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의 캔자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의 캔자스는 1850년대 미국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찬성 세력과 반대 세력 간의 폭력적인 갈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따라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허용 여부를 주민 투표로 결정하게 되면서, 노예제 찬성 세력과 반대 세력의 이주가 늘어나고 갈등이 격화되었다. 캔자스 준주는 노예제 찬반을 둘러싼 폭력 사태로 얼룩졌으며, 헌법 제정 과정에서도 갈등이 심화되었다. 결국 캔자스는 자유주로 연방에 가입했으나, 남북 전쟁 발발 이후에도 게릴라 폭력 사태가 지속되었다. 피의 캔자스는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유를 위한 투쟁을 상징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주리주의 범죄 - 마이클 브라운 총격 사건
    2014년 미주리주 페르거슨에서 발생한 마이클 브라운 총격 사건은 백인 경찰관 대런 윌슨이 흑인 청년 마이클 브라운을 총으로 쏴 사망하게 한 사건으로, 이로 인해 인종차별 및 경찰 폭력에 대한 논쟁과 시위가 촉발되었으며 흑인 생명 존중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857년 미국 - 1857년 공황
    1857년 공황은 오하이오 생명보험 신탁회사의 파산으로 시작된 미국의 심각한 경제 불황으로, 캘리포니아 금 생산 감소, 드레드 스콧 판결, 철도 투자 거품 붕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미국 전역에 은행 파산과 경제 혼란을 야기하고 남북 갈등을 심화시켜 남북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영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 1857년 미국 - 르컴튼 헌법
    르컴튼 헌법은 1857년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를 보호하고 유색 자유민의 권리를 제한하기 위해 노예제 옹호자들이 작성한 헌법으로, 국민투표에서 부결되고 남북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피의 캔자스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피의 캔자스
다른 명칭블러디 캔자스 (Bloody Kansas)
보더 워 (Border War)
관련 용어보더 러피언즈(Border Ruffians)
1856년 미국 지도. 노예 주 (회색), 자유 주 (분홍색), 준주 (녹색)으로 표시됨. 중앙에 캔자스 준주 (흰색)가 위치함.
1856년 지도. 노예 주 (회색), 자유 주 (분홍색), 준주 (녹색). 중앙의 흰색 영역이 캔자스 준주임.
분쟁 개요
시기1854년 – 1861년
장소캔자스 준주
원인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따른 캔자스 준주의 노예제 존폐 결정 둘러싼 갈등 심화
목표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존폐 여부 결정
결과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의 승리
캔자스가 자유 주로서 미국에 합류
미국 남북 전쟁으로 갈등 심화
교전 세력
교전 1노예 제도 폐지론자 정착민 (Free-Staters)
지원 세력 (교전 1)미국 (1860년 이후)
교전 2노예 제도 옹호론자 정착민 (보더 러피언s)
지원 세력 (교전 2)미국 (1854-1860)
지휘관 및 지도자
노예 제도 폐지론자존 브라운
노예 제도 옹호론자중앙화된 지도력 부재
사상자 및 피해
노예 제도 폐지론자100명 이상 (추정)
30-40명 사망
노예 제도 옹호론자80명 이하
20-30명 사망

2. 배경

자유주와 노예주의 변천, 1789년-1861년


미국 건국 초기부터 남부 지역에 깊이 뿌리내린 노예제는 국가 통합을 위협하는 주요 갈등 요인이었다. 미국 헌법 제정 과정에서도 노예제 인정 여부가 큰 쟁점이었으며, 각 주의 하원 의석 수를 결정할 때 노예 인구의 5분의 3을 포함하는 타협안(5분의 3 조항)이 마련되기도 했다. 이는 노예주와 자유주 간의 정치적 균형을 맞추기 위한 임시방편에 불과했다.

미국 영토가 서쪽으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주를 연방에 편입할 때마다 노예제 허용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격화되었다. 노예주와 자유주의 수가 엇비슷하게 유지되던 상황에서, 어느 한쪽으로 균형이 기울 경우 국가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이러한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1820년 미주리 타협과 1850년 타협 등 여러 차례 정치적 합의가 시도되었으나, 노예제 문제는 여전히 미국 사회의 가장 민감한 뇌관으로 남아 있었다.

19세기 중반, 서부 개척 열기와 대륙 횡단 철도 건설 계획은 새로운 영토 편입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특히 일리노이주 출신 민주당 상원의원 스티븐 더글러스는 캔자스 준주네브래스카 준주 설립을 골자로 하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을 1854년에 통과시켰다. 이 법의 핵심은 해당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노예제 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주민 주권'(popular sovereignty) 원칙을 도입한 것이었다.[51][45] 더글러스는 이 원칙을 통해 남부의 지지를 확보하고 서부 개발을 촉진하려 했으나, 이는 북위 36도 30분 이북 지역에서 노예제를 금지했던 미주리 타협을 사실상 폐기하는 결과를 낳았다.[7]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은 즉각적으로 격렬한 정치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캔자스 준주의 미래는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만약 캔자스가 노예주가 된다면, 이미 북쪽과 동쪽이 자유주에 둘러싸여 있던 미주리주는 더욱 고립될 위험에 처했다. 또한, 미국 상원에서 아슬아슬하게 유지되던 노예주와 자유주 간의 세력 균형이 깨질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문제였다. 북부의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미주리 타협의 폐기를 노예제 확산을 위한 남부의 음모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발했고, 남부 노예주 지지자들은 캔자스를 노예주로 만들기 위한 기회로 여겼다. 이처럼 캔자스 준주는 미국 전체의 노예제 찬반 세력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이념적 격전지가 될 운명에 놓였다.[8]

2. 1. 지정학적, 인구학적 요인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은 캔자스 준주네브래스카 준주를 새로이 설정하고 미국인 개척자들에게 이 지역을 개방했다. 이 법안은 해당 준주들이 주로 승격될 때 노예제 허용 여부를 주민들의 투표로 결정한다는 '주민 주권' 원칙을 내세웠다. 이는 사실상 북위 36도 30분 이북 지역에서 노예제를 금지했던 미주리 타협을 무효화하는 조치였다.[7] 주민 주권 개념은 일리노이주 출신 상원의원 스티븐 더글러스가 주도적으로 제안한 것으로, 표면적으로는 민주적 절차를 따르는 듯 보였으나 실제로는 서부 신규 지역으로 노예제가 확장될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남부 노예주들의 요구에 부응하려는 의도가 있었다.[51][45]

이 법안 통과는 특히 노예주였던 미주리주에 민감한 문제였다. 미주리주는 이미 북쪽으로는 아이오와주, 동쪽으로는 일리노이주라는 자유주에 둘러싸여 지리적으로 불안정한 위치에 있었다. 만약 서쪽의 캔자스마저 자유주가 된다면, 미주리주는 3면이 자유주에 포위되는 형세가 되어 노예 해방 운동의 압박이 거세지고 도망 노예 문제 관리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비록 미주리주 내 노예 소유주의 비율은 전체 인구 대비 높지 않았지만,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은 상당했다. 미주리 강을 따라 펼쳐진 캔자스 준주 동부 지역은 미주리주의 '블랙 벨트' 지대와 유사하게 노예를 이용한 농업에 비교적 적합하다는 점도 노예제 지지 세력의 캔자스 이주를 자극하는 요인이 되었다.

미국 상원의 의석 배분 문제도 갈등의 주요 원인이었다. 당시 상원은 노예주와 자유주 출신 의원 수가 거의 동수를 이루며 아슬아슬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캔자스가 노예주가 되느냐 자유주가 되느냐에 따라 상원의 세력 균형이 한쪽으로 기울게 되어, 국가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1855년, 캔자스 자유주 측의 이주 독려 포스터.


이러한 지정학적, 정치적 배경 하에 캔자스 준주에는 상반된 목적을 가진 이주민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조직적으로 움직인 것은 노예제 유지를 원했던 미주리 주민들이었다. 이들은 캔자스를 노예주로 만들기 위해 리번워스나 애치슨 같은 지역에 정착촌을 건설하며 세력을 넓히려 했다. 특히 이들 중 일부는 '보더 러피안'(Border Ruffians)이라 불리는 무장 단체를 조직하여, 1854년 11월과 1855년 3월에 치러진 준주 의회 선거에 개입했다. 수천 명의 미주리 주민들이 경계를 넘어와 불법 투표와 폭력을 행사하며 노예제 옹호파 후보를 당선시키고 친노예적인 준주 정부를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1][12] 한 조사에 따르면, 당시 선거에서 투표자 600명 중 합법적인 캔자스 거주민은 20명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12]

이에 맞서 북부의 노예제 폐지론자들과 자유주 지지자들은 캔자스를 자유주로 만들기 위한 이주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을 중심으로 설립된 뉴잉글랜드 이민 원조 회사와 같은 단체들은 반노예 성향의 개척자들이 캔자스에 정착할 수 있도록 자금을 모으고 이주를 지원했다.[46] 이들의 노력으로 토피카, 맨해튼, 로렌스 등 훗날 자유주 운동의 거점이 되는 도시들이 건설되었다.[8][17] 노예제 폐지론자였던 헨리 워드 비처 목사는 이주민들에게 샤프스 소총과 같은 무기를 공급하기 위한 모금 활동을 벌였고, 이 소총들은 '비처의 성경'(Beecher's Bibles)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15] 1855년 여름까지 약 1,200명의 뉴잉글랜드 출신 이주민들이 캔자스로 향했으며, 이들은 노예제 지지 세력과의 충돌에 대비하고 있었다.[47][16] 이처럼 상반된 이념을 가진 세력들이 캔자스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충돌하면서, 준주는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과 폭력 사태로 치닫게 되었다.

3. 북부와 남부의 만남



캔자스 준주가 설립된 후, 가장 먼저 조직적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은 노예주, 특히 인접한 미주리주 출신 시민들이었다. 이들은 캔자스에 노예제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으로 리번워스와 애치슨 같은 곳에 노예제 지지자들의 정착지를 세웠다.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 행정부 역시 친노예 성향의 준주 관리들을 임명하며 이러한 흐름을 지지했다.

거의 동시에, 북부에서는 뉴잉글랜드 이민 원조 회사와 같은 반노예제 단체들이 캔자스를 자유주로 만들기 위해 수천 명의 개척자 이주를 지원하고 자금을 모았다.[46] 이들은 토피카, 맨해튼, 로렌스 등지에 자유주 정착촌을 건설하는 데 기여했다. 노예제 폐지론자였던 헨리 워드 비처 목사는 동료 개척자들에게 샤프스 소총을 제공하기 위한 자금을 모았는데, 이 소총들은 '비처의 성경'(Beecher's Bibles영어)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15] 1855년 여름 무렵에는 약 1,200명의 뉴잉글랜드 출신 이주민들이 무장한 채 캔자스로 향했다.[47][16][8] 이러한 북부의 움직임은 동부 언론을 통해 크게 알려지면서 캔자스의 운명을 둘러싼 전국적인 관심을 고조시켰고, 이후 공화당과 노예제 폐지 운동의 중심지가 될 도시들의 기반을 마련했다.[8][17]

캔자스에서 북부 출신 이주민들이 늘어난다는 소문이 퍼지자, 노예제 지지 세력은 위기감을 느꼈다. 1854년 11월, 미주리주 상원의원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 등의 선동으로 무장한 노예제 지지자들, 이른바 '보더 러피안'(Border Ruffians) 수천 명이 미주리주 경계를 넘어 캔자스로 들어왔다. 이들은 준주의 미국 하원 파견 대의원 선거에 개입하여 노예제 지지 후보인 존 윌킨스 휘트필드에게 유리하도록 불법 투표를 자행했다.[11] 당시 캔자스 준주의 등록 유권자는 약 1,500명이었으나, 실제 투표 수는 6,000표가 넘었다. 한 투표소에서는 604명의 투표자 중 캔자스 거주민은 단 20명에 불과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후 의회 조사 위원회는 이 선거에서 합법적인 표는 1,114표였던 반면, 부정 투표가 1,729표에 달했다고 보고했다.[12]



보더 러피안의 선거 개입은 1855년 3월 30일에 실시된 첫 준주 의회 선거에서도 반복되었다.[11] 이 선거는 캔자스에서 노예제를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중요한 선거였으나, 또다시 미주리에서 넘어온 이들의 불법 투표로 인해 노예제 지지자들이 39석 중 37석을 차지하는 결과가 나왔다. 자유주 지지자들은 마틴 F. 콘웨이와 라일리 카운티의 새뮤얼 D. 휴스턴 단 두 명만이 선출되었다. 자유주 측은 즉각 선거 부정을 강력히 비난했다. 당시 준주지사였던 앤드루 리더는 11개 선거구의 결과를 무효화하고 5월 22일에 재선거를 실시했지만, 자유주 측이 8석을 추가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노예제 지지파가 29대 10으로 의회를 장악한 상황이었다.[17]

노예제 지지자들이 장악한 준주 의회는 1855년 7월 2일, 새롭게 건설된 준주의 수도인 파니에서 소집되었다. 입법부는 즉시 5월의 특별 선거 결과를 무효화하고 3월에 선출된 친노예 제도 대표들을 자리에 앉혔다. 파니에서 겨우 일주일 만에 입법부는 준주의 수도를 미주리와의 경계에 있는 쇼니 미션으로 옮겼고, 그곳에서 재소집하여 미주리의 법을 모델로 한 캔자스 노예법을 채택하고 노예 소유주에게 유리한 법률을 통과시키기 시작했다.

자유주 지지자들은 토피카에 기반을 둔 별도의 입법부에 대표를 빠르게 선출했고, 그들은 자신들을 합법적인 정부라고 선언하고 레컴턴에서 운영되는 친노예 제도 정부를 "가짜"라고 불렀다. 이 기구는 최초의 준주 헌법인 토피카 헌법을 만들었다. 찰스 L. 로빈슨은 매사추세츠 출신으로 뉴잉글랜드 이주 지원 회사의 에이전트였으며, 준주 지사로 선출되었다.

리더는 선출된 것이 아니라 대통령 피어스에 의해 임명되었고, 그의 뜻에 따라 봉사했다. 피어스는 1855년 8월 16일에 그를 해임하고 매우 친남부적인 윌슨 섀넌으로 교체했다. 리더는 준주를 떠났고, 변장을 하고 떠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했다.

피어스는 자유주 지지자 입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1856년 1월 24일 의회에 보낸 메시지에서 피어스는 토피카 정부를 "반란자"라고 선언했다.[18][48] 두 개의 정부가 존재하는 것은 준주에서 끓어오르는 갈등의 징후였고, 양측 지지자들을 더욱 자극했다.[19][20]

논쟁이 된 투표와 고조되는 긴장에 대한 대응으로, 의회는 1856년에 캔자스 준주에 3명의 특별 위원회를 파견했다.[17] 위원회는 1856년 7월에, 1855년 3월 30일 선거가 "실제 정착민"으로 제한되었다면 자유 주창자 입법부가 선출되었을 것이라고 보고했다.[17][21] 보고서는 또한 레컴턴에서 실제로 자리를 잡은 입법부가 "불법적으로 구성된 기구이며, 유효한 법률을 통과시킬 권한이 없다"고 명시했다.[17][21] 즉, 자유 주창자들의 부정선거 주장은 근거가 있었고, 레컴턴 입법부는 실제로 가짜였다.

4. 폭력 사태의 시작

1855년 10월 존 브라운이 노예 제도에 맞서 싸우기 위해 캔자스 준주에 들어왔다. 11월 21일 노예 제도 지지자인 프랭클린 콜먼이 자유주 지지자 찰스 다우를 총격 살해하면서 ‘와카루사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충돌 과정에서 유일한 사망자는 자유주 측 토마스 바버로, 그는 1855년 12월 6일 로렌스 외곽에서 총에 맞아 사망했다.

1856년 5월 21일, '보더 러피안'이라 불리는 노예제 지지자 무리가 자유주의 요새였던 로렌스를 침공했다(로렌스 약탈). 이들은 자유주 호텔을 불태우고, 반노예제 신문사 두 곳과 인쇄기를 파괴했으며, 주택과 상점을 약탈했다.[26] 이 과정에서 멕시코-미국 전쟁 당시 사용되었던 '올드 키카푸' 대포가 동원되기도 했다.[27]

1856년 미국 상원 의회에서 찰스 섬너를 폭행하는 프레스턴 브룩스


다음 날인 5월 22일 오후, 미국 상원 회의장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출신 민주당 소속 하원 의원 프레스턴 브룩스매사추세츠주 출신 공화당 상원 의원 찰스 섬너를 지팡이로 무자비하게 폭행하는 사건(찰스 섬너 매질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섬너가 앞서 상원 연설("캔자스에 대한 범죄")에서 캔자스 내 노예제 지지자들의 폭력을 비난하며 브룩스의 친척인 앤드루 버틀러 상원 의원을 모욕한 것에 대한 보복이었다. 섬너는 연설에서 노예제를 옹호하는 민주당원들을 강하게 비판하고, 버틀러 의원의 친노예제 입장을 성적인 용어로 비하했다.[31] 브룩스는 섬너가 피를 흘리며 쓰러져 의식을 잃을 때까지 지팡이로 머리를 계속 내리쳤으며, 다른 의원들이 말리려 했으나 로렌스 M. 키트 하원 의원이 권총을 들고 제지했다. 이 폭행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은 섬너는 3년간 상원에 복귀하지 못했으며, 노예제 반대 운동의 순교자로 여겨지게 되었다.[32] 남부에서는 브룩스의 행동을 칭송하는 분위기가 있었고, 많은 이들이 그에게 지지의 의미로 새 지팡이를 보냈다.[33]

이러한 사건들에 자극받은 존 브라운은 5월 24일 밤, 자신의 아들들을 포함한 일행을 이끌고 포타와토미 크릭의 노예제 지지자 정착지를 습격했다(포타와토미 학살). 이들은 노예제 지지자 남성 5명을 집에서 끌어내 넓은 칼(broadswords)로 살해했다.[52] 이후 6월 2일, 존 브라운은 블랙 잭 전투에서 노예제 지지자인 헨리 클레이 페이트와 22명을 포로로 잡았다.

1856년, 공식적인 준주 수도는 로렌스 근처의 르컴턴으로 옮겨졌다. 같은 해 4월, 연방 하원 조사위원회는 캔자스 선거가 외부인(보더 러피안)의 개입으로 부적절하게 치러졌다고 보고했으나,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은 이를 무시하고 노예제 지지자들이 장악한 의회를 합법적인 준주 의회로 계속 인정했다. 심지어 7월 4일에는 토피카에서 활동하던 자유주 측의 임시 정부를 해산시키기 위해 에드윈 보스 섬너 대령(찰스 섬너 상원 의원의 사촌)이 이끄는 연방군을 파견하기도 했다.[37]

1856년 8월, 수천 명의 노예제 지지자들이 군대를 조직해 캔자스 준주로 진격했다. 같은 달 30일, 존 브라운과 추종자들은 오사와토미 전투에서 약 400명의 노예제 지지자 병력과 교전했다. 이러한 적대 행위는 약 두 달간 이어졌으나, 브라운이 캔자스를 떠나고 새로운 준주 지사 존 W. 기어리가 부임하여 양측 간의 평화를 중재하면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이후에도 폭력 사태는 완전히 종식되지 않았으며, 1858년에는 보더 러피안들이 자유주 주민 5명을 살해한 메르데 시그너스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피의 캔자스'로 불리는 이 폭력 사태는 1859년까지 이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총 56명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된다.[53]

5. 헌법 투쟁

피의 캔자스에서 벌어진 게릴라전과 같은 폭력 사태와 더불어, 캔자스 준주를 통치할 헌법을 둘러싼 치열한 정치적 투쟁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헌법 초안이 만들어지고 폐기되기를 반복했다.

1855년, 노예제에 반대하는 자유주 세력은 미주리 주민들의 불법적인 월경 투표로 구성된 친노예제 준주 정부에 대항하기 위해 독자적인 정부를 세우고 토피카 헌법을 마련했다. 이 헌법은 자유토지당을 중심으로 한 반노예제 세력의 입장을 반영했으나, 당시 프랭클린 피어스 행정부와 연방 의회는 이 정부와 헌법을 인정하지 않았다.[22]

1857년에는 친노예제 세력이 주도하여 르컴튼 헌법 제정 회의를 열었다. 이 헌법 초안은 노예제를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노예제 반대자들이 사실상 반대 의사를 표명하기 어렵게 만들어졌다.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헌법 비준 투표를 보이콧했다.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은 이 헌법을 지지하며 연방 의회에 캔자스의 주 승격을 요청했지만, 의회는 투표 과정에서의 부정 행위를 지적하며 재투표를 명령했다. 1858년 8월에 실시된 재투표에서는 노예제 지지자들이 불참한 가운데, 노예제 폐지론자들이 압도적인 표차(11,812표 대 1,926표)로 르컴튼 헌법을 부결시켰다.[23] 결국 이 헌법은 캔자스 주민 대다수의 의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폐기되었다.

르컴튼 헌법이 논의되던 중인 1858년, 자유주 대표들은 리븐워스 헌법을 작성했다. 이 헌법은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남성 시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등 당시로서는 상당히 진보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투표 참여율이 저조했고 자유주 세력 내에서도 일부 반대가 있어 큰 호응을 얻지 못했으며, 결국 연방 상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고 폐기되었다.[24]

1859년 중반, 네 번째 헌법인 와이앤도트 헌법이 초안되었다. 이 헌법은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입장을 반영하여 캔자스를 자유주로 규정했다. 같은 해 10월 4일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유권자들은 약 2대 1의 비율(10,421표 대 5,530표)로 이 헌법을 승인했다.[25] 그러나 당시 연방 상원을 장악하고 있던 남부 주들의 반대로 캔자스의 연방 가입은 지연되었다. 이후 남부 주들이 연방을 탈퇴하면서 상황이 바뀌었고, 마침내 1861년 1월 29일, 캔자스는 와이앤도트 헌법에 따라 자유주로서 미합중국에 캔자스 주로 가입하게 되었다.

6. 캔자스의 자유주 가입

피의 캔자스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와 함께, 캔자스 주를 어떤 헌법으로 통치할 것인지를 둘러싼 투쟁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헌법 초안이 만들어졌다.

1855년에는 자유주 지지자들이 중심이 되어 임시 정부를 세우고, 미등록된 미주리주 투표자들이 세운 불법적인 정부에 맞서기 위해 토피카 헌법(Topeka Constitution)을 만들었다.

1857년에는 노예 제도를 지지하는 측이 주도하여 리컴턴 헌법(Lecompton Constitution) 초안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 헌법안은 노예 제도에 반대하는 투표를 할 방법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은 헌법 비준 투표 참여를 거부했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제임스 뷰캐넌은 리컴턴 헌법을 받아들여 미국 의회에 캔자스의 주 승격을 요청했지만, 의회는 이를 거부하고 선거를 다시 치르도록 했다. 두 번째 선거에서는 노예 제도 지지자들이 투표를 거부했고, 결국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이 헌법안을 부결시키며 승리했다. 리컴턴 헌법은 캔자스 주민 대다수의 뜻을 반영했는지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폐기되었다.

1859년 중반, "와이앤도트 헌법(Wyandotte Constitution)"이 새롭게 만들어졌다. 이 헌법안에는 당시 의회를 장악하고 있던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의 입장이 반영되었다. 헌법안은 선거인 투표에서 2대 1의 비율로 승인되었고[2], 마침내 1861년 1월 29일, 캔자스 준주는 와이앤도트 헌법에 따라 자유주로서 미국 연방에 캔자스주로 가입했다.

1861년 남북 전쟁이 시작된 이후에도 캔자스미주리주 경계 지역에서는 게릴라전 형태의 폭력 사태가 계속되었다.

7. 유산

(내용 없음)

7. 1. 역사적 의의



미국 건국 초기부터 남부의 노예 제도는 사회적 갈등의 씨앗이었다. 미국 헌법 제정 과정에서도 노예제 문제는 큰 걸림돌이었으며, 노예제를 유지하지 않았다면 헌법 비준 자체가 어려웠을 가능성이 높다. 헌법에는 노예 인구의 5분의 3을 주 인구에 포함시켜 미국 하원 의석 수를 결정하는 '5분의 3 조항'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노예주와 자유주 사이의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었다.

미국 영토가 서쪽으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주를 편입할 때마다 노예제 허용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격화되었다. 노예주와 자유주 사이의 미묘한 세력 균형이 언제든 깨질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1820년 미주리 타협이 이루어졌고, 이후 1850년 타협 역시 비슷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나, 이는 미국 전체를 내전 직전의 상황으로 몰고 갔다.

1854년 제정된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캔자스 준주네브래스카 준주를 설정하고 정착민들에게 땅을 개방했다. 이 법은 해당 준주들이 주로 승격할 때 노예제 허용 여부를 주민 투표로 결정하도록 규정했는데, 이는 사실상 미주리 타협을 폐기하는 것이었다. '주민 주권'이라고 불리는 이 원칙은 상원 영토 문제 전문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스티븐 더글러스가 주도적으로 제안한 것으로, 표면적으로는 민주적인 절차를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서부와 북부의 새로운 영토에 노예제를 확산시킬 가능성을 열어 남부 노예주에게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 원칙은 이후 캔자스 준주에서 '불법 거주자 주권'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루이스 캐스 상원 의원은 이 원칙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며 '주민 주권의 아버지'로 불렸고, 1848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51]

처음에는 캔자스 준주가 노예 노동으로 이익을 얻기에는 너무 북쪽에 위치한다고 여겨져 노예 소유주가 많이 정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미주리 강을 따라 형성된 캔자스 준주 동부는 인접한 미주리주의 '블랙 벨트' 지역과 유사하게 노예를 이용한 농업에 적합한 환경이었다. 따라서 캔자스를 어떤 주로 편입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단순한 지역 문제를 넘어 미국 전체의 정치적 균형을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 되었다.

특히 노예주인 미주리주는 북쪽으로 아이오와주, 동쪽으로 일리노이주와 같은 자유주에 둘러싸여 고립된 상태였다. 미주리주 내에서도 노예 소유자는 소수에 불과했지만, 만약 캔자스마저 자유주로 편입된다면 미주리는 3면이 자유주에 포위되는 형국이 되어 노예 제도 유지에 큰 위협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자유주와 인접한 경계 지역에서는 노예 해방 운동이나 도망 노예 문제가 발생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미국 상원은 각 주에 동일하게 2명의 의석을 배분하고 있었는데, 노예주와 자유주의 수가 거의 비슷했기 때문에 캔자스가 어느 편에 서느냐에 따라 상원의 세력 균형이 무너지고 노예주의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될 수 있었다. 이러한 복잡한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캔자스는 노예제 찬반 세력 간의 격렬한 충돌의 장이 되었고, 이는 '피의 캔자스'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7. 2. 자유 국경 국립 역사 유산 지역

2006년, 미국 의회는 '자유 국경 국립 역사 유산 지역'(Freedom's Frontier National Heritage Area, FFNHA)을 지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유산 지역은 캔자스주미주리주 사이의 경계 전쟁, 즉 피의 캔자스 사건에 얽힌 이야기와 당시 개척자들의 삶, 그리고 자유를 쟁취하기 위한 투쟁의 역사를 보존하고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유 국경 국립 역사 유산 지역은 총 41개 군(county)을 포함하며, 이 중 29개 군은 캔자스 동부 및 중동부 지역에, 나머지 12개 군은 미주리 서부 지역에 걸쳐 있다.

7. 3. 대중문화

"피의 캔자스" 시대는 문학, 연극, 영화, 텔레비전을 포함한 많은 미국 대중문화 작품에서 극적으로 묘사되었다.

  • 산타페 트레일 (1940): 남북 전쟁 이전 시대를 배경으로 한 미국 서부 영화이다. 로널드 레이건, 에롤 플린, 레이먼드 머시가 출연하여 피의 캔자스 시대의 존 브라운의 활동을 묘사한다.
  • 일곱 명의 성난 사나이 (1955): 레이먼드 머시가 다시 존 브라운 역을 맡았다.
  • 더 제이호커스! (1959)
  • ''와일드우드 보이즈'' (William Morrow, New York; 2000): 제임스 카를로스 블레이크가 쓴 윌리엄 T. 앤더슨("블러디 빌" 앤더슨)의 전기 소설이다.
  • ''피의 캔자스'' (2008): 사라 파레츠키의 소설로, 19세기 사건에 대한 많은 언급과 함께 현재 캔자스주의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묘사한다.
  • 굿 로드 버드 (2013): 제임스 맥브라이드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단편 에피소드 시리즈이다. 에단 호크가 출연했다.[41]
  • 아웃로 조시 웨일즈 (1976): 남북 전쟁 중과 이후를 배경으로 한 미국 서부 영화로, 피의 캔자스 이후의 폭력을 묘사한다. 캔자스 출신인 할머니라는 캐릭터는 아들이 "보더 전쟁에서 미주리 악당에게 살해당했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 다큐멘터리 영화 ''배드 블러드, 남북 전쟁을 촉발한 보더 전쟁'' (2007)[42]
  • 헬 온 휠스의 "피의 캔자스" 에피소드 (2014년 11월 8일 방영): 노예를 소유했다는 이유로 살해당하고 종교의 이름으로 해방된 백인 가족을 묘사했다.[43]
  • 다큐 드라마 ''왕이 통치할 때'' (2017): 이안 발린저와 앨리슨 도버가 감독했으며, 피의 캔자스 시대 전후 캔자스 강을 따라 살면서 지역 정부로부터 박해를 받은 어부들에 관한 내용이다.
  • 더 켄츠: 존 오스트랜더가 쓴 12부작 만화 미니시리즈로, 피의 캔자스 시대의 갈등을 배경으로 슈퍼맨의 양부모 가족의 역사를 탐구한다.
  • KCPT 캔자스시티 공영 텔레비전 및 와이드 어웨이크 필름스 (2007): ''피의 캔자스, 남북 전쟁을 촉발한 국경 전쟁'' 다큐멘터리 DVD (ISBN 0-9777261-42)

참조

[1]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https://www.history.[...] 2021-04-07
[2] 웹사이트 How Bloody Was Bleeding Kansas? Political Killings in Kansas territory, 1854–1861 http://www.kshs.org/[...] 2009-01-09
[3] 간행물 Kansapedia Kansas Historical Society 2021-01-17
[4] 간행물 A Look Back at John Brown https://www.archives[...] 2021-09-11
[5]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https://www.battlefi[...] 2022-12-05
[6]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article) https://www.khanacad[...] 2022-12-05
[7]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From the Kansas–Nebraska Act to Harpers Ferry http://www.civilwaro[...] The Kansas City Public Library 2018-07-21
[8] 서적 Race & Politics: "Bleeding Kansas" and the Coming of the Civil War https://archive.org/[...] J. B. Lippincott Company 1969
[9] 웹사이트 Bleeding Kansas http://teachinghisto[...] National History Education Clearinghouse 2018-02-12
[10] 뉴스 Public Meetings. North American National Convention. Third Day. 1856-06-16
[11] 웹사이트 Territorial Politics and Government http://www.territori[...] Territorial Kansas Online 2014-06-18
[12] 문서 History of the State of Kansas A.T. Andreas 1883
[13] 웹사이트 Frémont Club banner - Kansas Memory https://www.kansasme[...] 2024-11-21
[14] 웹사이트 Kansas Affairs https://tile.loc.gov[...]
[15] 웹사이트 Beecher Bibles - Kansapedia - Kansas Historical Society https://www.kshs.org[...] 2019-02-21
[16] 문서 Kansas: a history of the Jayhawk State 1957
[17] 서적 Frontier Manhattan University Press of Kansas
[18] 웹사이트 A Compilation of the Messages and Papers of the Presidents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08-03-18
[19] 문서 War to the Knife: Bleeding Kansas, 1854–1861 2004
[20] 문서 Disunion! The Coming of the American Civil War, 1789–1859 2007
[21] 간행물 Report of the special committee appointed to investigate the troubles in Kansas http://quod.lib.umic[...] Cornelius Wendell 2014-06-18
[22] 문서 History of the State of Kansas A.T. Andreas 1883
[23] 문서 Territorial History, Part 55
[24] 문서 Territorial History, Part 53
[25] 웹사이트 ''Wyandotte Constitution'' Approved http://www.kshs.org/[...] 2014-11-05
[26] 웹사이트 First Sack of Lawrence |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The Missouri-Kansas Conflict, 1854-1865 http://www.civilwaro[...] 2019-02-14
[27] 웹사이트 Old Kickapoo Cannon https://www.kshs.org[...] 2018-06-01
[28] 서적 Civil War General and Indian Fighter James M. Williams: Leader of the 1st Kansas Colored Volunteer Infantry and the 8th U.S. Caval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2018-06-02
[29] 웹사이트 Kickapoo Cannon http://www.kspatriot[...] 2018-06-01
[30] 웹사이트 The Caning of Senator Charles Sumner (May 22, 1856)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019-02-07
[31] 학술논문 Time, Tropes, and Textuality: Reading Republicanism in Charles Sumner's 'Crime Against Kansas' http://muse.jhu.edu/[...] 2003
[32] 문서 The Caning of Charles Sumner: Honor, Idealism, and the Origins of the Civil War 2010
[33] 웹사이트 3 Jun 1856, Page 2 - the Charlotte Democrat at Newspapers.com http://www.newspaper[...] 2019-02-07
[34] 웹사이트 Southern Rights flag - Kansas Memory https://www.kansasme[...] 2024-11-21
[35] 웹사이트 Our Captured Flag, Slough Creek https://jeffersonjay[...] 2024-11-21
[36] 서적 John Brown: "We Came to Free the Slaves" https://books.google[...] Enslow
[37] 서적 General Edwin Vose Sumner, USA: A Civil War Biograph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12-11
[38] 웹사이트 31 STARS PLUS A "K" FOR BLEEDING KANSAS, AN EXTRAORDINARILY UNUSUAL FORM OF POLITICAL SYMBOLISM ON AN EARLY STARS & STRIPES, PRE-CIVIL WAR, CALIFORNIA STATEHOOD, 1850-1858 https://jeffbridgman[...] 2024-11-20
[39] 뉴스 A New Page in the History of the Territory The Trouble on the Cherokee Neutral Lands The Settlers Driven of by U.S. Dragoons Seventy-four Houses Burnt Discrimination in Favor of Pro-Slavery Men https://www.nytimes.[...] nytimes.com
[40] 간행물 Freedom's Frontier National Heritage Area Management Plan Appendices http://www.freedomsf[...] Freedomsfrontier.org
[41] 웹사이트 Diggs, Russell Join Hawke's "Good Lord Bird" http://www.darkhoriz[...] 2019-08-03
[42] 서적 Bad Blood, the Border War that Triggered the Civil War https://www.kansasci[...] Kansas City Public Television and Wide Awake Films 2007
[43] 웹사이트 Hell on Wheels Season 4 Episode 11 Review: Bleeding Kansas http://www.tvfanatic[...] 2014-11-08
[44] 웹사이트 U-S-History.com. http://www.u-s-histo[...]
[45] 서적 Lewis Cass and the Politics of Moderation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8-05-04
[46] 서적 NEEAC. History of the New-England Emigrant Aid Company. https://books.google[...] John Wilson & Son
[47] 서적 Kansas: a history of the Jayhawk State
[48] 웹사이트 A Compilation of the Messages and Papers of the Presidents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08-03-18
[49] 간행물 1856 Congressional Report on the Troubles in Kansas http://www.hti.umich[...]
[50] 논문 "How Bloody Was Bleeding Kansas? Political Killings in Kansas territory, 1854-1861," Kansas History (1995) 18#2 pp. 116-129 http://www.kshs.org/[...]
[51] 서적 Lewis Cass and the Politics of Moderation http://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8-05-04
[52] 서적 John Brown: "We Came to Free the Slaves" http://books.google.[...] Enslow
[53] 논문 Watts, Dale. "How Bloody Was Bleeding Kansas? Political Killings in Kansas territory, 1854-1861", Kansas History (1995) 18#2 pgs. 116-29 http://www.ksh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