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현산은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 중앙부에 위치한 산으로, 보현산맥을 형성한다. 팔공산맥과의 분기점이며,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이 보물 제32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이 천연기념물 제404호로 지정되어 있다. 과거 잣나무 숲이 있었으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때 베어졌다. 법룡사, 법화사지, 정각사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천시의 지리 - 고촌천
고촌천은 차당천, 상계천 등의 지류를 가진 대한민국 하천으로, 영천상주고속도로, 국도 제28호선, 지방도 제904호선 등의 도로와 단포교, 대의교, 창하교 등의 교량이 놓여 있다. - 영천시의 지리 - 청통천
- 청송군의 지리 - 반변천
- 청송군의 지리 - 주왕산
주왕산은 백악기 말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암 지형으로, 다양한 화산암류와 주왕산 응회암의 지질 명소, 그리고 주왕 관련 전설로 인해 주왕계곡은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태백산맥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태백산맥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보현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산 정보 | |
이름 | 보현산 |
한자 표기 | 普賢山 |
높이 | 1121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청송군 현서면 |
산맥 | 태백산맥 |
일반 정보 | |
영문명 | Bohyeonsan |
2. 위치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 중앙부에 위치하며, 보현산맥이라고도 불린다. 팔공산맥과의 분기점으로, 남서쪽으로 화산(828m), 팔공산(1,192m), 가산(902m), 유학산(839m)까지 연결되는 산맥을 형성하고 있다.
보현산의 지질은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에 속하는 중성화산암류(中性火山岩類)이다.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은(는) 보물 제327호이다.
보현산 자락에는 옛날 도로가 나기 전 자천리 일대에 '오리에 걸쳐 숲이 이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오리장림'이란 숲길이 이어져 있다. 천연기념물 제404호로 지정되어 있다.[1]
보현산에는 법룡사, 법화사지, 정각사지 등 여러 사찰과 절터가 있다.[5]
3. 지질
4. 문화재
5. 전해지는 이야기
또한 ≪화산지 花山誌≫에는 '산 중턱에는 중복에 생겨서 말복에 없어진다는 빙혈(氷穴)이 있다'는 기록이 있으며, 산 아래 화북면 자천리 화북면사무소 인근 도로변에는 은행나무, 왕버들, 굴참나무, 느티나무, 시무나무, 회화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데, 서식하는 희귀식물만도 690종이다.[1]
특히 연간 40~50석 가까운 잣을 땄던 잣나무 숲이 있었는데,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때 전부 베어져 버렸다.[1]
6. 사찰
6. 1. 법룡사
산 남쪽 800m 산 중턱에는 태백산맥에서 산삼 한 뿌리를 캐어 남편의 불치병을 고친 아내가 평생 모은 재산으로 산삼을 캤던 자리에 지었다는 전설이 있는 법룡사(法龍寺)가 있다.[5]
6. 2. 법화사지
보현산 서쪽 기슭에는 큰 절터였던 법화사지(法華寺址)가 있다.[5]
6. 3. 정각사지
보현산 서쪽 기슭에는 법화사지(法華寺址)와 높이 약 7m의 탑만 남겨놓고 병자년 대흉작 때 전소된 정각사지(鼎脚寺址) 등 절터가 많다.[5]
참조
[1]
서적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웹사이트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https://www.kasi.re.[...]
2017-12-27
[3]
뉴스
Observing the unknown from Korea’s peaks
http://mengnews.join[...]
2012-01-11
[4]
간행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
서적
경상북도 자연적 기초
경상북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