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루사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카루사 전쟁은 1855년 11월, 캔자스에서 친노예제 정착민과 자유주 주민 간의 갈등으로 발생한 사건이다. 프랭클린 콜먼이 자유주 주민 찰스 다우를 살해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가 콜먼 대신 다우의 친구 제이콥 브랜슨을 체포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자유주 주민들은 브랜슨을 구출하고 존스에게 저항했고, 캔자스 주지사 윌슨 섀넌은 민병대를 소집했다. 미주리에서 온 병력이 로렌스를 포위했지만, 섀넌 주지사의 중재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과정에서 자유주 주민 토마스 바버가 사망했으며, 시인 존 그린리프 휘티어가 그의 죽음을 기리는 시를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5년 12월 - 토피카 헌법
토피카 헌법은 1850년대 캔자스 준주에서 자유주 지지자들이 캔자스를 자유주로 만들기 위해 제정한 헌법으로, 연방 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으나 남북 전쟁의 발발과 연관되어 있다. - 1855년 11월 - 1855년 만국 박람회
1855년 만국 박람회는 나폴레옹 3세 치하의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산업과 예술 분야의 전시를 선보였으며, 29개국 예술가들의 작품 전시와 함께 보르도 와인 등급이 시작되고 사진이 예술 형식으로 소개되었다. - 1855년 11월 - 안세이 에도 지진
1855년 에도(현재의 도쿄도)를 중심으로 발생한 안세이 에도 지진은 간토평야 남부 지역, 특히 에도 시가지의 연약 지반에 큰 피해를 가져왔으며 나마즈에 유행과 같은 사회적 영향을 남겼고, 이후 안세이 도카이 지진, 안세이 난카이 지진과 함께 안세이 대지진으로 불린다.
와카루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명 | 와카루사 전쟁 |
일부 | 피의 캔자스 |
날짜 | 1855년 11월 21일 ~ 12월 7일 |
장소 | 캔자스 준주 와카루사 계곡 근처 |
결과 | 평화 조약 체결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노예 제도 옹호론자 |
교전국 2 | 노예 제도 폐지론자 |
지휘관 및 지도자 | |
노예 제도 옹호론자 | 새뮤얼 J. 존스 |
노예 제도 폐지론자 | 존 브라운 제임스 레인 |
병력 규모 | |
노예 제도 옹호론자 | 700–1,500명 |
노예 제도 폐지론자 | 800명 |
사상자 | |
노예 제도 옹호론자 | 미상 |
노예 제도 폐지론자 | 2명 사망 |
캠페인 | |
전역 | 와카루사 전쟁 로렌스 약탈 포타와토미 학살 블랙잭 전투 오사와토미 전투 메르데 시그너스 학살 |
2. 배경
친노예제와 반노예제 정착민들은 오랫동안 서로 적대적인 관계였다. 특히 와카루사 전쟁의 기원은 1855년 11월 21일, 프랭클린 콜먼이라는 친노예제 정착민이 찰스 다우라는 자유주민을 쏘아 죽이면서 시작되었다. 살인은 두 사람 사이의 오래된 갈등의 절정이었는데, 그들은 로렌스에서 남쪽으로 14마일(23킬로미터) 떨어진 히코리 포인트 근처의 토지 소유권을 놓고 오랫동안 다투어 왔다.[1] "국경 전쟁 백과사전"에 따르면, "콜먼이 다우를 살해한 동기는 정치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이 살인은 그 후 10년 동안 캔자스를 특징짓는 폭력적인 정치적 분열의 시발점이 되었다."[2]
어떤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콜먼은 캔자스로 이주한 후에야 친노예제로 돌아선 전직 노예 폐지론자였다.[3] 그와 다우의 분쟁은 콜먼이 다우의 재산을 침범하고 다우가 그를 꾸짖으면서 격화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콜먼과 그의 친구들은 지역 대장간에서 다우를 만났고, 콜먼은 결국 그를 쏘았다. 다우의 자유주민 친구들은 분노하며 결집했다.
콜먼은 도망쳤지만 곧 웨스트포트, 미주리의 더글러스 카운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에게 자수했다. 존스는 로렌스에서 동시에 운영되던 자유주 정부에 반대하여 선출된 "가짜" 친노예제 정부의 후원하에 보안관이 되었다.[3] 이러한 이중 정부는 영토의 예상되는 주 지위를 둘러싼 정치적 긴장의 결과로 이전 해에 캔자스에서 널리 퍼졌다. 콜먼은 다우를 살해했을 때 정당방위로 행동했다고 주장했고, 동시에 살인을 목격한 다우의 친구 중 한 명인 자유주민 제이콥 브랜슨에 대해 체포 영장을 발부받아 브랜슨의 보복 위협을 막으려 했다.[4] 존스가 조사를 했을 때, 그는 다우 살인 혐의로 콜먼을 체포하는 대신 브랜슨을 공공 질서 문란 혐의로 체포했다.[6]
그러나 포세는 대부분 브랜슨의 이웃으로 구성된 새뮤얼 뉴잇 우드의 지도하에 자유주민들에 의해 조직되어 리컴턴, 캔자스로 가는 길에 존스의 일행을 가로막고 브랜슨을 석방하도록 강요했으며, 존스의 권위에 도전하여 친노예제 세력이 분노하게 만들었다.[5] 며칠 안에 캔자스 영토의 주지사 윌슨 섀넌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캔자스 민병대를 소집했다. 섀넌은 민병대가 캔자스 주민으로 구성되기를 원했지만, 존스는 700명[4]에서 1,500명(출처마다 다름) 사이의 소규모 군대를 소집했는데, 거의 모두 미주리 출신이었다.[6][7]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과 벤자민 프랭클린 스트링펠로우가 모집한 병력을 포함한 이 집단은 리버티, 미주리에 있는 주 무기고에서 무기를 얻어 캔자스 국경을 넘어 로렌스로 향했고, 자유주민을 근절할 준비를 했다.[2][7]
2. 1. 찰스 도우 살해 사건
1855년 11월 21일, 노예제 찬성론자 프랭클린 N. 콜맨이 자유주 운동가 찰스 도우를 총으로 살해했다.[1] 콜맨과 도우는 로렌스 남쪽 히코리 포인트 근처의 토지 소유권을 두고 오랫동안 갈등을 빚어왔다.[1] "국경 전쟁 백과사전"에 따르면, "콜먼이 다우를 살해한 동기는 정치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이 살인은 그 후 10년 동안 캔자스를 특징짓는 폭력적인 정치적 분열의 시발점이 되었다."[2]어떤 기록에 따르면 콜먼은 캔자스로 이주한 후에야 노예제 찬성론자가 된 이전의 노예 폐지론자였다.[3] 콜먼은 도망쳤지만 웨스트포트, 미주리의 더글러스 카운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에게 자수했다. 존스는 "가짜" 친노예제 정부의 후원으로 보안관이 되었다.[3] 콜먼은 정당방위를 주장했고, 존스는 브랜슨을 공공 질서 문란 혐의로 체포했다.[6] 그러나 새뮤얼 뉴잇 우드의 지도하에 자유주민들이 존스의 일행을 가로막고 브랜슨을 석방했다.[5]
2. 2. 제이콥 브랜슨 체포와 구출
1855년 11월 21일, 자유주 운동가 찰스 도우가 노예제도 찬성론자 프랭클린 N. 콜맨에게 총격으로 사망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10][11] 더글러스 카운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는 콜맨을 체포하는 대신 도우의 친구 제이콥 브랜슨을 체포했다.[6] 새뮤얼 뉴잇 우드의 지도하에 자유주민들은 존스의 일행을 가로막고 브랜슨을 구출했다.[5]2. 3. 미주리 군대의 캔자스 침입
1855년 12월 1일, 미주리주에서 온 소규모 병력이 캔자스주 더글라스 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10][11]의 명령 하에 캔자스로 침입하여 로렌스를 포위했다.[4] 며칠 안에 캔자스 영토의 주지사 윌슨 섀넌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캔자스 민병대를 소집했다. 섀넌은 민병대가 캔자스 주민으로 구성되기를 원했지만, 존스는 700명[6][7]에서 1,500명 사이(출처마다 다름)의 소규모 군대를 소집했는데, 거의 모두 미주리 출신이었다.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과 벤자민 프랭클린 스트링펠로우가 모집한 병력을 포함한 이 집단은 리버티, 미주리에 있는 주 무기고에서 무기를 얻어 캔자스 국경을 넘어 로렌스로 향했고, 자유주민을 근절할 준비를 했다.[2][7]3. 와카루사 전쟁의 전개
포위를 하는 동안, 침략자들의 주력은 로렌스에서 10 km 떨어진 와카루사 계곡 아래에 캠프를 치고 있었다. 침입한 이들은 1,500명 가량의 병력이 있었다. 그들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무장을 하고 있었지만, 이들 무기는 미주리주 미군의 무기고를 침입하여 총과 커틀러스 그리고 대포와 필요한 탄환 정도까지 갖추었다.[7][2][8][9]
로렌스에서 존 브라운과 제임스 레인은 급히 방어군을 소집하고, 바리케이드를 세웠다.[7] 그러나 로렌스에 대한 공격은 이뤄지지 않았다. 윌슨 섀넌 주지사의 중재를 통해 평화조약으로 그러한 무질서는 진정되었으며, 그 조항들이 널리 수용되었다.[2] 이 포위 공격의 유일한 사망자는 자유 주 운동가 토마스 바버였으며, 그는 로렌스에 왔다가 사망하였다.[2]
시인 존 그린리프 휘티어는 《바버의 매장》(''Burial of Barber'')이라는 시로 그를 추모하였다.[2]
3. 1. 로렌스 포위
미주리 군대는 로렌스에서 10km 떨어진 와카루사 계곡 아래에 주둔했다.[7] 이들은 미주리주 미군의 무기고를 침입하여 총, 칼, "올드 새크라멘토 대포" 및 기타 전쟁 무기를 훔쳐 무장했다.[2][8][9]존 브라운과 제임스 레인 등은 로렌스에서 방어군을 소집하고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7] 찰스 L. 로빈슨 박사가 도시의 군대를 지휘했고, 제임스 레인이 그의 부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2]
자유 주 정착민이자 노예 폐지론자인 토마스 바버는 로렌스를 방어하러 가던 중 친노예파에게 총에 맞아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존 그린리프 휘티어의 시 ''바버의 매장''(''Burial of Barber'')에 기념되었다.[2]
3. 2. 평화 조약 체결
윌슨 섀넌 주지사가 중재를 하여 미주리 군대와 로렌스 민병대 대표들 사이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2] 자유주 대표 찰스 L. 로빈슨과 제임스 레인과 친노예제 대표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이 평화 조약에 합의했다.[2] 프랭크 W. 블랙마에 따르면, 많은 설득 끝에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미주리 군대는 마지못해 그 지역을 떠났다.[2][7]다우 외에 와카루사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은 자유 주 정착민이자 노예 폐지론자인 토마스 바버뿐이었다. 그는 로렌스를 방어하러 가던 중 포타와토미 인디언 요원 조지 W. 클라크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총에 맞았다. 바버의 죽음은 존 그린리프 휘티어의 시 ''바버의 매장''에 기념되었다.[2]
3. 3. 토마스 바버의 죽음
자유주 운동가 토마스 바버는 로렌스로 가던 중 친노예제 인사에게 살해당했다.[2] 그는 로렌스를 방어하러 가던 중 포타와토미 인디언 요원 조지 W. 클라크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총에 맞았다.[2] 시인 존 그린리프 휘트어는 《바버의 매장》(''Burial of Barber'')이라는 시로 그를 추모하였다.[2]4. 결과 및 영향
참조
[1]
서적
"'Bleeding Kansas': The Border War in Douglas and Adjacent Counties"
Champion Publishing
1987
[2]
웹사이트
Wakarusa War
http://www.civilwaro[...]
[3]
웹사이트
Narrative, the Murder of Charles Dow, by Isaac Goodnow
https://territorialk[...]
Kansas State Historical Society
1856
[4]
뉴스
Hidden History: Young man in early Bleeding Kansas turmoil finds final rest at Quenemo
http://www.osagecoun[...]
2018-11-21
[5]
서적
The Civil War in Kansas: Ten Years of Turmoil
The History Press
2012
[6]
서적
"'Bleeding Kansas': The Border War in Douglas and Adjacent Counties"
Champion Publishing
1987
[7]
웹사이트
Wakarusa War - KS-Cyclopedia - 1912
http://skyways.lib.k[...]
Skyways.Lib.KS.us
[8]
서적
History of Clay and Platte Counties, Missouri
https://archive.org/[...]
St. Louis: National Historical Company
[9]
간행물
Old Sacramento: Cannon of Crisis, Cannon of Freedom
http://www.latinamer[...]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kyways.lib.k[...]
2006-12-07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territori[...]
2021-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