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석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석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남섬 남동부의 캔터베리 지방과 오타고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도마뱀붙이로, 밝거나 짙은 녹색 바탕에 줄무늬 또는 다이아몬드 무늬를 가져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최대 18cm까지 성장하며, 40년 이상 장수할 수 있다. 암컷은 난태생으로 매년 가을에 1~2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잡식성으로 곤충, 베리류, 꽃꿀 등을 먹는다. 설치류, 조류, 인간 등 다양한 천적에 의해 위협받고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 등급으로 등재되었다. 뉴질랜드 원주민인 은가이 타후 부족은 보석도마뱀붙이를 문화적으로 중요하게 여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찰스 매캔이 명명한 분류군 - 말보로녹색도마뱀붙이
    말보로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침입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뉴질랜드 멸종 위기 분류 체계에서 '위험' 등급 중 '감소' 하위 범주로 분류되는 도마뱀붙이이다.
  • 1955년 기재된 파충류 - 말보로녹색도마뱀붙이
    말보로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침입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뉴질랜드 멸종 위기 분류 체계에서 '위험' 등급 중 '감소' 하위 범주로 분류되는 도마뱀붙이이다.
  • 녹색도마뱀붙이속 - 넬슨녹색도마뱀붙이
    넬슨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남섬 북서부 넬슨 지역에 서식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개체 수 감소 추세로 인해 뉴질랜드 보존부에 의해 "위험"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녹색도마뱀붙이속 -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
    오클랜드녹색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북섬 특정 지역에 서식하며 녹색을 띠는 16cm 크기의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위협으로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보석도마뱀붙이
기본 정보
나뭇가지 위의 Naultinus gemmeus, 로드 모리스 촬영, [[오타고 반도]]
나뭇가지 위의 Naultinus gemmeus, 오타고 반도, 로드 모리스 촬영
분류
녹색도마뱀붙이속
보석도마뱀붙이
학명Naultinus gemmeus
명명자(McCann, 1955)
이명Naultinus lineatus Gray, 1869 (학명 무효)
Naultinus elegans Lucas & Frost, 1897 (부분)
Heteropholis gemmeus McCann, 1955
Heteropholis gemmeus Wermuth, 1965
Naultinus elegans gemmeus Meads, 1982
Naultinus gemmeus Thomas, 1982
Naultinus gemmeus Rösler, 2000
Naultinus gemmeus Nielsen et al., 2011
보존 상태
IUCN멸종 위기
CITESCITES 부록 II
기타
참고밀수꾼을 칠 시간

2. 구별

보석도마뱀붙이는 밝거나 짙은 녹색 바탕에, 등에 줄무늬나 다이아몬드 무늬가 나있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으며, 이는 중요한 식별 요소가 된다.[18][5] 무늬는 흰색, 옅은 녹색, 노란색 등으로 나타나며,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 테두리를 가진다.[18][5] 배는 보통 창백한 초록빛 노란색, 또는 회색이며 줄무늬가 나있는 경우도 있다.[19][5]

오타고, 캔터베리 하위집단 사이와 암수 사이에 외형적 차이가 존재한다.[19][6] 오타고와 캔터베리 하위집단의 암컷은 다이아몬드 모양 무늬를 띄는 경향이 있는 반면, 수컷은 줄무늬를 띄거나 무늬가 없는 경향이 있다. 오타고 하위집단의 입안은 푸른색, 혀는 검은색인 반면 캔터버리 하위집단의 입은 분홍색이며 혀는 분홍색, 혹은 주황색이다.[19][6] 눈은 갈색에서 올리브색을 띈다.[18][5]

보석도마뱀붙이는 최대 18cm, 몸무게는 최대 15g 정도이며, 40년 이상 장수할 수 있다.[20][7]

3. 분포 및 서식지

보석도마뱀붙이는 뉴질랜드 남섬 남동부의 캔터베리오타고에 주로 서식하며, 이 지역 사이에서도 소규모로 고립, 파편화된 개체군이 존재한다.[22][9] 최근 몇 년간 개체수가 꾸준히 감소하여 IUCN에 의해 '위기' 종으로 등재되었다.[22]

목질 초목, 건지대, 덤불지대 등 다양한 서식지를 선호하며, 특히 추위와 불을 피할 은신처가 있는 목질 삼림 초목에 의존한다.[22][9] 수목성, 주행성 동물로, 마누카(:en:manuka), 너도밤나무류, 마타구리(:en:matagouri) (투마타쿠루) 등의 나무와 덤불에서 살아간다.[22][16][9][1]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노두나 바위 지대를 활용하기도 한다.[22][9]

4. 생태

4. 1. 생애주기

암컷은 난태생으로, 매년 가을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3][24][11] 캔터베리 개체군이 오타고 개체군보다 출산 시기가 조금 더 빠른 경향이 있다.[23][10] 임신 기간은 약 7개월이며,[24][11] 난황형성(:en:vitellogenesis), 배란, 임신의 과정을 거친다.[24][11] 난황은 가을에 출산한 뒤에 형성되기 시작하고 배란은 봄에 이루어진다.[24][11]

보석도마뱀붙이는 성 성숙에 4년 정도가 걸리며,[20][7] 30년 이상 장수할 수 있다.[20][7] 짝짓기는 9-10월, 출산은 2-5월 사이에 이루어진다.[26][13] 임신한 암컷은 뱃속의 새끼가 자라기 위해 햇빛을 더 많이 쬐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개체보다 발견하기 쉽다.[18][5]

4. 2. 식단

보석도마뱀붙이는 잡식성이며, 야생의 삼림과 덤불에서 나는 다양한 곤충과 베리류를 먹는다.[20] 나방과 여러 종류의 파리 등의 다양한 곤충을 섭취하며,[20][27] 코프로스마(:en:Coprosma)와 같은 토착 식물의 과일 또한 먹는다.[20][14] 뉴질랜드의 도마뱀붙이류는 먹을 수 있다면 꽃꿀도 먹는다고 알려져있다.[27]

4. 3. 천적, 기생충 및 질병

보석도마뱀붙이는 설치류, 족제비과 동물, 고양이, 조류(까치, 물총새 등), 주머니쥐, 고슴도치, 인간(밀렵) 등 다양한 천적에게 위협받는다.[20][18][7][5] 특히 설치류는 덤불과 나무 가지를 타고 올라가 서식지를 침범하는 주요 포식자이다.[20][7] 족제비과 동물과 고양이는 주로 야행성이라 보석도마뱀붙이를 자주 사냥하지는 않는다.[20][5] 뉴질랜드 조류 중 까치와 물총새는 보석도마뱀붙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18][7][5] 인간은 포식자 방지 구역과 자연 지역에서 불법 밀렵을 자행하여 보석도마뱀붙이의 생존을 위협한다.[20][7]

현재까지 알려지고 기록된 유일한 기생충은 체외기생충인 ''Neotrombicula naultini''이다.[28][19][15][6] 보석도마뱀붙이는 1953년 야생동물법(:en:Wildlife act of 1953)에 의해 보호받고 있지만,[20][7]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인한 위협은 여전히 크다.

5. 보존 상태

보석도마뱀붙이는 2012년에 보존부에서 뉴질랜드멸종위기분류체계의 '위험(At Risk)' 등급으로 분류되었으며, 감소가 예상된다는 판단을 받았다.[21][8] IUCN 적색 목록에는 '위기' 등급으로 등록되어 있다.[16][1]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방목, 제초제, 방화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외래 포식자, 불법 밀렵 등이 있다.

로드 모리스(Rod Morris)가 오타고반도에서 촬영한 가지 위의 개체

6. 문화적 의의

은가이 타후(:en:Ngāi Tahu) 부족은 보석도마뱀붙이를 포함한 녹색도마뱀붙이류의 대부분을 '타오가'(taonga : 귀중한 사물이나 천연자원)로 여겨 문화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한다.[18][5] 한국에서는 보석도마뱀붙이에 대한 특별한 문화적 인식은 없지만, 희귀하고 아름다운 외모로 인해 생태/환경 관련 자료에서 간혹 소개된다.

7. 기타

뉴질랜드의 도마뱀붙이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의 도마뱀붙이류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뉴질랜드의 야생동물 밀수에 대한 내용은 뉴질랜드 야생동물 밀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석도마뱀붙이는 한국에서 직접 관찰하기는 어렵지만, 뉴질랜드의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종이다.

참조

[1] 간행물 "''Naultinus gemmeus''"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EMBL species
[4] 뉴스 Time to hit smugglers http://www.odt.co.nz[...] 2011-05-07
[5] 서적 Jewelled gecko / Moko-kākāriki management plan: a community-based plan for Otago Peninsula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0
[6] 웹사이트 "''Naultinus gemmeus ''" https://www.reptiles[...]
[7] 서적 Looking after jewelled geckos & their habitats : a practical guide for landowners Dept. of Conservation, Canterbury Conservancy 2011
[8] 웹사이트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reptiles, 2012 http://www.doc.govt.[...]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2015-07-18
[9] 서적 Habitat characteristics of jewelled gecko (Naultinus gemmeus) sites in dry parts of Otago http://www.doc.govt.[...]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07
[10] 저널 New Zealand amphibians and reptiles in colour 1980
[11] 저널 Extended gestation with late-autumn births in a cool-climate viviparous gecko from southern New Zealand (Reptilia: ''Naultinus gemmeus'') 2003
[12] 서적 Backyard biodiversity in Canterbury Lincoln University 2009
[13] 서적 New Zealand geckos : a guide to captive maintenance and breeding EcoPrint 2005
[14] 웹사이트 Geckos http://www.doc.govt.[...] New Zealand Government 2018-05-04
[15] 웹사이트 "''Naultinus gemmeus''" https://nzlizards.la[...]
[16] 문서 Hitchmough, R., van Winkel, D., Lettink, M., Chapple, D. & Hare, K. 2019. Naultinus gemme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177826A120191388. Downloaded on 19 July 2019.
[17] 뉴스 Time to hit smugglers http://www.odt.co.nz[...] 2011-05-07
[18] 서적 Jewelled gecko / Moko-kākāriki management plan: a community-based plan for Otago Peninsula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0
[19] 웹인용 Naultinus Gemmeus https://www.reptiles[...] 2019-08-15
[20] 서적 Looking after jewelled geckos & their habitats : a practical guide for landowners Dept. of Conservation, Canterbury Conservancy 2011
[21] 웹인용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reptiles, 2012 http://www.doc.govt.[...]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2015-07-18
[22] 서적 Habitat characteristics of jewelled gecko (Naultinus gemmeus) sites in dry parts of Otago http://www.doc.govt.[...]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9-08-15
[23] 저널 New Zealand amphibians and reptiles in colour 1980
[24] 저널 Extended gestation with late-autumn births in a cool-climate viviparous gecko from southern New Zealand (Reptilia: ''Naultinus gemmeus'') 2003
[25] 서적 Backyard biodiversity in Canterbury Lincoln University 2009
[26] 서적 New Zealand geckos : a guide to captive maintenance and breeding EcoPrint 2005
[27] 웹인용 Geckos http://www.doc.govt.[...] New Zealand Government 2018-05-04
[28] 웹인용 "''Naultinus gemmeus''" https://nzlizards.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