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령관 마르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사령관 마르코스는 1957년 멕시코에서 태어나 1994년 사파티스타 봉기 당시 대중 앞에 처음 등장했다. 그는 철학을 공부하고 치아파스 지역의 마야인들과 교류하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 마르코스는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국제적인 지지를 얻었으며, 정치 철학 저술 활동을 통해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 지도자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며, 민중의 자율적인 변화를 강조했다. 마르코스는 멕시코 원주민의 빈곤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2014년에는 '마르코스'라는 인물을 파괴하기로 결정했다. 그의 사상과 활동은 한국 학계와 진보 진영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은 랩, 메탈, 펑크 록을 혼합한 사운드와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유명한 미국의 록 밴드로서, 데뷔 앨범 발매 후 해체와 재결합을 거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다시 해체를 발표했다.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 신사파타주의
신사파티스타주의는 멕시코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이 추구하는 사상으로, 자유지상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에밀리아노 사파타의 사상 등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세계화에 반대하며 급진 민주주의와 자율성을 강조한다.
부사령관 마르코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코스 부사령관 |
로마자 표기 | Subcomandante Insurgente Marcos |
다른 이름 | 부사령관 인술헨테 갈레아노 "델레가도 세로" (대표 제로) |
출생일 | 1957년 6월 19일 |
출생지 | 탐피코, 타마울리파스, 멕시코 |
국적 | 멕시코 |
직업 | 대변인 작가 |
소속 운동 | 네오사파티스모 |
교육 | 인스티튜토 쿨투랄 탐피코 |
모교 |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 (BA, MA)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군사 정보 | |
소속 |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 |
소속 부대 |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 |
복무 기간 | 1994년–2014년 |
계급 | 대위 부사령관 (이전) |
참전 전투 | 치아파스 분쟁 사파티스타 봉기 |
참고 | |
사망 | 정보 없음 |
실종 | 정보 없음 |
2. 초기 생애
부사령관 마르코스는 1957년 6월 19일 멕시코 타마울리파스 주 탐피코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라파엘 세바스티안 기옌 비센테로 추정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체 게바라를 알고 존경했으며, 이러한 존경심은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되었다.[10]
마르코스는 탐피코 문화 연구소(Instituto Cultural Tampico)라는 예수회 학교에서 고등학교를 다녔고,[11][12]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UNAM)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당시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가 유행했고, 이는 마르코스의 논문에도 반영되었다. 그는 UNAM에서 박사 학위를 준비하면서 자치 대도시 대학교(UAM)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이 무렵 멕시코 민족 해방 전선(FLN)을 접하게 되었다.
1984년, 마르코스는 학업을 포기하고 치아파스 산악 지대로 떠나 가난한 원주민 마야인들에게 조직을 만들어 멕시코 부르주아와 연방 정부에 맞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일으킬 것을 설득했다.[13] 그러나 마야인들은 자신들은 노동자 계급이 아니며, 땅은 재산이 아니라 공동체의 중심이라고 답했다.[13]
마르코스가 산디니스타 혁명 직후인 1979년 이후 몇 년 동안 니카라과를 방문했는지, 방문했다면 어떤 자격으로 방문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소문은 있지만, 공식 문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닉 헨크는 마르코스가 니카라과를 "여행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하지만, 증거는 "정황적"이라고 본다.
마르코스는 자신을 대변자라고 부르며, '마르코스'는 본명이 아니라 조직 내에서 사용하는 이름이다. 이 이름은 군의 검문소에서 살해당한 친구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언론 등에 모습을 드러낼 때 목베개를 하고 있어 실제 정체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예전에 대학교 강사로 철학을 가르쳤다고도 알려져 있다.
2. 1. 가정 환경
마르코스는 1957년 6월 19일 타마울리파스 주 탐피코에서 알폰소 길옌과 마리아 델 소코로 비센테 사이에서 8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7] 그의 아버지 알폰소는 전직 초등학교 교사였으며 지역 가구점 체인을 운영했고, 가족은 중산층으로 묘사된다.[8][7] 2001년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와 로베르토 폼보와의 인터뷰에서 마르코스는 자신의 성장 배경을 "재정적 어려움 없이" 자란 중산층이라고 설명했고, 부모가 자녀들에게 언어와 독서에 대한 사랑을 심어주었다고 말했다.[9]2. 2. 교육 배경
마르코스는 탐피코에 있는 예수회 학교인 탐피코 문화 연구소(Instituto Cultural Tampico)에서 고등학교를 다녔다.[11][12] 이후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UNAM)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시즘 영향을 받았다. UNAM에서 박사 학위를 준비하는 동안 자치 대도시 대학교(UAM)에서 강의하기도 했다.2. 3. 멕시코 민족 해방 전선(FLN)과의 만남
멕시코시티 수도자치대학교(UAM)를 졸업하고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UNAM)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마르코스는 UAM에서 교수로 재직하던 중 멕시코 민족 해방 전선(FLN)을 접하게 되었다. 이는 훗날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EZLN)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마르코스 세대는 1968년 트라테로르코 학살로 인해 급진화되었고, 마르코스 역시 마오쩌둥주의 조직의 급진주의자가 되었다.[1] 그러나 치아파스주의 원주민 농민들과의 만남은 그를 사파티스타 이데올로기로 변화시켰다.[1]2. 4. 치아파스로의 이동
1984년, 마르코스는 학업을 중단하고 치아파스 산악 지대로 들어가 가난한 원주민 마야인들과 함께 생활했다.[13] 그는 그곳에서 마야인들에게 멕시코 부르주아와 연방 정부에 맞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일으키자고 제안했다.[13] 그러나 마야인들은 "그저 그를 쳐다볼 뿐"이었고, 자신들은 노동자 계급이 아니며, 그들의 관점에서 땅은 재산이 아니라 공동체의 중심이라고 대답했다.[13]마르코스는 도시 문화에서 자란 사람이 치아파스주와 같은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마치 다른 행성에 착륙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언어와 환경 속에서 마치 다른 우주에서 온 외계인처럼 여겨졌고, 모두가 그에게 "떠나라. 이것은 무슨 실수다. 너는 여기에 있어서는 안 된다"라고 말하는 듯 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사람들, 그들의 삶, 날씨, 비, 햇빛, 대지, 진흙, 질병, 벌레, 향수병 등 모든 것이 낯설었고, 마치 악몽과 같았다고 묘사했다.
3. 사파티스타 봉기 (1994)
1994년 1월 1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발효되자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EZLN)은 무장 봉기를 일으켰다.
3. 1. 마르코스의 등장
사파티스타 봉기 당일, 마르코스는 산 크리스토발 데 라스 카사스에서 언론과 대중 앞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17] 당초 그의 역할은 경찰서를 확보하는 것이었으나, 부상당한 부하를 대신하여 중앙 광장으로 향하면서 우연히 외국인 관광객들과 마주치게 되었다. 마르코스는 유창한 영어로 사파티스타의 메시지를 전달했고, 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18]이후 몇 달 동안 마르코스는 ''60분'' 및 ''베니티 페어''와 인터뷰를 하고, 1994년 8월에는 6000명의 시민 사회 구성원을 모아 멕시코의 민주화를 위한 전국 민주 협약을 주최하기도 했다.
마르코스는 자신을 대변자라고 칭하며, '마르코스'는 본명이 아닌 조직 내에서 사용하는 이름으로, 군 검문소에서 살해당한 친구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 그는 목베개를 착용하여 정체를 숨기고 있으며, 과거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는 이야기가 있다.
멕시코 정부는 마르코스의 실제 신원을 라파엘 세바스티안 기옌 비센테라고 추정하고 있다. 기옌은 예수회 고등학교와 멕시코시티 수도자치대학교(UAM)를 졸업하고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UNAM)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교수로 재직했으나, 얼마 후 대학을 떠났다. 마르코스는 자신이 라파엘 기옌임을 부인하고 있으며, 기옌 가족은 관련 증언을 거부하고 있다. 2001년, 마르코스는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에서 강연하며 자신이 이전에 그곳에 온 적이 있다고 말했다.
기옌은 1968년 트라테로르코 학살을 계기로 마오쩌둥주의 조직에서 활동하며 급진화되었으나, 치아파스주 원주민 농민들과의 만남을 통해 사파티스타 이데올로기로 변화했다. 또한 마르코스는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운동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철학은 안토니오 그람시의 수정된 마르크스주의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A Place Called Chiapas』라는 다큐멘터리에서 마르코스는 치아파스에서의 첫날을 회상하며, 도시 출신인 자신이 마치 다른 행성에 착륙한 외계인처럼 느껴졌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언어와 환경, 그리고 "떠나라"라는 사람들의 말 속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네티 와일드의 다큐멘터리에서 마르코스는 눈과 파이프를 문 입술만 드러낸 채 카메라 앞에서 연설하며, 사파티스타의 신앙을 드러냈다. 마야인들은 마르코스를 "12년 전에 치아파스에 온 푸른 피부의 남자"라고 칭하며, 그가 도시 출신이라는 것을 믿기 어렵다고 말한다.
3. 2. 언론의 주목과 초기 활동
마르코스는 1994년 사파티스타 봉기 첫날에 모습을 드러냈다.[17] 처음에는 산 크리스토발 데 라스 카사스의 경찰서를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부하의 부상으로 대신 중앙 광장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영어를 구사하는 덕분에 외국인 관광객과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즉석에서 네 차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18]이후 마르코스는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봉기 첫 3개월 동안 24번의 인터뷰를 하고, 정부와의 평화 협상 기간에는 9번의 기자 회견을 열었다.[17] 60분의 에드 브래들리와 인터뷰를 진행했고,[https://www.youtube.com/watch?v=d0-rPLK5JpA Subcomandante Marcos, CBS News 60 Minutes] ''베니티 페어''에도 등장했다.[https://www.bardachreports.com/mexicos-poet-rebel Mexico's Poet Rebel] 1994년 8월에는 멕시코의 민주화를 위한 전국 민주 협약을 주도하여 6,000명의 시민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평화적인 투쟁 방안을 논의했다.[17]
마르코스는 자신을 대변인이라고 칭한다. '마르코스'는 본명이 아닌 조직 내에서 사용하는 이름으로, 군 검문소에서 사망한 친구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언론에 등장할 때는 목베개를 착용하여 신원을 숨기고 있다. 한편, 과거 대학교에서 철학 강사로 일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3. 3. 1995년 정부의 군사 공세
1995년 초, 멕시코 검찰청(PGR)은 전직 사파티스타 부사령관이었던 수브코만단테 다니엘(가명 살바도르 모랄레스 가리바이)의 증언을 통해 마르코스의 신원을 파악했다.[19]1995년 2월 9일, 에르네스토 세디요 대통령은 마르코스의 신원이 라파엘 세바스티안 기옌 비센테라고 공개하고, 멕시코군에 마르코스와 사파티스타 체포 명령을 내렸다.[20] 라칸돈 정글의 사파티스타 지역은 멕시코군의 공격을 받았다.[21]
이는 1년 전 카를로스 살리나스 대통령의 휴전 선포와 에스테반 멕테수마 내무장관의 평화 협상을 배신하는 행위로, 여러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 에스테반 멕테수마는 세디요에게 사임을 제안했으나, 세디요는 이를 거부하고 대화 재개를 요청했다.[22]
- 시민 사회는 마르코스를 옹호하며 멕시코시티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는 "우리는 모두 마르코스다"라고 외쳤다.
- 마르코스는 정부를 비난하고 자신을 가상 영웅 게릴라로 묘사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95년의 배신 이후 사람들이 우리를 기억하게 되었고, 그때 [사파티스타] 운동이 시작되었다"라고 말했다.
- 라파엘 기옌의 친구 맥스 애피돌은 에덴 파스토라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는 마르코스의 평화주의적 성향과 군사적 해결의 위험성을 강조했다.[23] 마르코스 제거 시 더 급진적인 집단이 등장하여 테러, 납치 등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24]
결국 1995년 3월 10일, 세디요와 멕테수마는 "존엄을 가진 대화, 화해, 평화를 위한 대통령령"에 서명하고, 이는 멕시코 의회에서 승인되었다.[25] 멕테수마는 루이스 말도나도를 파견하여 사파티스타와 평화 협상을 시작했고, 4월 3일부터 회담이 진행되었다.[26]
1995년 4월 9일, "정의와 존엄을 가진 화합과 평화 협정"의 기초가 조인되었다. 4월 17일, 마르코 안토니오 베르날이 치아파스 평화 집행관으로 임명되었고, 4월 22일 산 안드레스 라라인자르에서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다.[27]
4. 정치 및 철학 저술
마르코스 사령관은 수백 편의 글, 수필, 소설, 인터뷰 등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철학적 견해를 밝혔다. 그의 저작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수십 권의 책으로 출판되었으며, 학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6][28]
마르코스는 신화적 서사를 탈식민주의 비판과 원주민 인식론의 도구로 사용하고, 중앙 아메리카 철학의 요소들을 통합하여 혁명적 담론을 재구성했다. 마야 신 보탄과 혁명가 에밀리아노 사파타를 융합한 "보탄-사파타" 개념은 원주민 전통과 혁명 전통의 조화를 상징하며, 식민주의에 대한 대안적 비전을 제시한다.[30]
마르코스의 ''라 이스토리아 데 로스 콜로레스(La Historia de los Colores)''(색깔들의 이야기)는 마야 문명 창조 신화를 바탕으로 관용과 다양성을 가르치는 어린이 이야기로, 파이어크래커 대안 도서상(Firecracker Alternative Book Award)을 수상했다.[31][34][35]
2005년 추리 소설 작가 파코 이냐시오 타이보 2세(Paco Ignacio Taibo II)와 함께 탐정 소설 ''더 언컴포터블 데드(The Uncomfortable Dead)''를 집필, 친생태주의, 친민주주의, 반차별, 반신자유주의, 반자본주의 메시지를 담았다.
마르코스는 멕시코 정치 제도 등을 비판하며 토착민 권리에 관한 글을 발표하고, 오토바이 여행, 강연, 집회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4. 1. 광범위한 저술 활동
마르코스 사령관은 수백 편의 글과 수십 권의 책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철학적 견해를 드러냈다. 그의 글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읽히고 있다.[6] 호르헤 알론소는 마르코스의 글이 "1만 건이 넘는 인용으로 학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28]
마르코스의 글은 시적인 성격과 풍자, 특히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는 문학적 스타일로 주목받는다.[29] 또한 문학적, 철학적 깊이뿐만 아니라 신화적 서사를 탈식민주의 비판과 원주민 인식론의 도구로 사용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마르코스는 중앙 아메리카 철학의 요소들을 통합하여 혁명적 담론을 재구성하는데, 예를 들어 마야 신인 보탄과 혁명가 에밀리아노 사파타를 융합한 "보탄-사파타"라는 개념은 원주민 전통과 혁명 전통의 조화를 상징한다.[30]
마르코스의 책 중 하나인 ''라 이스토리아 데 로스 콜로레스(La Historia de los Colores)''(색깔들의 이야기)는 마야 문명의 창조 신화를 바탕으로 관용과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가르치는 어린이 이야기이다.[31] 이 책은 미국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었으나, 1999년 보조금이 갑자기 취소되기도 했다.[32][33] 이후 라난 재단(Lannan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으며, 파이어크래커 대안 도서상(Firecracker Alternative Book Award)을 두 번 수상했다.[34][35]
2005년, 마르코스는 추리 소설 작가 파코 이냐시오 타이보 2세(Paco Ignacio Taibo II)와 함께 탐정 소설 ''더 언컴포터블 데드(The Uncomfortable Dead)''를 집필했다. 이 책은 친생태주의, 친민주주의, 반차별, 반신자유주의 세계화, 반자본주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마르코스의 정치 철학을 보여주는 주요 작품으로는 "제4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1997),[36] "제4차 세계대전"(1999),[37] 라칸돈 정글 선언 제6호(Sixth Declaration of the Lacandon Jungle)(2005), 4부작 "사파티스타와 다른 이들: 역사의 보행자들"(2006),[38][39][40] ''자본주의 히드라에 맞선 비판적 사고(Critical Thought in the Face of the Capitalist Hydra)''[41], ''https://www.akpress.org/the-zapatistas-dignified-rage.html 사파티스타들의 품위 있는 분노: 마르코스 사령관의 마지막 공개 연설(The Zapatistas' Dignified Rage: Final Public Speeches of Subcommander Marcos)''[42] 등이 있다.
마르코스의 글은 정치적 목적과 전투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2002년에 출판된 ''우리의 말은 우리의 무기(Our Word Is Our Weapon)''는 그의 기사, 시, 연설, 편지 모음집이다.[43] 1992년부터 2006년까지 마르코스는 200편이 넘는 수필과 소설을 집필했으며, 그의 책은 적어도 21권, 총 33판 발행되었다. 마르코스는 우화 형태의 간접적인 비유를 선호하지만, 때로는 거칠고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2003년 1월 바스크 민족주의 조직 바스크 자유와 조국을 위한 ETA(ETA)에 보낸 편지에서, 마르코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ELZN의 아이들에게, 색깔처럼 수많은 언어가 있고, 사상 또한 매우 많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그 언어들이 사상이 태어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들이 마음속으로 이야기하기 위해 진실을 말하라고 설득합니다.”
마르코스는 스스로를 사파티스타의 주요 인물로 정의하지 않고, 세간의 관심에서 벗어나 멕시코 정치 제도 등을 비판하며 토착민 권리에 관한 글을 발표하고 있다.
4. 2. 문학적 스타일
마르코스의 글은 시적이고 풍자적이며, 특히 반어법을 자주 사용한다. 그의 문학 스타일은 탈식민주의 비판과 원주민 인식론을 결합하여 독특한 서사 방식을 보여준다.[29] 예를 들어, 마야 신화의 보탄과 혁명가 에밀리아노 사파타를 융합한 "보탄-사파타" 개념은 원주민 전통과 혁명 전통의 조화를 통해 식민주의에 도전하고 자치와 정의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30]마르코스의 작품 중 하나인 ''라 이스토리아 데 로스 콜로레스(La Historia de los Colores)''(색깔들의 이야기)는 어린이 이야기 형식을 빌려 마야의 창조 신화를 바탕으로 관용과 다양성을 가르친다.[31] 이 책은 파이어크래커 대안 도서상(Firecracker Alternative Book Award)을 두 번 수상했다.[35]
2005년, 마르코스는 추리 소설 작가 파코 이냐시오 타이보 2세(Paco Ignacio Taibo II)와 함께 탐정 소설 ''더 언컴포터블 데드(The Uncomfortable Dead)''를 집필하여 친생태주의, 친민주주의, 반차별, 반신자유주의 세계화, 반자본주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마르코스는 우화와 비유를 선호하지만, 때로는 직설적인 표현도 사용한다. 2003년 바스크 민족주의 조직 바스크 자유와 조국을 위한 ETA(ETA)에 보낸 편지에서 "이 별의 모든 혁명 전위를 비난하며 (cago - 똥이라는 뜻)"라고 시작하며, "우리는 ELZN의 아이들에게, 색깔처럼 수많은 언어가 있고, 사상 또한 매우 많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그 언어들이 사상이 태어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리고 우리는 그들이 마음속으로 이야기하기 위해 진실을 말하라고 설득합니다."라고 덧붙였다.
4. 3. 주요 저서 및 사상
마르코스 사령관은 수백 편의 공보(公報)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철학적 견해를 밝혔다. 그의 글, 수필, 소설, 인터뷰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수십 권의 책과 자료집으로 출판되었다.[6] 호르헤 알론소는 마르코스의 글이 "1만 건이 넘는 인용으로 학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하며, 그의 저서와 관련 연구가 여러 국가, 다양한 언어권에서 참고되고 있다고 말한다.[28]마르코스의 글은 시적이고 풍자적이며, 반어적 표현을 즐겨 사용한다.[29] 그의 저서는 문학적, 철학적 깊이뿐만 아니라 탈식민주의 비판과 원주민 인식론의 도구로 신화적 서사를 활용한 점이 돋보인다. 마르코스는 중앙 아메리카 철학의 요소들을 통합하여 혁명적 담론을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마야 신 보탄과 혁명가 에밀리아노 사파타를 융합한 "보탄-사파타"는 원주민 전통과 혁명 전통의 조화를 상징하며, 식민주의적 서사에 도전하고 자치와 정의에 대한 대안적 비전을 제시한다.[30]
''라 이스토리아 데 로스 콜로레스(La Historia de los Colores)''(색깔들의 이야기)는 마야의 창조 신화를 바탕으로 한 어린이 이야기로, 관용과 다양성 존중을 가르쳐 많은 사랑을 받았다.[31] 이 책은 미국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NEA)의 지원으로 영어 번역본이 출판될 예정이었으나, 1999년 한 기자가 책 내용과 저자를 NEA 의장 윌리엄 J. 아이비에게 알린 후 지원이 갑자기 취소되기도 했다.[32][33] 이후 라난 재단(Lannan Foundation)의 지원으로 출판되었으며,[34] 파이어크래커 대안 도서상(Firecracker Alternative Book Award) 2개를 수상했다.[35]
2005년 마르코스는 추리 소설 작가 파코 이냐시오 타이보 2세(Paco Ignacio Taibo II)와 함께 탐정 소설 ''더 언컴포터블 데드(The Uncomfortable Dead)''를 썼다. 이 범죄 소설은 친생태주의, 친민주주의, 반차별(인종, 성별, 성적 지향), 반신자유주의 세계화, 반자본주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마르코스의 정치 철학을 보여주는 주요 작품으로는 "제4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1997, "세계 퍼즐의 일곱 조각"으로도 불림),[36] "제4차 세계대전"(1999),[37] 라칸돈 정글 선언 제6호(Sixth Declaration of the Lacandon Jungle)(2005), 4부작 "사파티스타와 다른 이들: 역사의 보행자들"(2006),[38][39][40] ''자본주의 히드라에 맞선 비판적 사고(Critical Thought in the Face of the Capitalist Hydra)''[41], ''https://www.akpress.org/the-zapatistas-dignified-rage.html 사파티스타들의 품위 있는 분노: 마르코스 사령관의 마지막 공개 연설(The Zapatistas' Dignified Rage: Final Public Speeches of Subcommander Marcos)''[42] 등이 있다.
마르코스의 문학은 정치적 목적을 가지며, 2002년 출판된 ''우리의 말은 우리의 무기(Our Word Is Our Weapon)''(기사, 시, 연설, 편지 모음집)에서 나타난 것처럼 전투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43] 그는 간접적인 비유를 선호하며 우화 형태로 글을 쓰기도 하지만, 때로는 거칠고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1992년부터 2006년까지 마르코스는 200편이 넘는 수필과 소설을 썼고, 최소 21권의 책이 총 33판 발행되었다.
5. 라틴 아메리카 '핑크 타이드'와의 관계
마르코스는 라틴 아메리카의 좌파 정권, 이른바 '핑크 타이드'에 대해 복합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특정 지도자보다는 민중의 움직임에 더 주목했으며,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강조했다. 이는 그가 스스로를 '혁명가'가 아닌 '반란군'으로 칭하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5. 1. 지도자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
마르코스는 라틴 아메리카의 핑크 타이드를 이끈 지도자들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였다. 2007년 인터뷰에서 그는 에보 모랄레스(Evo Morales) 볼리비아 대통령을 지지했지만, 우고 차베스(Hugo Chávez) 베네수엘라 대통령에 대해서는 복잡한 감정을 드러냈다. 차베스가 너무 과격하다고 평가하면서도, 베네수엘라에 광범위한 혁명적 변화를 가져온 점은 인정했다.[44]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브라질 대통령과 다니엘 오르테가(Daniel Ortega) 니카라과 대통령을 원래 이상을 배신한 인물로 평가했다.[44][45]헤수스 킨테로(Jesús Quintero)와의 인터뷰에서 마르코스는 "정부는 오고 가지만, 민중은 남는다"고 말하며, 지도자보다는 민중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46] 그는 사회와 세계는 아래에서부터 변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스스로를 "혁명가"가 아닌 "반란군"으로 칭했다.[47][48] 혁명가는 권력을 장악하려 하지만, 반란군은 권력을 분석하고 해체하는 데 집중한다고 설명했다.[49]
5. 2. 민중에 대한 강조
마르코스는 특정 지도자보다는 라틴 아메리카 민중의 움직임에 주목하며,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오고 가지만, 민중은 남는다고 언급하며, 차베스, 에보 모랄레스, 카스트로와 같은 특정 지도자가 아닌 민중에게 관심을 둔다고 말했다.[46]그는 사회와 세계는 아래에서부터 변화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스스로를 '혁명가'가 아닌 '반란군'으로 칭했다. 권력 장악보다는 세계 변화를 위한 조직화를 중시했다.[47] [48] 마르코스는 혁명가는 권력을 장악하고 유지하려 하지만, 반란군은 권력을 분석하고 해체한다고 설명했다.[49]
6. 대중적 인기
마르코스는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1994년 사파티스타 봉기 이후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멕시코 원주민의 빈곤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52] 그의 이미지는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유명 인사들과 교류하기도 했다.
6. 1. 개인 숭배와 언론의 주목
사파티스타 봉기 초기 7년 동안 마르코스는 카리스마를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를 옹호하는 반란군이라는 낭만적인 이미지와 언론의 막대한 보도에 힘입어 개인숭배 현상까지 나타났다.[50] 1994년 3월, 60분에서 그는 현대판 로빈 후드로 묘사되기도 했다.[50]

1994년부터 2001년까지 전 세계 기자들은 마르코스를 인터뷰하고 기사를 작성했으며, 올리버 스톤, 나오미 클라인 등 유명 인사와 문인들의 구애를 받았다. 존 버거, 카를로스 푸엔테스 등 저명한 지식인 및 작가들과 서신을 교환하기도 했다. 마르코스가 주재한 사파티스타 행사에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참석했고, 그는 수많은 잡지와 책, DVD 표지에 등장했다.
1995년 2월, 멕시코 정부가 마르코스의 신원을 밝히고 체포 영장을 발부하자, 수천 명의 시민들이 멕시코시티에서 "우리는 모두 마르코스다"라고 외치며 항의 시위를 벌였다.[51]
1996년에는 올리버 스톤, 다니엘 미테랑 등을 방문하고, 인류를 위한 그리고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대륙간 만남을 주최하여 50개국 약 5,000명의 참가자를 모았다.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티후아나 노! 등 여러 음악가와 밴드들도 마르코스를 지지했으며, 그의 연설을 노래나 콘서트에 활용하기도 했다.
2006년 다른 캠페인으로 멕시코를 순회할 때 마르코스의 인기는 다시 한번 크게 상승했다. 3000km 여정 동안 열렬한 군중의 환영을 받았고, 그의 인형과 얼굴이 새겨진 상품들이 판매되었다.[52]
2011년, 멕시코 역사가 엔리케 크라우제는 마르코스가 젊은 멕시코인들에게 여전히 인기가 있지만, 모범이 아닌 유명인으로서라고 평가했다.[53]
2014년 5월, 마르코스는 1994년에 "외부 사람들은 우리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마르코스'라는 인물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설명하며, "마르코스라는 인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선언했다.[54]
마르코스는 로빈 후드, 에밀리아노 사파타, 체 게바라, 마하트마 간디, 넬슨 만델라, 존 F. 케네디 등과 비교되기도 했다.[55] 그는 멕시코 원주민의 빈곤 문제를 국제적으로 조명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52]
6. 2. 유명 인사와의 교류
1994년부터 2001년까지 전 세계의 기자들이 마르코스를 인터뷰하고 기사를 작성했다. 그는 올리버 스톤, 나오미 클라인, 다니엘 미테랑, 레지 드브레,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 후안 헬만,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호세 사라마구 등 유명 인사와 문인들의 구애를 받았으며, 존 버거, 카를로스 푸엔테스,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등 저명한 지식인 및 작가들과 서신을 교환했다.[50] 마르코스가 주재한 사파티스타 행사에는 언론 기관을 포함하여 전 세계 수천 명의 사람들이 참석했으며, 그는 수많은 잡지의 표지와 여러 책과 DVD의 표지에 등장했다.1996년에는 올리버 스톤, 다니엘 미테랑, 레지 드브레를 방문했으며 인류를 위한 그리고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대륙간 만남을 주최했는데, 이 행사에는 50개국에서 약 5,000명의 참가자가 참석했다.[51]
2018년 11월에는 멕시코 배우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과 일세 살라스와 함께 사진을 찍었고,[56] 2019년 12월에는 디에고 루나와 함께 사진을 찍었다.[57]
6. 3. "우리는 모두 마르코스다"
1995년 2월, 멕시코 정부가 마르코스의 실제 신원을 밝히고 체포 영장을 발부하자 수천 명의 멕시코시티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우리는 모두 마르코스다"라고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51]6. 4. 대중문화 속 마르코스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멕시코 록 밴드 티후아나 노!, 멕시코 싱어송라이터 오스카르 차베스, 프랑스 바스크 싱어송라이터 마누 차오 등 여러 음악가들이 마르코스를 지지하며 그의 연설을 노래나 콘서트에 삽입하기도 했다.[52] 그의 얼굴은 시브리 코퍼레이션의 앨범 라디오 리탤리에이션 표지에 등장했다.6. 5. '마르코스'라는 인물의 소멸
2014년 5월, 마르코스는 수천 명의 사람들과 독립 언론 앞에서 연설했다. 그는 1994년 당시 "외부 사람들은 우리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마르코스'라는 인물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마르코스가 대변인에서 방해꾼으로 바뀌는" 시점이 있었고, 사파티스타들은 "'마르코스'라는 인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그 인물을 "파괴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54] 이는 사파티스타 운동이 대변인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려는 전략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7.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빈 문서)
참조
[1]
서적
Marcos, Subcomandante
ABC-CLIO
2004
[2]
웹사이트
El asesinato de José Luis Solís López, Galeano
https://www.jornada.[...]
2014-05-25
[3]
웹사이트
The silence of Captain Marcos
https://english.elpa[...]
2024-01-03
[4]
Youtube
1-Between light and shadow. Sup Marcos' last public speech. English subtitles – YouTube
https://www.youtube.[...]
[4]
Youtube
2-Between light and shadow. Sup Marcos' last public speech. English subtitles – YouTube
https://www.youtube.[...]
[4]
Youtube
3-Between light and shadow. Sup Marcos' last public speech. English subtitles
https://www.youtube.[...]
[4]
Youtube
4-Between light and shadow. Sup Marcos' last public speech. English subtitles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Mexican Rebel Leader Subcomandante Marcos Retires, Changes Name
https://www.wsj.com/[...]
2014-05-27
[6]
위키
Subcomandante Marcos bibliography
[7]
서적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2-10-01
[8]
학술지
Subcomandante Marcos: The Punch Card and the Hourglass
https://newleftrevie[...]
2001-05-01
[9]
학술지
The Punch Card and the Hourglass
http://www.newleftre[...]
2001-05-01
[10]
웹사이트
Subcomandante Marcos: The Latest Reader
http://www.cedoz.org[...]
2014-06-01
[11]
웹사이트
Habla Marcos
http://www.cambio.co[...]
2001-03-25
[12]
잡지
A Zapatista Reading List
2001-07-02
[13]
간행물
Farewell to the End of History: Organization and Vision in Anti-Corporate Movements
Merlin Press
2002
[14]
웹사이트
Subcomandante Insurgente Marcos
http://www.globalaut[...]
2003
[15]
웹사이트
Aztlan Joins Zapatistas on March into Tenochtitlan
http://www.aztlan.ne[...]
2001-03-08
[16]
웹사이트
La Revolución Chiapanequa
http://www.kl.unibe.[...]
2001
[17]
서적
Subcommander Marcos: the Man and the Mask
Durham, NC
2007
[17]
학술지
Laying a Ghost to Rest: Subcommander Marcos's Playing of the Indigenous Card
2009
[17]
서적
Rebellion from the Roots
Monroe, ME
1995
[17]
서적
Bordering on Chaos
Boston
1998
[17]
서적
Our Word is Our Weapon
New York
2001
[18]
학술지
Laying a Ghost to Rest: Subcommander Marcos's Playing of the Indigenous Card
https://www.jstor.or[...]
2009
[19]
웹사이트
El otro subcomandante
http://www.letraslib[...]
[20]
웹사이트
Zedillo trata de capturar a Marcos. Al tiempo que pretende negociar la paz, lanza una ofensiva contra el EZLN
http://www.memoriapo[...]
[21]
비디오
PGR ordena la captura y devela la identidad del Subcomandante Marcos (9 de febrero 1995)
https://www.youtube.[...]
tvinsomne
2009-09-24
[22]
웹사이트
Renuncia en Gobernación
http://www.elunivers[...]
[23]
웹사이트
Tampico la conexion zapatista
http://conexiontotal[...]
[24]
웹사이트
Marcos, en la mira de Zedillo
http://www.proceso.c[...]
2002-08-05
[25]
웹사이트
Client Validation
http://zedillo.presi[...]
[26]
웹사이트
MORENO VALLE-TV AZTECA: EL TÁNDEM POBLANO
http://www.sinembarg[...]
2012-05-31
[27]
웹사이트
Cronologia del Conflicto EZLN
http://www.latinamer[...]
[28]
웹사이트
A History of Challenging Messages
http://www.envio.org[...]
2016-05-01
[29]
서적
Subcomandante Marcos: Global Rebel Icon
Black Rose Books
2019
[29]
서적
The Poetics of Resistance: The Revolutionary public relations of the Zapatista Insurgency
A.K. Press
2010
[29]
학술지
Beyond Modernity: Irony, Fantasy, and the Challenge to Grand Narratives in Subcomandante Marcos's Tales
2011
[29]
학술지
The Carcaol and the Beetle: A Tension between Ideology and Form in the EZLN
https://ojs.uv.es/in[...]
2018
[30]
학술지
Utilising Mythopoetic Paradigms for Subverting Prescriptive Linguistic Colonial Supremacies: An Analysis of EZLN's Mythopoetic Discursive Tactics in Post-Colonial Praxis
2023
[31]
뉴스
Hue and Cry
https://www.nytimes.[...]
1999-05-16
[32]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The Story of Colors
http://www.cincopunt[...]
2003
[33]
뉴스
U.S. Cancels Grant for Children's Book Written by Mexican Guerrilla
https://www.nytimes.[...]
1999-03-10
[34]
뉴스
Foundation Will Bankroll Rebel Chief's Book N.E.A. Dropped
https://www.nytimes.[...]
1999-03-11
[35]
웹사이트
Firecracker Alternative Book Awards
http://www.readersre[...]
[36]
웹사이트
The Seven Loose Pieces of the Global Jigsaw Puzzle by Subcomadante Marcos
http://www.struggle.[...]
2020-09-18
[37]
웹사이트
The Fourth World War Has Begun
https://muse.jhu.edu[...]
2020-09-18
[38]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elkilombo[...]
2020-09-18
[39]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ainfos.ca[...]
2021-10-09
[40]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elkilombo[...]
2020-09-18
[41]
웹사이트
Critical Thought in the Face of the Capitalist Hydra
https://www.akpress.[...]
2020-10-24
[42]
서적
The Zapatistas' Dignified Rage: Final Public Speeches of Subcommander Marcos
[43]
서적
Subcomandante Marcos: Global Rebel Icon
Black Rose Books
[44]
웹사이트
'Subcomandante Marcos' dice que Chávez tiene 'improntas de caudillo'
http://www.aporrea.o[...]
2008-04-28
[45]
뉴스
Man in the mask returns to change world with new coalition and his own sexy novel
https://www.theguard[...]
2007-05-12
[46]
서적
Entrevista
Aguilar
[47]
서적
Entrevista
Aguilar
[48]
웹사이트
La entrevista insólita
https://aristeguinot[...]
Editorial A Contracorriente
2021-05-22
[49]
웹사이트
Conversations with Durito: Stories of the Zapatistas and Neoliberalism
https://la.utexas.ed[...]
Autonomedia
2020-09-20
[50]
서적
Beyond Praetorianism: The Latin American Military in Transition
North-South Center Press, University of Miami
1996
[51]
웹사이트
The Zapatistas at Ten
https://nacla.org/ar[...]
2007-09-25
[52]
뉴스
BBC Profile: The Zapatistas' mysterious leader
http://news.bbc.co.u[...]
2011-10-18
[53]
서적
Redeemers: Ideas and Power in Latin America
HarperCollins
[54]
서적
The Zapatistas' Dignified Rage: Final Public Speeches of Subcommander Marcos
A.K. Press
[55]
서적
Indigenous Revolts in Chiapas and the Andean Highlands
CEDLA
[56]
웹사이트
Gael García "comparte utopías" con el Subcomandante Galeano en el festival de cine del EZLN
https://verne.elpais[...]
2018-11-06
[57]
웹사이트
Se encuentran Diego Luna y el Subcomandante Galeano
https://suracapulco.[...]
2019-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