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외측시각교차전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외측시각교차전핵(VLPO)은 수면을 촉진하는 뇌 영역으로, 주로 GABA성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다. VLPO 뉴런은 수면/각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성 시스템을 억제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VLPO는 또한 일주기 리듬 조절에도 관여하며, 배내측핵을 통해 시교차상핵(SCN)의 영향을 받는다. VLPO의 기능 이상은 불면증, 기면증과 관련이 있으며, 진정제/수면제의 작용 표적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뇌 심부 자극술을 통해 VLPO의 활동을 조절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상하부 - 유두체
    유두체는 변연계의 주요 구조물로서 편도체와 해마로부터 시상으로 자극을 전달하는 중계 역할을 하며, 회상 기억, 특히 일화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정확한 기능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 시상하부 - 시교차 상핵
    시교차 상핵은 시상하부 앞쪽에 위치하며 약 10,000개의 뉴런으로 구성된 핵으로, 빛 정보를 받아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며 24시간 주기의 생체 시계를 형성한다.
  • 해부학 - 유방
    유방은 여성의 가슴에 있는 기관으로, 모유를 생산하여 신생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며, 엽과 소엽으로 구성되고,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며, 유방암 발생 부위이자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의미도 가진다.
  • 해부학 - 자궁
    자궁은 여성 골반 내에 위치한 배 모양의 생식 기관으로, 수정란 착상과 태아 발달을 담당하며 자궁저부, 자궁체부, 자궁협부, 자궁경부의 네 부분과 자궁내막, 자궁근층, 자궁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임신과 여성 생식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복외측시각교차전핵
개요
이름복외측 시각교차전핵
영어 이름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약칭VLPO 또는 IPA
위치시각교차전핵 앞쪽 시상하부
기능
역할수면 조절
작용 기전가바 작용성 뉴런을 사용하여 의 각성 시스템을 억제
관련 물질아데노신, 프로스타글란딘 D2
신경과학적 특징
활성화수면 중 활성화됨
억제 대상각성 관련 뇌 영역 (결절유두핵, 솔기핵, 청반핵, 등쪽 시상하부)
추가 정보
관련 연구1996년 Sherin 등에 의해 수면 중 활성화되는 뉴런으로 처음 확인됨
연결내측 시각교차전핵과 구조적, 기능적으로 연결됨

2. 구조

복외측시각교차전핵(VLPO) 뉴런의 약 80%는 GABA를 생성하는 GABA성 뉴런이다.[15]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VLPO 뉴런의 3분의 2는 낮은 역치를 가진 삼각다극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약 3분의 2는 수면 중에 활성화된다.[9] 이 삼각다극신경세포들은 노르에피네프린아세틸콜린에 의해 억제된다. VLPO의 삼각다극신경세포는 두 가지 하위 집단으로 나뉜다.


  • 타입 1–세로토닌에 의해 억제되는 유형
  • 타입 2–세로토닌과 아데노신에 의해 활성화되는 유형


각성 상태 동안 아데노신이 축적되므로[16][17] 타입 2가 수면 유도를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VLPO의 나머지 3분의 1 뉴런은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해 활성화되며, 그 기능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생쥐에서 VLPO의 모든 갈라닌성 뉴런은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해 억제되고 아데노신에 의해 흥분되지만, 세로토닌은 여전히 1형과 2형 뉴런을 구별한다.[18][19]

3. 기능

3. 1. 수면/각성 조절

콘스탄틴 폰 에코노모는 20세기 초 전방 시상하부에 병변이 있는 뇌염 환자가 불면증을 겪는 것을 관찰하고 해당 부위가 수면을 촉진한다고 제안했다.[2] 20세기 중반, 쥐와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복외측시각교차전핵(VLPO) 손상이 불면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VLPO가 수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20][21] 1996년, 셰린과 동료들은 수면 중에 cFos를 발현하는 세포군이 VLPO에 존재하며, 이 뉴런들이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와 갈라닌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고했다.[15][7] VLPO 뉴런은 정중전교차핵(MnPO)으로부터 입력을 받으며[22], 유두체핵, 솔기핵, 청반핵, 다리바닥핵 및 배외측피개핵 그리고 부교련핵(PB)을 포함한 상행 각성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지배한다. 최근 연구에서 VLPO 뉴런의 광유전학적 또는 화학유전학적 활성화가 수면을 촉진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23]

VLPO 뉴런은 뇌의 각성 시스템(솔기그물핵, 조면유두체핵, 다리뇌뒤판핵, 외측등쪽피교핵, 청반, 흑질, 배측수도관옆회색질, 오렉신성 뉴런 등)에 분포하며, 이들을 억제하여 수면을 촉진한다. VLPO는 각성 중에 축적되는 세로토닌, 아데노신, 프로스타글란딘 D2에 의해 활성화된다.[9] 대부분의 VLPO 뉴런은 GABA와 갈라닌을 분비하는 GABA성, 갈라닌성 뉴런으로, 이러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각성 시스템을 억제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VLPO와 각성 시스템은 "플립플롭" 회로를 형성하여 상호 억제 작용을 통해 수면과 각성 상태를 빠르게 전환하고, 전환 상태에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한다.[1][2] 후외측 시상하부의 오렉신 뉴런은 각성 시스템을 강화하고 뇌를 각성 상태로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오렉신 뉴런의 손실은 기면증에서 수면-각성 스위치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수면-각성 조절에 문제를 일으킨다.[1]

플립플롭 스위치 가설의 개략도

3. 2. 일주기 리듬 조절

포유류에게는 강력한 수면의 일주기 리듬이 존재한다.[26][27] 포유류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주요 시계"는 시교차상핵 (SCN)이다.[26] SCN은 복외측시각교차전핵(VLPO) 뉴런으로 직접 투사하는 경로는 거의 또는 전혀 없다. 대신, 인접한 시상하부 주변실내 구역으로 강력하게 투사하며, 이곳에는 차례로 억제성 GABA성 뉴런이 포함되어 시상하부의 배내측핵을 지배한다.[26][27] 배내측핵의 병변은 수면의 일주기 리듬을 거의 완전히 제거한다.[26] 배내측핵의 GABA성 뉴런은 VLPO를 지배하고, 글루탐산성 뉴런은 외측 시상하부를 지배하여, 배내측핵이 주로 활동 기간(인간의 경우 낮 시간) 동안 각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26]

4. 임상적 중요성

4. 1. 불면증

중간핵(쥐의 VLPO 갈라닌 뉴런에 해당)에 갈라닌 뉴런이 더 많은 노인 환자는 더 질 좋고 지속적인 수면을 취한다. VLPO 뉴런 수 감소는 수면 분절(밤중에 더 많은 각성)을 유발할 수 있다.[28] 쥐의 VLPO 손상은 NREM 수면 시간의 50-60% 감소와 불면증을 유발한다.[29]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 유발 불면증은 각성 시스템과 VLPO 뉴런에 대한 입력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30]

4. 2. 기면증

기면증 유형 1은 오렉신 감소로 인해 일어난다. 기면증에서 감소된 오렉신 수치는 VLPO와 각성 시스템 간의 스위치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각성과 수면의 갑작스러운 전환을 유발한다고 추측된다.

4. 3. 진정제/수면제

많은 진정제/최면제는 GABA-A 수용체에 결합하여 효능을 증강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여기에는 에탄올, 클로랄 수화물, 바르비투르산염과 같은 오래된 약물뿐만 아니라, 새로운 벤조디아제핀과 "비-벤조디아제핀" 약물(졸피뎀과 같이 동일한 수용체에 결합하지만 다른 화학 구조를 가진 약물), 프로포폴, 이소플루란과 같은 마취제도 포함된다.[31][34] 복외측시각교차전핵(VLPO)가 각성 시스템에 정보를 전달할 때 동일한 수용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약물은 저용량에서 본질적으로 VLPO의 기능을 증강시켜 졸린 상태를 유발한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VLPO 뉴런은 이러한 약물의 진정 용량 투여 후 cFos 활성화를 보이며, VLPO 병변은 이러한 약물의 진정 효과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32] 그러나 수술 마취 수준의 고용량에서는 이러한 약물이 VLPO에 의존하지 않는 훨씬 광범위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33]

4. 4. 심부 뇌 자극

2013년,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자기장 프로젝터(자석으로 뇌 심부 자극술을 유도하는)를 이용한 새로운 뇌 심부 자극술이 성공적으로 수면 유도 VLPO의 신경 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새로운 방법은 외과 수술을 피하고 현재 방법보다 훨씬 저렴하여, 인간의 불면증과 기면증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논문 Sleep state switching 2010-12
[2] 논문 Hypothalamic regulation of sleep and circadian rhythms 2005-10
[3] 논문 The GABAergic parafacial zone is a medullary slow wave sleep-promoting center https://dash.harvard[...] 2014-09
[4] 논문 The Neurobiology of Sleep and Wakefulness 2015-12
[5] 논문 Turning a Negative into a Positive: Ascending GABAergic Control of Cortical Activation and Arousal 2015-06
[6] 논문 Slow-wave sleep is controlled by a subset of nucleus accumbens core neurons in mice 2017-09
[7] 논문 Activation of ventrolateral preoptic neurons during sleep 1996-01
[8] 논문 Control of sleep and wakefulness 2012-07
[9] 논문 Identification of sleep-promoting neurons in vitro 2000-04
[10]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connections between the median and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2019-12
[11] 논문 An adenosine A2a agonist increases sleep and induces Fos in ventrolateral preoptic neurons 2001
[12] 논문 Activation of ventrolateral preoptic neurons by the somnogen prostaglandin D2 1998-06
[13] 논문 Prostaglandin D2 Controls Local Blood Flow and Sleep-Promoting Neurons in the VLPO via Astrocyte-Derived Adenosine https://hal.science/[...] 2023-03
[14] 논문 Serotonin differentially modulates excitatory and inhibitory synaptic inputs to putative sleep-promoting neurons of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https://www.hal.inse[...] 2016-10
[15] 논문 Innervation of Histaminergic Tuberomammillary Neurons by GABAergic and Galaninergic Neuron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of the Rat
[16] 논문 The endogenous somnogen adenosine excites a subset of sleep-promoting neurons via A2A receptor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17] 논문 Astrocyte-derived adenosine is central to the hypnogenic effect of glucose 2016-01
[18] 논문 Serotonin differentially modulates excitatory and inhibitory synaptic inputs to putative sleep-promoting neurons of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https://www.hal.inse[...] 2016-10
[19] 논문 Serotonin and sleep-promoting neurons 2016-11
[20] 논문 Hypothalamic regulation of sleep in rats
[21] 논문 Sleep Suppression after Basal Forebrain Lesions in the Cat
[22]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connections between the median and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2019-12
[23] 논문 Galanin neuron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 area promote sleep and heat loss in mice 2018-10
[24] 논문 A quantitative model of sleep-wake dynamics based on the physiology of the brainstem ascending arousal system 2007-04
[25] 논문 A physiologically based model of orexinergic stabilization of sleep and wake 2014
[26] 논문 Critical role of dorsomedial hypothalamic nucleus in a wide range of behavioral circadian rhythms 2003-11
[27] 논문 Projections from the subparaventricular zone define four channels of output from the circadian timing system 2015-12
[28] 논문 Sleep is related to neuron number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intermediate nucleus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Alzheimer's disease
[29] 논문 Effect of lesions of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on NREM and REM sleep 2000-05
[30] 논문 Neural circuitry of stress-induced insomnia in rats 2008-10
[31] 논문 Role of endogenous sleep-wake and analgesic systems in anesthesia 2008-06
[32] 논문 Direct activation of sleep-promoting VLPO neurons by volatile anesthetics contributes to anesthetic hypnosis 2012-11
[33] 논문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is not required for isoflurane general anesthesia 2011-12
[34] 논문 Direct Activation of Sleep-Promoting VLPO Neurons by Volatile Anesthetics Contributes to Anesthetic Hypno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