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광역시 수영역에서 강서구 대저역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95년 기본 계획이 수립되어 2005년 대저~수영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11년 3호선과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등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3호선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호선과 연계되어 준순환선 역할을 하며, 3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17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김해국제공항으로의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수영역
    수영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으로, 2호선 개통 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좌수영에서 유래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대저역
    대저역은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3호선은 2005년 개통 후 종착역이었으나 2011년 경전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환승 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지만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동서 방향으로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9년 1단계 구간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연장 공사를 거쳐 현재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향후 연장 계획이 있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성화물선
    장성화물선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3.6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소속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 단선에 ATS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평역과 장성화물역 두 개의 무인역으로 구성되어 2005년 개통되었고 2019년에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하시모토역에서 하카타역을 잇는 표준궤 복선 노선으로, 2005년 일부 개통 후 2023년 하카타역까지 연장되었고 향후 후쿠오카 공항 국제선 터미널까지의 연장이 검토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3호선 전동차
3호선에서 사용되는 3000계 전동차 (2009년 2월 23일, 구포역)
노선 이름3호선
고유 이름Sam Hoseon
운영 기관부산교통공사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 체계부산 도시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노선 색상'#bb8c00'
노선 개통일2005년 11월 28일
노선 소유자부산광역시
노선 경로
기점수영역
종점대저역
역 수17개 역 (기종점 포함)
노선 길이18.3 km
총 길이18.4 km
선로 길이18.6 km
선로 수복선
기술 정보
궤간1,435 mm (표준궤)
전기 방식가공 전차선, 가공 강체 전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ATC / ATP / ATO (수동 운전, 자동 운전)
최고 속도80 km/h
차량 정보
차량 종류현대로템 BTC 3000호대 전동차
차량 기지대저 차량 사업소
기타
웹사이트부산교통공사 웹사이트
노선도

2. 역사


과거에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불렸으며,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조례」 상 공식 명칭은 「부산 도시철도 아시아드선」이었으나, 일반 안내에 사용되지 않은 채 해당 조례 폐지로 삭제되었다.

2. 1. 개요

1995년 3호선의 최초 노선 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1997년 11월 25일 1단계 대저~수영 구간이 착공되었다.[1] 2005년 11월 28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의 환승역인 덕천역, 수영역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인 연산역이 환승역으로 개통되었다.[1]

초기에는 4호선이 3호선의 지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신교통시스템으로 건설이 결정되면서 3호선과의 직통 운행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다른 노선명이 부여되었다.[2] 2009년 11월 11일 서류상 반송선이 4호선으로 정식 분리되었다.[3]

부산광역시의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노선으로, 구포역 - 대저역 구간은 지상 구간이고 나머지는 지하 구간이다.[4] 중간에 고개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어 만덕역은 지하 9층, 배산역은 지하 8층으로 매우 깊은 곳에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4]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개통 시부터 스크린도어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4]

차량기지는 대저차량사업소가 설치되어 있다.[5]

2. 2. 사건/사고

2012년 11월 22일 배산역-무르만골역 구간에서 고장 난 열차를 견인하던 차량이 추돌 사고를 일으켜 4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

3. 운영

3호선 열차는 모두 수영행(상행)과 대저행(하행)으로 운행하며, 막차 시간에 중간에 종착하는 열차는 없다. 수영역덕천역에서 2호선, 미남역에서 4호선, 거제역에서 동해선, 연산역에서 1호선, 대저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환승할 수 있다.

3. 1. 노선

부산광역시를 수직·수평으로 연결하는 1호선2호선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井자로 연결하며, 2호선과 연계되어 준순환선 구실을 하는 노선이다. 수영구 수영역에서 강서구 대저역을 연결한다. 주로 을 깊은 심도로 통과해 만덕역, 배산역 등은 깊은 심도에 건설되었다.

과거에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불렸다. 또한,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조례」에서의 공식 명칭은 「부산 도시철도 아시아드선」이었으나, 일반 안내에 사용되지 않은 채 해당 조례 폐지로 삭제되었다. 초기에는 4호선이 3호선의 지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신교통시스템으로 건설될 것이 결정되면서 3호선과의 직통 운행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다른 노선명이 부여되었다.

시의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노선이다. 구포역 - 대저역 구간은 지상 구간이고, 나머지는 지하 구간이다. 중간에 고개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어 만덕역은 지하 9층, 배산역은 지하 8층으로 매우 깊은 곳에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통 시부터 스크린도어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

차량기지대저차량사업소가 설치되어 있다.

3. 2. 운행

3호선 열차는 모두 수영행(상행)과 대저행(하행)이 운행한다. 막차 시간에 중간에 종착하는 열차는 없다. 기점인 수영역과 중간의 덕천역에서 2호선, 미남역에서 4호선, 거제역에서 동해선, 연산역에서 1호선, 종점인 대저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환승이 가능하다.

3. 3. 차량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용되는 전동차이다.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 외장에 밝은 갈색 띠가 둘러져 있다. 현재 4량 1편성으로 운행 중이며, 6량 1편성으로 증결할 수 있다. 총 20편성 80량이 운행되고 있다.[1]

3. 4. 스크린도어

대한민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완비되었다.[1]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 구포역과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1]

4. 역 목록

(병무청)Mangmi望美1.01.0303배산Baesan盃山1.22.2연제구304물만골Mulmangol水满谷1.13.3305연산Yeonsan蓮山부산 도시철도 1호선1.14.4306거제
(법원·검찰청)Geoje巨堤동해선 광역전철0.75.1307종합운동장
(빅토리움)Sports Complex综合运动场0.75.8308사직Sajik社稷0.86.6동래구309미남
(광혜병원)Minam美南부산 도시철도 4호선0.87.4310만덕Mandeok万徳3.310.7북구311남산정
(부산폴리텍대학)Namsanjeong南山亭1.111.8312숙등
(부민병원)Sukdeung淑嶝1.012.8313덕천
(부산과기대)Deokcheon徳川부산 도시철도 2호선0.713.5314구포Gupo龟浦경부선1.114.6315강서구청Gangseo-gu Office江西区厅1.616.2강서구316체육공원Sports Park体育公园1.117.3317대저Daejeo大渚부산-김해 경전철0.818.1


5. 미래

부산광역시는 동남권 신공항이 김해국제공항 확장으로 결정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대저역에서 김해공항까지 연장하는 방안 등 여러 교통 인프라 확장 대안을 제시했다. 김해경전철과의 환승 연결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김해공항에서 명지동으로 추가 연장하고, 하단역에서 녹산동까지 연장될 5호선과 환승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이 실현되면 노면전차로 건설될 예정이었던 강서선은 경로가 비슷하여 폐기될 가능성이 높다.[1]

5. 1. 김해국제공항 연장

동남권 신공항이 김해국제공항 확장으로 결정되면서, 부산광역시는 여러 교통 인프라 확장 대안을 제시했다. 그 중 하나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대저역에서 김해공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다. 김해경전철과의 환승 연결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김해공항에서 명지동으로 추가 연장하고, 하단역에서 녹산동까지 연장될 5호선과 환승 연결하여 더 큰 효과를 낼 계획도 있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노면전차로 건설될 예정이었던 강서선은 경로가 비슷하여 폐기될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웹사이트 釜山交通公社の紹介>沿革 https://www.humetro.[...]
[2] 웹사이트 交通手段 > 市内交通 > 都市鉄道 http://japanese.busa[...]
[3] 텍스트
[4]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5]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6]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7]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8]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