가 보더 러피안의 손에 들어감,

6. 자유주 지원 활동

캔자스 준주1854년 캔자스 네브라스카 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법은 그 지역에서 노예제도에 대한 연방의 금지를 폐지한 법안이었다. 대신, 지역에서 선출된 주 의회가 자유주와 노예주 여부를 결정하게 한 것이다.[52]

이 당시, 캔자스의 많은 정착민들이 노예제도를 반대했다. 그러나 노예제도의 옹호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강행하려 했다. 캔자스 준주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무장한 보더 러피안들이 투표소를 장악하고, 자유주 찬성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못하게 하고, 그들 자신이 불법적인 선거를 했다. 그들 자신은 미주리에서 온 사람들로 투표권 자체가 없었다.[52][53]

보더 러피안들은 프리 스테이트 개척민들에게 무차별 폭력을 가했다. 농장을 불태우고, 때로는 프리 스테이트 사람들을 살해했다.

가장 악명이 높았던 것은, 보더 러피안이 캔자스 로렌스를 두번이나 기습한 사건이었다. 1855년 12월 1일, 보더 러피안으로 구성된 소수의 무리가 로렌스를 포위했지만, 그들을 몰아냈다. 이것이 와카루사 전쟁으로 거의 피를 보지 않은 전쟁이었다.

이듬 해 1856년 5월 21일, 좀 더 큰 규모의 보더 러피안과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이 로렌스를 함락하고, 약탈을 했다. 이 사건이 로렌스 약탈 사건이다.[52]

프리 스테이트 주민들은 가끔씩 반격을 가하기도 했다. 제이호크스(또는 레드레그즈, 레드레거즈)로 알려진 프리 스테이트 민병대가 노예제도 찬성 개척민들을 습격하여, 보더 러피안 동조자들을 심문했다. 가장 악명이 높았던 존 브라운은 5명의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을 오사와토미에서 살해했다.[52]

T. W. 히긴슨 목사는 매사추세츠 주 캔자스 위원회를 전국적으로 알려진 단체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위원회는 뉴잉글랜드 이민 지원 회사의 전 자회사였다.[38] 위원회는 노예제 폐지론자 정착민을 모집하고, 그들이 캔자스로 이주할 자금을 모금했으며, 변경 불량배(border ruffians)에 대항할 수 있도록 소총을 지급했다.[39]

헨리 W. 비처는 "샤프스 소총은 진정으로 도덕적인 도구이며, 캔자스의 노예 소유주에게는 백 개의 성경보다 그 도구 하나에 더 많은 도덕적 힘이 있다."고 말했다.[41]

1856년 7월 9일, 매사추세츠 주 캔자스 위원회와 뉴잉글랜드 이민 지원 회사는 시카고에 본부를 둔 캔자스 전국 지원 위원회 설립을 시작했다. 전국 위원회의 수장인 타데우스 하얏트는 캔자스에서 자유주(Free-State)를 지원하기 위해 돈, 무기, 식량, 의류, 농업 용품을 모으기 시작했다. 목표는 5천 명의 정착민을 캔자스 자치령으로 수송하여 1년 치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었다.[42]

보급 창고가 아이오와주 마운트 플레전트에 설치되었고, 이민자들에게 말과 마차 및 기타 물품뿐만 아니라 무기도 제공되었으며, 그들은 중대로 조직되어 훈련을 받았다.

다음은 자유주 지원 활동과 관련된 금액을 정리한 표이다.

단체품목금액
다양한 자유주 지원 단체들 (1855~1856년)소총, 머스킷, 리볼버, 탄약, 대포 1문43074.26USD
매사추세츠 주 캔자스 위원회 (1856년)샤프스 소총 200정4947.88USD
매사추세츠 주 캔자스 위원회 (1858년 9월)샤프스 소총 190정3800USD
캔자스 전국 위원회 (1856~1857년)자유주 지원


7. 남북 전쟁 시기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캔자스-미주리 경계에서의 폭력은 지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격화되었다. 이전의 국경 폭력배들 중 다수는 친남부 연합 게릴라 또는 부시왜커가 되었다. 그들은 미주리 서부에서 활동하며 때로는 캔자스를 습격했고, 북군은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 작전을 펼쳤다.

7. 1. 폭력의 지속과 심화

남북 전쟁 동안, 이 지역의 폭력은 계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심화되었다. 이전에 러피안이었던 사람들은 남군 게릴라가 되어 미주리주 서부에서 작전을 펼쳤고, 때로는 캔자스를 침입해 북군을 기습하여 압박했다. 농장은 불태워지고 약탈당했으며, 게릴라로 의심되는 이들은 살해당했다. 게릴라들도 북군 동조자와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들을 살해했다. (부시왜커 참조)

많은 북군 부대에 캔자스 제이호커들이 입대하였으며, 이들은 미주리 사람들에 대해 깊은 원한을 품고 있었다. 제이호커는 오세올라와 같은 미주리의 여러 타운을 파괴했다. 오세올라 파괴는 1976년에 제작된 영화 《무법자 조시 웨일즈》에서 잘 그려지고 있다.[50]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캔자스-미주리 경계에서의 폭력은 지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격화되었다. 이전의 국경 폭력배들 중 다수는 친남부 연합 게릴라 또는 부시왜커가 되었다. 그들은 미주리 서부에서 활동하며 때로는 캔자스를 습격했고, 북군은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 작전을 펼쳤다. 미주리-캔자스 주 경계의 농장들은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게릴라 용의자들은 살해되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부시왜커들은 북군 동조자들과 혐의가 있는 정보원들을 살해했다. "피의 빌" 앤더슨과 윌리엄 콴트릴과 같은 남부 연합 게릴라 지도자들은 전쟁 중 캔자스에서 공포의 대상이었다.[46]

부시왜커와 싸운 많은 북군 병사들은 국경 폭력배들에 대한 깊은 원한을 품고 있던 전직 제이호커였다. 찰스 R. 제니슨은 제7 캔자스 기병 연대를 모집했는데, 이는 제니슨의 제이호커로 알려지게 되었다. 1861년과 1862년 가을과 겨울에 제니슨의 제이호커는 미주리 주민들의 재산을 약탈하고 파괴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아졌다.[47]

몇몇 제이호커들은 레그스(Red Legs)라고 불리는 준군사 조직에 합류했다. 빨간 각반을 착용하고 약 100명으로 구성된 레그스는 미주리 북군 군대의 징벌 원정 동안 정찰병으로 복무했다. 제이호커와 레그스는 1861~1863년에 미주리에서 여러 마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48][49]

7. 2. 제이호커의 활동

남북 전쟁 동안, 캔자스-미주리 경계에서의 폭력은 계속되었고, 이전의 국경 폭력배들 중 다수는 친남부 연합 게릴라 또는 부시왜커가 되었다. 이들은 미주리 서부에서 활동하며 때로는 캔자스를 습격했고, 북군은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 작전을 펼쳤다. 미주리-캔자스 주 경계의 농장들은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게릴라 용의자들은 살해되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부시왜커들은 북군 동조자들과 혐의가 있는 정보원들을 살해했다. "피의 빌" 앤더슨과 윌리엄 콴트릴과 같은 남부 연합 게릴라 지도자들은 전쟁 중 캔자스에서 공포의 대상이었다.[46]

부시왜커와 싸운 많은 북군 병사들은 국경 폭력배들에 대한 깊은 원한을 품고 있던 전직 제이호커였다. 찰스 R. 제니슨은 제7 캔자스 기병 연대를 모집했는데, 이는 제니슨의 제이호커로 알려지게 되었다. 1861년과 1862년 가을과 겨울에 제니슨의 제이호커는 미주리 주민들의 재산을 약탈하고 파괴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아졌다.[47]

몇몇 제이호커들은 레즈(Red Legs)라고 불리는 준군사 조직에 합류했다. 빨간 각반을 착용하고 약 100명으로 구성된 레즈는 미주리 북군 군대의 징벌 원정 동안 정찰병으로 복무했다. 제이호커와 레즈는 1861~1863년에 미주리에서 여러 마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48][49] 오세올라 (미주리)의 파괴는 영화 ''무법자 조시 웨일즈''에 묘사되어 있다.[50]

8. 결과 및 영향

남북 전쟁 동안, 이 지역에서 폭력은 계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심화되었다. 이전에 보더 러피안이었던 사람들은 남군 게릴라가 되어 미주리 주 서부에서 작전을 펼쳤고, 가끔씩 캔자스를 침입해 북군을 기습하여 압박했다. 농장은 불태워지고 약탈당했으며, 게릴라로 의심되는 이들은 살해당했고, 게릴라들 또한 북군 동조자와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들을 살해했다. (부시왜커 참조)

많은 북군 부대에 캔자스 제이호커들이 입대하였으며, 이들은 미주리 사람들에 대해 깊은 원한을 품고 있었다. 제이호커는 오세올라와 같은 미주리의 여러 타운을 파괴했다. 오세올라 파괴는 1976년에 제작된 영화 《무법자 조시 웰즈》(The Outlaw Josey Wales)에서 잘 그려지고 있다.

1858년 8월 2일, 친노예제도 성향의 1857년 리컴턴 헌법이 투표에서 부결되면서, 보더 러피안의 대의는 패배했음을 의미했다.[44] 1861년 1월 29일,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은 와이앤도트 헌법을 승인하는 법안에 서명했고, 캔자스는 자유주로 연방에 가입하게 되었다.[45]

참조

[1] 웹사이트 Benjamin F. Stringfellow http://kansasbogusle[...] kansasboguslegislature.org 2021-03-11
[2] 웹사이트 Bowie Knives, Concealed Rifles, and Caning Charles Sumner https://longreads.co[...] 2021-03-11
[3] 간행물 'Death to All Yankees and Traitors in Kansas': The Squatter Sovereign and the Defense of Slavery in Kansas 1993-01-01
[4] 서적 Looming Civil War: How Nineteenth-Century Americans Imagined the Fu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3-11
[5] 웹사이트 Sharps Carbine https://americanhist[...]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2021-03-16
[6] 서적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The Missouri-Kansas Conflict, 1855–1865 https://civilwaronth[...] New England Emigrant Aid Company 2021-03-11
[7]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https://web.archive.[...] Fort Scott National Historic Site 2007-11-19
[8] 학술지 The Marais des Cygnes Massacre and the Execution of William Griffith https://www.kshs.org[...] 2021-03-08
[9] 웹사이트 Documented political killings in Bleeding Kansas https://www.kshs.org[...] Kansas Historical Society 2021-03-13
[10] 간행물 How Bloody was Bleeding Kansas? Political Killings in Kansas Territory, 1854–1861 1995-06-01
[11] 서적 Border Warfare in Southeastern Kansas, 1856–1859 Linn County Publishers
[12] 학술지 The United States Army in the Kansas Border Troubles, 1855–1856 1966-12-01
[13] 웹사이트 Territorial Kansas Online – Transcripts https://territorialk[...] Kansas State Historical Society
[14] 웹사이트 Copy of David R. Atchison speech to proslavery forces https://www.kansasme[...] Kansas State Historical Society
[15] 서적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6] 웹사이트 Kansas Bogus Legislature: J. H. Stringfellow, Speaker of the House http://kansasbogusle[...] 2021-03-11
[17] 웹사이트 Pious Preacher or Radical Hypocrite? The Reverend Thomas Johnson https://newsantafetr[...] The New Santa Fe Trailer
[18] 웹사이트 Woodson, Daniel https://civilwaronth[...]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The Missouri-Kansas Conflict, 1855–1865
[19] 서적 Bleeding Kansas: Contested Liberty in the Civil War Era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 웹사이트 Copy of David R. Atchison speech to proslavery forces http://www.kansasmem[...] 2021-03-08
[21] 간행물 Slavery in Kansas 1901-01-01
[22] 웹사이트 Kansas: A cyclopedia of state history, embracing events, institutions, industries, counties, cities, towns, prominent persons, etc. ... / with a supplementary volume devoted to selected personal history and reminiscence https://web.archive.[...] Standard Pub. Co.
[23]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Mid 1850s – Precursor to the Civil War http://www.u-s-histo[...] U-S-History.com. Online Highways 2021
[24] 서적 War to the Knife: Bleeding Kansas, 1854–1861 Stackpole Books
[2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tate of Kansas: Containing a Full Account of Its Growth from an Uninhabited Territory to a Wealthy and Important State; of Its Early Settlements; Its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and the Marvelous Development of Its Great Natural Resources http://www.kancoll.o[...] A. T. Andreas
[26] 웹사이트 Kansapedia: Kansas Territory https://www.kshs.org[...] Kansas Historical Society
[27] 웹사이트 Kansas Matters – Appeal to the South http://www.teachushi[...] De Bow's Review 1856-05-01
[28] 간행물 The Emigrant Aid Company Parties of 1854 and The Emigrant Aid Company Parties of 1855 1943-01-01
[29] 간행물 New England in Kansas 1897-03-01
[30] 웹사이트 Border Ruffians https://www.ushistor[...] U.S. History Online Textbook
[31] 서적 'The Crime against Missouri': Slavery, Kansas, and the Cant of Southernness in the Border West 2002-03-01
[32] 서적 The Early Settlement and Raid on the 'Upper Neosho' 1925-01-01
[33]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http://www1.assumpti[...] Assumption University
[34] 백과사전 Kansapedia Kansas Historical Society 2021-03-14
[35] 서적 The Border Between Them: Violen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ansas-Missouri Lin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36] 서적 To Purge This Land With Blood: A Biography of John Brown Harper and Row
[37] 웹사이트 Battle of Osawatomie https://civilwaronth[...] 2020-01-04
[38] 웹사이트 Emigrant Aid Organizations: Massachusetts State Kansas Committee https://territorialk[...] 2022-05-14
[39] 간행물 Higginson, Thomas Wentworth Oxford
[40] 웹사이트 Massachusetts State Kansas Aid Committee Report, September 1858 http://www.wvculture[...] 2021-04-27
[41] 논문 The Sharps Rifle Episode in Kansas History https://penelope.uch[...] 1907-04
[42] 웹사이트 National Kansas Relief Committee, minutes https://www.kansasme[...] 2018-01-04
[43] 서적 John Brown And His Men: With Some Account of the Roads They Traveled to Reach Harper's Ferry' https://books.google[...] Funk & Wagnalls
[44] 서적 Race and Politics: "Bleeding Kansas" and the Coming of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Lippincott
[45] 문서 Wyandotte Constitution
[46]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 the Missouri Border War https://www.legendso[...] 2021-03-11
[47] 웹사이트 Jayhawkers https://civilwaronth[...] 2021-01-09
[48] 웹사이트 Red Legs https://civilwaronth[...] 2021-03-02
[49] 논문 'Desperate Characters': The Development and Impact of the Confederate Guerrilla Conflict in Kansas https://www.kshs.org[...] 1991-Autumn
[50] 웹사이트 The Kansas 'Red Legs' as Missouri's Dark Underbelly http://canteymyersco[...] 2021-03-16
[51] 웹인용 Border Ruffians - KS-Cyclopedia - 1912 http://skyways.lib.k[...] 2007-11-19
[52] 웹인용 Bleeding Kansas: Mid 1850s - Precursor to the Civil War http://www.u-s-histo[...] www.u-s-history.com 2007-11-19
[53] 웹인용 Bleeding Kansas http://www.nps.gov/a[...] Fort Scott National Historic Site 2007-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