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성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음성가는 1873년 미국에서 시작된 기독교 부흥 운동에서 비롯된 음악 장르로, 현재는 다양한 하위 장르와 스타일을 포괄하며 전 세계적으로 불리고 있다. 흑인 영가, 재즈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와 결합하여 대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한국에는 개신교 선교사를 통해 전파되어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이라는 용어로 현대적인 복음성가가 인기를 얻고 있다. 복음성가는 교리보다 감정을 강조한다는 비판도 있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한 교파에서 공식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음악 장르 - 현대 기독교 음악
현대 기독교 음악(CCM)은 팝, 록 등 대중음악 장르와 기독교 음악 산업을 포괄하는 용어로, 1970년대 한국 개신교에서 시작되어 현재 교회 예배에서 사용되며, 예수 운동 부흥과 함께 발전하여 거대 산업으로 성장했다. - 기독교 음악 장르 - 캐럴 (음악)
캐럴은 축제 행진곡과 종교극 반주에서 유래한 음악 형식으로, 종교 개혁 후 기독교 가사를 붙여 크리스마스에 예수 탄생을 축하하는 "크리스마스 캐럴"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복음성가 -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존 뉴턴이 작사하고 작곡가는 불명인 찬송가로, 죄에서 구원받은 감격, 과거 회한, 신의 사랑에 대한 감사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설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복음성가 - You Raise Me Up
"You Raise Me Up"은 롤프 뢰블란 작곡, 브렌단 그레이엄 작사의 곡으로, 뢰블란의 기악곡 "Silent Story"에 그레이엄이 가사를 붙여 탄생했으며 시크릿 가든, 조쉬 그로반, 웨스트라이프 등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불려지며 세계적으로 알려졌고, 표절 주장이 있었으나 법원은 뢰블란과 그레이엄의 손을 들어주었다.
복음성가 | |
---|---|
장르 | |
음악 장르 | 기독교 가사를 강조하는 음악 |
스타일 기원 | |
스타일 기원 | 기독교 찬송가 영가 |
문화적 기원 | |
문화적 기원 | 17세기 초, 스코틀랜드 |
파생 장르 | |
파생 장르 | 컨트리 리듬 앤 블루스 소울 로큰롤 |
하위 장르 | |
하위 장르 | 흑인 복음 |
융합 장르 | |
융합 장르 | 기독교 컨트리 음악 |
지역적 장면 | |
지역적 장면 | 남부 복음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흑인 복음 음악 |
2. 역사
복음성가는 19세기 후반 미국의 기독교 부흥 운동 과정에서 탄생하고 발전한 대중적인 종교 음악 장르이다. 1873년 전도사 드와이트 라이먼 무디의 부흥 운동[59]을 계기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오늘날의 찬송가와 구별되는 감성적인 특징을 지녔다. 작곡가 필립 블리스가 1874년 "복음성가(Gospel Songs)"라는 노래책을 출판하면서 이 용어가 보편화된 것으로 여겨진다.[3]
초기 복음성가는 아이라 D. 생키와 같은 찬양 인도자들과 조지 프레데릭 루트, 필립 블리스, 패니 크로스비 등 작곡가들의 기여로 빠르게 확산되었다.[3] 시간이 흐르면서 복음 전파라는 본래 목적 외에도 신자들에게 정서적 위안과 공동체적 유대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고, 가사도 비교적 단순하고 반복적인 형태로 변모했다. 특히 노예 해방 이후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흑인 영가와 재즈 등 고유한 음악적 요소와 결합하면서[42] 더욱 풍부하고 대중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악적,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흑인 복음성가와 백인 복음성가는 각기 다른 특징을 보이며 발전하게 되었다.
1920년대 라디오 방송의 보급은 복음성가가 지리적 한계를 넘어 더 넓은 청중에게 다가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3][14] 또한 호머 로데해버, 찰리 틸만, 찰스 앨버트 틴들리 등이 설립한 전문 출판사들은 새로운 복음성가의 창작과 보급을 촉진했다.[12] 1930년대에는 토마스 A. 도르시와 같은 인물들이 흑인 복음성가의 정립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18], 마할리아 잭슨과 같은 걸출한 가수들이 등장하여 복음성가의 예술성을 높였다.
복음성가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1964년 복음성가 음악 협회(GMA)가 창설되었고, 이후 GMA 도브 어워드와 복음성가 명예의 전당이 제정되어[22] 장르의 발전과 위상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복음성가는 컨템포러리 크리스천 뮤직(CCM),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 크리스찬 힙합 등 다양한 하위 장르로 분화하며 음악적, 문화적으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미국의 복음성가
1873년 미국의 기독교 근본주의적 전도사 드와이트 라이먼 무디의 부흥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복음성가는 오늘날의 찬송가와는 다른,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성격이 강했다. 1899년 무디가 사망한 후, 이러한 경향은 다소 약화되었으나, 특별한 오락거리가 부족했던 당시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감성적인 복음성가는 계속해서 인기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복음성가는 본래의 복음 전달 목적보다는 일상생활의 노래로 성격이 변하고 가사도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음악적으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영가와 결합하고 재즈 리듬까지 받아들이며 대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복음성가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있다. 예일 대학교 음악 교수 윌리 러프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불리는 스코틀랜드 장로교 찬송가의 선창과 후창 방식이 미국 남부 복음성가의 콜 앤드 리스폰스 방식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한다.[8] 다른 이론은 아이작 와츠 등의 작품에서 기원을 찾기도 한다.[9] 또한, 문맹률이 높았던 시기에 생겨나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가사를 많이 사용했다는 특징도 있다. 18세기에 성공회 신자였던 영국 작가 존 뉴턴의 `"어메이징 그레이스"`나 어거스터스 탑레이디의 "반석 위에"와 같은 찬송가들도 이후 흑인과 백인 모두에게 불리며 복음성가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복음성가(Gospel Songs)"라는 용어는 1874년 필립 블리스가 동명의 노래책을 발간하면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용어는 전통적인 교회 찬송가보다 이해하고 부르기 쉬운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지칭했으며, 이는 음악가 아이라 D. 생키와 함께 드와이트 L. 무디의 대규모 부흥 운동 및 성결 운동–오순절 운동과 맥을 같이 한다.[3] 무디와 생키가 만나기 전에도 미국에는 부흥회나 야외 집회 노래의 전통이 있었지만, 복음성가는 대도시 부흥의 필요에 부응하는 다른 특성을 지녔다.[10]
부흥 운동에서는 아이라 D. 생키와 같은 인기 있는 가수와 찬양 인도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 복음성가 작곡가로는 조지 프레데릭 루트, 필립 블리스, 찰스 H. 가브리엘, 윌리엄 하워드 도안, 패니 크로스비 등이 있다.[3] 블리스는 생키와 협력하여 1875년부터 "복음 찬송가(Gospel Hymns)" 시리즈를 발간하며 복음성가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11]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호머 로데해버, E. O. 엑셀, 찰리 틸만, 찰스 앨버트 틴들리 등이 복음 음악 출판사를 설립하여 새로운 복음성가가 대량으로 보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12] 1920년대 라디오의 등장은 복음성가의 청중을 극적으로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제임스 데이비드 본[13], 버질 올리버 스탬프스, J. R. 벡스터[14] 등은 라디오를 적극 활용하여 자신들의 출판 사업과 순회 공연단을 홍보했다. 이 시기에는 카터 패밀리와 같은 그룹의 복음성가 음반도 발매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에는 토마스 A. 도르시가 시카고에서 활동하며 흑인 복음성가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복음성가 출판사를 설립하고 `"내 손을 잡아요, 사랑하는 주님"`과 같은 곡을 작곡했으며, "복음성가의 여왕"이라 불리는 마할리아 잭슨을 비롯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티스트들의 활동을 지원했다.[18][19] (자세한 내용은 흑인 복음성가 섹션 참조) 백인 사회에서도 서던 가스펠이나 컨트리 가스펠과 같은 형태로 복음성가가 발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백인 복음성가 섹션 참조)
이후 복음성가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1964년 복음성가 음악 협회(GMA)가 설립되고, GMA 도브 어워드(1969년)와 복음성가 명예의 전당(1972년)이 제정되면서[22] 체계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엘비스 프레슬리, 제리 리 루이스, 블랙우드 형제 등 대중음악가들도 복음성가의 영향을 받거나 직접 녹음하기도 했다.[14] 1960년대 말 에드윈 호킨스 싱어스의 `"오 해피 데이"`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현대적인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 장르가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 섹션 참조)
2. 1. 1. 흑인 복음성가 (Black Gospel)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끌려온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고유의 언어와 종교를 박탈당하는 고난 속에서 미국 남부의 개신교 복음주의와 만나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서 아프리카 특유의 경쾌한 리듬, 블루스 음계, 구전 전통 등이 유럽의 찬송가와 융합되어 스피리추얼(흑인 영가[42])이라는 음악이 탄생했으며, 이는 흑인 복음성가의 뿌리가 되었다. 노예제 하에서는 노래와 춤이 엄격히 제한되었으나, 노예 해방 선언 이후에는 홀리니스파처럼 타악기 사용을 허용하는 교파도 등장했다.흑인 복음성가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콜 앤드 리스폰스(선창과 후창) 기법이다. 이는 한 사람이 노래하면 다른 사람들이 따라 부르는 방식으로, 흑인 음악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고 후대에 소울, 록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다. 예일 대학교 음악 교수 윌리 러프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불리는 스코틀랜드 장로교 찬송가 제창 방식이 콜 앤드 리스폰스로 발전했다고 보기도 한다.[8] 또한, 문맹률이 높았던 시기에 생겨났기 때문에 반복적인 가사를 많이 사용하여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오순절 운동은 해방 이후 유럽풍 교회 음악에 익숙하지 않던 흑인 교회들과 빠르게 연결되었고, 이 교회들은 20세기 초 복음성가 출판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시스터 로제타 서프는 로큰롤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이 시기 최초의 위대한 복음성가 아티스트로 부상했다.[15] 래그타임을 복음성가에 도입하고 피아노 연주를 녹음한 최초의 인물은 애리조나 드레인스였다.[16]
1930년대에는 미시시피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와 앨라배마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 같은 흑인 복음성가 4중창 그룹들이 등장했다.[17] 이 시기에는 기타를 연주하며 남부 도시 거리에서 노래하는 복음성가 음악가들도 많았는데, 블라인드 윌리 존슨[48] 등이 유명하다. 시카고에서는 토마스 A. 도르시가 블루스 음악가에서 복음성가 작곡가 및 출판인으로 전향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다.[18] 그는 임신한 아내와 자녀를 잃는 개인적인 비극을 겪기도 했다.[41] 1930년 전국 침례교 협회가 복음성가를 공식적으로 지지하면서[19] 전통적인 흑인 복음성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평가받는다. 도르시는 `"내 손을 잡아요, 사랑하는 주님"`과 같은 곡을 작곡했으며, 마할리아 잭슨[18]("복음성가의 여왕"으로 불림)을 비롯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티스트들의 성공을 도왔다.

라디오 방송은 복음성가 청취자층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20] 소울 스티러스(샘 쿡, 자니 테일러 등을 배출), 센세이셔널 나이팅게일즈(줄리어스 치크스 포함), 스완 실버톤스, 디시 허밍버드 등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21] 특히 센세이셔널 나이팅게일즈의 줄리어스 치크스는 격정적인 샤우트 창법으로 '최초의 소울 싱어'로 불리기도 했으며[45], 윌슨 피켓, 제임스 브라운, 데이비드 러핀[46] 등 후대 소울 가수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1964년에는 복음성가 음악 협회(GMA)가 설립되었고, 이후 GMA 도브 어워드(1969년)와 복음성가 명예의 전당(1972년)이 생겨났다. 초기에는 남부 복음성가 중심이었으나 점차 다양한 하위 장르와 흑인 아티스트들을 포용하게 되었다.[22] 제임스 클리블랜드는 1969년 미국 복음성가 워크숍을 설립하여 흑인 복음성가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아레사 프랭클린과 함께 전통적인 복음성가 스타일을 선보였다.[23][52]
흑인 복음성가는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 소울, 힙합, 펑크 등 다른 흑인 음악 장르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했다. 샘 쿡[50], 레이 찰스, 재키 윌슨 등 많은 소울 음악의 선구자들이 복음성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들이 세속 음악으로 전향하는 과정에서 교회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51] 윌슨 피켓[53], 샘 & 데이브[54] 등 많은 소울 가수들이 어린 시절 교회에서 접한 복음성가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흑인 교회와 백인 교회는 인종 차별과 짐 크로 법 등의 영향으로 분리되어 있었기에, 흑인 복음성가와 백인 복음성가는 음악적으로 상당히 다른 특성을 보였다. 현대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복음성가를 "'''복음성가'''(Gospel)"로, 백인 크리스천 아티스트의 음악을 "컨템포러리 크리스천 뮤직(CCM)"으로 구분하여 부르는 경향이 있다.
===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 ===
1960년대 후반부터는 전통적인 흑인 복음성가에 현대적인 흑인 음악 스타일(소울, 펑크 등)을 결합한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이 등장했다. 에드윈 호킨스 싱어스의 `"오 해피 데이"`(1969)는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이 장르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안드레 크라우치, 클라크 자매들, 욜란다 애덤스, 커크 프랭클린, 메리 메리 등이 이 장르를 이끌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은 현대 세속 음악의 리듬과 악기 편성(전자 비트 포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전통적인 복음성가의 주제와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녹음되는 흑인 복음성가 음반의 상당수가 이 경향을 따른다.
=== 크리스찬 힙합 ===
크리스찬 힙합(가스펠 랩) 역시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의 하위 장르로 부상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고스펠 갱스타즈, 더 크로스 무브먼트 등을 거쳐 현재는 리치 레코드 소속의 레크레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주도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다. 레크레의 2014년 앨범 어나말리는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 영국 흑인 복음성가 ===
영국에서도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흑인 복음성가 씬이 형성되었다. 이는 종종 "영국 복음성가"라고 불리며, 영국의 거리 문화와 아프리카 및 카리브해 이민자들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25][26] GEM 어워드,[27] MOBO 어워드,[28][29] Urban Music Awards[30] 등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자체적인 Official Christian & Gospel Albums Chart도 존재한다.[31]
2. 1. 2. 백인 복음성가 (White Gospel)
1760년대와 1770년대에 작곡된 유명한 복음성가 기반 찬송가 중 일부는 영국 작가 존 뉴턴("어메이징 그레이스")과 어거스터스 탑레이디("반석 위에")에 의해 작곡되었다. 이들은 성공회 신자였으며, 처음에는 가사만 있었고 표준 멜로디가 추가되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렸다. 이 찬송가들은 아프리카계 미국 복음성가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지만, 흑인 미국인과 백인 미국인 모두가 채택했으며, 존 뉴턴이 노예 폐지 운동과 관련되었다는 점은 상호 교류를 제공했다.백인 복음성가는 주로 서던 가스펠(Southern Gospel)과 컨트리 가스펠(Country Gospel) 형태로 발전했다.
서던 가스펠서던 가스펠 음악은 미국 남동부에서 유래되었으며, 크리스천 컨트리 음악과 사운드가 유사하지만, 전통적인 "4명의 남성과 피아노"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콰르텟 음악"(Quartet music)으로 알려지기도 한다. 이 장르는 백인 중심으로 유지되었지만, 1960년대에 흑인 가스펠 스타일을 통합하기 시작했다.[32] 수년에 걸쳐 미국과 해외에서, 특히 베이비붐 세대와 남부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음악 형태로 발전했다. 다른 형태의 음악과 마찬가지로 서던 가스펠의 창작, 공연, 중요성, 심지어 정의까지 문화와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다.
크리스천 컨트리 음악 (컨트리 가스펠)크리스천 컨트리 음악, 때로는 컨트리 가스펠 음악이라고도 불리며, 컨트리 음악 스타일을 가진 가스펠 음악의 하위 장르로, 인스피레이션 컨트리(Inspirational Country)라고도 알려져 있다. 웹 피어스(Webb Pierce), 오크 릿지 보이즈, 그랜파 존스(Grandpa Jones)는 크리스천 컨트리 음악 레코드를 녹음했다. 크리스천 컨트리 음악은 수년에 걸쳐 인스피레이션 또는 긍정적인 컨트리 가사를 가진 주류 컨트리 사운드로 발전했다. 1990년대 중반, 크리스천 컨트리 음악은 최고 인기를 누렸다. 이 인기는 래리 개틀린, 찰리 대니얼스 및 바바라 맨드렐과 같은 주류 아티스트들이 이 긍정적인 크리스천 컨트리 스타일을 가진 음악을 녹음하기 시작할 정도였으며, 이 주류 아티스트들은 현재 이 장르에서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33][34]
2. 2. 한국의 복음성가
한국에서는 개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복음성가가 처음 소개되었다. 초기에는 찬송가와 함께 불리다가 점차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복음성가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1980년대 이후에는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면서, 더욱 현대적이고 대중적인 형태의 복음성가가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한국 CCM 음악가로는 소울싱어즈, 옹기장이, 좋은이웃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힙합, R&B 등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복음성가들이 등장하며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3. 하위 장르
복음성가는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결합하며 여러 하위 장르로 발전했다. 특히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 힙합, 펑크 등 다양한 흑인 음악과의 교류는 현대 복음성가 장르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에 등장한 장르로, 현대적인 흑인 음악 스타일과 결합된 복음성가이다. 에드윈 호킨스 싱어스의 히트곡 "오 해피 데이"(1969)가 대표적이며, 이 곡은 현대에도 널리 불리고 있다. 이후 안드레 크라우치와 클라크 자매 등이 이 장르를 이끌었으며, 욜란다 애덤스나 커크 프랭클린과 같은 아티스트들은 더욱 대중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세속 음악계에서도 주목받았다. 오늘날 흑인 가스펠 아티스트들의 음악은 대부분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의 특징을 보인다.
- 서던 가스펠: 미국 남부에서 유래한 백인 복음성가 전통에 기반한다. 하위 장르로는 가스펠 블루스, 블루그래스 가스펠, 컨트리 가스펠, 프로그레시브 서던 가스펠 등이 있다.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블라인드 윌리 존슨[48]과 같이 남부 거리에서 연주하던 많은 가스펠 뮤지션들이 있었다.
- 컨트리 가스펠: 컨트리 음악 스타일과 결합된 복음성가 장르이다. 서던 가스펠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기도 한다.
- 크리스천 힙합: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장르로, 기독교 메시지를 담은 가사를 랩 형식으로 표현한다. 가스펠 랩(Gospel Rap) 또는 홀리 힙합(Holy Hip Hop)이라고도 불린다. 고스펠 갱스타즈나 더 크로스 무브먼트 등을 거치며 점차 인기를 얻었으며, 종종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의 하위 장르로 간주되기도 한다. 현재는 리치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들이 이 장르를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레이블 설립자인 레크레는 2014년 앨범 "어나말리"로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일부 젊은 목회자들은 설교 중 랩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복음성가는 성경에 기반한 메시지를 다양한 음악 스타일에 실어 표현하며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4. 주요 음악가
- 줄리어스 치크스
- 센세이셔널 나이팅게일즈[55]
- 초즌 가스펠 싱어스
- 스완 실버톤스
- 윌리 메이 포드
- 소울 스타러스 (샘 쿡이 재적)
- 클라라 워드[56]
-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앨라배마
-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미시시피
- 벨스 오브 조이
- 캐러밴스
- 스피릿 오브 멤피스
- 사운즈 오브 블랙니스
- 커크 프랭클린즈 뉴 네이션
- 제임스 클리블랜드
- 셜리 시저
- 말론 스토크스
- 클로드 지터
- 조 페이스
- 헤제카이아 워커
- 프레드 해먼드
- 도니 맥클러킨
- 아치 브라운 리
- 브라더 조 메이
- 알 그린
- 마빈 샙
- 카렌 클라크 쉬어드
- 돈 브라이언트
- 데이비스 시스터스
- 마할리아 잭슨
- 가메부치 유카
4. 1. 미국
미국의 복음성가는 1873년 기독교 근본주의 성향의 전도사 드와이트 라이먼 무디(Moody)가 이끈 부흥 운동에서 시작되었다. 초기의 복음성가는 현대의 찬송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듯이 오늘날과는 다른 성격을 지녔다. 1899년 무디 사망 이후, 감성을 자극하는 복음성가와 설교 중심의 부흥 운동은 점차 약화되었다.[59] 당시에는 대중 오락거리가 부족하여 사람들의 삶이 단조로웠고, 특히 기독교인들에게는 마땅한 오락이 없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감성적인 복음성가가 널리 불리게 되었다. 점차 복음성가는 본래의 복음 전달 목적보다는 일상생활의 노래로 성격이 변했으며, 가사도 단순화되었다. 음악적으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기독교인들의 고난과 영성이 담긴 흑인 영가와 결합하고, 나아가 재즈 리듬까지 수용하면서 대중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복음성가(Gospel Song)"라는 용어는 1874년 필립 블리스가 "복음성가. 찬송가와 곡조 모음집(Gospel Songs. A Choice Collection of Hymns and Tunes)"이라는 노래책을 출판하면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용어는 전통적인 교회 찬송가보다 이해하고 부르기 쉬운 새로운 스타일의 교회 음악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이는 드와이트 L. 무디와 음악가 아이라 D. 생키가 함께 시작한 대규모 부흥 운동 및 성결 운동–오순절 운동과 관련이 깊다.[3] 1870년 무디와 생키가 만나기 전에도 미국 시골 지역에는 부흥회나 야외 집회 노래의 전통이 있었으나, 복음성가는 다른 특징을 지니며 대도시 부흥의 요구에 부응했다.[10]
부흥 운동에서는 아이라 D. 생키와 같은 인기 있는 가수와 찬양 인도자들이 활약했다. 초기의 복음성가는 조지 프레데릭 루트, 필립 블리스, 찰스 H. 가브리엘, 윌리엄 하워드 도안, 패니 크로스비 등이 작사, 작곡했다.[3] 필립 블리스는 자신의 초기 출판물 "복음성가(Gospel Songs)"를 확장하여 아이라 D. 생키와 협력했고, 1875년부터 "복음 찬송가(Gospel Hymns)" 1호부터 6호까지를 발간했다.[11]
부흥 가수의 인기와 시골 교회의 개방성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호머 로데해버, E. O. 엑셀, 찰리 틸만, 찰스 앨버트 틴들리 같은 복음 음악 출판사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들 출판사는 많은 새로운 음악을 시장에 공급하며 작곡가와 작사가들에게 창작의 기회를 제공했다.[12]
1920년대 라디오의 등장은 복음 음악의 청중을 크게 넓혔다. 제임스 데이비드 본은 라디오를 자신의 사업 모델에 적극 활용했으며, 순회 4중창단을 통해 복음 음악 책을 홍보했다.[13] 버질 올리버 스탬프스와 J. R. 벡스터 역시 본의 모델을 따라 1920년대 후반 본과 경쟁했다.[14] 이 시기에는 카터 패밀리 같은 그룹의 복음성가 음반 마케팅도 이루어졌다.
'''흑인 복음성가'''
오순절 운동은 해방 이후 유럽풍 흑인 교회 음악에 익숙하지 않았던 교회들과 빠르게 연결되었다. 이 교회들은 20세기 초 복음성가 출판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기여했다. 시스터 로제타 서프는 로큰롤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이 시기 중요한 복음성가 음반 아티스트로 부상했다.[15] 래그타임을 복음성가에 처음 도입하고 피아노 연주를 녹음한 인물은 애리조나 드레인스였다.[16]
1930년대에는 미시시피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나 앨라배마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와 같은 흑인 복음성가 4중창단이 등장했다.[17] 이들 외에도 많은 흑인 복음성가 음악가들이 기타를 연주하며 남부 도시 거리에서 노래했다.
같은 시기 시카고에서는 토마스 A. 도르시가 복음성가로 전향하여 출판사를 설립했다.[18] 1930년 전국 침례교 협회가 회의에서 처음으로 이 음악을 공개 지지하면서 전통적인 흑인 복음성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평가받는다.[19] 도르시는 마할리아 잭슨(특히 그의 곡 "사랑하는 주님, 내 손을 잡아요" 해석으로 유명)을 비롯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예술가들의 음악 경력을 지원했다.[18]
라디오는 복음성가 청취자를 계속해서 늘려나갔다. 알버트 E. 브럼리의 1937년 곡 "Turn Your Radio On"은 이러한 현상을 기념하는 노래로 여전히 복음성가 책에 실려 있다.[20] 소울 스티러스는 R.H. 해리스, 샘 쿡, 자니 테일러 등을 배출했으며, 센세이셔널 나이팅게일즈, 스완 실버톤스, 앨라배마의 블라인드 보이즈,[21] 미시시피의 파이브 블라인드 보이즈, 딕시 허밍버즈 등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복음성가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1964년 복음성가 음악 협회(GMA)가 설립되었고, 이후 GMA 도브 어워드(1969년)와 복음성가 명예의 전당(1972년)이 제정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남부 복음성가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다른 하위 장르의 아티스트, 특히 많은 흑인 아티스트들을 포용하기 시작했다.[22] 제임스 클리블랜드와 아레사 프랭클린 같은 아티스트들은 전통적인 복음성가 스타일을 선보였다.[23] 1969년 제임스 클리블랜드는 흑인 복음성가를 위한 미국 복음성가 워크숍을 설립했다.
20세기 후반에는 엘비스 프레슬리, 제리 리 루이스, 블랙우드 형제 등도 복음성가 영향을 받거나 관련 음반을 발표했다.[14]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
어반 컨템포러리 가스펠은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 에드윈 호킨스 싱어스의 히트곡 "오 해피 데이"(1969)와 함께 등장했다. 이 곡은 2000년대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불리고 있다. 이후 안드레 크라우치와 클라크 자매 같은 팝 가스펠 뮤지션들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수십 년간 이어져 욜란다 애덤스나 커크 프랭클린 같은 아티스트들은 자신들의 음악 스타일로 세속 음악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 흑인 가스펠 아티스트들은 대부분 어반 컨템포러리 성향을 보인다.
또한 크리스찬 힙합(가스펠 랩/힙합)도 주목할 만하다. 고스펠 갱스타즈와 더 크로스 무브먼트 시대를 거치며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는 리치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가스펠 장르에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레이블 설립자이자 대표 아티스트인 레크레는 2014년 앨범 "어나말리"로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여러 차례 10위권에 진입했다.
4. 2. 한국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5. 복음성가를 소재로 한 영화
- 시스터 액트 Sister Act영어 (1992): 우피 골드버그 주연의 영화이다. 일본에서 고스펠 붐을 일으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다만 영화의 배경은 성모 마리아를 숭배하는 가톨릭 교회이며, 영화 속 음악은 기존 상업 음악의 가사를 성가적으로 해석하고 고스펠풍으로 편곡한 것이다. 따라서 종교적, 음악적 관점에서 보면 프로테스탄트 문화에 기반한 고스펠 음악과는 차이가 있으며, 기존의 고스펠 곡은 사용되지 않았다.
- 시스터 액트 2 Sister Act 2: Back in the Habit영어 (1993): 우피 골드버그 주연으로, 위 영화의 속편이다. 극 중 삽입곡으로 사용된 고스펠 곡 오 해피 데이 Oh Happy Day영어가 일본에서 본격적인 고스펠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 프리처스 와이프 The Preacher's Wife영어 (1996)
- 파이팅 템테이션스 Fighting Temptations영어 (2003)
- 고스펠 The Gospel영어 (2005)
- 조이풀 노이즈 Joyful Noise영어 (2012)
6. 관련 단체
- 복음성가 음악 협회(Gospel Music Association) – 모든 형태의 복음성가/기독교 음악을 인정한다.
- Gospel Viu – 국경 없는 복음성가
- 복음성가 와이어(Gospel Wire) – 주로 어반 컨템포러리 복음성가
- 퍼시픽 복음성가 협회(Pacific Gospel Music Association) – 사우스 복음성가로 알려져 있다.
- 사우스 복음성가 협회(Southern Gospel Music Association)
- 페스티벌 루멘(Festival Lumen) - 중부 유럽 최대의 복음성가 축제
7. 비판
"표준" 찬송가를 옹호하는 일부에서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복음성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다. 이들은 복음성가가 교리적인 내용보다는 감정을 지나치게 강조한다고 지적한다.[35] 예를 들어, 패트릭(Patrick)과 시드노어(Sydnor)는 복음성가의 상업적 성공이 확산을 이끌었지만, 이 과정에서 "처음부터 높지 않았던 기준에서도 타락이 발생했다"고 비판했다.[35] 또한 그들은 "이러한 유형의 찬송가와 곡조를 사용하는 것은 취향의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하나님을 섬기는 데 사용되는 노래에 가장 적합한 존엄성과 아름다움에 대한 감각을 무디게 하고 종종 파괴하는 사소하고 감각적인 것에 대한 애착을 키운다"고 덧붙였다.[36]
그러나 이러한 비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골드(Gold)는 1958년 연구에서 이러한 비판들을 정리하면서도, "복음 찬송가는 기독교 노래에 대한 미국의 가장 전형적인 기여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 영감과 사용에 있어서 타당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함께 제시했다.[37][38]
오늘날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복음성가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여, 공식적인 교파 찬송가로 수용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연합감리교회는 2000년에 공식 찬송가의 부록인 The Faith We Sing|우리가 부르는 믿음eng을 발간하면서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편집자들은 서문에서 "현재 찬송가를 편찬할 때 몇몇 오래된 보물들을 놓쳤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언급하며 복음성가의 가치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39]
8. 한국 교회와 복음성가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Gospel History Timelin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2-01-31
[2]
논문
The changing nature of gospel music: A southern case study.
EBSCO
[3]
서적
[4]
웹사이트
A Change Is Gonna Come: How Gospel Gave Birth To Soul
https://www.udiscove[...]
2022-12-13
[5]
학술지
Gospel Music Research
https://www.jstor.or[...]
1980
[6]
allmusic
Gospel
https://www.allmusic[...]
2024-11-20
[7]
웹사이트
the Oak Ridge Boys
https://www.countrym[...]
countrymusichalloffame.org
2024-11-30
[8]
뉴스
From Charles Mackintosh's waterproof to Dolly the sheep: 43 innovations Scotland has given the world
https://www.independ[...]
2016-01-03
[9]
웹사이트
Isaac Watts – The Center For Church Music, Songs and Hymns
http://songsandhymns[...]
[10]
서적
[11]
서적
The English Hymn: Its Development and Use in Worship.
George H. Doran Co.
[12]
서적
Biography of Gospel Song and Hymn Writers
Fleming H. Revell Company
[13]
문서
Charles Davis Tillman
[14]
서적
[15]
웹사이트
Godmother of Rock and Roll: Sister Rosetta Tharpe
https://web.archive.[...]
2015-08-08
[16]
웹사이트
COGIC Women in Gospel Music on Patheos
http://www.patheos.c[...]
2010-02-02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간행물
The Gospel Music Association's Dove Awards Nominations for the Gospel Song of 1972
Canaan Records
[21]
뉴스
After 75 years of touring, the Blind Boys of Alabama are still reaping blessing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24-11-30
[22]
서적
[23]
berklee
Join chorus selection gospel
https://www.berklee.[...]
berklee.edu
2024-12-20
[24]
웹사이트
28 Of The Greatest And Most Famous Gospel Singers Of All Time
https://hellomusicth[...]
2023-10-11
[25]
웹사이트
Gospel music
https://web.archive.[...]
BBC
2011-07-11
[26]
서적
British Black Gospel: Foundations of this vibrant UK sound
Monarch Books
[27]
웹사이트
Freddie Kofi Wins Best Male at GEM Awards
http://www.christian[...]
2005-11-04
[28]
뉴스
Mobo Awards 2010: The Winners
https://www.telegrap[...]
2010-10-20
[29]
웹사이트
Gospel's Lurine Cato is triumphant at the MOBOs
http://www.voice-onl[...]
The Voice Online
2013-10-21
[30]
웹사이트
Urban Music Awards
http://www.urbanmusi[...]
[31]
웹사이트
UKs first Official Christian & Gospel Albums Chart to launch next week
http://www.recordoft[...]
2013-03-14
[32]
학술지
The Rise of Southern Gospel Music
https://www.jstor.or[...]
1998
[33]
웹사이트
Larry Gatlin nominated for Christian Country Album of the Year
https://web.archive.[...]
2008-09-11
[34]
웹사이트
Barbara Mandrell inducted into the Country Gospel Music Hall of Fame
https://web.archive.[...]
[35]
서적
[36]
서적
Patrick
1962
[37]
간행물
Religion in Life
1950-01
[38]
논문
The Gospel Song: Contemporary Opinion
1958-07
[39]
서적
Introduction
Abingdon Press
2000
[40]
웹사이트
黒人霊歌 こくじんれいか black spirituals
https://kotobank.jp/[...]
[41]
웹사이트
http://www.songhall.[...]
[42]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43]
문서
아폴로에서 코롬비아로 이적해서 매력이 없어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욕심 많은 사업가로도 알려져 흑인들 사이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44]
문서
RH 하리스, 샘 쿡, 조니 테일러 등이 재직했다.
[45]
웹사이트
The Rev. Julius Cheeks Retrospective
http://opalnations.c[...]
2019-12-12
[46]
문서
템테이션즈의 리드 싱어였다.
[47]
문서
하이 레코드에 소속된 소울 가수.
[48]
문서
고스펠 블루스의 유명한 싱어.
[49]
문서
블루스 가수.
[50]
문서
소울 스타러스 출신이었다.
[51]
웹사이트
Sam Cooke
https://www.rockhall[...]
2017-10-10
[52]
문서
"리 스펙트", "작은 소원" 등 히트곡 다수의 "레이디 소울"
[53]
문서
"댄스 천국", "미드 나잇 아워" 등이 히트한 샤우터.
[54]
문서
"소울 맨", "홀드 온, 아임 카밍"이 대표곡.
[55]
뉴스
WILLIE GEORGE WOODRUFF DIES
https://www.washingt[...]
워싱턴 포스트
2021-12-03
[56]
웹사이트
클라라 워드
https://www.allmusic[...]
2021-12-03
[57]
문서
호주의 기독교 가수. "더 로즈 플레이어"가 74 년에 미국에서 히트.
[58]
웹사이트
복음성가란?(2)
http://www.christian[...]
[59]
서적
메가처치 논박
정연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