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3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광역시 수영역에서 강서구 대저역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95년 기본 계획이 수립되어 2005년 대저~수영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11년 3호선과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등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3호선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호선과 연계되어 준순환선 역할을 하며, 3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17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김해국제공항으로의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수영역
수영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으로, 2호선 개통 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좌수영에서 유래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대저역
대저역은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3호선은 2005년 개통 후 종착역이었으나 2011년 경전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환승 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지만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동서 방향으로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9년 1단계 구간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연장 공사를 거쳐 현재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향후 연장 계획이 있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성화물선
장성화물선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3.6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소속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 단선에 ATS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평역과 장성화물역 두 개의 무인역으로 구성되어 2005년 개통되었고 2019년에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하시모토역에서 하카타역을 잇는 표준궤 복선 노선으로, 2005년 일부 개통 후 2023년 하카타역까지 연장되었고 향후 후쿠오카 공항 국제선 터미널까지의 연장이 검토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3호선 |
고유 이름 | Sam Hoseon |
운영 기관 | 부산교통공사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체계 | 부산 도시철도 |
노선 상태 | 영업 중 |
노선 색상 | '#bb8c00' |
노선 개통일 | 2005년 11월 28일 |
노선 소유자 | 부산광역시 |
노선 경로 | |
기점 | 수영역 |
종점 | 대저역 |
역 수 | 17개 역 (기종점 포함) |
노선 길이 | 18.3 km |
총 길이 | 18.4 km |
선로 길이 | 18.6 km |
선로 수 | 복선 |
기술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기 방식 | 가공 전차선, 가공 강체 전선, 직류 1,500 V |
신호 방식 | ATC / ATP / ATO (수동 운전, 자동 운전) |
최고 속도 | 80 km/h |
차량 정보 | |
차량 종류 | 현대로템 BTC 3000호대 전동차 |
차량 기지 | 대저 차량 사업소 |
기타 | |
웹사이트 | 부산교통공사 웹사이트 |
노선도 |
2. 역사
- 1995년: 3호선 최초 노선 기본계획 수립
- 1997년 11월 25일: 1단계 대저~수영 구간 착공[1]
- 2003년 12월 3일: 2단계 (반송선) 미남~안평 구간 착공
- 2005년 1월 17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이후 투입될 최초 국산 전동차 투입
- 2005년 11월 20일~11월 27일: 개통 전 무료 시승 행사 진행
- 2005년 11월 28일: 1단계 대저~수영 구간 개통, 덕천역, 수영역 환승 개통(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연산역 환승 개통(부산 도시철도 1호선)[1]
- 2009년 11월 11일: 서류상 반송선을 4호선으로 정식 분리[3]
- 2010년 2월 24일: 연산동역을 연산역으로 역명 변경
- 2011년 3월 30일: 미남역 환승 개통(부산 도시철도 4호선)
- 2011년 9월 16일: 대저역 환승 개통(부산-김해 경전철)
- 2016년 12월 30일: 거제역 환승 개통(동해선 광역전철)
과거에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불렸으며,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조례」 상 공식 명칭은 「부산 도시철도 아시아드선」이었으나, 일반 안내에 사용되지 않은 채 해당 조례 폐지로 삭제되었다.
2. 1. 개요
1995년 3호선의 최초 노선 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1997년 11월 25일 1단계 대저~수영 구간이 착공되었다.[1] 2005년 11월 28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의 환승역인 덕천역, 수영역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역인 연산역이 환승역으로 개통되었다.[1]초기에는 4호선이 3호선의 지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신교통시스템으로 건설이 결정되면서 3호선과의 직통 운행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다른 노선명이 부여되었다.[2] 2009년 11월 11일 서류상 반송선이 4호선으로 정식 분리되었다.[3]
부산광역시의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노선으로, 구포역 - 대저역 구간은 지상 구간이고 나머지는 지하 구간이다.[4] 중간에 고개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어 만덕역은 지하 9층, 배산역은 지하 8층으로 매우 깊은 곳에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4]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개통 시부터 스크린도어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4]
차량기지는 대저차량사업소가 설치되어 있다.[5]
2. 2. 사건/사고
2012년 11월 22일 배산역-무르만골역 구간에서 고장 난 열차를 견인하던 차량이 추돌 사고를 일으켜 4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3. 운영
3호선 열차는 모두 수영행(상행)과 대저행(하행)으로 운행하며, 막차 시간에 중간에 종착하는 열차는 없다. 수영역과 덕천역에서 2호선, 미남역에서 4호선, 거제역에서 동해선, 연산역에서 1호선, 대저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할 수 있다.
3. 1. 노선
부산광역시를 수직·수평으로 연결하는 1호선과 2호선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井자로 연결하며, 2호선과 연계되어 준순환선 구실을 하는 노선이다. 수영구 수영역에서 강서구 대저역을 연결한다. 주로 산을 깊은 심도로 통과해 만덕역, 배산역 등은 깊은 심도에 건설되었다.과거에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불렸다. 또한,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조례」에서의 공식 명칭은 「부산 도시철도 아시아드선」이었으나, 일반 안내에 사용되지 않은 채 해당 조례 폐지로 삭제되었다. 초기에는 4호선이 3호선의 지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신교통시스템으로 건설될 것이 결정되면서 3호선과의 직통 운행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다른 노선명이 부여되었다.
시의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노선이다. 구포역 - 대저역 구간은 지상 구간이고, 나머지는 지하 구간이다. 중간에 고개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어 만덕역은 지하 9층, 배산역은 지하 8층으로 매우 깊은 곳에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통 시부터 스크린도어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
차량기지는 대저차량사업소가 설치되어 있다.
3. 2. 운행
3호선 열차는 모두 수영행(상행)과 대저행(하행)이 운행한다. 막차 시간에 중간에 종착하는 열차는 없다. 기점인 수영역과 중간의 덕천역에서 2호선, 미남역에서 4호선, 거제역에서 동해선, 연산역에서 1호선, 종점인 대저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하다.3. 3. 차량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용되는 전동차이다.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 외장에 밝은 갈색 띠가 둘러져 있다. 현재 4량 1편성으로 운행 중이며, 6량 1편성으로 증결할 수 있다. 총 20편성 80량이 운행되고 있다.[1]3. 4. 스크린도어
대한민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완비되었다.[1]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 구포역과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1]4. 역 목록
(병무청)
(법원·검찰청)
(빅토리움)
(광혜병원)
(부산폴리텍대학)
(부민병원)
(부산과기대)